KR200229312Y1 - 장식사 - Google Patents

장식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312Y1
KR200229312Y1 KR2020010001861U KR20010001861U KR200229312Y1 KR 200229312 Y1 KR200229312 Y1 KR 200229312Y1 KR 2020010001861 U KR2020010001861 U KR 2020010001861U KR 20010001861 U KR20010001861 U KR 20010001861U KR 200229312 Y1 KR200229312 Y1 KR 200229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ear
gears
adverb
roll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린
Original Assignee
윤석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린 filed Critical 윤석린
Priority to KR2020010001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3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312Y1/ko

Links

Landscapes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경이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이를 사용하여 직조할 경우에 고급스런 질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 장식사(裝飾絲; Fancy yarn)에 관한 것으로, 기어박스 내부의 기어연결구조에서 심사(芯絲)(2)(2') 공급용 롤러축(15)이 불균일하게 회전하도록 하여 부사(副絲)(1)가 심사(2)(2')에 감겨 합사되어지는 비율이 지속적으로 변하게함으로서 장식사(5)의 직경 및 모양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장식사(5)를 불균일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서, 이를 사용하여 쇼파나 시트커버등을 직조할 경우 다양한 형태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고급스런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기어박스 내부의 기어연결구조에서 서로 맞물려돌아가는 양 기어들(13, 14)(17, 18)중 일측의 기어(13)(17)가 전주(全周)에 걸쳐 이빨이 형성되지 않고 이빨이 없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서, 양 기어(13, 14)(17, 18)가 맞물려 돌아가는동안 이빨이 있는 부위와 타측 기어(14)(18)가 접촉할 경우에는 롤러축(15)에 동력이 전달되어 롤러(3)가 회전하게되지만, 이빨이 없는 부위와 타측 기어(14)(18)가 접촉할 경우에는 롤러축(15)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롤러(3)가 회전하지 않게되는 바, 롤러(3)가 회전하는 동안에는 심사(2)(2')에 부사(1)가 감겨지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롤러(3)가 회전하지않는 동안에는 심사(2)(2')에 부사(1)가 감겨지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하여 장식사(5)의직경 및 모양이 불균일하게 형성되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장식사{Fancy yarn}
본 고안은 직경이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이를 사용하여 직조할 경우에 고급스런 질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 장식사(裝飾絲; Fancy yarn)에 관한 것으로, 기어박스 내부의 기어연결구조에서 심사(芯絲) 공급용 롤러축이 불균일하게 회전하도록 하여 부사(副絲)가 심사에 결합되는 정도가 지속적으로 변하게함으로서 장식사의 직경 및 모양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장식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는실을 간추려서 적당한 굵기 및 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한올 또는 두올 이상의 실에 고임을 가하는 연사기에는 링식(Ring system)과 이태리식(Italian system)이 있으며, 근래에는 투포원(Two for one) 연사기가 개발되어 연사공정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는 별도로 실의 연합에서 색상, 꼬임정도 등을 변화시켜 장시사를 만들 수 있는 장식 연사기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연사기중 특히 장식사 연사기는 일반 연사기에 비해 대단히 고가이고, 그 생산단가가 대단히 높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러한 장식사 연사는 일반 연사와 구분되어 전문화된 특수 연사업체로 구분되어 있으며, 그 가공단가가 대단히 높기 때문에 특수 직편물에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장식사 연사기 구조의 개략도로서 여기에서 보면,
여러올의 부사(1)가 안내구(7)를 통해 연사기(4)로 유입되고, 이들은 심사(2)(2')와 함께 롤러(3)를 경유함으로서 심사둘레에 부사가 합사되어진 장식사(5)가 만들어지도록 하고 이와 같이 만들어진 장식사는 보빈(6)에 권취되어짐으로서 장식사 제조공정이 완료된다.
즉, 심사(2)(2')와 부사(1)가 롤러(3)를 통과하는 동안 심사 주위에 부사가 감기면서 합사되어지는데, 이때 심사의 공급속도는 롤러(3)에 의해 조절되므로 롤러(3)를 빨리 회전시킬 경우에는 심사의 공급속도가 부사의 감김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빨라지게 되므로 장식사의 직경은 비교적 가늘게 형성되며, 롤러(3)를 느리게 회전시킬 경우에는 심사의 공급속도가 부사의 감김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려지게 되므로 장식사의 직경은 비교적 굵게 형성된다.
또한, 도 9는 종래 연사기의 구동기어박스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이 벨트(10)를 통해 구동축(8)의 휠(9)에 전달되면, 상기 구동축(8)과 같은축에 결합된 워엄(11)이 회전하게되므로 워엄기어(12)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워엄기어(12)와 같은 축에 결합된 기어(23)가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기어(23)에 맞물린 기어(24)에 의해 롤러축(15)이 회전하게 되며, 이때 롤러축(15)의 선단에 결합된 롤러(3)가 회전하게되므로 심사(2)(2')는 공급되기 시작하고 부사(1)는 그 주위에 감기면서 합사되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어연결구조에서는 기어(23)와 기어(24)가 모두 평기어로서 항상 일정한 감속비를 유지하게되므로, 모터에서 회전력이 균일한 속도로 전달될 경우 롤러(3) 역시 균일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심사(2)(2')에 대한 부사(1)의 감김 비율은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장식사(2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길이에 걸쳐 직경이 고르게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장식사를 이용하여 카페트나 시트 커버등을 직조할 경우에는 질감이 다양하지 못하고 단조로운 형태를 띄게 되므로 저급한 느낌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어박스 내부의 기어연결구조에서 심사(芯絲) 공급용 롤러축이 불균일하게 회전하도록 하여 부사(副絲)가 심사에 감겨 합사되어지는 비율이 지속적으로 변하게함으로서 장식사의 직경 및 모양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함을 첫번째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장식사가 불균일한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서, 이에 의해 쇼파나 시트커버등을 직조할 경우 다양한 형태를 표현할 수 있어 고급스런 질감을 나타낼 수 있는데에 그 두 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기어박스 내부의 기어연결구조에서 서로 맞물려돌아가는 양 기어들중 일측의 기어가 전주(全周)에 걸쳐 이빨이 형성되지 않고 이빨이 없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서, 양 기어가 맞물려 돌아가는동안 이빨이 있는 부위와 타측 기어가 접촉할 경우에는 롤러축에 동력이 전달되어 롤러가 회전하게되지만, 이빨이 없는 부위와 타측 기어가 접촉할 경우에는 롤러축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롤러가 회전하지 않게되는 바, 롤러가 회전하는 동안에는 심사에 부사가 감겨지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롤러가 회전하지않는 동안에는 심사에 부사가 감겨지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하여 장식사의 직경 및 모양이 불균일하게 형성되어지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사를 제조하기 위한 연사기 구조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연사기의 구동기어박스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기어간의 연결구조를 확대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2에서 기어간의 연결구조를 확대도시한 평면도,
도 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연사기의 구동기어박스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기어간의 연결구조를 확대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5에서 기어간의 연결구조를 확대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사의 확대도로서,
도 8a는 제 1실시예에 의한 도면이며,
도 8b는 제 2실시예에 의한 도면,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연사기구조의 구동기어박스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부사(副絲) 2, 2' ; 심사(芯絲)
3 ; 롤러 4 ; 연사기
5 ; 장식사 6 ; 보빈
7 ; 안내구 8 ; 구동축
9 ; 휠 10 ; 벨트
11 ; 워엄 12 ; 워엄기어
13, 14 ; 기어 15 ; 롤러축
16, 19 ; 이빨 17, 18 ; 기어
20, 21 ; 돌출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사를 제조하기 위한 연사기 구조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연사기의 구동기어박스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기어간의 연결구조를 확대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기어간의 연결구조를 확대도시한 평면도이다.
심사(2)(2')와 부사(1)가 함께 롤러(3)를 경유하면서 상기 심사 주위에 부사가 감겨 합사됨에 따라 장식사(5)를 제조하는 장식사연사기에 있어서,
구동축(8)과 상기 롤러(3)의 롤러축(15)사이에서 모터로 부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위한 기어들(13)(14)간의 연결구조에서 그 일측의 기어(13)는 전주(全周)에 걸쳐 이빨(16)이 형성되지 않고 이빨이 없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서, 양 기어가 맞물려 돌아가는동안 이빨이 있는 부위와 타측 기어(14)가 접촉할 경우에는 롤러축(15)에 동력이 전달되어 롤러(3)가 회전하게되지만, 이빨이 없는 부위와 타측 기어(14)가 접촉할 경우에는 롤러축(15)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롤러(3)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있다.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모터(도시하지 않았음)로 부터의 회전력이 벨트(10)와 휠(9)에 의해 구동축(8)에 전달되면 워엄(11)도 함께 회전한다.
워엄(11)이 회전하면 이에 맞물린 워엄기어(12)가 함께 회전하고 이와 같은 축에 연결된 기어(13)도 함께 회전하게되므로, 회전력은 기어(14)를 통해 롤러축(15)에 전달되어 롤러(3)가 회전하도록 하는데, 롤러(3)가 회전하면 심사(2)(2')가 공급되어지므로 부사(1)와 합사되어진 장식사(5)가 제조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13)에서 이빨(16)이 전주(全周)에 걸쳐 이빨(16)이 형성되지않고 이빨 없는 부분이 포함되어있으므로,(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빨있는 부분과 이빨 없는 부분이 기어 13이 일회전하는 동안 번갈아가며 2번씩 나타나게된다.) 기어(14)와 맞물려 회전하는 동안 이빨(16) 있는 부분이 기어(14)에 닿아 움직일 경우에는 구동축(8)의 회전력이 롤러축(15)까지 전달되지만, 이빨(16) 없는 부분이 기어(14)에 닿게될 경우에는 구동축(8)의 회전력이 롤러축(15)까지 전달되지 않으므로 롤러축(15)은 기어(13)의 이빨이 다시 기어(14)에 닿을 때까지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구동축(8)이 일정속도로 회전하게되더라도 롤러축(15)은 단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롤러축(15)이 회전하면 롤러(3)가 함께 회전하므로 심사(2)(2')가 공급되어지고 이에 부사(1)가 합사됨으로서 장식사(5)가 제조되어지는데, 상기 기어들(13)(14)간의 연결구조에 의해 롤러(3)가 단속 회전하게되므로, 롤러(3)가 회전할 동안에는 심사(2)(2')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부사(1)가 합사되어지므로 장식사(5)는 비교적 가늘게 형성되어지지만, 롤러(3)가 회전하지 않는 동안에는 심사(2)(2')가 공급되지않는 상태에서 부사(1)가 계속 합사되어지므로 장식사(5)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0)를 형성하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 장치에 의해 제조된 장식사(5)에서는 돌출부(20)가 일정간격마다 나타나는 불균일한 형태를 띄게되므로, 이를 사용하여 쇼파나 시트커버등을 직조할 경우에 보다 고급스런 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기어(13)와 기어(14)가 맞물려회전하는 동안에 구동축(8)의 회전력이 롤러축(15)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14)는 그 이빨이 기어(13) 이빨의 전후 모서리부에 각각 대응될 수 있도록 전 후 2열로 배치되어진 쌍기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어(14)가 쌍기어 형태로 구성될 경우에 기어들(13)(14)이 맞물려회전하는 동안 이빨간의 접촉면적이 커지므로 회전력이 정확히 전달될 뿐만 아니라, 특히 기어들(13)(14)간에 이빨이 맞물려있지않다가 다시 맞물리게될 경우(기어14와 이빨없는 부분이 대응되었다가 이빨있는 부분이 대응되기 시작하는 경우) 이빨이 서로 겉돌지않고 정확히 맞물려 회전하게되므로, 구동축(8)과 롤러축(15)간에 동력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도 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연사기의 구동기어박스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기어간의 연결구조를 확대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서 기어간의 연결구조를 확대도시한 평면도로서 여기에서 보면,
구동축(8)과 롤러축(15) 사이에 기어(13)와 기어(14)에 의한 동력전달구조를 갖는 이외에 부가적으로, 상기 기어들(13)(14)과 동일축에는 그들과 기어비가 서로 다른 기어들(17)(18)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기어(17)에는 이빨(19) 없는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기어(13)의 이빨(16) 구조와 대칭되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13)와 기어(17)는 동일축에 구성되어 함께 회전하되, 양 기어(13)(17)의 이빨(16)(19)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있으므로 기어(13)의 이빨(16)이 기어(14)에 맞물려회전할 동안에는 기어(17)의 이빨(19)은 기어(18)에 맞물리지않아 기어(13)과 기어(14)간의 결합구조에 의해서만 롤러축(15)가 회전하게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기어(13)의 직경이 기어(14)의 직경보다 작아서 구동축(8)의 회전력이 롤러축(14)에 감속 전달되어지므로 롤러축(14)은 천천히 회전하게된다.
따라서, 심사(2)(2')는 천천히 공급되면서 부사(1)가 합사되어지므로 장식사(5)에서는 일정길이로 돌출부(21)를 형성하게된다.
또한, 기어(13)의 이빨(16) 없는 부분이 기어(14)에 대응되면 기어(17)의 이빨(19)은 기어(18)에 맞물려지게되므로 기어(17)과 기어(18)간의 결합구조에 의해서만 롤러축(15)가 회전하게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기어(17)의 직경이 기어(18)의 직경보다 커서 구동축(8)의 회전력이 롤러축(14)에 가속 전달되어지므로 롤러축(14)은 빠르게 회전한다.
따라서, 심사(2)(2')는 빠르게 공급되며 이때 부사(1)가 합사되어지므로, 장식사(5)는 비교적 가늘게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장치를 이용하여 장식사를 제조할 경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의 돌출부(21)와 작은 직경부가 번갈아가며 나타나게되는데, 이러한 장식사(5)를 이용하여 쇼파나 시트커버등을 직조할 경우에 두께와 모양에 변화를 줄 수 있으므로 보다 고급스런 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2실시예에서도 제 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기어(17)와 기어(18)가 맞물려회전하는 동안에 구동축(8)의 회전력이 롤러축(15)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18)는 그 이빨이 기어(17) 이빨의 전후 모서리부에 각각 대응될 수 있도록 전 후 2열로 배치되어진 쌍기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어(18)가 쌍기어 형태로 구성될 경우에 기어들(17)(18)이 맞물려회전하는 동안 이빨간의 접촉면적이 커지므로 회전력이 정확히 전달될 뿐만 아니라, 특히 기어들(17)(18)간에 이빨이 맞물려 있지 않다가 다시 맞물리게될 경우(기어18과 이빨없는 부분이 대응되었다가 이빨 있는 부분이 대응되기 시작하는 경우) 이빨이 서로 겉돌지 않고 정확히 맞물려 회전하게되므로, 구동축(8)과 롤러축(15)간에 동력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실 공급을 위한 기어박스내부의 기어연결구조에서, 이빨 없는 부분을 포함한 기어(13)(17)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지도록 구성함에 따라 구동축(8)이 일정속도로 회전하더라도 심사(2)(2') 공급용 롤러축은 불균일한 속도로 회전하게된다.
따라서, 장식사(5)는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지않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균일한 형태로 이뤄지게되므로, 이를 사용하여 쇼파나 시트커버등을 직조하게될 경우 보다 고급스런 질감을 표현할 수 있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기어박스 내부의 기어연결구조에서 심사(芯絲)(2)(2') 공급용 롤러축(15)이 불균일하게 회전하도록 하여 부사(副絲)(1)가 심사(2)(2')에 감겨 합사되어지는 비율이 지속적으로 변하게함으로서 장식사(5)의 직경 및 모양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장식사(5)를 불균일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서, 이를 사용하여 쇼파나 시트커버등을 직조할 경우 다양한 형태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고급스런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기어박스 내부의 기어연결구조에서 서로 맞물려돌아가는 양 기어들(13, 14)(17, 18)중 일측의 기어(13)(17)가 전주(全周)에 걸쳐 이빨이 형성되지 않고 이빨이 없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서, 양 기어(13, 14)(17, 18)가 맞물려 돌아가는동안 이빨이 있는 부위와 타측 기어(14)(18)가 접촉할 경우에는 롤러축(15)에 동력이 전달되어 롤러(3)가 회전하게되지만, 이빨이 없는 부위와 타측 기어(14)(18)가 접촉할 경우에는 롤러축(15)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롤러(3)가 회전하지 않게되는 바, 롤러(3)가 회전하는 동안에는 심사(2)(2')에 부사(1)가 감겨지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롤러(3)가 회전하지않는 동안에는 심사(2)(2')에 부사(1)가 감겨지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하여 장식사(5)의 직경 및 모양이 불균일하게 형성되어지도록 한다.

Claims (1)

  1. 심사(2)(2')와 부사(1)가 함께 롤러(3)를 경유하면서 상기 심사 주위에 부사가 감겨 합사됨에 따라 제조되는 장식사에 있어서,
    구동축(8)과 상기 롤러(3)의 롤러축(15)사이에서 모터로 부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위한 기어들(13)(14)간의 연결구조에서 그 일측 기어(13)는 전주(全周)에 걸쳐 이빨(16)이 형성되지 않고 이빨 없는 부분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서, 양 기어(13)(14)가 맞물려 돌아갈 때 이빨 있는 부위와 타측 기어(14)가 서로 접촉할 경우에는 롤러축(15)에 동력이 전달되어 심사 공급용 롤러(3)가 회전하면서 부사(1)가 합사되어지므로 장식사가 가늘게 형성되어지지만, 이빨 없는 부위와 타측 기어(14)가 대응될 경우에는 롤러축(15)에 동력이 전달되지않아 심사 공급용 롤러(3)가 멈춘 상태에서 부사(1)가 합사되므로 돌출부(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사.
KR2020010001861U 2001-01-26 2001-01-26 장식사 KR200229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861U KR200229312Y1 (ko) 2001-01-26 2001-01-26 장식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861U KR200229312Y1 (ko) 2001-01-26 2001-01-26 장식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712A Division KR100390161B1 (ko) 2001-01-26 2001-01-26 장식사 연사기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312Y1 true KR200229312Y1 (ko) 2001-07-04

Family

ID=7309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861U KR200229312Y1 (ko) 2001-01-26 2001-01-26 장식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3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063B1 (ko) * 2006-04-11 2007-02-06 주식회사 은수 장식사
KR101932116B1 (ko) * 2018-05-08 2019-03-20 신익환 변속 기반의 편직용 탄성 섬유 피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063B1 (ko) * 2006-04-11 2007-02-06 주식회사 은수 장식사
KR101932116B1 (ko) * 2018-05-08 2019-03-20 신익환 변속 기반의 편직용 탄성 섬유 피딩장치
WO2019216544A1 (ko) * 2018-05-08 2019-11-14 Shin Ick Hwan 변속 기반의 편직용 탄성 섬유 피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19283A1 (zh) 一种纱线的加捻装置及连续加捻方法
KR200229312Y1 (ko) 장식사
KR100390161B1 (ko) 장식사 연사기의 구조
CN107059193B (zh) 一种连续双竹节段彩竹节纱生产装置和生产方法
JP3422483B2 (ja) 撚り飾り糸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撚り飾り糸
TWM627719U (zh) Tpee花式撚合複合加工紗之加工設備
KR100618608B1 (ko) 화학사와 천연사를 이용한 원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한 원사
KR20000076626A (ko) 복합사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사
JPS6022090B2 (ja) 意匠糸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698927B2 (ja) 撚糸機
CN210974975U (zh) 一种用于生产竹节锻彩纱的间歇式喂入罗拉
CN210140656U (zh) 一种环锭纺纱加捻绕线机构
KR100891563B1 (ko) 직물 제조방법과 및 그 제조방법을 수행하는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
CN211921799U (zh) 一种织造加捻装置
KR200462343Y1 (ko) 장식사 제조장치
CN210529126U (zh) 一种粗纱机
CN216473788U (zh) 针织可变花色圆扁钩编机的传动机构
CN209779092U (zh) 一种圈圈纱生产装置
JPS60194130A (ja) スラブ糸の製造方法
US3852868A (en)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garlands
KR200175471Y1 (ko) 방울형태 장식사 제조장치
KR20230095745A (ko) 멀티 슬럽사 및 이를 위한 제조장치
KR200368797Y1 (ko) 화학사와 천연사로 이루어진 원사
JP2006188333A (ja) 繊維束の巻取装置
KR200204616Y1 (ko) 슬라이드파스너 성형기의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