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114Y1 - 농기계차량용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농기계차량용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114Y1
KR200229114Y1 KR2019980012161U KR19980012161U KR200229114Y1 KR 200229114 Y1 KR200229114 Y1 KR 200229114Y1 KR 2019980012161 U KR2019980012161 U KR 2019980012161U KR 19980012161 U KR19980012161 U KR 19980012161U KR 200229114 Y1 KR200229114 Y1 KR 200229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o
pulley
shaft
bevel gear
gea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364U (ko
Inventor
남 훈 김
Original Assignee
남 훈 김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 훈 김,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filed Critical 남 훈 김
Priority to KR2019980012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11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3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3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114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동장치인 베벨기어박스의 일측에 슬리이브를 설치하고 이를 착탈식으로 작동시켜 분무기 및 팬을 구동시킬 수 있는 농기계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농기계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차량의 일측에 설치되며, 그 일측에는 엔진 PTO 풀리가 연결되고 그 타측에는 축이 설치되는 PTO 베벨기어 박스와; PTO 베벨기어 박스의 축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리이브와; 슬리이브에 연결되며, 분무기 PTO 풀리와, 팬 PTO 풀리가 삽설되는 축과; PTO 베벨기어 박스의 소정부위에 축을 삽설하여 연결되는 클러치 수단과; 클러치 수단에 벨트에 의해 연결된 밋션풀리의 일측에 연결되는 밋션으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농기계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분무기 및 팬의 동작에 따른 구동을 PTO 베벨기어 박스에 연결된 축을 슬리이브에 착탈가능하게 동작하게 되므로 동력을 절약함은 물론 그 구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농기계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본 고안은 농기계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동장치인 베벨기어박스의 일측에 슬리이브를 설치하고 이를 착탈식으로 작동시켜 분무기 및 팬을 구동시킬 수 있는 농기계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4륜 농기계차량에 있어서는 전차륜의 회전속도를 후차륜의 회전속도에 동조시키기 위하여 후차륜 구동용의 주기어 변속축계의 후단부에서 나오는 동력을 전달할 필요가 있으며, 종래는 주행변속축계의 후단부와 전차륜과의 사이에 걸친 긴 전동축을 기체의 하부공간에 설치하는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조는 기체 하부에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큰 공간을 부여하기 곤란하고 차동장치의 출력축을 길게 해야하므로 그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축경을 크게할 필요가 있고 이로 인해 기체의 중량증가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밋션 케이스의 후부에 동력취출축을 설치한 것은 그 동력취출축의 구동축계가 주행변속축계이외에 별도로 필요하므로 밋션케이스 내의 축수가 많아지는 단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동장치의 취출축을 착탈식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농기계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농기계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차량의 일측에 설치되며, 그 일측에는 엔진 PTO 풀리가 연결되고 그 타측에는 축이 설치되는 PTO 베벨기어 박스와; PTO 베벨기어 박스의 축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리이브와; 슬리이브에 연결되며, 분무기 PTO 풀리와, 팬 PTO 풀리가 삽설되는 축과; PTO 베벨기어 박스의 소정부위에 축을 삽설하여 연결되는 클러치 수단과; 클러치 수단에 벨트에 의해 연결된 밋션풀리의 일측에 연결되는 밋션으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도 1은 본고안의 농기계 차량의 정면도,
도 2는 농기계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엔진 12 : 엔진 풀리
20 : PTO 베벨기어 박스 22 : 엔진 PTO 풀리
26 : 슬리이브 27 : 수용부
28 : 리턴 스프링 30 : 분무기
34 : 분무기 PTO 풀리 36 : 분무기 풀리
40 : 팬 42 : 팬풀리
44 : 팬 PTO 풀리 60 : 클러치 카바
62 : 클러치 디스크 64 : 릴리이스 베어링
70 : 밋션풀리 80 : 밋션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농기계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농기계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동력전달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농기계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엔진(10)의 일측에는 엔진풀리(12)가 설치되고, 상기 엔진풀리(12)는 벨트(14)에 의해 엔진 PTO 풀리(22)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 PTO 풀리(22)는 PTO 베벨기어 박스(2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PTO 베벨기어 박스(20)의 타측에는 축(24)에 착탈가능한 슬리이브(26)가 설치되고, 상기 슬리이브(26)의 후방에는 리턴스프링(28)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턴스프링(28)은 축(32)에 삽설되고, 상기 축(32)에는 분무기 PTO 풀리(34)와 팬 PTO 풀리(44)가 각기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무기 PTO 풀리(34)는 분무기(30)의 일측에 연결된 분무기 풀리(36)에 벨트(3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팬 PTO 풀리(44)는 팬(40)의 일측에 연결된 팬풀리(42)와 벨트(4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무기(30) 및 팬(40)은 팬커버(48)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분무기(30)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스프레이 파이프(38)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축(32)의 세로방향으로는 후륜 구동축(52)이 설치되고, 상기 후륜구동축(52)에는 후차륜(54)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PTO 베벨기어 박스(20)의 대향측에는 클러치 카바(60)가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 카바(60)의 내측에는 클러치 디스크(62)가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 디스크(62)의 일측에는 릴리이스 베어링(64)이 설치된다.
상기 클러치 디스크(62)는 밋션(80)의 일측에 설치된 밋션풀리(70)와 벨트(72)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10), PTO 베벨기어 박스(20), 클러치 카바(60) 및 밋션(80)은 엔진커버(90)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또한, 상기 엔진 커버(9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분리형 프레임(92)은 동체가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5는 핸들을 나타내고, 94는 전차륜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농기계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동작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엔진(10)을 구동시키게 되면 엔진(10)과 연결된 엔진풀리(12)가 동작하여 엔진 PTO 풀리(22)를 회전시키게 되며, 엔진 동력은 먼저 앞 차동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되어 전차륜(94)을 동작시키고 이후 PTO 베벨기어 박스(20)를 이용하여 후차륜(54)을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엔진 PTO 풀리(22)에 연결된 PTO 베벨기어 박스(20)는 이에 연결된 축(23)을 경유하여 클러치 카바(60)를 거쳐서 클러치 디스크(62)를 동작시키게 되며, 그리고 벨트(72)의 동작에 의해 밋션풀리(70)가 회동하여 밋션(80)을 동작시키게 되면 이에 연결된 후륜구동축(52)이 동작하면서 후차륜(54)을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할 경우에는 PTO 베벨기어 박스(20)의 타측에 연결된 축(24)이 슬리이브(26)로 부터 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하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무기(30)를 구동하는 동력전달축(24)과 슬라이브(26)이 결합되지 아니한 상태이므로 축(23)과 상기 동력전달축(24)가 함께 구동되지만 상기 동력전달축(24)이 변속기(도시되지 않음)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슬리이브(26)와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이므로 결국 분무기(30)와 팬(40)은 자거동하지 아니하는 것이다.
반면에, 사용자가 분무기(30) 및 팬(40)을 구동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PTO 베벨기어 박스(20)에 연결된 변속기(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게 되면 축(24)이 슬리이브(26)의 수용부(27)의 내측으로 긴밀하게 끼워지면서 분무기 PTO 풀리(34) 및 팬 PTO 풀리(44)를 구동시켜 분무기(30) 및 팬(40)을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PTO 베벨기어 박스(20)에 연결된 슬리이브(26)의 일측에는 테이퍼진 수용부(27)가 형성되어 있어 축(24)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슬리이브(26)의 타측에 설치된 리턴스프링(28)은 슬리이브(26)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농기계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분무기 및 팬의 동작에 따른 구동을 PTO 베벨기어 박스에 연결된 축을 슬리이브에 착탈가능하게 동작하게 되므로 동력을 절약함은 물론 그 구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차량의 일측에 설치되며, 그 일측에는 엔진 PTO 풀리가 연결되고 그 타측에는 축이 설치되는 PTO 베벨기어 박스와;
    상기 PTO 베벨기어 박스의 축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리이브와;
    상기 슬리이브에 연결되며, 분무기 PTO 풀리와, 팬 PTO 풀리가 삽설되는 축과;
    상기 PTO 베벨기어 박스의 소정부위에 축을 삽설하여 연결되는 클러치 수단과;
    상기 클러치 수단에 벨트에 의해 연결된 밋션풀리의 일측에 연결되는 밋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그 일측에 테이퍼진 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탄성부재가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KR2019980012161U 1998-07-03 1998-07-03 농기계차량용동력전달장치 KR200229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61U KR200229114Y1 (ko) 1998-07-03 1998-07-03 농기계차량용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61U KR200229114Y1 (ko) 1998-07-03 1998-07-03 농기계차량용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64U KR20000002364U (ko) 2000-02-07
KR200229114Y1 true KR200229114Y1 (ko) 2001-09-17

Family

ID=6951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161U KR200229114Y1 (ko) 1998-07-03 1998-07-03 농기계차량용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1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64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Y1110912T1 (el) Διαταξη κινητηριου τροχου οχηματος
US20170259662A1 (en) Drive device for a hybrid-driven motor vehicle
CA1145589A (en) Gear mechanism for motor vehicles
WO2009082413A1 (en) Rear end for a work machine with ground driven power take-off
KR200229114Y1 (ko) 농기계차량용동력전달장치
KR200456120Y1 (ko) 트랙터의 차속 비례형 전방 pto장치
EP0895926A3 (en) Hub transmission for a bicycle
US9086120B2 (en) Compact creeper gear arrangement for a transmission
CA2340204A1 (en) Two-wheel and four-wheel driving change-over device for vehicle
RU2008130911A (ru) Самоходный полевой измельчитель
US20110259132A1 (en) Transmission Gear Ratio Changing Without Disassembly For A Work Machine
KR100284345B1 (ko) 차량의동력전달장치
KR100284835B1 (ko) 트랜스밋션의 동력전달장치
CN101934731A (zh) 纯电动车辆专用集成式附件取力装置
CN2268649Y (zh) 传动轴取力器
KR100422725B1 (ko) 수동 트랜스 밋션용 클러치 디스크로부터 발생된 분진 및유해열 제거 장치
JP4204307B2 (ja) トラクタの前輪駆動装置
US20070234848A1 (en) Gearbox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H0426260Y2 (ko)
CN2341838Y (zh) 一种游艺赛车
KR19980020295U (ko) 수동변속기용 아이들러 샤프트 고정구조
RU2326772C1 (ru) Механическая трансмиссия колес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RU62358U1 (ru) Трансмиссия полноприводной колесной машины
KR200174446Y1 (ko) 자동차의 스피도미터 드리븐 기어(speedometer driven gear)
JPS5917689Y2 (ja) 前輪駆動変速機構の軸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