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940Y1 -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 - Google Patents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940Y1
KR200228940Y1 KR2020010002023U KR20010002023U KR200228940Y1 KR 200228940 Y1 KR200228940 Y1 KR 200228940Y1 KR 2020010002023 U KR2020010002023 U KR 2020010002023U KR 20010002023 U KR20010002023 U KR 20010002023U KR 200228940 Y1 KR200228940 Y1 KR 200228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button
vowel input
portable communication
vowel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희
Original Assignee
정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희 filed Critical 정종희
Priority to KR2020010002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9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940Y1/ko

Link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에 모음 입력 버튼을 따로 구비하여 쉽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 형상인 모음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데, 상기 모음 입력 버튼의 각 단부에 배치된 제 1, 2, 3 및 4키의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의 하단에 돌출부를 구비한 모음 입력 버튼으로 구성되며, 휴대용 통신기기에 한글 쓰기 획순과 일치하는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문자입력 방식보다 더 쉽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A vowel input button of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에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하여 쉽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폰은 문자 입력에 있어서 10개의 버튼을 사용하여 구현되고 있다. 예를들면, 문자 입력 방식에는 '천지인' '나랏글'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식들은 사용법을 숙지하는데 오랜시간이 걸리며, 입력속도가 느려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모음과 자음이 모두 숫자버튼에 할당되기 때문에 특정 자음을 입력하려면 자음 버튼을 여러번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통신기기에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음 입력 버튼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음 입력 버튼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누름부 20 : 평면부
30 : 돌출부 40 : 키 센서
50 : 요철부 60 : 핸드폰 본체 케이스
80 : 모음 입력 버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 형상인 모음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데, 상기 모음 입력 버튼의 각 단부에 배치된 제 1, 2, 3 및 4키의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의 하단에 돌출부를 구비한 모음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모음 입력 버튼 중앙 하단에 요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바깥쪽에서 입력 버튼 중앙 부분까지 낮아지도록 테이퍼지게 되어있고, 또한, 상기 누름부는 타원의 굴곡형태이다.
한편, 상기 누름부는 '+' 형상의 교차 부분에 평면부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음 입력 버튼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의 사시도이다. 모음 입력 버튼(80)은 '+' 형상이고, 모음 입력 버튼의 상하좌우는 각각제1, 2, 3 및 4키의 누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2키 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연속으로 누르는 것을 A키, 상기 제 3 및 4키 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연속으로 누르는 것을 B키로 정의한다. 상기 A키는 한글 모음 창제 원리인 인(ㅣ)자를 나타내고, B키는 한글 모음 창제 원리인 지(ㅡ)자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제 1, 2, 3 및 4키는 한글 창제 원리인 천(.)자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모음 입력 버튼(80)은 문자 입력시에는 모음 입력 버튼으로 사용되고, 메뉴 이동시에는 방향키로 사용된다.
따라서, 예를들어 '유'자를 입력하려면 먼저 자음 'ㅇ'을 입력하고 상기 모음 입력 버튼에서 B키를 누른다음, 제 2키를 두번 누르면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음 입력 버튼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는 평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 1, 2, 3 및 4키를 가리키는 평면 형태의 누름부(10)와, 상기 누름부 하단에 돌출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30)는 본체 내부회로의 키 센서(40)를 누르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핸드폰 본체 케이스(60)로 부터 모음 입력 버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모음 입력 버튼 하단의 둘레에 테두리(70)를 구비하였다. 도 2b는 상기 도 2a의 변형된 예로써, 상기 모음 입력 버튼 중앙 하단에 배치되어 모음 입력 버튼을 지지하는 요철부(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요철부(50)는 모음 입력 버튼을 시소처럼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요철부(50)를 중심으로 핸드폰 본체 케이스(60)에서 떠 있게 할 수 있으며, A키와 B키를 누를때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 2c는 상기 도 2a의 변형된 예로써, 상기 평면 형태의 누름부의 바깥쪽에서 입력 버튼 중앙 부분까지 낮아지도록 테이퍼지게 변형된 것이다. 도 2d는 상기 도 2a의 변형된 예로써, 상기 평면 형태의 누름부를 타원의 굴곡형태로 변형한 것이다. 도 2e와 도 2f는 상기 도 2c와 도 2d의 변형된 예로써, 상기 누름부는 '+' 형상의 교차 부분에 평면부(20)를 더 포함하여 변형된 예이다.
본 고안의 다양한 상기 실시예는, A키를 누를때 3키나 4키가 잘못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음 입력 버튼내에 굴곡 및 경사를 주거나, 모음 입력 버튼 중앙에 요철을 두어 오타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모음 입력 버튼을 '+' 형상 뿐만 아니라 원형이나 타원의 모양으로 변형하여 만들 수 있고, 또한 모음 입력 버튼의 위치는 핸드폰 본체 케이스의 디자인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실시에 따라, 문자 입력 방식이 한글 쓰기 획순과 일치하여 기존의 문자입력 방식보다 더 쉽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그 사용법을 숙지하기도 용이하며, 또한 숫자 버튼에 자음만 할당함으로써 기존에 하나의 버튼에서 자음과 모음을 번갈아 가며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 형상인 모음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데, 상기 모음 입력 버튼의 각 단부에 배치된 제 1, 2, 3 및 4키의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의 하단에 돌출부를 구비한 모음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입력 버튼 중앙 하단에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바깥쪽에서 입력 버튼 중앙 부분까지 낮아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타원의 굴곡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
  5.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 형상의 교차 부분에 평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
KR2020010002023U 2001-01-29 2001-01-29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 KR200228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023U KR200228940Y1 (ko) 2001-01-29 2001-01-29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023U KR200228940Y1 (ko) 2001-01-29 2001-01-29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940Y1 true KR200228940Y1 (ko) 2001-07-19

Family

ID=73062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023U KR200228940Y1 (ko) 2001-01-29 2001-01-29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9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753B1 (ko) * 2002-04-19 2007-06-1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한 문자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753B1 (ko) * 2002-04-19 2007-06-1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한 문자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48962Y (zh) 手持无线通信设备
JP2005526303A (ja) 環状配列によるキーパッド
GB2377411A (en) Keyboard with multi-function keys and a fingerprint identification function key to identify an authorised user
JP2010061636A (ja) タッチ軌跡及びタッチ方向の認識に基づいた使用者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
JP2006107426A (ja) 多方向入力鍵盤
KR200228940Y1 (ko)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
WO2005064804A1 (en)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input method using the same
KR100530490B1 (ko)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인접 키 입력 방식의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2341505B1 (ko)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및 점자 스크린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
KR100966142B1 (ko)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KR101008632B1 (ko) 문자 입력장치
TWI382330B (zh) 在一手持式電子裝置上相鄰於一巡覽工具之聯合輸入鍵
KR100659379B1 (ko)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JP2002196857A (ja) キー入力装置
KR100455773B1 (ko) 리버스 키를 구비한 키패드 및 문자입력 방법
KR102397561B1 (ko) 시각 장애인용 문자 입력 장치
KR20060026830A (ko) 휴대용 키패드 시스템
KR200305465Y1 (ko) 한글 입력 장치의 스위치
JP4395177B2 (ja) キーボード
KR200324244Y1 (ko)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을 위한 키패드
JP3109642U (ja) 携帯韓国語入力装置
JP3102631U (ja) 一つの指で一度に、二つ以上のキー(押しボタンスイッチ)を同時に押すことにより入力するように配列したキー入力装置。
KR1005568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40042980A (ko) 한글 입력 장치
JP3042034U (ja) 小型情報機器端末用キー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