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900Y1 - 폐기쓰레기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폐기쓰레기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900Y1
KR200228900Y1 KR2020010001147U KR20010001147U KR200228900Y1 KR 200228900 Y1 KR200228900 Y1 KR 200228900Y1 KR 2020010001147 U KR2020010001147 U KR 2020010001147U KR 20010001147 U KR20010001147 U KR 20010001147U KR 200228900 Y1 KR200228900 Y1 KR 200228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rake
trash
driv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경덕
Original Assignee
나경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경덕 filed Critical 나경덕
Priority to KR2020010001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9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900Y1/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기쓰레기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토사분리기(50)를 통해 토사쓰레기(91)가 선별된 쓰레기중에서 비닐이나 나무토막과 같이 재활용이 곤란한 폐기쓰레기(93)를 단순한 송풍분리와는 별도로 다수의 인출갈퀴(20)에 의한 인출동작으로 상대적으로 중량인 재활쓰레기(92)와는 따로 확실하게 분리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그 기술적인 수단으로 쓰레기투입컨베어(13)를 통해 이송유입되는 쓰레기중 비닐과 같은 경량의 폐기쓰레기(93)가 구동체인(40)을 따라 함께 연동회전되는 인출갈퀴(20)에 의해 인출되어 상기 구동체인(4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동작되는 이송드럼(30)을 통해 분리기하우징(11) 저부의 쓰레기인출구(14)로 낙하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체인(40)은 양쪽에 위치하는 구동회전축(41)(43)의 구동스프로킷 (42)(44)에 회전가능하게 체인결합되는 동시에 그 중간에 위치하는 지지회전축(45)의 지지스프로킷(46)에 회전지지되며, 아울러 상기 인출갈퀴(20)는 강선브러시(22)와 수지브러시(26)로 형성되어 각각 양쪽의 구동체인(40) 외측에 일정간격마다 일체결합된 해당 갈퀴지지대(28)에 설치결합되는 한편, 상기 이송드럼(30)은 길이방향 중간의 드럼회전축(31)을 중심으로 그 주연외측에 일정간격의 유도홈분할리브 (32) 사이마다 쓰레기인출유도홈(33)이 요홈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기쓰레기 분리장치{A Disinfection Cleansing Of The Womanly Makeup}
본 고안은 쓰레기를 선별하는데 있어 재활용이 곤란한 폐기스레기를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쓰레기와 분리시키기 위한 폐기쓰레기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사분리기를 통해 토사쓰레기가 선별된 쓰레기중에서 비닐이나 나무토막과 같이 재활용이 곤란한 폐기쓰레기를 단순한 송풍분리와는 별도로 다수의 인출갈퀴에 의한 인출동작으로 상대적으로 중량인 재활쓰레기와는 따로 확실하게 분리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폐기쓰레기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매립지는 쓰레기 운반효율을 감안하여 대개의 경우 대도시 인근에 위치하는데, 도시의 팽창과 도시개발계획에 의해 각종 쓰레기가 무작위로 매립되는 쓰레기매립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무작위로 매립된 쓰레기를 굴착하여 그 처리를 위한 종류별 선별작업이 불가피하며, 이때 굴착된 쓰레기는 토사쓰레기 및 비교적 무게가 무거운 돌덩어리와 쇠붙이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쓰레기와 함께 비닐이나 나무토막과 같이 재활용이 곤란한 폐기쓰레기도 함께 섞여 있는 관계로, 쓰레기 전체를 종류별로 정확하게 선별작업하기 위한 쓰레기 선별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기존의 쓰레기 선별장치는 통상 쓰레기투입기(도 1의 60 참조)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중 비교적 크기가 작은 토사쓰레기가 토사분리기(도 1의 50 참조)를 통해 우선적으로 선별처리되면서, 계속해서 재활쓰레기분리기(도 1의 70 참조) 및 기타분리장치를 통해 재활쓰레기 및 폐기쓰레기로 선별처리되어 각각 이송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쓰레기 선별장치는 비교적 무게가 가벼우면서 재활용되기 곤란한 비닐과 같은 폐기쓰레기가 송풍기(도 1의 71 참조) 및 재활쓰레기분리기를 통해 선별처리되는 관계로, 재활쓰레기배출기(도 1의 80 참조)와 폐기쓰레기배출기(도 1의 85 참조)를 통해 최종적으로 이송배출되는 재활쓰레기와 폐기쓰레기의 선별정도가 기대만큼 신뢰성있게 진행처리되지 못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기존의 쓰레기 선별장치에서 폐기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선별처리하지 못했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토사분리기와 재활쓰레기분리기 중간에 설치하여 토사분리기를 통해 토사쓰레기가 선별된 쓰레기중에서 비닐이나 나무토막과 같이 재활용이 곤란한 폐기쓰레기를 단순한 송풍분리와는 별도로 다수의 인출갈퀴에 의한 인출동작으로 상대적으로 중량인 재활쓰레기와는 따로 확실하게 분리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폐기쓰레기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폐기쓰레기 분리장치가 설치된 전체 쓰레기 선별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작동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폐기쓰레기 분리장치에 대한 측면방향 내부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폐기쓰레기 분리장치에 설치되는 인출갈퀴와 이송드럼의 정면방향 작동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쓰레기 분리장치의 인출갈퀴에 의해 인출되는 폐기쓰레기가 이송드럼을 통해 외부배출되는 작동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쓰레기 분리장치의 인출갈퀴로 설치되는 강선브러시 및 수지브러시 단면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폐기쓰레기분리기 11 : 분리기하우징
12 : 컨베어이송롤러 13 : 쓰레기투입컨베어
14 : 쓰레기인출구 20 : 인출갈퀴
21 : 스프링부 22 : 강선브러시
23,27 : 고정브래킷 24 : 갈퀴돌기
25 : 고정너트 26 : 수지브러시
28 : 갈퀴지지대 30 : 이송드럼
31 : 드럼회전축 32 : 유도홈분할리브
33 : 쓰레기인출유도홈 40 : 구동체인
41,43 : 구동회전축 42,44 : 구동스프로킷
45 : 지지회전축 46 : 지지스프로킷
50 : 토사분리기 55 : 토사배출기
60 : 쓰레기투입기 70 : 재활쓰레기분리기
71 : 송풍기 75 : 폐기쓰레기이송기
80 : 재활쓰레기배출기 85 : 폐기쓰레기배출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폐기쓰레기 분리장치는, 쓰레기투입컨베어를 통해 이송유입되는 쓰레기중 비닐과 같은 경량의 폐기쓰레기가 구동체인을 따라 함께 연동회전되는 인출갈퀴에 의해 인출되어 상기 구동체인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동작되는 이송드럼을 통해 분리기하우징 저부의 쓰레기인출구로 낙하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체인은 양쪽에 위치하는 구동회전축의 구동스프로킷에 회전가능하게 체인결합되는 동시에 그 중간에 위치하는 지지회전축의 지지스프로킷에 회전지지되며, 아울러 상기 인출갈퀴는 강선브러시와 수지브러시로 형성되어 각각 양쪽의 구동체인 외측에 일정간격마다 일체결합된 해당 갈퀴지지대에 설치결합되는 한편, 상기 이송드럼은 길이방향 중간의 드럼회전축을 중심으로 그 주연외측에 일정간격의 유도홈분할리브 사이마다 쓰레기인출유도홈이 요홈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인출갈퀴는 강선브러시가 안쪽단부에 복원탄성을 갖는 스프링부가 형성되면서 이송드럼과 접촉되는 상기 강선브러시의 바깥쪽단부는 일정각도로 갈퀴돌기가 경사절곡되고, 아울러 상기 강선브러시를 중심으로 그 양쪽으로 다수의 수지브러시가 함께 갈퀴지지대에 설치결합되는 한편, 이들 강선브러시와 수지브러시로 일체구조화되는 상기 인출갈퀴가 해당 갈퀴지지대에 일정간격마다 다수 배열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폐기쓰레기 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폐기쓰레기 분리장치가 설치된 전체 쓰레기 선별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작동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폐기쓰레기 분리장치에 대한 측면방향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아울러 도 3은 본 고안의 폐기쓰레기 분리장치에 설치되는 인출갈퀴(20)와 이송드럼(30)의 정면방향 작동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쓰레기 분리장치의 인출갈퀴(20)에 의해 인출되는 폐기쓰레기(93)가 이송드럼(30)을 통해 외부배출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쓰레기 분리장치의 인출갈퀴(20)로 설치되는 강선브러시(22) 및 수지브러시(26)의 단면구조를 상세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폐기쓰레기 분리장치는 전체의 쓰레기 선별장치에 적용시키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1에서 보는 바와같이 쓰레기 선별장치를 이루는 토사분리기(50)와 재활쓰레기분리기(70) 중간에 설치하여 상기 토사분리기(50)를 통해 토사쓰레기(91)가 선별된 쓰레기중에서 비닐이나 나무토막과 같이 재활용이 곤란한 폐기쓰레기(93)를 상기 재활쓰레기분리기(70)의 단순한 송풍분리와는 별도로 다수의 인출갈퀴(20)에 의한 인출동작으로 상대적으로 중량인 재활쓰레기(92)와는 따로 확실하게 분리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쓰레기투입기(60)를 통해 투입되는 전체 쓰레기가 토사분리기(50)를 통해 먼저 크기가 적은 토사쓰레기(91)가 선별되어 상기 토사배출기(50)로 이송배출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토사분리기(50)를 통한 쓰레기가 재활쓰레기분리기 (70)에 의해 재활쓰레기(92) 및 폐기쓰레기(93)로 선별되기 전에 사전의 분리공정으로 이들 토사분리기(50)와 재활쓰레기분리기에 본 고안의 폐기쓰레기분리기(10)가 설치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폐기쓰레기분리기(10)는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같이, 쓰레기투입컨베어(13)를 통해 이송유입되는 쓰레기중 비닐과 같은 경량의 폐기쓰레기(93)가 구동체인(40)을 따라 함께 연동회전되는 인출갈퀴(20)에 의해 인출되면서, 상기 구동체인(4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동작되는 이송드럼(30)을 통해 분리기하우징(11) 저부의 쓰레기인출구(14)로 선별인출되는 폐기쓰레기(93)만 낙하배출되어 폐기쓰레기이송기(75)로 배출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우선, 구동체인(40)은 양쪽에 위치하는 구동회전축(41)(43)의 구동스프로킷 (42)(44)에 회전가능하게 체인결합되는 동시에 그 중간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지지회전축(45)의 지지스프로킷(46)에 회전지지되며, 아울러 일측의 구동회전축(41)에는 구동모터(도면도시 생략)가 동력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출갈퀴(20)는 강선브러시(22)와 수지브러시(26)로 형성되어 각각 양쪽의 구동체인(40) 외측에 일정간격마다 일체결합된 해당 갈퀴지지대(28)에 설치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인출갈퀴(20)를 구성하는 강선브러시(22)는 도 5a에서 보는 바와같이 안쪽단부에 복원탄성을 갖는 스프링부(21)가 형성되면서 이송드럼(30)과 접촉되는 바깥쪽단부는 일정각도로 갈퀴돌기(24)가 경사절곡된다.
아울러, 중간의 강선브러시(22)를 중심으로 그 양쪽으로 다수의 수지브러시(26)가 함께 갈퀴지지대(28)에 설치결합되는데, 특히 개개의 수지브러시(26)는 상기 강선브러시(22)와는 달리 도 5b에서 보는 바와같이 3-4개 정도가 한묶음으로 구성되어 중간의 상기 강선브러시(22) 옆으로 다수 배열됨이 바람직하며, 또한 이들 강선브러시(22)와 수지브러시(26)로 일체구조화되는 인출갈퀴(20)는 해당 갈퀴지지대(28)에 일정간격마다 다수 배열구성된다.
한편, 이송드럼(30)은 길이방향 중간의 드럼회전축(31)을 중심으로 그 주연외측에 일정간격의 유도홈분할리브(32) 사이마다 쓰레기인출유도홈(33)이 요홈형성되며, 상술한 구동회전축(41)(43)과는 별도로 해당 구동모터(도면도시 생략)와 동력연결되어 회전동작되면서 상기 구동회전축(41)(43)의 회전동작에 의한 다수의 인출갈퀴(20)를 통해 선별인출되는 경량의 폐기쓰레기(93)가 개개의 쓰레기인출유도홈(33)을 따라 아래쪽의 쓰레기인출구(14)로 낙하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폐기쓰레기 분리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같이, 쓰레기투입기(60)를 통해 투입되는 전체 쓰레기가 우선 토사분리기(50)를 통해 크기가 적은 토사쓰레기(91)만 선별되어 토사배출기(55)로 이송배출되는 한편, 대부분의 토사쓰레기(91)가 분리이탈된 재활쓰레기(92)와 폐기쓰레기(93)는 계속해서 본 고안의 폐기쓰레기분리기(10)를 통과하게 된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같이 쓰레기투입컨베어(13)를 통해 이송유입되는 쓰레기중 비닐과 같은 경량의 폐기쓰레기(93)는 구동체인(40)을 따라 함께 연동회전되면서 강선브러시(22)와 수지브러시(26)로 일체구조화된 각각의 인출갈퀴(20)에 의해 인출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체인(4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동작되는 이송드럼(30)을 통해 상기 인출갈퀴(20)에 의해 인출되는 폐기쓰레기(93)가 상기 이송드럼(30)의 쓰레기인출유도홈(33)을 따라 옆으로 이탈되지 않고 분리기하우징 (11) 저부의 쓰레기인출구(14)로 자연스럽게 낙하배출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폐기쓰레기분리기(10)를 통해 선별인출되는 폐기쓰레기(93)는 재활쓰레기분리기(70)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폐기쓰레기이송기(75)를 통해 이송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폐기쓰레기분리기(10)를 통해 미처 선별배출되지 못한 폐기쓰레기(93)는 상기 재활쓰레기분리기(70)를 통과하는 동시에 송풍기(71)에 의해 강제송풍되면서 재활쓰레기(92)와 따로 상기 폐기쓰레기이송기(75)를 통해 상기 폐기쓰레기분리기(10)로부터의 폐기쓰레기(93)와 함께 최종적으로 폐기쓰레기배출기(85)로 이송배출되며, 아울러 상기 재활쓰레기분리기(70)를 통해 선별이송되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재활쓰레기(92)도 최종적으로 재활쓰레기배출기(80)로 이송배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쓰레기 선별장치에 의하면, 토사분리기를 통해 토사쓰레기가 선별된 쓰레기중에서 비닐이나 나무토막과 같이 재활용이 곤란한 폐기쓰레기를 단순한 송풍분리와는 별도로 이송드럼과 함께 회전동작되는 다수의 인출갈퀴에 의한 인출동작으로 상대적으로 중량인 재활쓰레기와는 확실하게 구별되어 분리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쓰레기의 선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선별처리된 쓰레기를 사람이 다시 추가작업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정확하게 선별되지 못해 쓰레기에 환경오염되는 공해문제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2)

  1. 쓰레기투입컨베어(13)를 통해 이송유입되는 쓰레기중 비닐과 같은 경량의 폐기쓰레기(93)가 구동체인(40)을 따라 함께 연동회전되는 인출갈퀴(20)에 의해 인출되어 상기 구동체인(4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동작되는 이송드럼(30)을 통해 분리기하우징(11) 저부의 쓰레기인출구(14)로 낙하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체인(40)은 양쪽에 위치하는 구동회전축(41)(43)의 구동스프로킷(42)(44)에 회전가능하게 체인결합되는 동시에 그 중간에 위치하는 지지회전축(45)의 지지스프로킷(46)에 회전지지되며, 아울러 상기 인출갈퀴(20)는 강선브러시(22)와 수지브러시(26)로 형성되어 각각 양쪽의 구동체인(40) 외측에 일정간격마다 일체결합된 해당 갈퀴지지대(28)에 설치결합되는 한편, 상기 이송드럼(30)은 길이방향 중간의 드럼회전축(31)을 중심으로 그 주연외측에 일정간격의 유도홈분할리브(32) 사이마다 쓰레기인출유도홈(33)이 요홈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쓰레기 분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갈퀴(20)는 강선브러시(22)가 안쪽단부에 복원탄성을 갖는 스프링부(21)가 형성되면서 이송드럼(30)과 접촉되는 상기 강성브러시(22)의 바깥쪽단부는 일정각도로 갈퀴돌기(24)가 경사절곡되고, 아울러 상기 강선브러시(22)를 중심으로 그 양쪽으로 다수의 수지브러시(26)가 함께 갈퀴지지대(28)에 설치결합되는 한편, 이들 강선브러시(22)와 수지브러시(26)로 일체구조화되는 상기 인출갈퀴(20)가 해당 갈퀴지지대(28)에 일정간격마다 다수 배열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쓰레기 분리장치.
KR2020010001147U 2001-01-16 2001-01-16 폐기쓰레기 분리장치 KR200228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147U KR200228900Y1 (ko) 2001-01-16 2001-01-16 폐기쓰레기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147U KR200228900Y1 (ko) 2001-01-16 2001-01-16 폐기쓰레기 분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232A Division KR100428378B1 (ko) 2001-04-28 2001-04-28 폐기쓰레기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900Y1 true KR200228900Y1 (ko) 2001-07-04

Family

ID=73094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147U KR200228900Y1 (ko) 2001-01-16 2001-01-16 폐기쓰레기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9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435B1 (ko) * 2022-07-11 2022-11-10 범현철 비닐 선별 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435B1 (ko) * 2022-07-11 2022-11-10 범현철 비닐 선별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8378B1 (ko) 폐기쓰레기 분리장치
KR100528129B1 (ko) 매립 쓰레기 선별장치
US5626239A (en) Separating machine
US4266676A (en) Apparatus for separation of material of heterogeneous character
KR100801898B1 (ko) 매립 쓰레기 선별장치
KR20140134829A (ko) 가연성 이물질 건식타격 선별장치
US20220080463A1 (en) Specific gravity-specific waste air sorter having impurity separation function, using vortex
KR10132097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KR102259772B1 (ko) 트롬멜 선별기
KR20170010837A (ko) 폐기물 혼합물의 분리 및 퇴비화를 포함한, 상기 혼합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설
KR100479527B1 (ko)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KR200228900Y1 (ko) 폐기쓰레기 분리장치
KR102178019B1 (ko) 불연성물질과 가연성물질을 선별하는 회전선별장치
JP2007098298A (ja) 廃棄物の粗選別装置
KR200184640Y1 (ko) 폐기물 2단 역회전 선별시스템
JP2005523158A (ja) 非衛生埋立廃棄物選別装置
CN1310710C (zh) 袋装垃圾破袋及软性条状物、粉尘收集装置
KR102143492B1 (ko) 걸림부재와 제거패널을 이용한 경량폐기물 선별가능 구조의 트롬멜 및 이를 구비한 건설폐기물의 선별분리장치
KR200317273Y1 (ko) 트롬멜 시스템
KR100528131B1 (ko) 개량된 쓰레기 선별장치
KR100488241B1 (ko) 파분쇄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420495B1 (ko) 음식물쓰레기의 폐비닐 선별장치
KR100655775B1 (ko) 고체 폐기물 선별기
KR200210638Y1 (ko) 쓰레기분리용 골재 선별장치
KR19980033555A (ko) 이물질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20824

Effective date: 200312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