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575Y1 - 독서 장치 - Google Patents

독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575Y1
KR200228575Y1 KR2020000036298U KR20000036298U KR200228575Y1 KR 200228575 Y1 KR200228575 Y1 KR 200228575Y1 KR 2020000036298 U KR2020000036298 U KR 2020000036298U KR 20000036298 U KR20000036298 U KR 20000036298U KR 200228575 Y1 KR200228575 Y1 KR 200228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book
flat frame
leg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상준
Original Assignee
엄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상준 filed Critical 엄상준
Priority to KR2020000036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5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575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책이나 노트북 컴퓨터가 안치되는 받침판(10)과, 상기 받침판의 일측단은 힌지결합되고 받침판의 타측단이 걸리는 걸림대(40)를 구비한 평프레임(12)과, 상기 평프레임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다리(14)로 이루어지되, 받침판(10)의 뒷면에는 상기 걸림대(40)에 선택적으로 걸리어 받침대의 타측높이가 조절되는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된 걸이부(22)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10)의 경사도를 더욱 폭넓게 조절하도록 상기 다리(14)는 길이조절가능케 되어 있으므로, 책이나 노트북 컴퓨터등을 받침판에 안치하고 학생, 고시생, 환자, 장애자등의 사용자가 눕거나 비스듬히 앉는 등 편안한 자세에서 책이나 노트북 컴퓨터에서 다운 받은 독서물을 장시간 독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독서 장치{apparatus for reading book}
본 고안은 독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책이나 노트북 컴퓨터 등을 올려 놓고 장시간 동안 편안한 자세로 독서할 수 있는 독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독서를 하기 위해 책을 안치하는 일반적인 독서대는 받침판의 뒤측에 지지대를 걸어 경사도를 변화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독서대는 책상 위에 놓고 사용하는 용도로 쓰인다. 즉, 종래 책을 책상에 놓고 의자에 앉으면 몸을 구부려야 글씨를 수직방향에서 볼 수 있으므로, 상기 독서대는 책을 세우는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도서의 활성화로 인하여 각종 소설류를 노트북 컴퓨터에 시중가보다 싼값으로 다운로드 받아서 읽은 독자가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노트북 컴퓨터나 책을 책상 위에 놓고 의자에 장시간 앉아서 독서를 하게 되면, 피로가 쉽게 오고, 특히 허리가 아픈 독자는 앉아 있기가 힘들게 된다. 또한, 병원에서 누워 있는 환자나 장애자들은 독서를 하고 싶어도 누워서 보기에 적당한 독서대가 없어서 독서를 하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시생이나 학생들은 장시간 의자에 앉은 후에는 편안하게 눕거나 비스듬히 기대어 가벼운 책을 보면서 휴식을 취하고 싶어하므로, 이에 적합한 독서대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눕거나 비스듬히 앉는 등 편안한 자세에서 책이나 노트북 컴퓨터에서 다운 받은 독서물을 장시간 독서할 수 있는 독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독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3은 도1에서 화살표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도1에서 다리의 고정너트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독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독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는 도6에서 화살표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판 12 : 평프레임
14 : 다리 22 : 걸이부
24 : 고정봉 26, 26' : 세로대
28, 28' : 가로대 34, 34' : 외측파이프
36, 36' : 내측파이프 40 : 걸림대
46 : 외측 원통파이프 48 : 내측 원통파이프
50 : 캡 52, 52' : 힌지브라켓
54 : 고정너트 160, 160' : 슬라이더
본 고안에 의한 독서장치는, 책이나 노트북 컴퓨터가 안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일측단은 힌지결합되고 받침판의 타측단이 걸리는 걸림대를 구비한 평프레임과, 상기 평프레임을 지지하는 다수의 다리로 이루어지되, 받침판의 뒷면에는 상기 걸림대에 선택적으로 걸리어 받침판의 타측높이가 조절되는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된 걸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의 경사도를 더욱 폭넓게 조절하도록 상기 다리는 길이조절가능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프레임은 상기 다리가 결합된 두개의 세로대가 소정의 간격으로 위치하고, 상기 세로대를 연결하는 두개의 가로대로 이루어 지되, 상기 가로대는 상기 받침판이 결합된 외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의 속으로 그 일부가 출입하는 내측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판은 상기 외측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매개로 상기 외측파이프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는 접힐 수 있도록 상기 평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독서장치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책이나 노트북 컴퓨터가 안치되는 받침판(10)은 평프레임(12)에 힌지결합되고, 평프레임(12)은 다수의 다리(14)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받침판(10)은, 사각판부(16)의 윗면 앞측단에 상측으로 절곡판부(18)가 형성되고, 이 절곡판부(18)가 경첩(20)에 의해 상기 평프레임(12)의 후술하는 앞측 가로대에 힌지 결합되며, 사각판부(16)의 배면 후측단에 하측으로 경사지게 걸이부(22)가 돌출된 구조이다. 상기 걸이부(22)에는 높이방향으로 다수의 걸림턱(22a)이 구비된다. 이 다수의 걸림턱(22a)은 톱니형이다. 또한, 책이나 노트북의 앞부분을 눌러 고정하도록 상기 절곡판부(18)에는 다수(2개)의 고정봉(24)이 힌지결합된다. 이 고정봉(24)은 소정크기의 마찰력을 가지도록 힌지결합되어, 쉽게 회동되지 않으므로 고정력이 생긴다.
상기 평프레임(12)은, 상기 다리(14)가 결합된 두개의 세로대(26)(26')가 소정의 간격으로 위치하고, 상기 세로대(26)(26')를 연결하는 두개의 가로대(28)(28')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세로대(26)(26') 및 가로대(28)(28')는 반원통파이프로서, 그 평탄부(26a)(26'a)(28a)(28'a)가 상측으로 향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대(26)(26') 및 가로대(28)(28')의 양단은,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소정부분만 양측(상측면 및 하측면)이 평탄하고 얇으며, 상기 세로대(26)(26')의 양단은 다수의 체결부재(30)에 의해 상기 다리(14)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가로대(28)(28')의 양단은 다수의 체결부재(32)에 의해 상기 세로대(26)(26')의 평탄부에 고정되어, 상기 평프레임(12)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로대(28)(28')는 외측파이프(34)(34')와, 이 외측파이프(34)(34') 속으로 그 일부가 출입하는 내측파이프(36)(36')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판(10)은 상기 경첩(20)에 의해 상기 외측파이프(34)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내측파이프(36)(36')를 외측파이프(34)(34')에서 빼낸 후 이동하지 않게 고정하도록 그 겹치는 부위에는 서로 정렬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는 머리달린 핀(38)(38')이 끼워진다.
상기 내측파이프(36)(36')에는 상기 외측파이프(34)(34')에 들어가고 빠지는 길이를 용이하게 알도록 눈금 또는 마크가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눈금과 마크는 상기 머리달린 핀(38)(38')을 쉽게 끼울 수 있게 한다.
상기 가로대 중에서 뒷편에 있는 가로대(28')의 외측파이프(34')에는 회동하면서 상기 걸이부(22)의 걸림턱(22a)에 걸리는 걸림대(40)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걸림대(40)는 디귿자형의 고리(42)와, 상기 고리(42)를 잡아 외측파이프(34')에 결합하는 결합브라켓(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리(42)는 양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가로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고, 이 연장부에 상기 결합브라켓(44)이 헐겁게 끼워져, 이 결합브라켓(44)이 체결부재에 의해 외측파이프(34')에 고정된다.
상기 다리(14)는, 외측 원통파이프(46)와, 상기 외측 원통파이프(46)의 내부에 끼워지는 내측 원통파이프(48)를 구비하여 길이가 조절가능케 된 파이프로 되어 있다. 상기 외측 원통파이프(46)의 하단에는 바닥에의 긁힘과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고무재등으로 된 캡(50)이 쒸워져 있고, 상기 내측 원통포스트(48)의 상단은 힌지 브라켓(52)(52')을 매개로 상기 세로대(26)(26')의 양단에 결합되고, 상기 외측 원통파이프(46)는 고정너트(54)에 의해 상기 내측 원통파이프(48)에 밀착 고정되어 조정된 길이가 유지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원통파이프(46)의 상단부에는 테이퍼 숫나사(46a)가 형성됨과 동시에 트인 슬롯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너트(54)의 내면에는 상기 테이퍼 숫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54a)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 원통파이프(48)가 외측 원통파이프(46)의 내부에 적당하게 삽입되어 길이가 조정된 후, 상기 고정너트(54)를 돌리면 상기 트인 슬롯홈에 의해 외측 원통파이프(46)의 단부가 내측 원통파이프(48)의 외면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내측 원통파이프(48)에는 다리의 길이조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눈금이나 마크가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 브라켓(52)(52')은 상기 세로대(26)의 양단 저면에 고정된 디귿자 단면형의 절곡부재(56)(56')와, 상기 절곡부재(56)(56')의 하측플랜지에 힌지 결합된 플레이트(58)(58')로 이루어져, 상기 내측 원통파이프(48)의 상단은 상기 플레이트(58)에 고정된다.
상기 가로대(28)(28')의 일측(도면에서 좌측)에 결합된 힌지브라켓(52)의 절곡부재(56)는 가로대(28)(28')의 타측(도면에서 우측)에 결합된 힌지브라켓(52')의 절곡부재(56')보다 높이가 작게 되어 있다. 이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다리가 내측으로 접혀졌을 경우에 서로 접히는 높이차가 생기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독서장치에서, 사용자는 평프레임(12)의 하측에 누운 상태로 상기 받침판(10)에 놓은 책이나 노트북을 바라보게 된다. 이때 누운 상태로 상기 받침판(10)은 사용자의 배 위치에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책의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받침판(10)의 후측을 든 후, 가로대(28')에 결합된 걸림대의 고리(42)를 걸이부의 걸림턱(22a)에 선택적으로 걸어 조정한다. 그리고, 고정봉(24)은 책이나 노트북의 앞부분에 밀착시켜 책이나 노트북이 움직이지 않게 한다.
그리고, 책의 경사도를 더욱 조정하려면, 앞쪽의 두 개의 다리 높이를 조절하면 된다. 이때 내측 원통파이프(48)를 외측 원통파이프(46)에 삽입하면서 길이를 조절한 다음, 고정너트(54)로 조우면 내측 원통파이프(48)는 움직이지 않는다. 그리고, 평 프레임 전체의 높이를 조절하려면, 4개의 다리 높이를 모두 조절하면 된다.
한편, 독서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핀(38)(38')을 뺀 후, 평프레임(12)의 내측파이프(36)(36')를 외측파이프(34)(34')에 삽입하고(도1에서 화살표 C방향), 다리(14)를 힌지브라켓(52)(52')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접히고(도1에서 화살표 D방향), 받침판(10)의 경사도를 낮추어 보관한다.
도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독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다리(14)는, 내측 원통파이프(148)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키이홈과 유사한 슬릿홈(148a)이 형성되고, 외측 원통파이프(146)의 상단부에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이 나사구멍에 고정볼트(154)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내측 원통파이프(148)와 외측 원통파이프(146)를 고정하는 구조이다. 나머지 구성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독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받침판(110)은 가로대(28)의 외측파이프(3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160)를 매개로 상기 외측파이프(34)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걸림대(40)도 가로대(28')의 외측파이프(3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160')를 매개로 상기 외측파이프(34')에 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판(110) 및 걸림대(40)가 가로대(28)(28')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므르, 내측 파이프(36)(36)를 외측파이프(34)(34')에 밀어 넣을 때 받침판(110)을 안쪽으로 이동시키면 되므로 보관할 시에 가로대(28)(28')의 가로방향 길이를 더욱 줄일 수 있어 보관이 편리하다.
상기 슬라이더(160)(160')는 반원통파이프로 되어 있으며, 상기 경첩(20)은 슬라이더(160)의 평탄부와 받침판(110)의 절곡판부를 힌지결합한다.
상기 받침판(110)의 양측에는 책이나 노트북의 양측으로 밀착하여 움직이지 않게 하도록 고정클립(162)이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클립(162)은 소정크기의 마찰력을 가지도록 힌지결합되어, 쉽게 회동되지 않으므로 고정력이 생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달린 핀(138)(138')은 상기 슬라이더(160)(160')와 외측파이프(34)(34')와 내측파이프(36)(36')를 동시에 통과한다.
본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독서장치에 의하면, 책이나 노트북 컴퓨터등을 받침판에 안치하고, 학생, 고시생,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장애자등의 사용자가 눕거나 비스듬히 앉는 등 편안한 자세에서 책이나 노트북 컴퓨터에서 다운 받은 독서물을 장시간 독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책이나 노트북 컴퓨터가 안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일측단은 힌지결합되고 받침판의 타측단이 걸리는 걸림대를 구비한 평프레임과, 상기 평프레임을 지지하는 다수의 다리로 이루어지되,
    받침판의 뒷면에는 상기 걸림대에 선택적으로 걸리어 받침판의 타측높이가 조절되는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된 걸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의 경사도를 더욱 폭넓게 조절하도록 상기 다리는 길이조절가능케 되어 있고,
    상기 평프레임은 상기 다리가 결합된 두개의 세로대가 소정의 간격으로 위치하고, 상기 세로대를 연결하는 두개의 가로대가 결합하여 이루어 지되,
    상기 가로대는 상기 받침판이 결합된 외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의 속으로 그 일부가 출입하는 내측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외측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매개로 상기 외측파이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접힐 수 있도록 상기 평프레임에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장치.
KR2020000036298U 2000-12-23 2000-12-23 독서 장치 KR200228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298U KR200228575Y1 (ko) 2000-12-23 2000-12-23 독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298U KR200228575Y1 (ko) 2000-12-23 2000-12-23 독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751A Division KR20020038873A (ko) 2000-11-18 2000-11-18 독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575Y1 true KR200228575Y1 (ko) 2001-06-15

Family

ID=73061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298U KR200228575Y1 (ko) 2000-12-23 2000-12-23 독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5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155B1 (ko) 2005-04-21 2006-09-19 박선우 노트북 컴퓨터용 거치대
KR102042730B1 (ko) * 2018-10-19 2019-11-0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노트북용 독서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155B1 (ko) 2005-04-21 2006-09-19 박선우 노트북 컴퓨터용 거치대
KR102042730B1 (ko) * 2018-10-19 2019-11-0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노트북용 독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1446B2 (en) PC tablet holde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6202973B1 (en) Adjustable book holder
US9010714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n electronic device
US3740015A (en) Book supporting device
KR100924616B1 (ko) 다용도 책상
US5893546A (en) Adjustable book holder
US9936803B2 (en) Portable table assembly
KR200228575Y1 (ko) 독서 장치
US4074374A (en) Reading bed
KR20020038873A (ko) 독서 장치
KR20090095167A (ko) 다용도 휴대용 독서대
KR200320684Y1 (ko)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독서대
KR200372603Y1 (ko) 독서대
KR20190004516A (ko) 경사각이 조절되는 책상
US7278622B2 (en) Writing and reading table for a bathtub
KR200249575Y1 (ko) 독서대
US20090212191A1 (en) Book stand and method of use thereof
KR0138354Y1 (ko) 휴대용 독서대
CN216455725U (zh) 一种体检用的便携式长度可调检查床
KR100938827B1 (ko) 독서대
KR200323949Y1 (ko)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JP2004288149A (ja) スタンド装置
JP3188835U (ja) 寝台用読書装置
JP2000229016A (ja) 簡易テーブル
KR200198008Y1 (ko)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