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441Y1 - 이종약제의 분리보관 및 혼합용 이중격실용기 - Google Patents

이종약제의 분리보관 및 혼합용 이중격실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441Y1
KR200228441Y1 KR2020010000400U KR20010000400U KR200228441Y1 KR 200228441 Y1 KR200228441 Y1 KR 200228441Y1 KR 2020010000400 U KR2020010000400 U KR 2020010000400U KR 20010000400 U KR20010000400 U KR 20010000400U KR 200228441 Y1 KR200228441 Y1 KR 200228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drug
pin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례
Original Assignee
김경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례 filed Critical 김경례
Priority to KR2020010000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4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441Y1/ko

Links

Landscapes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이종약제를 각각의 격실에 분리 수납한 상태로 보관하다가 필요시에 이를 연통시켜 간편하게 혼합 사용하도록 하는 이중격실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연결캡(10)의 상하부에 상,하용기(20)(30)를 일체로 결합 구성하되, 상기 연결캡(10)은 내부 중앙으로 차단판(16)이 밀폐되게 형성된 연결관(15)을 갖는 구획간(13)으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하용기(30)는 중앙에 유연성의 연결재(33)에 일체 설치된 밀핀(35)의 선단에 상기 연결캡(10)의 연결관(15)에 삽입되고, 다수의 유로홈(36a)을 갖는 가압부(36)와, 그 하부로 연결캡(10)의 연결관(15)에 압입되어 연결관(15)을 차단하는 개폐단차부(38)를 형성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이종약제를 일체로 결합된 상,하용기내에 각각 분리된 상태로 보관하다가, 이를 혼합사용코자 하는 경우에 하용기의 밀핀을 간단하게 밀어 연통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상,하용기내의 이종약제를 혼합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편리하고, 또한 상기 밀핀을 더욱 밀어 상하용기를 차단시키므로 혼합된 이종약제는 상용기에서만 수납되게 하므로 이의 배출 사용이 편리하고, 상기 하용기내의 약제를 상용기에 혼합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그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 극대화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종약제의 분리보관 및 혼합용 이중격실용기{COMPARTMENT CASE FOR MIXING OF MATERIALS SEPARATE-KEPT }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이종약제를 각각의 격실에 분리 수납한 상태로 보관하다가 필요시에 이를 연통시켜 간편하게 혼합 사용하도록 하는 이중격실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염색을 위해 사용되는 염색약의 경우에는 이종약제인 염색제와 산화제를 각각 제1,2용기에 별도로 수납된 상태로 제조 판매되고, 사용자는 상기 이종약제가 수납된 제1,2용기를 구매하여, 각 용기를 개방하고 내부의 약제를 일측 용기로 주입해서 상호 혼합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이종약제를 각각의 용기에 제조, 판매 및 구입해야하는 불편함과, 이를 사용코자 이종약제를 혼합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더우기 상기 이종약제, 염색약의 경우에 염색제 또는 산화제의 혼합과정에서 유독성의 약제가 외부로 유출될 우려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용신안공보 1996-573호에서는 염색제용기와 산화제용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되, 사용시에는 염색제용기의 하부에 설치된 결합구의 결합관으로 산화제용기를 나사 결합시키면, 상기 산화제용기의 상부가 상기 결합구를 덮고 있던 마개를 밀어 개방하므로서, 상기 염색제용기와 산화제용기를 연통시켜 상기 염색제와 산화제를 안전하게 상호 혼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이종약제를 상호 혼합하는 과정은 다소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이종약제를 별도의 용기에 수납한 상태로 제조, 판매 및 구매함에 따른 불편함을 여전히 갖고 있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2000-60622호에서는 상,하용기로 구분형성하되, 상용기의 내부에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중앙에 박막이 형성된 차단구와, 하용기를 나사 결합한다.
이때, 상기 상용기의 저면에는 하용기의 나사 결합정도를 제한하는 절취탭을 구비하고, 하용기의 상부에는 다수의 연통공을 형성하고, 중앙에 파열부를 돌출형성한 마개를 끼워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는 상기 상,하용기에 이종약제를 각각 수납한 상태로 일체로 제조 유통하게 되는 잇점을 갖고 있다.
이를 사용시에는 상기 상용기의 절취탭을 뜯어낸 상태로 하용기를 회전시켜 더욱 나사결합하게 되면, 상기 하용기의 마개가 상승하면서 그 파열부가 차단구의 박막을 뚫어 상,하용기를 연통하여 약제를 상호 혼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는 상,하용기를 연통하기 위해 하용기를 회전시켜 더욱 나사결합해야만하는 작업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하용기의 파열부가 차단기의 박막을 뚫어 연통하므로, 일단 연통하게 되면 그 연통정도를 조절할 수 없어, 상용기내의 약제가 하용기로 전부 혼합되게 된다.
즉, 상용기내의 약제중에 일정 비율만을 하용기에 혼합하고자 하는 것은 곤란하고, 이 경우 상기 상용기내에 약제가 수납된 양을 다양하게 제조하는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종약제의 상호 혼합에 따른 사용 범위가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용기는 상,하용기를 연통하는 경우에, 상용기내의 약제가 하용기로 이동하여 상호 혼합되므로, 이를 상용기를 통해 배출하여 사용코자 하는 경우, 다시 하용기의 혼합약제가 상용기를 거쳐 배출되야만 하므로, 그 배출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이종제품이 혼합된 용기위치와, 상기 혼합된 이종제품을 배출하는 위치가 다르고, 상기 혼합된 약제가 상,하용기에 걸져 수납되기 때문에 상기 혼합 약제의 배출이 하용기에서 마개의 연통공, 차단구의 박막을 통과하여 상용기로 이동하여 배출해야만 하므로 이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상,하 격실내의 이종약제를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혼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상,하 격실내의 이종약제의 혼합정도를 조절하므로서 그 사용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상,하 격실내의 이종약제를 혼합한 혼합약제가 상부 격실내에 수납되게 하므로서, 이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므로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캡의 상하부에 상,하용기를 일체로 결합 구성하여 각각의 내부에 이종약제를 수납하도록 하되, 상기 연결캡은 내부 중앙으로 차단판이 밀폐되게 형성된 연결관을 갖는 구획간을 구획형성하고,
상기 하용기는 중앙에 유연성의 연결재에 의해 일체로 설치된 밀핀의 선단에 상기 연결캡의 연결관에 삽입되고 원주상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유로홈을 형성하는 가압부와, 그 하부로 연결캡의 연결간에 압입되어 연결관을 차단하는 개폐단차부를 형성하여서, 상기 밀핀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차단판을 이탈시켜 상,하용기를 연통시키고, 상기 밀핀을 더욱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하용기를 다시 차단하도록 하는 이종약제의 분리보관 및 혼합용 이중격실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연결캡 13: 구획간 15: 연결관
16: 차단판 20: 상용기 30: 하용기
33: 연결재 34: 조립단차홈 35: 밀핀
36: 가압부 36a: 유로홈 38: 개폐단차부
40,45: 보호캡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결합된 상,하용기의 격실을 구획하여 각각에 이종약제를 수납하되, 필요시 상기 상,하용기를 연통시켜 이종약제를 혼합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상하부에 결합나사부(11)(12)를 형성하는 연결캡(10)과, 그 상하방향에서 상기 결합나사부(11)(12)에 나합되는 나사부(21)(31)를 각각 형성하여 결합되는 공급노즐(25)을 갖는 상용기(20), 하용기(3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캡(10)은 내부에 상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고, 중앙에는 상단에 차단판(16)이 밀폐되게 형성된 연결관(15)을 갖는 구획간(13)에 의해 상기 상,하용기(20)(30)의 격실(22)(32)을 구획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판(16)은 연결관(15)과의 연결부위가 가압시 이탈이 용이하도록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하용기(30)는 중앙에 설치되는 밀핀(35)이 상하로 이동작동하도록 유연성의 연결재(33)와 격실(32)하부에서 밀폐되게 일체로 연결형성되고, 상기 밀핀(35)의 선단에는 상기 연결캡(10)의 연결관(15)에 삽입되고, 원주상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유로홈(36a)을 형성하는 가압부(36)와, 그 하부로 연결캡(10)의 연결관(15)에 압입되어 연결관(15)을 차단하는 개폐단차부(38)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밀핀(35)의 가압부(36) 선단은 일측으로 경사면을 이루고 있어, 상기 연결관(15)상부의 차단판(16)을 밀어 용이하게 이탈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용기(30)에는 외주연에 조립단차홈(34)을 형성하여, 상기 밀핀(35)을 감싸는 형태의 보호캡(40)을 조립하여 밀핀(35)의 가압을 방지하도록 보호하게 된다.
미설명부호로서, 45는 상용기(20)의 보호캡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작동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상,하용기(20)(30)를 연결캡(10)으로 일체로 연결하되, 상,하용기(20)(30)의 격실(22)(32)을 구획하여 각각에 이종약제를 수납하게 된다.
따라서, 일체로 결합된 상,하용기(20)(30)에 이종약제를 각각 수납된 상태로 제조, 유통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체로 결합된 상,하용기(20)(30)를 구입한 사용자가 상기 이종약제를 상호 혼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상기 하용기(30)의 하부 보호캡(40)을 분리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하용기(20)(30)를 뒤집은 상태인 하용기(30)가 상부로 위치하도록 하고, 하용기(30)의 밀핀(35)을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어 그 선단의 가압부(36)가 연결캡(10)의 연결관(15) 상부의 차단판(16)을 밀어 이를 이탈시키게 된다.
즉, 상기 밀핀(35)을 간단하게 밀어 주는 것에 의해 상,하용기(20)(30)사이를 밀폐하고 있는 차단판(16)을 간단하게 이탈시켜 연통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용기(30)와 밀핀(35)은 유연성의 연결재(33)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밀핀(35)의 가압작동이 밀폐상태로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하여 상기 연결관(15)의 차단판(16)이 이탈되면, 상기 하용기(30)의 격실(32)내에 있던 약제는 상기 연결캡(10)의 연결관(15)에 삽입된 밀핀(35)의 가압부(36) 외주연의 다수의 유로홈(36a)을 통해 상용기(20)의 격실(22)로 이동하여 이종약제를 상호 혼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하용기(30)내의 약제가 상기 상용기(20)의 격실(22)로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밀핀(35)을 더욱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밀핀(35)을 더욱 가압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핀(35)의 유로홈(36a)을 형성하는 가압부(36)가 상기 연결캡(10)의 연결관(15)을 통과하고, 그 하부의 개폐단차부(38)가 연결캡(10)의 연결관(15)에 압입되면서 상기 연결관(15)을 다시 차단하게 된다.
즉, 상기 하용기(30)의 약제를 상용기(20)로 이동 혼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하용기(20)(30)의 구획부분을 다시 차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혼합된 이종약제는 상용기(20)의 격실(22)에만 수납되게 되고, 이는 배출노즐(25)을 통해 간단하게 배출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밀핀(35)에 의한 상,하용기(20)(30)의 구획은, 상기 하용기(30)내의 약제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용기(20)에 일정 비율로 선택적으로 혼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더욱 효과적이게 된다.
다시말하면, 상기 하용기(30)내의 약제의 일부분만을 상용기(20)에 혼합하여 사용코자 하는 경우에 상기와 같이 밀핀(35)에 의해 상,하용기(20)(30)를 차단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종약제를 일체로 결합된 상,하용기내에 각각 분리된 상태로 보관하다가, 이를 혼합사용코자 하는 경우에 하용기의 밀핀을 간단하게 밀어 연통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상,하용기내의 이종약제를 혼합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편리하고,
또한, 상기 밀핀을 더욱 밀어 상하용기를 다시 차단하도록 하므로서, 상기 혼합된 이종약제는 상용기에서만 수납되게 하여서 이의 배출 사용이 편리하고, 상기 하용기내의 약제를 상용기에 혼합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그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 극대화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전술한 염색약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이종약제를 분리보관후, 이를 혼합사용하는 모든 약제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일체로 결합된 상,하용기의 격실을 구획하여 각각에 이종약제를 수납하되, 필요시 상기 상,하용기를 연통시켜 이종약제를 혼합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연결캡(10)의 상하부에 공급노즐(25)을 갖는 상,하용기(20)(30)를 결합 구성하되, 상기 연결캡(10)은 내부 중앙으로 상단에 차단판(16)이 밀폐되게 형성된 연결관(15)을 갖는 구획간(13)에 의해 상기 상,하용기(20)(30)의 격실(22)(32)을 구획형성하고,
    상기 하용기(30)는 중앙에 설치되는 밀핀(35)이 상하로 이동작동하도록 유연성의 연결재(33)와 격실(32)하부에서 밀폐되게 일체로 연결형성하며, 상기 밀핀(35)의 선단에는 상기 연결캡(10)의 연결관(15)에 삽입되고 원주상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유로홈(36a)을 형성하는 가압부(36)와, 그 하부로 연결캡(10)의 연결관(15)에 압입되어 연결관(15)을 차단하는 개폐단차부(38)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약제의 분리보관 및 혼합용 이중격실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용기(30)에는 외주연에 조립단차홈(34)을 형성하여, 상기 밀핀(35)을 감싸는 형태의 보호캡(40)을 조립하여 밀핀(35)을 가압방지케 보호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약제의 분리보관 및 혼합용 이중격실용기.
KR2020010000400U 2001-01-08 2001-01-08 이종약제의 분리보관 및 혼합용 이중격실용기 KR200228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400U KR200228441Y1 (ko) 2001-01-08 2001-01-08 이종약제의 분리보관 및 혼합용 이중격실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400U KR200228441Y1 (ko) 2001-01-08 2001-01-08 이종약제의 분리보관 및 혼합용 이중격실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441Y1 true KR200228441Y1 (ko) 2001-06-15

Family

ID=73094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400U KR200228441Y1 (ko) 2001-01-08 2001-01-08 이종약제의 분리보관 및 혼합용 이중격실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4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822A (ko) 2021-03-26 2022-10-06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주사기 타입 믹싱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822A (ko) 2021-03-26 2022-10-06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주사기 타입 믹싱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490B1 (en) Self contained additive reservoirs for use with beverage containers
KR100821802B1 (ko) 다중격실 용기조립시스템
KR101635810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JP4868285B2 (ja) 薬剤収納封止体
US20080073372A1 (en) Multicomponent Dispensing Device For Liquid And Powdery Materials
US20180206617A1 (en) Facial mask kit
US3443726A (en) Multiple element mixing and dispensing container
JP2002154587A (ja) 即席混合されるべき二つの製品を分離して収容し、同時に分配するための装置
EA013111B1 (ru) Средство укупоривания "двой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контейнера
ES2228471T3 (es) Boquilla dispensadora para contenedor multi-compartimiento.
KR200228441Y1 (ko) 이종약제의 분리보관 및 혼합용 이중격실용기
JPH11227774A (ja) 二種混合容器
KR101782411B1 (ko) 마스크팩 용기
JPH038459A (ja) シャワーヘッド
JP4694360B2 (ja) 二成分混合容器
KR200486192Y1 (ko) 스포이드가 장착된 혼합용 용기
KR102125080B1 (ko)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4697621B2 (ja) 混合分配容器
WO2004024587A2 (en) Self contained additive reservoirs for use with beverage containers
GB2327408A (en) Dual compartment dispensing apparatus
CN218344179U (zh) 一种双管双通道容器
KR200266715Y1 (ko) 성분이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을 분리 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포장용 용기
JPH1191831A (ja) 混合分配容器
JP2002347855A (ja) 混合分配容器
KR102355846B1 (ko) 고액 분리형 용기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