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185Y1 - 전자제품의기능노브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기능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185Y1
KR200228185Y1 KR2019980012834U KR19980012834U KR200228185Y1 KR 200228185 Y1 KR200228185 Y1 KR 200228185Y1 KR 2019980012834 U KR2019980012834 U KR 2019980012834U KR 19980012834 U KR19980012834 U KR 19980012834U KR 200228185 Y1 KR200228185 Y1 KR 200228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device
functional knob
functional
electronic product
tac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864U (ko
Inventor
선 규 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2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18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8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8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185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화면의 밝기나 편향 등을 조정하는 기능노브장치와 택트스위치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제품의 신뢰성향상을 위한 구조를 구성하는 전자제품의 기능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런트케이스에 기능노브장치를 갖는 전자제품에 있어서, 수평으로 배열된 다수기의 기능노브장치를 각각의 탄력편으로 지지하고 고정공이 형성된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기능노브장치에 대응되는 택트스위치를 구비하는 PCB를 고정수단로 고정하여, 택트스위치와 기능노브장치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제품의 기능노브장치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Display)장치와 같은 전자제품에 채용되는 기능노브장치( Knob)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화면의 밝기나 편향 등을 조정하는 기능노브장치와 택트스위치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구조를 구성하는 전자제품의 기능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전자제품에는 화면의 밝기조정, 위치조정, 크기조정, 좌,우 휨이나 사다리꼴조정 등을 하기 위한 OSD콘트롤노브와 같은 기능노브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구비되는 기능노브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택트스위치(32)는 PCB(30)에 구비되고, 기능노브장치(2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프런트케이스(10)에 구비된다.
도 2는 상기한 종래의 기능노브장치(20)의 확대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작동노브(22)를 사용자가 누르면 탄력편(24)이 휘어지면서 일정한 거리(S)를 작동하여 택트스위치(32)를 눌러 PCB에 신호를 전달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기능노브장치(20)는 프런트케이스(10)에 구비되고, 택트스위치(32)는 PCB(30)에 구비됨으로써, 기능노브장치(20)는 프런트케이스(10)에 결합되는 구성에서 조립공차나 제작공차등으로 인하여 기능노브장치(20)와 택트스위치(32)의 일정한 거리(S)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작동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써, 택트스위치와 기능노브장치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하여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런트케이스에 기능노브장치를 갖는 전자제품에 있어서, 수평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기능노브장치를 각각의 탄력편으로 지지하고 고정공이 형성된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기능노브장치에 대응되는 택트스위치를 구비하는 PCB를 고정수단로 고정하여, 택트스위치와 기능노브장치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능노브장치가 구성되는 전자제품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능노브장치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기능노브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기능노브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프런트케이스 102 : 슬라이드홈부
104 : 걸림턱 106 : 삽입부
200 : 베이스부 202 : 슬라이드돌기
204 : 체결후크 210 : 기능노브장치
212 : 탄력편 220 : 연결부
222 : 고정공 300 : PCB
302 : 체결공 304 : 고정수단
본 고안이 실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는 본 고안이 실시되는 기능노브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탄력편(212)에 의하여 연결되는 기능노브장치(210)를 갖는 베이스부(200)에는 프런트케이스(100)와 체결하기 위한 슬라이드돌기(202)와 체결후크(204)를 구비하고, 베이스부(200)와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부(220)에는 고정공(222)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부(200)의 연결부(220)에 형성된 고정공(222)에는 택트스위치(310)를 갖는 PCB(30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302)을 형성하여 고정수단(304)로 베이스부(200)와 PCB(30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프런트케이스(200)에는 슬라이드홈부(102)와 걸림턱(104)과 기능노브장치(210)가 삽입되는 삽입부(106)를 구비하여 베이스부(200)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202)를 슬라이드홈부(102)에 삽입하면, 베이스부(200)에 형성된 체결후크(204)가 프런트케이스(100)에 형성된 걸림턱(104)에 걸려서 베이스부(200)와 프런트케이스(100)가 체결이 되는 것이다.
도 4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탄력편(212)에 의하여 연결되는 기능노브장치(210)를 갖는 베이스부(200)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220)의 고정공(222)에 택트스위치(310)를 갖는 PCB(300)에 형성된 체결공(302)에 고정수단(304)로 체결하여 기능노브장치(210)와 택트스위치(310)의 간격(S)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베이스부(200)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202)를 프런트케이스(10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부(102)에 삽입하면, 걸림후크(204)가 걸림턱(104)에 걸리게 되면서 프런트케이스(100)와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프런트케이스(10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부(102)에 베이스부(200)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202)를 삽입하면, 베이스부(200)에 형성된 체결후크(204)가 프런트케이스(100)에 형성된 걸림턱(104)에 걸려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능노브장치(210)와 택트스위치(310)사이의 간격(S)이 설정한 값만큼의 이격됨으로써 기능노브장치의 작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능노브장치를 갖는 베이스부와 연결된 연결부에 고정공을 형성하고 택트스위치를 갖는 PCB부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고정수단로 고정함으로써 안정되게 기능노브장치와 택트스위치의 거리 간격을 유지할 수가 있음으로 안정된 기능노브장치의 작동이 이루어져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프런트케이스에 기능노브장치를 갖는 전자제품에 있어서,
    수평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기능노브장치를 각각의 탄력편으로 지지하고 고정공이 형성된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기능노브장치에 대응되는 택트스위치를 구비하는 PCB를 고정수단로 고정하여, 택트스위치와 기능노브장치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기능노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부에 고정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기능노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B에는 체결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기능노브장치.
KR2019980012834U 1998-07-13 1998-07-13 전자제품의기능노브장치 KR200228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834U KR200228185Y1 (ko) 1998-07-13 1998-07-13 전자제품의기능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834U KR200228185Y1 (ko) 1998-07-13 1998-07-13 전자제품의기능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864U KR20000002864U (ko) 2000-02-07
KR200228185Y1 true KR200228185Y1 (ko) 2001-09-17

Family

ID=6951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834U KR200228185Y1 (ko) 1998-07-13 1998-07-13 전자제품의기능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1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864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66120A1 (en) Operation button fixing structure of electric device
US8111349B2 (en) Image display device
US6707478B2 (en) OSD controller assembly and assembling process in a displaying apparatus
KR200228185Y1 (ko) 전자제품의기능노브장치
US7786399B2 (en) Apparatus comprising a button formed with a panel and flat panel display
US6828516B1 (en) Semi-elastic switch covering device for an electrical system having an external control panel and control apparatus for an electronic machine
JPH07141961A (ja) 操作ボタンの取付構造
KR100426698B1 (ko) Lcd모니터
KR20000005597U (ko) 텔레비젼 캐비넷의 버튼 결합장치
KR0155638B1 (ko) 모니터에 있어서 회로기판의 택트 스위치 접촉간격 유지장치
JPH0367425A (ja) 押釦シャーシとプリント基板の取付装置
KR930005885Y1 (ko) 리모트컨트롤이 가능한 전자제품
KR0131099Y1 (ko) 모니터의 기능조절용 회로기판 고정장치
KR19990003600U (ko)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장치
JP2005243399A (ja) 操作ボタン及び操作ボタンを備えた電気機器
KR950008079Y1 (ko) 텍트 스위치 오동작 방지를 위한 연동버턴 취부장치
KR0133399Y1 (ko) 디지트론 홀더
KR200160560Y1 (ko) 인쇄회로기판 고정구를 구비한 텔레비전용 노브장치
KR19980018877U (ko)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 구조
KR0135600Y1 (ko) 브이씨알의 노브장치
JPH09306293A (ja) 操作ボタンユニット
KR20000013117U (ko) 전자제품용 버튼장치
KR19990038742U (ko) 전자제품의 프레임 가변형 버튼장치
JPH10144180A (ja) 各種機器における操作ボタン取付構造
KR20060085827A (ko) 세탁기의 세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