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143Y1 - 유아용 자동 흔들그네 - Google Patents

유아용 자동 흔들그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143Y1
KR200228143Y1 KR20010001440U KR20010001440U KR200228143Y1 KR 200228143 Y1 KR200228143 Y1 KR 200228143Y1 KR 20010001440 U KR20010001440 U KR 20010001440U KR 20010001440 U KR20010001440 U KR 20010001440U KR 200228143 Y1 KR200228143 Y1 KR 200228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frame
plate
gear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01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Original Assignee
김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형 filed Critical 김도형
Priority to KR20010001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1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1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5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pivotally mounted in a frame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유아용 자동그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 후로 왕복되는 그네의 스윙동작을 자기력에 의하여 동작시켜 그네의 작동시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동작이 정확한 자동그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유아용 자동그네는 각각의 기어가 맞물리면서 그네를 구동시키므로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손쉬운 장점이 있으나, 기어의 작동시 기계적인 마찰음이 발생하여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과, 기어의 마모에 다른 고장률이 높은 단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지면에 받혀지면서 좌우 대향 설치되는 후레임(2), 상기 후레임(2)의 어느 한쪽 저면에는 전자석(6)을 설치하여, 상기 후레임(2)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 된 플레이트(4)의 하단 중심과 이의 양단에 서로 다른 극으로 대향되도록 영구자석(8)(8a)을 설치하여 자기력에 의하여 플레이트(4)를 전후 왕복 운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유아용 자동그네.

Description

유아용 자동 흔들그네{An automatic swing for the in fant}
본 고안은 유아용 자동 그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 후로 왕복되는 그네의 스윙 동작을 자기력에 의하여 동작시켜 그네의 전후 작동시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동작이 정확한 자동그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 유아가 편안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놀이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사람의 힘에 의하여 좌, 우로 반복되게 유동하는 요람 등은 이미 오래 전부터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들은 사람의 손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밀어주거나, 당겨주게 됨으로 사람이 항상 곁에 있어야 하고, 팔에 쉽게 피로가 발생하여 장시간 동안 흔들어 줄 수 없었고, 사람의 손은 기계처럼 일정한 힘을 유지한 채 반복적으로 밀어줄 수 없다는 한계와 동시에 그네 속의 유아에게도 불필요한 충격을 주게되어 아기가 쾌적한 상태로 편안하게 잠이 들 수 없었다.
즉, 어린 유아의 경우 편안하면서도 안정적인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몸이 반복적으로 유동될 경우 심리적인 만족감과 동시에 즐거움을 느끼게 되어 가만히 누워있는 고정된 자세보다 훨씬 더 아이에게 효용성을 높여줄 수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상기한 목적을 만족하기 위한 것으로, 그네의 동력원으로서 모터의 회전운동에 따라 모터축에 축설된 그네가 교호로 반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그네와, 전자석을 이용한 자동그네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자동 그네 중 모터의 동작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식 그네는 작동시 소음이 크게 발생하여 어린 유아에게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조성하고 정서가 불안해 지는 폐단이 있다.
후자의 전자석을 이용한 그네에 있어서는 유아가 앉게되는 좌대에 영구자석을 착설하고 그네 지지대에 영구자석의 접점 개폐동작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자석을 수직 중심부에 설치하여 좌대가 인력에 의해 수직 중앙으로 도달될 때 자석의 극끼리 반발하여 그네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고안을 제안되고 있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자성체의 약화에 따라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결함이 발생하였다.
또한 영구자석과 직류 전자석이 접근하여 대치된 상태에서 소정의 전류를 통하게 하면, 상기 직류 전자석에 서로 다른 극이 순간적으로 발생하고 따라서 강하게 반발하여 튕겨 나가게 되므로 그네가 좌, 우 일정한 방향성이 없이 상하로만 급격하게 충격적으로 움직이게 되고 상하로의 떨림 현상 등의 수반으로 아기가 불안해하고 놀래는 등의 위험한 상황을 맞게되어 그네로써의 역할 불능에 빠지게 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의 구성과는 달리 태엽식도 일부 제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태엽을 감아주어야 함으로 동력의 크기와 전달에 한계가 있는 것이고, 그 동작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 후 왕복되는 좌대를 고정한 플레이트의 중심과 이의 양단에 서로 다른 극으로 대향되도록 영구자석을 설치하고, 플레이트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한 후레임의 중심부에 전자석을 설치하여 자기력에 의하여 플레이트를 전후 왕복 운동시켜 그네를 전후 왕복 운동되도록 하여 작동시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동작이 정확한 자동그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자동 그네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후레임과 플레이트의 분해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 후레임 4: 플레이트
6: 전자석 8,8a: 영구자석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제 1도 내지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영구자석을 착설한 좌대와 상기 영구자석의 접점 개폐동작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자석을 수직 중심부에 설치한 지지대로 구성되어 인력에 의해 수직 중앙으로 좌대가 도달될 때 자석의 극끼리 반발하여 그네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공지의 자동그네에 있어서, 지면에 받혀지면서 좌우 대향 설치되는 후레임(2), 상기 후레임(2)의 어느 한쪽 저면에는 전자석(6)을 설치하여, 상기 후레임(2)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 된 플레이트(4)의 하단 중심과 이의 양단에 서로 다른 극으로 대향되도록 영구자석(8)(8a)을 설치하여 자기력에 의하여 플레이트(4)가 전후 왕복 운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후레임(2)에 축설되어 좌우 대향토록 설치된 플레이트(4)의 내측면 4방 모서리에는 디귿자 형상의 고정부재(14)를 형성하여 고정바(12)의 양단을 핀(14) 유착시킴으로서 좌우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정바(12)에는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좌대(10)를 고정한다.
이때 고정바(12)에 고정되는 좌대(10)는 좌대(10)를 구성하는 등받이와 좌석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후면 상부와 전면 하부에 각각 고정되며, 후레임(2)에도 고정부재(14a)를 형성하여 고정바(12a)를 끼워 넣은 후 보울트 및 너트로 견고하게 고정하여 후레임(2)이 임의로 움직이는 폐단을 해소한다.
또한 후레임(2)에 축설되는 플레이트(4)는 속도 조절레버와 전원의 인가를 위한 스위치부가 구성되며 후레임(2)에 축설시 베어링 등을 삽설하여 그 회전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스위치의 접촉에 따라 전류가 통전되면 정류기(미도시)에 의하여 교류가 직류로 전환되어 전자석(6)이 직류에 의하여 자장을 갖게 된다.
이때 후레임(2)에 축설된 플레이트(4)의 저면에 영구자석(8)(8a)이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극을 달리하면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자석(6)과 극을 달리한 중앙의 영구자석(8a)이 일방으로 밀리게 되면서 다른 영구자석(8)의 자력에 의하여 끌려가게 되므로 결국 플레이트(4)가 움직이게 되어 플레이트(4)에 고정된 좌대(10)가 흔들리게 된다.
이때 어느 일방으로 끌려간 플레이트(4) 즉, 중앙의 영구자석(8a)에 자장이 발생하여 일방으로 움직이다가 끝단부에 고정된 다른 영구자석(8)이 전자석(6)에 도달하는 순간 강한 자력을 받게 되어 원상으로 복귀되며 인력에 의하여 중앙에 도달하는 순간 중앙의 영구자석(8a)에 강한 자장의 타격이 발생하여 타측으로 밀리게 되면서 타측의 영구자석(8)에 의하여 끌려가게 되는 반복 운동에 의하여 플레이트(4)에 고정된 좌대(10)가 전후로 왕복운동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그네는 전자석이 설치된 후레임과 상기 후레임에 회전 가능토록 축설 된 플레이트에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자기력에 의하여 영구자석이 끌려가게 되는 방식으로 유아들이 앉게 되는 좌대를 움직이므로 그네의 작동시 소음이 없이 동작되어 유아를 더욱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밀어주거나, 당겨줄 수 있어 심리적인 만족감과 동시에 즐거움을 느끼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영구자석을 착설한 좌대와 상기 영구자석의 접점 개폐동작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자석을 수직 중심부에 설치한 지지대로 구성되어 인력에 의해 수직 중앙으로 좌대가 도달될 때 자석의 극끼리 반발하여 그네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공지의 자동그네에 있어서, 지면에 받혀지면서 좌우 대향 설치되는 후레임(2), 상기 후레임(2)의 어느 한쪽 저면에는 전자석(6)을 설치하여, 상기 후레임(2)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 된 플레이트(4)의 하단 중심과 이의 양단에 서로 다른 극으로 대향되도록 영구자석(8)(8a)을 설치하여 자기력에 의하여 플레이트(4)를 전후 왕복 운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동그네.
KR20010001440U 2001-01-18 2001-01-18 유아용 자동 흔들그네 KR200228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01440U KR200228143Y1 (ko) 2001-01-18 2001-01-18 유아용 자동 흔들그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01440U KR200228143Y1 (ko) 2001-01-18 2001-01-18 유아용 자동 흔들그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143Y1 true KR200228143Y1 (ko) 2001-06-15

Family

ID=6224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01440U KR200228143Y1 (ko) 2001-01-18 2001-01-18 유아용 자동 흔들그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1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5495A1 (en) * 2004-01-05 2005-07-21 Kukutoys Co. Ltd. Automatic swing device
WO2018084386A1 (ko) * 2016-11-04 2018-05-11 (주)디자인파크개발 스윙 체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5495A1 (en) * 2004-01-05 2005-07-21 Kukutoys Co. Ltd. Automatic swing device
WO2018084386A1 (ko) * 2016-11-04 2018-05-11 (주)디자인파크개발 스윙 체어
US10306987B2 (en) 2016-11-04 2019-06-04 Design Park Development Co., Ltd. Swing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0260B2 (en) Control device for a children's bouncer
US7722118B2 (en) Repositionable child support device
US8757716B2 (en) Control device for a children's bouncer and infant support
WO2012037522A1 (en) Motion device for children
JP6236121B2 (ja) 小児運動装置
US10016069B2 (en) Control device for a children's bouncer and infant support
KR200228143Y1 (ko) 유아용 자동 흔들그네
US20040123383A1 (en) Vibrating infant bed
JP3958413B2 (ja) 揺動機能付き椅子
JP4689649B2 (ja) 揺動玩具
JP2008048864A (ja) 揺動人形玩具
CN204862250U (zh) 一种振动式电动婴儿摇床
KR20070016006A (ko) 유아용 자동 흔들 그네
KR20000018699U (ko) 유아용 전동식 자동 그네
CN113229656A (zh) 摇椅
KR200375187Y1 (ko) 운동 의자
KR200400332Y1 (ko) 유아용 자동 흔들 그네
CN111297102A (zh) 摇椅
CN215738056U (zh) 具两种运动轨迹的电磁摇摆机构
JP2579576Y2 (ja) 動作玩具
KR20100006057U (ko) 유아용 자동 흔들 그네
JPH06178716A (ja) 人体受け具の駆動装置
JP2649954B2 (ja) 走行体の自走装置
JP2011053280A (ja) 搖動装置
KR910004184Y1 (ko) 자동요람 유모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