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973Y1 -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 - Google Patents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973Y1
KR200227973Y1 KR2020010001631U KR20010001631U KR200227973Y1 KR 200227973 Y1 KR200227973 Y1 KR 200227973Y1 KR 2020010001631 U KR2020010001631 U KR 2020010001631U KR 20010001631 U KR20010001631 U KR 20010001631U KR 200227973 Y1 KR200227973 Y1 KR 200227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il unit
window
fan coil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이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우 filed Critical 이현우
Priority to KR2020010001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9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973Y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신선 외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건물의 벽면부분에 일정 크기로 설치되는 창(window; w)의 상측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벽면부분을 지지하는 창틀 프레임(10)에 직사각형 형상의 공간부(11)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1)에 코일(냉각 및 가열코일)(13)과 송풍기(Fan; 14), 전동기(15) 및 필터(Filter; 16)로 구성된 팬코일 유닛 본체(12)를 설치하며, 상기 공간부(11)의 내외측에 공기 흐름 조절용 댐퍼(17,18))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공간부(11)의 하측에 창틀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덕트(19)를 형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 {WINDOW FAN COIL UNIT}
본 고안은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팬코일 유닛에 의한 공조는 중앙 공조방식 중 수(水)방식으로서 중앙 기계실의 냉·열원기기(냉동기, 보일러, 열교환기 및 축열조 등)로부터 냉수 또는 온수나 증기를 각실에 있는 팬코일 유닛(FCU)으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실내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것이다.
상기 팬코일 유닛은 코일(냉각 및 가열코일), 송풍기(Fan), 필터(Filter)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팬코일 유닛의 종류는 바닥설치형, 천장 걸이형, 천장속 매립형(CHU), 직접 팽창형 등이 있다. 상기 팬코일 유닛은 각실의 유닛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개별 제어가 가능하고, 덕트 방식에 비해 유닛의 위치 변경이 편리하며, 펌프에 의해 냉·온수를 이송하므로 송풍기에 의한 공기의 이송 동력보다 적게 드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 공조방식이 적용되는 대형 건물의 창가는 일반적으로 VAV(Variable Air Volume) System을 사용하거나 지나친 복사열을 대비하여 CHU, FCU 등과 같은 중앙 냉,난방용 AHU(Air Handling Unit)를 보조하는 공조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다.
종래의 팬코일 유닛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코일 유닛 본체(1)를 바닥에 설치하는 바닥 설치형(f) 및 천장속으로 매립하는 천장속 매립형(c)으로 분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 설치형(f) 팬코일 유닛 본체(1)는 배관을 통해 중앙 기계실의 냉·열원기기와 연결되어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것이고, 상기 천장속 매립형(c) 팬코일 유닛 본체(1)는 배관을 통해 중앙 기계실의 냉·열원기기에 연결됨과 아울러 덕트(2)와 토출부(3)를 통해 실내의 특정 지점으로 냉·온기를 배출시켜 실내 공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팬코일 유닛의 바닥 설치형(f)은 창(w)가의 하단 또는 실내의 특정부위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배관을 통해 편리하게 중앙 기계실의 냉·열원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장점은 있으나, 창(w)가의 하단 또는 실내의 특정 공간에 설치하기 때문에 주거 공간을 일정부분 차지하는 공간적인 효율 낭비 및 실내 공기만을 순환시킴에 따른 신선 외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팬코일 유닛의 천장속 매립형(c)은 팬코일 유닛 본체(1)를 천장 속에 매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적정한 층고가 요구됨과 아울러 배관 작업과 덕트(2)의 설치 작업이 곤란하게 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신선 외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창의 상측인 창틀 프레임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팬코일 유닛 본체를 설치하며, 상기 공간부의 양측에 댐퍼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공간부의 하측에 덕트를 형성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것의 설치 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설치 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프레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12: 팬코일 유닛 본체 10: 창틀 프레임
11: 공간부 17,18: 댐퍼
19: 덕트 20: 디퓨져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부분에 일정 크기로 설치되는 창(window; w)의 상측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벽면부분을 지지하는 창틀 프레임(10)에 직사각형 형상의 공간부(11)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1)에 코일(냉각 및 가열코일)(13)과 송풍기(Fan; 14), 전동기(15) 및 필터(Filter; 16)로 구성된 팬코일 유닛 본체(12)를 설치하며, 상기 공간부(11)의 내외측에 공기 흐름 조절용 댐퍼(17,18))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공간부(11)의 하측에 창틀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덕트(19)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공간부(11)는 창틀 프레임(10)과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건축 공간 활용이 극대화되는 것이고, 상기 창틀 프레임(10)에 공간부(11)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공간부(11)에 팬코일 유닛 본체(12)를 설치함으로써 천장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며, 상기 공간부(11)에 설치된 팬코일 유닛 본체(12)에 배관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배관을 중앙 기계실의 냉·열원기기(냉동기, 보일러, 열교환기 및 축열조 등)에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중앙 기계실의 냉·열원기기에 연결함으로써 중앙 기계실의 냉·열원기기로부터 냉수 또는 온수나 증기를 각실의 창틀 프레임(10)에 설치된 팬코일 유닛 본체(12)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도입하여 열교환시키는 것이다.
상기 공기 흐름 조절용 댐퍼(17,18)는 실내 공기 순환용 댐퍼(17)와 실외 공기 도입용 댐퍼(18)로 분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실내 공기 순환용 댐퍼(17)는 공간부(11)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실외 공기 도입용 댐퍼(18)는 공간부(11)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실내 공기 순환용 댐퍼(17)와 실외 공기 도입용 댐퍼(18)는 도시하지 않은 조정 스위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덕트(19)의 하측에는 디퓨져(20)를 설치함으로써 덕트(19)로 도입된 공기가 디퓨져(20)를 통해 실내로 원활하게 토출되는 것이고, 상기 덕트(19)와 디퓨져(20)에 의해서 그 부분의 소음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됨과 아울러 높은 유속에 의해서 불쾌감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신선 외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창(w)의 상측인 창틀 프레임(10)에 공간부(11)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공간부(11)에 팬코일 유닛 본체(12)를 설치하여 배관을 통해 중앙 기계실의 냉·열원기기에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팬코일 유닛 본체(12)를 창틀 프레임(10)에 설치함에 따라 공간적인 제약이 없어짐과 아울러 건축물의 건축비 저하 및 유지 보수가 편리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팬코일 유닛 본체(12)를 천장속에 매립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천장의 층고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그리고 조정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실내 공기 순환용 댐퍼(17) 또는 실외 공기 도입용 댐퍼(18)를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실내 공기 순환용 댐퍼(17)를 작동시키면 실내 공기가 순환되는 것이고, 상기 실외 공기 도입용 댐퍼(18)를 작동시키면 신선 외기를 적정하게 도입시켜 실내 공기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창의 창틀 프레임에 공간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공간부에 팬코일 유닛 본체를 설치함으로써 거주 공간의 불필요한 대드 스페이스 (DEAD SPACE)가 발생되지 않게 되면서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창틀 프레임에 팬코일 유닛 본체를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건축물의 건축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간부의 양측에 실내 공기 순환용 댐퍼와 실외 공기 도입용 댐퍼를 설치함으로써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선태적으로 사용하게 됨과 아울러 실내가 쾌적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 하측에 덕트와 디퓨져를 설치함으로써 유속의 속도 조절이 가능하게 되면서 사용상 불쾌감 및 소음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Claims (3)

  1. 창(w)의 상측인 창틀 프레임(10)에 공간부(11)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1)에 팬코일 유닛 본체(12)를 설치하며, 상기 공간부(11)의 양측에 댐퍼(17,18)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공간부(11)의 하측에 덕트(1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17,18)는 실내 공기 순환용 댐퍼(17)와 실외 공기 도입용 댐퍼(18)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19)의 하측에 디퓨져(2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
KR2020010001631U 2001-01-19 2001-01-19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 KR200227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631U KR200227973Y1 (ko) 2001-01-19 2001-01-19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631U KR200227973Y1 (ko) 2001-01-19 2001-01-19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973Y1 true KR200227973Y1 (ko) 2001-06-15

Family

ID=7309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631U KR200227973Y1 (ko) 2001-01-19 2001-01-19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9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3867B1 (en) Venturi type air distribution system
KR100628205B1 (ko)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28152B1 (ko) 제습용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외기전담 공기조화기 및 상기 외기전담 공기조화기와 칠드 빔을 조합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CN110360622A (zh) 厨房空气调节系统
KR101256781B1 (ko) 간접 부하 제어 모드를 갖는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JP2004177052A (ja) 床埋込形空調ユニット
RU2375640C2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и нагрева помещений в зданиях
KR200227973Y1 (ko)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
US20180313574A1 (en) Heat source integrated air conditioner
US6921329B2 (en) Air-distribution cap for a convector
KR20010025711A (ko)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
KR100846000B1 (ko) 모듈화된 일체형 냉난방시스템
KR20060130836A (ko) 농축산용 냉난방기
US3842903A (en) Novel heating,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
JP3656077B2 (ja) 室内循環流路と外気供給流路を併設した下部吹出空調機
JP2004177050A (ja) 床埋込形エアコン
JP2616308B2 (ja) 空気調和ユニット
JP2540090B2 (ja) ペリメ―タ―ゾ―ンの空調方法
JP2511215B2 (ja) ダクト式空気調和システム装置
KR101762889B1 (ko) 냉난방 시스템
EP2017538A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welling hause
KR960004848B1 (ko) 온풍기
JPS63306330A (ja) アンダ−フロア−空調システム
KR940005317Y1 (ko) 축열식 외기흡입 환기장치
KR100211730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