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848B1 - 온풍기 - Google Patents

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848B1
KR960004848B1 KR1019930014840A KR930014840A KR960004848B1 KR 960004848 B1 KR960004848 B1 KR 960004848B1 KR 1019930014840 A KR1019930014840 A KR 1019930014840A KR 930014840 A KR930014840 A KR 930014840A KR 960004848 B1 KR960004848 B1 KR 960004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ipe
hot
ai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734A (ko
Inventor
홍은수
Original Assignee
홍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은수 filed Critical 홍은수
Priority to KR101993001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848B1/ko
Publication of KR95000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6/00Combined water and ai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2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풍기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외관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방열기구조확대 발췌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방열판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내로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구의 발췌조립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풍기본체 2 : 흡기구
3 : 내통체 4 : 가열실
4a : 흡기공 5, 6 : 분리판
5a : 배출홈 6a : 분출공
7 : 바람개비 8, 9 : 온수집열통
8a : 배출구 10 : 온수관
11 : 열판 11a : 흡입공
12, 121 : 방열기 13 : 연결관
14 : 지지판 15 : 잔열순환통로
16 : 구동실 17 : 모우터
18 : 온풍팬 19 : 강풍팬
20 : 잔열송풍팬 21 : 유도관
22 : 송풍구 23, 24 : 온, 강풍배출관
25 : 헤드부 25a : 조절편
27 : 메인온수관 28 : 온수공급파이프
29 : 온수배출파이프 30 : 실내온도감지센서
31 : 온수공급자동센서밸브 32 : 스위치콘트롤박스
본 발명은 주택, 아파트, 사무실, 빌딩 등의 보일러 온수열을 순환 이용하며 벽부착용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소형으로 제작하여 각 실내를 선택적으로 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절기에 실내를 난방시키기 위해서 종래에는 주물품인 라지에타를 각 실내의 소정위치에 고정하고 이를 통상의 보일러 온수관에 연결시켜 온수가 순환되어지면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나, 이는 실내의 난방 면적에 따라 라지에타를 여러개 설치해야 되고 그로인한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하였으며, 또한, 라지에타의 제작 및 설치비용이 고가이어서 일반 가정에서는 설치가 곤란하였던 것은 물론 아파트나, 빌딩 등의 경우 난방이 중앙난방식이기 때문에 정해진 난방 시간에는 각 실내의 난방 온도정도를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난방에 따른 에너지 소모가 많은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자에는 상기 라지에타 난방장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난방기나 가열기 등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들 난방장치 또한, 난방구조가 복잡하고 대형이어서 취급이 용이하지 않을 뿐아니라 난방에 따른 전기료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결점이 있으며, 가열기에 있어서는 오랜시간 동안 계속 사용할 경우 가열기가 가열되어 전기안전사고 발생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의 보일러 온수열을 순환 사용하여 난방에 따른 별도의 에너지소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실내의 난방 온도정도를 고려하여 온수공급 자동센서 밸브의 조절에 따라 온수가 온풍기내로 순환되거나 또는 통과되게 하여 온수열의 효율적 사용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벽부착용의 소형이어서 설치가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누구나가 부담없이 설치하여, 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온풍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온풍기를 실내 벽체에 부착가능하게 소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온풍기 본체내에는 흡기구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순환가열되는 가열실을 형성하고, 이 가열실에는 한쌍의 온수집열통이 온수관으로 연결되고 흡입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열판이 온수관상에 삽입설치되어 온수가 순환되면서 공기를 가열하여 주는 방열기를 설치하며, 상기 방열기 사이로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방향으로 확산시켜 주기위한 바람개비를 설치하고 상기 방열기로의 각 온수집열통과 메인온수관 사이로는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공급파이프와 순환된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배출관파이프를 각각 연결설치하고, 상기 메인온수관과 온수공급파이프 연결부위로는 실내온도감지센서에 의해 동작되는 온수공급자동센서 밸브를 설치하여 방열기로의 온수공급을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가열실의 후방 구동실의 모우터 동축상으로는 온풍팬과 강풍팬 및 잔열송풍팬을 각각 축착하며, 상기 온풍팬 및 강풍팬으로 흡입된 온풍과 강풍은 이와 연결된 유도관과 송풍구에 의해 실내로 분리 송풍되어지도록 구성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의 외관 사시도인바, 벽체(A)에 플렌지부(111)가 고정설치되어지지되는 온풍기본체(1)의 일측으로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으로는 통상의 타이머(34), 온도조절기(35), 온,강풍스위치(33) 등의 조절수단이 구비된 스위치콘트롤박스(32)가 형성되고, 이의 상측으로는 실내온도감지센서(30)를 설치하며, 온풍 및 강풍이 송풍되는 송풍구(22)가 외부로 돌설되어져 있으며, 본체(1) 하단부로는 온풍기 내부의 세척 및 수리를 위한 개패판(112)이 설치 구성되어 있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의 내부구조를 보인 조립단면도인바, 흡기구(2)가 형성된 본체(1)내에는 가열실(4)을 형성하기 위한 내통체(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열실(4)의 중앙부로는 바람개비(7)가 설치되는 분리판(5)(6)을 설치하여 일측의 분리판(5)의 중앙부로는 배출홈(5a)이 형성되고 타측 분리판(6)의 양측단으로는 상기 바람개비(7)의 회전에 의해 확산된 가열공기가 분출되는 분출공(6a)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판(5)(6)에 의해 분할형성된 양측의 가열실(4)로는 제 3 도의 도시에서와 같이 배출구(8a)를 가지며 다수개의 온수관(10)이 연결설치되어지고 이들 사이에 열판(11)이 미세 간격으로 장설되어진 한쌍의 온수집열통(8)(9)으로 구성되어져 온수의 순환에 따라 더운 열을 발생하여주는 방열기(12)(121)를 각각 고정설치하되 이들 방열기(12)(121) 사이를 연결관(13)으로 연결하여 온수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4 도에서와 같이 방열기(12)(121)의 온수관(10)은 대략 "" 형상의 단면상태를 가지며, 이는 온수집열통(8)(9) 사이의 각 모서리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온수관(10)에 장설되는 열판(11)으로는 중앙부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공(11a)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주변의 각 모서리부로는 상기 온수관(10)에 끼워지는 끼움구멍(11b)이 동일형태로 형성되어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 5 도에서와 같이 열판(11)의 흡입공(11a)으로 흡입되어지는 실내공기는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된 온수관(10)과의 공간부로 유입되어지고 유입되어지는 과정에서 실내공기는 각 온수관(10)의 내측면과 부딪혀져 와류현상을 일으키면서 흡입공(11a)으로 흡입되어지기 때문에 신속하면서도 확실하게 흡입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통체(3)의 후방으로 지지판(14)에 의해 잔열순환통로(15)가 구획 형성된 구동실(16)에는 가열되어진 실내공기를 흡입 송풍하여주는 온풍팬(18)과, 흡기구(2)의 반대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1a)을 통해 강풍을 흡입송풍하여 주는 강풍팬(19)이 하나의 모우터(17) 축상에 축착되어 있으며, 상기 모우터(17)와 강풍팬(19) 사이에는 동축상으로 구동실(16)의 각 부품들에서 발생되는 열과 이에 잔존해 있는 내부 잔열을 전술한 잔열순환통로(15)와 연통된 지지판(14)의 관통공(14a)으로 유입시켜 재사용되도록 하기 위한 잔열송풍팬(20)이 설치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온풍팬(18) 및 강풍팬(19)에 의해 흡입 토출되는 온풍 및 강풍은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단이 상기 온풍팬(18)과 강풍팬(19)에 연결되어져 온풍 및 강풍이 분리 송풍되어지는 유도관(21)과, 이 유도관(21)의 타단이 연결되어지고 고정너트(26)로 고정설치된 송풍구(22)에 의해 온풍 및 강풍이 실내로 송풍되어지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송풍구(22)로는 유도관(21)에서 유도된 온풍 및 강풍이 송풍되어지는 온풍배출관(23)과 강풍배출관(24)으로 구분형성되어 있으며, 실내로 돌출되어진 송풍구(22)의 헤드부(25)는 조절편(25a)에 의해 회동조절되도록 설치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잔열순환통로(15) 및 구동실(16)의 하부로는 통상의 온수보일러의 온수가 공급되는 연결파이프(P)와 패킹구(27a)에 의해 연결구성되어져 온수가 공급되는 메인온수관(27)이 관통 삽설되어져 있고, 상기 메인온수관(27)상에는 방열기(121)의 온수집열통(8)내로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온수공급파이프(28)과 상기 각 방열기(12)(121)로 순환통과된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온수배출파이프(29)가 온수집열통(9)과 상호 연결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온수공급파이프(28)와 연통된 메인온수관(27)의 접속부위로는 본체(1)의 실내온도감지센서(30)에 의해 동작되는 온수공급자동센서밸브(31)를 설치하여 이의 동작에 따라 메인온수관(27)상으로 공급되는 온수를 필요에 따라 온수공급파이프(28)로 공급되게 하거나 아니면 그냥 바이패스 되도록하여 온수의 공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온수관(27)과 연결설치된 연결파이프(P)는 제 2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도면상 우측 부분의 것은 공급쪽이며, 타측의 것은 배출쪽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 연결파이프(P)는 시공상 통상적으로 벽에 매설되어지는 것이어서 외관상으로도 미려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온수관(27)과 연결된 연결파이프(P)는 빌딩이나 사무실 등과 같이 단순히 실내 난방만이 요구되는 곳에서는 통상 보일러로부터 연결되어진 온수공급파이프가 되는 것이며, 실내바닥면도 난방이 요구되는 아파트나, 주택 등의 경우 실내바닥면에 매설되어져 온수가 순환공급되는 호스나, 파이프 등이 연결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우터(17)는 스위치콘트롤박스(32)의 온,강풍스위치(33)나 타이머(34)와 전원연결되어지는 것이며, 온도조절기(35)는 실내의 적정 난방온도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며, 실내온도감지센서(30)는 상기 온도조절기(35)에서 선택조절한 실내 적정 온도상태를 감지하여 온수공급자동센서밸브(31)를 동작시켜 방열기(12)(121)로의 온수공급을 차단하거나 또는 공급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스위치콘트롤박스(30)의 선택된 각 스위치를 선택조절하면 구동실(16)내의 모우터(17) 구동에 의해 동축상으로 축착된 온풍팬(18)과 강풍팬(19) 및 잔열송풍팬(20)이 회전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온풍팬(18)의 흡인력에 의해 실내찬공기는 본체(1)의 흡기구(2)와 가열실(4)의 흡기공(4a)을 통해 가열실(4)내로 유입된다.
상기 가열실(4)내의 실내공기는 방열기(12)의 미세 간격상태로 장설된 각 열판(11)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어지며 유입된 실내공기는 지그재그 형태의 온수관(10) 내측면과 상호 부딪혀져 흡인력에 의해 와류현상을 일으키면서 흡입공(11a)으로 강제 흡입되어지고 이는 온수집열통(8)의 배출구(8a)와 분리판(5)의 배출홈(5a)으로 통과되고, 통과된 실내공기는 바람개비(7)에 의해 전방쪽으로 확산 송풍되어져 분리판(6)의 분출공(6a)을 통해 방열기(121)내로 유입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방열기(121)로 흡입되어진 실내공기는 전술한 방열기(1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순환 통과되어져 최종적으로 지지판(14)의 관통공(14a)을 경유하여 온풍팬(18)내로 강제 흡입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가열실(4)의 방열기(12)(121)를 통과하는 실내공기는 메인온수관(27)으로부터 유입되어져 순환되는 온수와 이 온수에 의해 가열되어져 온열을 발산하는 각 방열기(12)(121)의 온수집열통(8)(9)과 온수관(10) 및 열판(11)을 순차 통과하게 되면서 더운공기로 전환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온풍팬(18)으로는 온수에 의해 가열되어진 더운 공기가 최종적으로 흡입되어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온풍팬(18)에 흡입된 더운 공기는 유도관(21)과, 송풍구(22)의 온풍배출관(23)을 통해 실내로 송풍되어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흡기구(2) 반대쪽에 형성된 본체(1)의 통기공(1a)을 통해 강풍팬(19)으로 강제 흡입된 강풍을 상기 유도관(21)과 송풍구(22)의 강풍배출관(24)을 통해 온풍과 함께 실내로 송풍되어지기 때문에 온풍은 더운 확실하고 신속하게 확산되어져 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구동실(16)에서는 온풍팬(18) 및 모우터(17)가 작동되면서 발생되는 열과 가열실(4)에서 외부로 발산되는 잔열은 잔열송풍팬(20)의 송풍에 의해 잔열순환통로(15)로 재순환시켜 통공(3a)을 통해 흡기구(2)로 재진입되게 하여 흡기구(2)를 통해 유입된 실내찬공기와 더불어 가열실(4)로 유입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으로 실내찬공기를 가열시키고 이를 송풍시켜 줌으로서 실내를 계속적으로 난방시킬 수 있는 것이며, 송풍구(22)의 헤드부(25)를 조절편(25a)으로 저졸하여 주므로서, 송풍되는 온풍 및 강풍의 송풍방향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가열실(4)내의 방열기(12)(121)내를 순환하고 있는 온수는 메인온수관(27)과 연결된 온수공급파이프(28)로부터 온수가 공급되어지는 것이며, 상기 방열기(121)의 온수배출파이프(29)를 통해 배출방향의 메인온수관(27)으로 재유입 이송되어져 다른 실내를 설치된 또다른 온풍기로 재공급 순환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메인 온수관(27)의 온수공급자동센서밸브(31)는 실내온도감지센서(30)에 의해 메인온수관(27)을 지나는 온수공급방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인바, 이는 최초 온풍기 작동시나 온도조절기(35)에 선택되어진 실내 난방온도가 유지되기 이전까지는 연결파이프(P)로부터 공급되어져 메인온수관(27)으로 공급되는 온수는 온수공급파이프(28)로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실내가 일정 난방온도 이상일 경우에나 온풍기가 정지되어 있을 경우에는 온수공급자동센서밸브(31)가 온수공급파이프(28) 쪽으로 유입되는 온수를 차단하고 메인온수관(27)의 배출쪽으로 그냥 흘러통과 되도록 하기 때문에 난방이 필요없거나 일정온도 정도로 난방이 유지된 실내의 온풍기로는 온수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난방이 요구되는 실내로만 순환공급을 신속히 도모할 수 있어 온수의 이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보일러 온수를 각 실내에 설치된 온풍기의 메인온수관을 통과하도록 설치하고 이를 온수공급자동센서밸브로서 실내공기가 가열되는 방열기로의 온수공급 및 차단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줌으로써, 온풍기 가동에 따른 별도의 온수공급 및 가열수단이 전혀 요구되지 않으면서도 실내의 난방을 유지할 수 있어 기존의 에어콘과 같은 난방장치에 비해 에너지 절감은 물론 유지보수비가 저렴할 뿐아니라,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소형이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고 또한 제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온풍기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특단의 효과를 갖는 발명인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기술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

Claims (2)

  1. 실내의 벽체에 설치되고 소형으로 제작되는 온풍기에 있어서, 상기 온풍기본체(1)내에는 잔열순환통로(15)가 구성되게 내통체(3)를 지지판(14)으로 일체 형성하여 흡기구(2)로 유입된 실내찬공기가 유입가열되는 가열실(4)을 마련하며, 상기 가열실(4)로는 온수관(10)으로 연결지지되고 배출구(8a)가 형성된 온수집열통(8)(9)의 사이로 흡입공(11a)이 형성된 다수개의 열판(11)이 적정간격으로 삽설되어져 온수가 순환되면서 유입된 찬공기를 순차 가열하는 복수개의 방열기(12)(121)를 연결관(13)으로 연결되게 각각 설치하되, 이들 사이로는 가열되는 실내공기를 온풍팬(18) 쪽으로 확산시켜주는 바람개비(7)를 축착하고, 상기 가열실(4)의 일측으로는 통기공(1a)이 형성된 구동실(16)내로는 모우터(17)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온풍팬(18) 및 강풍팬(19)과 잔열송풍팬(20)을 동축상으로 순차 축설하며, 상기 온,강풍팬(18,19)으로 흡입된 온풍 및 강풍은 유도관(21)과 온풍 및 강풍배출관(23)(24)이 분리 구성된 송풍구(22)에 의해 실내로 송풍되어지게 하며, 상기 송풍구(22)의 헤드부(25)는 조절편(25a)에 의해 회동되도록 형성하며, 통상의 온수공급 연결파이프(P)와 연결되어져 온수를 공급받는 메인온수관(27)과 방열기(12)(121)의 온수집열통(8)(9)과의 사이로는 온수공급파이프(28)와 온수배출파이프(29)를 각각 연통되게 접속하며, 상기 메인온수관(27)과 온수공급파이프(28)의 접지부로는 온수공급자동센서밸브(31)를 설치하여 방열기(12)(121)내로의 온수공급 및 차단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방열기(12)(121)의 온수집열풍(8)(9) 사이에 설치되는 "" 단면형태의 온수관(10)을 각 모서리부에 지그재그 상태로 하여 열판(11) 사이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이들 온수관(10)의 내측면과 부딪히면서 흡입공(11a)을 중심으로 와류현상을 일으켜 신속히 흡입되어지도록 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
KR1019930014840A 1993-07-31 1993-07-31 온풍기 KR960004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840A KR960004848B1 (ko) 1993-07-31 1993-07-31 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840A KR960004848B1 (ko) 1993-07-31 1993-07-31 온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734A KR950003734A (ko) 1995-02-17
KR960004848B1 true KR960004848B1 (ko) 1996-04-16

Family

ID=1936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4840A KR960004848B1 (ko) 1993-07-31 1993-07-31 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8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231A (ko) * 2003-08-05 2005-02-21 유니오즈 주식회사 팬 코일 밸브 제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734A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9478B1 (en) Ceiling mounted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CN106403051B (zh) 空调柜机、空调器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201615551U (zh) 立式空调器
CN208238003U (zh) 空调器
CN108800313A (zh) 空调器及空调器控制方法
CN209026958U (zh) 一种空调室内机
CN108413500A (zh) 一种空调室内机
KR101159249B1 (ko) 천장형 제트공조장치
JP2590260B2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方法
KR100854760B1 (ko) 바닥용 선회 취출구
KR960004848B1 (ko) 온풍기
KR100743224B1 (ko) 천정카세트형 환기조화 시스템
CN207094809U (zh) 空气处理模块及空调器
CN205560952U (zh) 浴室用取暖换气装置
KR20060130836A (ko) 농축산용 냉난방기
CN213656911U (zh) 一种管道式风暖换气机
JP3294505B2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CN211316315U (zh) 一种电磁热风机
CN107957103A (zh) 空调室外机和空调机组
CN209365815U (zh) 一种内循环式电动客车空调
KR100215053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송풍장치
KR200384289Y1 (ko) 벽부착형 열교환 환기장치
KR200227973Y1 (ko)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
KR100244319B1 (ko) 공기조화기의송풍장치
JP2000130820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