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709Y1 - 공작기계의핸들구조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핸들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709Y1
KR200227709Y1 KR2019950053475U KR19950053475U KR200227709Y1 KR 200227709 Y1 KR200227709 Y1 KR 200227709Y1 KR 2019950053475 U KR2019950053475 U KR 2019950053475U KR 19950053475 U KR19950053475 U KR 19950053475U KR 200227709 Y1 KR200227709 Y1 KR 200227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workpiece
machine tool
scale display
sc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3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692U (ko
Inventor
이용구
Original Assignee
이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구 filed Critical 이용구
Priority to KR2019950053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709Y1/ko
Publication of KR9700276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6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709Y1/ko

Links

Landscapes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기계내에 설치되어지는 가공체(바이트, 연삭숫돌등) 또는 피가공물을 소정길이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된 공작기계의 핸들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작기계의 본체 일측에 소정길이의 기준눈금이 확장투영되어 지고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된 기준눈금표시부를 부착설치하고, 핸들의 일측에는 외주연에 눈금이 각인형성된 가변눈금표시부를 안착설치하여서 기준눈금표시부 전체에 눈금을 각인형성하여야 하는 가공상의 어려움을 배제하여 전체적으로 핸들제작의 작업공수 및 원자재를 크게 절감시키는 동시에 기준눈금표시부와 가변눈금표시부지 눈금비교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하며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제어를 구현하게 됨으로써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시의 치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본체에 고정되는 지지편상에 전자석을 고정설치하고 핸들의 일측에는 상기 전자석의 작동에 의해 전자석에 부착결합되거나 이격되어 질수 있는 위치고정판을 설치하여 핸들고정이 이루어지는 백래쉬 방지부재를 부가 형성해 주어 핸들의 초기위치를 요동없이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핸들의 초기 회전작동시 회전축과 공구대 또근 왕복대간의 나사결합 부분에서 발생되는 백래쉬 현상을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작업시의 치수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공작기계의 핸들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공작기계에 적용되는 종래의 핸들구조를 보인 요부발췌 분리사시도.
제2도는 일반적인 공작기계에 적용되는 종래의 핸들구조를 보인 요부발췌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일부절결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부 확대도로써, 기준눈금표시부의 구성을 보인 요부발췌도.
제5도는 제4도의 평면도로써, 기준눈금이 투영된 상태를 보인 발췌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발췌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40 : 기준눈금표시부 20,200 : 가변눈금표시판
22,220 : 고정볼트 30,300 : 핸들
40,400 : 회전축 110 : 지지구
120 : 투영체 130 : 발광체
150 : 렌즈 510 : 지지편
520 : 전자석 530 : 핸들고정판
본 고안은 공작기계내에 설치되어지는 가공체(바이트, 연삭숫돌등) 또는 피가공물을 위치이동시키도록 하는 핸들(Handle)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제작에 있어 작업공수가 절감되고, 가공체 또는 피가공물에 대한 이송작업시 눈금식별이 간편하여 설정길이 만큼의 정확한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백래쉬(Backlash)현상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작기계의 핸들구조에 과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 연삭, 보오링 가공등을 수행하여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작업을 행하는 공작기계는, 가공체와 피가공물의 이송방법에 따라 선반과 같이 가공체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피가공물을 소정길이 이송시켜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작업을 행하는 것과, 밀링머시인과 같이 피가공물을 위치고정시키고 가공체를 소정길이 왕복이송시켜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작업을 행하는 것, 그리고 보오링머시인과 같이 가공체와 피가공물을 각각 소정길이 이송시켜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작업을 행하는 것 등 여러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공작기계에는 가공체가 설치되어지는 공구대 또는 피가공물이 고정 설치되어지는 왕복대를 상기한 바와같이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각각 이송시키기 위한 핸들이 필수구성요소로써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공작기계의 핸들구조에 대해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2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공작기계 본체(1)의 일측에 부착 결합되고 외주연에는 일정간격의 눈금이 각인되어진 기준눈금표시부(10)와, 상기 기준눈금표시부(10)의 눈금과 동일간격으로 눈금이 각인되어지고 일측에는 플랜지(21)가 형성된 가변눈금 표시판(20) 및, 상기 기준눈금표시부(10)와 가변눈금표시판(2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일측 끝단은 가공체가 설치된 공구대(미도시) 또는 피가공물이 설치된 왕복대(미도시)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회전축(40), 그리고 상기 회전축(40)상에 고정설치되는 핸들(30)로써 결합구성되어 공작기계의 핸들구조가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이 된 상태에서 핸들(30)을 조작하여 공구대 또는 왕복대를 이송시켜 피가공물에 대한 설정치수의 가공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상기 핸들(30)을 일방향 회전시켜 회전축(40)이 회전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축(40)의 회전동작됨으로 인해 회전축(40)과 나사결합되어 있는 공구대 또는 왕복대가 일방향 이송되어져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보다 정밀한 가공치수를 얻고자 할 때에는, 가변눈금표시판(20)의 플랜지(21)상에 고정볼트(22)를 관통체결하여 회전축(40)상에 가변눈금표시판(20)을 기준눈금 0에 맞추고 고정결합되도록 한 후 핸들(30)을 회전시켜 주면, 회전축(40)과 함께 가변눈금표시판(20)이 동시에 회전동작되게 되고 상기 가변눈금표시판(20)의 회전동작 과정에서 작업자는 공작기계의 본체(1)에 부착결합되어 있는 기준눈금표시부(10)의 눈금과 가변눈금표시판(20)의 눈금을 일치시켜 가며 미리 설정된 치수만큼의 가공을 행할 수 있어 피가공물에 대한 보다 정밀한 치수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 공작기계의 핸들구조는, 기준눈금표시부와 가변눈금표시판의 외주연부에 각각 눈금을 각인형성함으로 인한 가공상의 어려움과 함께 작업공수가 과다하게 소요되며, 눈금의 식별에 있어서도 기준눈금표시부와 가변눈금표시판의 눈금상호간 이격되어 있어 정확한 기준위치에서 미세한 눈금의 일치됨을 육안으로 정확히 식별하기 어렵고 위치제어가 용이하지 않아 치수가공의 정밀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기준눈금표시부와 가변눈금표시판의 눈금을 정확히 일치시킨다 하더라도 핸들의 초기 회전동작시 회전축과 공구대 또는 왕복대간의 나사결합 부분에서 기구적인 특성상 발생되는 백래쉬현상으로 인하여 미세한 오차가 발생되어져 피가공물에 대한 정밀한 치수가공이 불가능해지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공작기계의 핸들구조에서 드러난 여러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핸들의 일측 외주연에는 눈금이 각인형성된 가변눈금표시부를 안착설치하여서 전체 핸들제작의 작업공수를 크게 절감시키는 동시에 기준눈금표시부와 가변눈금표시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하며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제어를 구현하게 됨으로써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시의 치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의 핸들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체에 고정되는 지지편상에 전자석을 고정 설치하고 핸들의 일측에는 상기 전자석의 작동에 의해 전자석에 부착결합되거나 이격되어질 수 있는 위치고정판을 설치하여 핸들고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백래쉬 방지부재를 부가 형성해 주어 핸들의 초기위치를 요동없이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므로써, 기준눈금 0에 맞추기 위하여 핸들의 초기 회전동작시 핸들이 고정되어 회전축과 공구대 또는 왕복대간의 나사결합 부분에서 발생되는 백래쉬 현상을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작업시의 치수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의 핸들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제3도 내지 제5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핸들구조는, 가공체가 설치되는 공구대(미도시) 또는 피가공물이 설치되는 왕복대(미도시)와 그 일단이 나사결합되어진 회전축(400)을 가지는 통상의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공작기계의 본체(1) 일측에는 지지구(110)가 부착결합되고, 상기 지지구(110)상에는 경첩에 의해 소정각도 회동가능한 투명재질의 투영체(120)가 결합되었다.
상기 투영체(120)는 그 선단측 저면에 눈금이 각인 형성된 기준눈금 표시부(140)가 구비되었고, 내부에는 후단측으로 부터 다발형태로 연장되어져 끝단에서 빛을 발산하게 되는 광섬유가 발광체(130)로서 사용되었으며, 상기 발산된 빛을 집광하기 위한 렌즈(150)가 구성되었고, 투영체(120)의 선단측에는 일정구간에서 경사형성된 반사면(120a)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집광되어진 빛을 하향으로 반사시키는 프리즘 역할을 수행토록 하였다.
한편, 상기 발광체(130)로서는 광섬유 외에도 LED등의 여타장치들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핸들(300)의 내측에는 회전축(400)을 중심으로 외경크기를 각각 달리하는 제1, 제2플랜지(320)(330)가 형성되고, 그중 제1플랜지(320)상에는 외주연에 눈금이 각인형성된 가변눈금표시판(200)이 회동가능하게 안착되었다.
이때, 상기 가변눈금표시판(200)은 제1플랜지(320) 일단에 결합되는 링형태의 이탈방지구(210)에 의해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됨과 더불어 핸들(300)의 일측부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고정볼트(220)로써 그 고정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먼저 이송하고자 하는 공구대 또는 왕복대상에 적정가공을 취하기 위한 가공체(바이트, 연삭숫돌등) 또는 가공대상의 피가공물을 고정설치한 후, 상기 공구대 또는 왕복대와 끝단이 나사결합되어 있는 회전축(400)상에 고정설치되어진 핸들(300)을 회전시켜 공구대 또는 왕복대상에 고정된 가공체 또는 피가공물에 대한 설정치수의 가공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가공작업과정에서 피가공물에 대한 보다 정밀한 치수가공 및 다량의 피가공물을 동일칫수로 연속 가공해야 하는 경우에는, 핸들(300)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고정볼트(220)를 체결하여 가변눈금표시판(200)을 가압해줌으로써 핸들(300)의 회전과 동시에 가변눈금판표시판(200) 역시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한 다음 투영체(120) 내부에 위치한 발광체(130)를 작동시켜 주면, 발광되어 퍼지는 빛은 렌즈(150)에 의해 모아지면서 선단의 반사면(120a)에서는 하향으로 반사되어진 후, 기준눈금표시부(140)를 통과해 가변눈금표시판(200)에 조사되어 지게 된다.
이와같이 발광체(130)의 빛이 조사되어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핸들(300)을 조정하여 가변눈금표시판(200)의 눈금과 기준눈금 표시부(140)의 눈금을 상,하방향 서로 겹쳐 놓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일치시키며 가공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설정가공치수만큼의 공구대 또는 왕복대의 정확한 이송거리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작업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5도에 나타낸 일 실시예의 구조에 핸들고정장치를 추가로 설치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핸들(300) 내측의 제2플랜지(330) 상단부에는 소정두께를 갖는 핸들고정판(530)을 결합하고, 이와 대응되어질 수 있는 위치에서 전자석(520)이 지지편(51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지며, 상기 지지편(510)은 그 일단이 공작기계의 본체(1)상에 부착결합되되 타단은 핸들(300)의 제2플랜지(330)에 착설된 베어링(330)에 의해 지지되어진다. 상기 베어링(330)은 별도의 베어링이탈방지구(550)에 의해 그 이탈이 방지되어지는데, 상기 베어링이탈방지구(550)는 회전축(400)이 중심을 관통되어지는 링형태로 이루어져 핸들(300)에 나사고정되어지게 된다.
상기 핸들고정판(530)은 지지편(510)의 적소에 고정설치된 전자석(5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전자석(520)과 이격되거나 부착결합되어지면서 핸들을 고정시킬 수 있게된다.
즉, 상기 핸들(300)에 고정설치된 가변눈금표시판(200)의 눈금을 기준눈금표시부(140)의 기준눈금과 일치시킨 후 전자석(520)을 작동시켜 주면, 핸들(300)에 고정설치된 핸들고정판(530)은 상기 전자석(520)에 부착결합되어져 결국 핸들(300)은 기준위치에서 정지하고 요동없는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회전축(400)과 공구대 또는 왕복대와의 나사결합 부분에서 발생되는 백래쉬현상을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핸들(300)에 의한 오차발생 여지를 최소화해 피가공물에 대한 보다 정밀한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핸들(300)의 고정상태에서 초기위치 기준눈금 0점을 설정하고 핸들(300)의 이송을 위해 핸들(300)을 회전시켜 주어야 할 경우에는 전자석(520)의 작동을 해제하여 핸들고정판(530)과 이격되도록 하는 간단한 작동으로서 핸들(300)의 구속은 해지가 되고 이어 상기 핸들(300)을 재조작하여 가공체 또는 피가공물의 이송을 수행하여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기준눈금표시부 전체에 눈금을 각인형성하여야 하는 가공상의 어려움을 배제하여 전체 핸들제작의 작업공수를 크게 절감시키는 동시에 기준눈금표시부와 가변눈금표시판의 눈금비교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하며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제어가 구현됨으로써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작업시의 치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백래쉬 방지부재를 부가 설치하여 핸들과 초기 회전동작시 회전축과 공구대 또는 왕복대간의 나사결합부분에서 발생되는 백래쉬 현상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며 0점조정시 핸들의 움직임이 없이 피가공물에 대해 보다 정밀한 설정치수의 가공작업을 행할 수 있는 등의 여러장점을 가지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가공체가 설치되는 공구대 또는 피가공물이 설치되는 왕복대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착설된 회전축(400)과, 상기 회전축(400)의 일단에 핸들(300)이 결합되어진 통상의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핸들(300)의 내측에 형성된 제1플랜지(320)에는 눈금이 각인 형성된 가변눈금표시판(200)이 유동가능하게 안착 설치되되, 상기 가변눈금표시판(200)은 이탈방지구(210)에 의해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됨과 더불어 핸들(300)의 외측으로부터 관통되어진 고정볼트(220)에 의해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고; 상기 가변눈금표시판(200)의 상부 소정높이에는 지지구(110)에 의해 지지되는 투명재질의 투영체(120)가 위치하되, 상기 투영체(120)에는 선단측 저면에 소정길이의 기준눈금이 각인형성된 기준눈금표시부(140) 및 내부발광을 위한 발광체(130), 그리고 상기 발광체(130)로부터 발광된 빛을 하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120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공작기계의 핸들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300)의 내측에는 핸들고정판(53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핸들고정판(530)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전자석(520)이 위치하되, 상기 전자석(520)은 공작기계의 본체(1)에 일단이 부착 결합된 지지편(510)에 고정됨으로서 그 위치가 지지되며; 상기 지지편(510)의 타단은 핸들(300) 내측의 제2플랜지(330)에 안착된 베어링(330)에 지지되어지되, 상기 베어링(330)은 베어링 이탈방지구(55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핸들구조.
KR2019950053475U 1995-12-29 1995-12-29 공작기계의핸들구조 KR200227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475U KR200227709Y1 (ko) 1995-12-29 1995-12-29 공작기계의핸들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475U KR200227709Y1 (ko) 1995-12-29 1995-12-29 공작기계의핸들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692U KR970027692U (ko) 1997-07-24
KR200227709Y1 true KR200227709Y1 (ko) 2001-09-17

Family

ID=6090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3475U KR200227709Y1 (ko) 1995-12-29 1995-12-29 공작기계의핸들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7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722B1 (ko) * 2019-10-21 2020-12-08 김경조 드릴링 머신 설치용 작업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722B1 (ko) * 2019-10-21 2020-12-08 김경조 드릴링 머신 설치용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692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4743A (en) Device for positioning circular semiconductor wafers
US4907035A (en) Universal edged-based wafer alignment apparatus
JPH0812057B2 (ja) 光ビーム装置
ATE173971T1 (de) Maschine zum schneiden und separieren von flachen keramischen werkstücken und dergleichen
JPH01274981A (ja) 工業用ロボットの位置補正装置
JPS6186604A (ja) 光学的位置読取り装置
US3486237A (en) Positioning tool for vacuum chamber workholder
KR200227709Y1 (ko) 공작기계의핸들구조
JP2004301826A (ja) 光学式エンコーダ
US4383760A (en) Device for positioning an object relative to a carrier means
US2959087A (en) Precision optical measuring device
US4320581A (en) Leveling
US3083594A (en) Jig bore rotary table
US3268731A (en) Photosensitive calibrated kerf control
US3128383A (en) Calibrated kerf control for the projecting lens of a sensing head
US3578868A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precision mounting of tools in tool holders
JP2019015704A (ja) カム形状測定装置
CN209803464U (zh) 分光装置、激光发生装置以及刻划设备
US3552374A (en) Grinding wheel dresser
US3363963A (en) Precision optical measuring device and method
US6401348B1 (en) Electrodynamic rotational axis acquisition tool
JP2509829B2 (ja) レ―ザ出射ユニット
JPH0637373Y2 (ja) 測距装置
JPH03104541A (ja) 工作機械の主軸方向調節方法
US3216114A (en) Precision scrib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