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572Y1 - 배수형 보차도 경계석과 결합되는 엘형측구 거푸집 - Google Patents

배수형 보차도 경계석과 결합되는 엘형측구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572Y1
KR200227572Y1 KR2020000035436U KR20000035436U KR200227572Y1 KR 200227572 Y1 KR200227572 Y1 KR 200227572Y1 KR 2020000035436 U KR2020000035436 U KR 2020000035436U KR 20000035436 U KR20000035436 U KR 20000035436U KR 200227572 Y1 KR200227572 Y1 KR 200227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boundary stone
gradient
sidewalk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강호
Original Assignee
박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강호 filed Critical 박강호
Priority to KR2020000035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5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57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형 보차도 경계석과 결합되는 엘(L)형측구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형측구의 시공을 간편하고 빠르게 함은 물론 경계석의 구배조절용홈에 맞추어 엘형측구의 구배가 빗물받이로 잘 이루어지도록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보차도 경계석(1)과 결합되는 엘형측구(2)의 거푸집(3)에 있어서, 상기 보차도 경계석(1)의 하부측에 형성된 구배조절용홈(11)과, 상기 구배조절용홈(11)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통공(41)(42)이 형성된 구배조절용철판(4)과, 상기 구배조절용홈(11)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12)과, 상기 고정홈(12)에 나사식으로 삽입되는 거푸집고정용철물(5)과, 상기 거푸집고정용철물(5)의 선단부에 상기 구배조절용철판(4)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너트체결부(54) 및 후단부에 통공(31)이 형성된 거푸집(3)을 삽입하여 나비너트(52)로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나비너트체결부(51)와, 상기 거푸집(3)의 양단부에 형성된 돌출부(32)와, 상기 돌출부(32)에 수직으로 거푸집고정봉(34)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33)이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형 보차도 경계석과 결합되는 엘형측구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수형 보차도 경계석과 결합되는 엘형측구 거푸집{A mold for L drain-outlet connected to border stone between sidewalk and roadway}
본 고안은 배수형 보차도 경계석과 결합되는 엘(L)형측구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형측구의 시공을 간편하고 빠르게 함은 물론 경계석의 구배조절용홈에 맞추어 엘형측구의 구배가 빗물받이로 잘 이루어지도록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보차도 경계석과 그 주변에 인접하여 시공되는 L형측구는 그 시공방법에 있어서, 먼저 보조기층 및 동상방지지층을 시공한후 그 위에 인도와 접해지는 면에는 경계석을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경계석과 인접하는 면에는 엘형측구를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엘형측구는 중간중간에 설치되는 빗물받이에 맞추어서 구배를 갖도록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로에 모이는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엘형측구의 구배를 잡기 위해서는 인도와 접하여 설치된 경계석의 면에 먹줄을 뛰겨서 구배를 잡은 후 엘형측구를 시공하게 되지만, 상기 엘형측구 시공시 콘크리트타설에 의하여 구배를 잡아놓은 먹줄이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시공자는 눈짐작으로 빗물받이를 따라 구배를 잡으면서 시공하게 되므로 엘형측구의 경사면은 그 구배가 일정하게 맞지 않고 중간중간에 낮고 높은 부분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시공이 완료되어 비가 오게 되면 상기 엘형측구의 낮은 부분에는 물이 고여서 도로를 지저분하게 만들게 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엘형측구 시공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엘형측구의 폭이 좁기 때문에 거푸집설치가 용이하지 않아 일측에 돌이나 흙등으로 거푸집을 지지하거나, 지지대로 거푸집의 상부면을 서로 지지하여 고정하지만, 콘크리트 타설시 허름하게 설치된 거푸집은 압을 견디지 못하여 터지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 상부면에 설치된 지지대로 인하여 엘형측구의 상부면을 깨끗하게 마감 할 수 없는 폐단도 발생되었던 것이다.
그 뿐만아니라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엘형측구와 인접한 경계석이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분리가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어 인도와 도로의 경계를 유지하는 보차도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는 폐단도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고자 개량 안출한 것으로, 경계석의 하부면에 구배를 잡기 위한 구배조절용홈을 형성하여 미리 경계석으로 구배를 잡은 후 엘형측구를 구배조절용홈을 따라 빗물받이로 시공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구배가 잘 잡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배수형 보차도 경계석에 거푸집고정용철물을 결합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엘형측구를 시공할 때 콘크리트에 타설에 의한 압을 유지하여 거푸집이 터지지 못하도록 함은 물론 경계석과 엘형측구가 시공 후에도 서로 일체가 되어 경계석이 분리되지 못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경계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배조절용철판과 거푸집고정용철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시공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보차도 경계석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보차도 경계석에 거푸집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보차도 경계석 2. 엘형측구
3. 거푸집 4. 구배조절용철판
5. 거푸집고정용철물 6. 구배조절용면목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보차도 경계석(1)과 결합되는 엘형측구(2)의 거푸집(3)에 있어서, 상기 보차도 경계석(1)의 하부측에 형성된 구배조절용홈(11)과, 상기 구배조절용홈(11)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통공(41)(42)이 형성된 구배조절용철판(4)과, 상기 구배조절용홈(11)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12)과, 상기 고정홈(12)에 나사식으로 삽입되는 거푸집고정용철물(5)과, 상기 거푸집고정용철물(5)의 선단부에 상기 구배조절용철판(4)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너트체결부(56) 및 후단부에 통공(31)이 형성된 거푸집(3)을 삽입하여 나비너트(52)로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나비너트체결부(51)와, 상기 거푸집(3)의 양단부에 형성된 돌출부(32)와, 상기 돌출부(32)에 수직으로 거푸집고정봉(34)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33)이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형 보차도 경계석과 결합되는 엘형측구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차도 경계석(1)에 구배조절용홈(11)이 없을 경우 보차도 경계석(1)과 엘형측구(2)의 접촉면에 양면접착테이프(6)가 형성된 구배조절용면목(61)을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형 보차도 경계석과 결합되는 엘형측구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경계석(1)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부(7)와, 상기 돌출부(7)에 다수의 고정공(7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차도 경계석과 결합되는 엘형측구의 경계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먼저 배수용 보차도 경계석(1)을 콘크리트로 제작하고, 이때 상기 배수용 보차도 경계석(1)에는 하부에 구배조절용홈(11)이 횡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그 하단에는 다수의 고정홈(12)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12)에 나사식으로 삽입되는 거푸집고정용철물(5)을 주문제작 또는 공장에서 직접 제작하는 것이다. 또 상기 거푸집고정용철물(5)은 선단부에 나사산(53)이 형성되게 하여 고정너트(56)를 체결하여 너트체결부(56)를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거푸집(3)이 삽입되도록 고정너트(54)를 나사식으로 끼워서 고정한 후 플레이트(55)를 삽입하여 나비너트체결부(51)를 형성한 후 거푸집(3)을 고정하기 위한 나비너트(52)를 나사식으로 삽입하여 일조를 이루는 것이다. 또 상기 거푸집고정용철물(5)에 삽입되는 거푸집(3)도 면부에는 거푸집고정용철물(5)에 삽입되는 통공(31)을 천공하고, 양단에는 돌출부(32)를 형성하게 하고, 상기 돌출부(32)에는 거푸집고정봉(34)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33)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배조절용홈(11)에 장착되는 구배조절용철판(4)을 제작하여 상기 부품과 전체가 일조를 이루어서 현장에서 하기와 같이 시공하면 되는 것이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도로와 인접하는 인도에 기존의 방법과 같이 보조기층 및 동상방지지층(7)을 잡석으로 다진후, 그 위에 기층(8)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층(8)위에 먼저 인도와 도로가 접하는 면에 기초콘크리트(9)를 타설하여 보차도 경계석(1)을 안착하여 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차도 경계석(1)은 중간중간에 설치되는 빗물받이(도면에 미도시)에 맞추어 구배를 맞추어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보차도 경계석(1)의 하부면에 형성된 구배조절용홈(11)도 자연스럽게 구배가 잡혀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차도 경계석(1)의 시공 완료후 보차도 경계석(1)과 인접하는 면에 엘형측구(2)를 콘크리트로 타설하면서 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시공된 보차도 경계석(1)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12)으로 거푸집고정용철물(5)의 나사산(53)을 나사식으로 삽입하기 전에 먼저 선단부인 너트체결부(56)로 구배조절용철판(4)에 형성된 통공(41)(42)통해 구배조절용철판(4)을 끼우고 나서 거푸집고정용첨물(5)을 나사식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고정너트(57)를 회전시켜서 구배조절용철판(4)을 보차도 경계석(1)의 전면에 밀착시켜서 고정시킨다. 이때 구배조절용철판(4)은 보차도 경계석(1)의 구배조절용홈(11)의 구배에 맞출 수 있도록 통공(41)(42)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후단부의 나비너트체결부(51)로는 거푸집(3)에 천공된 통공(31)을 통해 거푸집고정용철물(5)에 삽입한 다음, 나비너트(52)로 조여서 거푸집(3)을 수평으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거푸집(3)의 양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32)에 형성된 삽입공(33)으로 거푸집고정봉(34)을 삽입하여 수직으로 거푸집(3)을 고정시킨다.
상기 보차도 경계석(1)에 횡으로 형성된 구배조절용홈(11)에 구배조절용철판(4)을 장착한후 거푸집(1)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엘형측구(2)는 시공이 되는 것이다. 이때 엘형측구(2)는 중간중간에 설치되는 빗물받이로 빗물 등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해 구배를 잡으면서 마감면을 시공하면 되는 것이다. 즉, 이미 보차도 경계석(1)은 구배를 잡아 시공이 완료되어 있으므로 경계석에 형성된 구배조절용홈(4)에 장착된 구배조절용철판(4)을 따라 마감면을 시공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엘형측구(2)도 또한 빗물받이로 구배가 잡히면서 마무리 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엘형측구(2)가 완성되어 양생이 된 다음에는 거푸집(3)을 분리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거푸집고정용철물(5)의 단부인 나비너트체결부(51)에 삽입된 나비너트(52)를 풀고 거푸집(3)의 돌출부(32)에 형성된 삽입공(33)에 삽입된 거푸집고정봉(34) 인출한 후 거푸집(3)을 분리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3)이 분리되면 구배조절용철판(4)과 거푸집고정용철물(5)은 보차도 경계석(1)과 연결이 되면서 엘형측구(2)에 묻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차도 경계석(1)은 엘형측구(2)와 일체가 되어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차도 경계석(1)의 구배조절용홈(11)에 장착된 구배조절용철판도 일체가 되어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보차도 경계석(1)이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기성품이 아니라 돌로 형성된 보차도 경계석(1)으로 구배조절용홈(11)을 형성하지 못할 때에의 엘형측구(2)를 빗물받이로 향해 구배를 맞추면서 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기존의 지반을 다진후 보차도 경계석(1)을 설치하고 나서 엘형측구(2)에 대한 구배를 잡기 위해서는 먼저 먹줄로 빗물받이로 향하게 구배를 잡아 보차도 경계석(1)에 먹줄을 뛰긴후 상기 먹줄에 맞추어 구배조절용면목(6)을 부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배조절용면목(6)은 후면에 양면접착테이프(6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차도 경계석(1)에 쉽게 부착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차도 경계석(1)에 구배를 맞추어 구배조절용면목(6)을 부착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엘형측구(2)의 상부면을 구배조절용면목(6)을 따라 마감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구배조절용면목(6)은 구배가 잡혀있으므로 이를 따라 엘형측구(2)의 상부면을 마감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엘형측구(2)는 구배가 잡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엘형측구(2)가 완성된 후에 구배조절용면목(6)을 분리하면 엘형측구(6)의 시공은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6의 보차도 경계석의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와는 반대로 보차도 경계석(1)의 하부에 구배조절용홈(11)을 형성하는 대신에 돌출부(7)를 형성하여도 동일한 기술적 구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7)를 형성하고 있는 보차도 경계석(1)에 거푸집조절용철물(5)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7에 나타내는 단면도와 같이, 상기 돌출부(7)에 고정공(71)을 다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공(71)으로 거푸집조절용철물(5)의 선단부에 통공(41)(42)을 형성하고 있는 구배조절용철판(4)을 끼워서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고정너트(57)로 고정하여 제 1실시예와 같이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보차도 경계석과 인접하여 시공되는 엘형측구의 구배를 경계석에 형성되는 구배조절용홈이나 구배조절용면목을 따라서 시공하게 되면 간단하게 중간중간에 설치되는 빗물받이로 구배를 잡으면서 시공이 이루어지고 또 빗물받이에 모이는 빗물 등은 원활하게 빗물받이로 유도되기 때문에 엘형측구에는 빗물이 고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보차도 경계석(1)과 결합되는 엘형측구(2)의 거푸집(3)에 있어서,
    상기 보차도 경계석(1)의 하부측에 형성된 구배조절용홈(11)과,
    상기 구배조절용홈(11)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통공(41)(42)이 형성된 구배조절용철판(4)과,
    상기 구배조절용홈(11)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12)과,
    상기 고정홈(12)에 나사식으로 삽입되는 거푸집고정용철물(5)과,
    상기 거푸집고정용철물(5)의 선단부에 상기 구배조절용철판(4)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너트체결부(54) 및 후단부에 통공(31)이 형성된 거푸집(3)을 삽입하여 나비너트(52)로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나비너트체결부(51)와,
    상기 거푸집(3)의 양단부에 형성된 돌출부(32)와,
    상기 돌출부(32)에 수직으로 거푸집고정봉(34)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33)이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형 보차도 경계석과 결합되는 엘형측구거푸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차도 경계석(1)에 구배조절용홈(11)이 없을 경우 보차도 경계석(1)과 엘형측구(2)의 접촉면에 양면접착테이프(6)가 형성된 구배조절용면목(61)을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형 보차도 경계석과 결합되는 엘형측구거푸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차도 경계석(1)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부(7)와, 상기 돌출부(7)에 다수의 고정공(7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차도 경계석과 엘형측구거푸집.
KR2020000035436U 2000-12-18 2000-12-18 배수형 보차도 경계석과 결합되는 엘형측구 거푸집 KR200227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436U KR200227572Y1 (ko) 2000-12-18 2000-12-18 배수형 보차도 경계석과 결합되는 엘형측구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436U KR200227572Y1 (ko) 2000-12-18 2000-12-18 배수형 보차도 경계석과 결합되는 엘형측구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572Y1 true KR200227572Y1 (ko) 2001-06-15

Family

ID=7306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436U KR200227572Y1 (ko) 2000-12-18 2000-12-18 배수형 보차도 경계석과 결합되는 엘형측구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5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379B1 (ko) 2013-03-21 2013-07-15 박해영 콘크리트포장도로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379B1 (ko) 2013-03-21 2013-07-15 박해영 콘크리트포장도로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87633A (zh) 组合透水砖及其制造和施工方法
US8894324B2 (en) Drain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0869292B1 (ko) 다공석 배수판을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설치방법
KR200227572Y1 (ko) 배수형 보차도 경계석과 결합되는 엘형측구 거푸집
KR100757453B1 (ko) 연결.설치가 용이한 분리형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아파트단지 내의 도로 시공방법
JP2021008764A (ja) 防草構造を有する側溝部材、側溝板、基礎ブロック、境界構造、ならびに、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セット
CN206189239U (zh) 一种防溅水地砖
JP5807135B1 (ja) ブロック用防草部材
JP4000580B2 (ja) 排水装置内包縁石
CN1337494A (zh) 人造草皮
JP3793851B2 (ja) 橋面舗装体の排水構造
CN203668793U (zh) 一种组合路沿石
CN206570637U (zh) 一种带有排水孔的路沿石
CN106284024A (zh) 一种防溅水地砖
CN207714483U (zh) 一种用于城市沥青混凝土路面低洼处排水系统
KR100561748B1 (ko) 토목 및 도로 교통 시설물 설치용 기둥의 매설형 하부 기초
JP3143782B2 (ja) 排水性舗装用排水路
KR200313936Y1 (ko) 보도블록
KR100660368B1 (ko) 보도블록의 침하가 방지되는 보행자 도로
KR200185705Y1 (ko) 배수기능을 갖는 보도블럭 경계석
KR100951694B1 (ko) 식재공간이 구비된 조립식 보차도경계블록
KR200361659Y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KR200435930Y1 (ko) 식재용 보차도 경계블럭
KR200354440Y1 (ko)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
KR100580614B1 (ko)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