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556Y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556Y1
KR200227556Y1 KR2020000034942U KR20000034942U KR200227556Y1 KR 200227556 Y1 KR200227556 Y1 KR 200227556Y1 KR 2020000034942 U KR2020000034942 U KR 2020000034942U KR 20000034942 U KR20000034942 U KR 20000034942U KR 200227556 Y1 KR200227556 Y1 KR 200227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drain
air conditioner
condensate
drain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환
김도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4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5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556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응축수받이에 형성되는 비상용 배수구의 강성을 보강시킴으로써 응축수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배수구가 형성된 응축수받이,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마개, 상기 마개가 끼워지는 부분의 강성보강을 위해 상기 배수구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끼워지며 상호 걸려서 지지되는 제1소켓과 제2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소켓과 제2소켓의 일단에 상기 배수구의 상부와 하부에 걸리는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소켓과 제2소켓이 상호 접하는 내면과 외면에 걸림턱과 걸림홈이 마련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응축수받이에 형성되는 비상용 배수구의 강성을 보강시킨 배수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실내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시키기 위한 열교환기가 설치되고, 열교환기의 하부에는 열교환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모아서 배출시키기 위한 응축수받이가 설치된다.
이때 응축수받이에 고인 응축수는 응축수받이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해 자연 배수가 되도록 하기도 하지만, 실내기가 천정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천정 매입형 공기조화기처럼 배수여건이 열악한 경우에는 응축수받이에 고인 응축수를 배수펌프를 이용해 강제로 배수시키기도 한다. 그리고 이처럼 배수펌프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는 배수펌프의 고장이 발생했을 때 또는 기기의 수리를 위해 실내기를 분리할 때를 대비하여 응축수받이에 고인 응축수를 배수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비상용 배수장치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 천정 매입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에 마련된 비상용 배수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패널(1) 내측에는 열교환기(2)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모아서 배출시키기 위한 응축수받이(3)가 설치되는데, 이 응축수받이(3)는 단열을 목적으로 통상의 발포수지인 스티로폴(Styropor)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응축수받이(3)에 마련되는 비상용 배수장치(4)는 배수구(5)의 강성의 보강을 위한 원통형의 소켓(6)과, 이 소켓(6)에 결합되어 배수구(5)를 폐쇄하는 마개(7)를 포함한다.
이때 소켓(6)은 배수구(5)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에 플렌지부(6a)를 구비하며, 소켓(6)의 외면과 배수구(5)의 내면에 접착용 실리콘(8)이 도포된 상태에서 응축수받이(3)의 내부로부터 하부로 압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마개(7)는 소정의 탄성을 가진 고무재로 마련되며, 응축수받이(3)의 하부로부터 소켓(6)에 끼워짐으로써 배수구(5)를 폐쇄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종래 공기조화기의 비상용 배수장치는 장기간 사용으로 마개(7)의 개폐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마개(7)를 소켓(6)에 끼우는 과정에서 소켓(6)이 실리콘(8)으로부터 이격되어 응축수가 누설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배수장치는 소켓(6)의 상부에만 플랜지부(6a)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6)에 마개(7)를 끼울 때 무리한 힘이 가해질 경우 소켓(6)이 마개(7)에 밀려서 상부로 이탈됨으로 인해 응축수가 누설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구에 장착되는 소켓의 구조개선을 통해 마개의 잦은 개폐에도 소켓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응축수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한 배수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비상용 배수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장치가 적용된 천정 매입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천정 매입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와 천청패널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비상용 배수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본체케이스, 21: 원심팬,
23: 열교환기, 24: 응축수받이,
25: 배수펌프, 30: 천정패널,
31: 흡입구, 32: 토출구,
40: 배수장치, 41: 배수구,
42: 마개, 43: 제1소켓,
43a: 제1소켓의 플랜지부, 43b: 걸림홈,
44: 제2소켓, 44a: 제2소켓의 플랜지부,
44b: 걸림턱, 45a,45b: 배수구의 단차부,
46: 실리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수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배수구가 형성된 응축수받이,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마개, 상기 마개가 끼워지는 부분의 강성보강을 위해 상기 배수구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끼워지며 상호 걸려서 지지되는 제1소켓과 제2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소켓과 제2소켓의 일단에는 상기 배수구의 상부와 하부에 걸리는 플랜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소켓과 제2소켓이 투명한 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소켓과 제2소켓은 둘 중 어느 하나의 외경이 다른 하나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며 상호 접하는 부분에 걸림턱과 걸림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천정 매입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10) 내부로 진입되어 설치되는 상자형의 본체케이스(20)와, 본체케이스(20)의 진입을 위해 형성된 천정의 개구(11)를 덮는 천정패널(30)을 구비한다.
본체케이스(20) 내부에는 중앙에 실내공기의 순환을 위한 통상의 원심팬(21)과, 이 원심팬(21)을 구동시키는 모터(22)가 설치된다. 원심팬(21)의 주위에는 원심팬(21)의 구동에 의해 본체케이스(20)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을 하도록 원심팬(21)의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배치된 사각통 형상의 열교환기(23)가 설치된다. 열교환기(23)의 하부에는 열교환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모아서 배출할 수 있도록 응축수받이(24)가 설치된다. 그리고 천정패널(30)에는 중앙에 실내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31)가 형성되고, 천정패널(30)의 둘레와 인접하는 외측으로는 좁고 길게 마련된 다수의 토출구(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열교환기(23) 하부의 응축수받이(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23)의 하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열교환기(23)에서 흘러내린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열교환기(23)의 구조에 대응하는 사각의 패널로 이루어지며, 천정패널(31)의 흡입구와 대응하는 중앙이 관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 이러한 응축수받이(24)는 열교환기(23)의 한기가 천정패널(3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천정패널(30)에 이슬맺힘이 생기지 않도록 재질이 통상의 발포수지인 스티로폴로 이루어진다. 또 응축수받이(24)의 일측 모서리에는 응축수가 모이는 집수부(24a)가 마련되며, 집수부(24a)에는 응축수의 강제배수를 위한 배수펌프(25)가 설치된다.
그리고 응축수받이 바닥면에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으로 배수펌프(25)의 고장이 발생했을 때나 공기조화기의 수리를 위해 실내기를 분리할 때 응축수받이(24)에 고인 응축수를 배수시킬 목적으로 별도의 비상용 배수장치(40)가 마련된다.
이 배수장치(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받이(24)의 바닥면에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배수구(41)와, 이 배수구(41)를 막아주는 마개(42)를 포함하며, 마개(42)가 끼워지는 부분의 강성보강을 위해 배수구(41)에 결합된 제1소켓(43)과 제2소켓(44)을 포함한다. 그리고 천정패널(30)에는 배수구(41)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개(42)의 개폐를 위한 관통공(34)이 형성된다.
제1소켓(43)과 제2소켓(44)은 원통형으로 마련되며, 배수구(41)의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지는 제1소켓(43)이 배수구(41)의 하부에서 상부로 끼워지는 제2소켓(44)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2소켓(44)의 외경은 배수구(41)의 내경과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제1소켓(43)의 외경은 제2소켓(44)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마개(42)는 제1소켓(43)의 내면에 끼워지도록 제1소켓(43)의 내경에 대응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압입되어 결합되도록 외경이 점차 커지는 테이퍼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소켓(43)과 제2소켓(44)의 일단에는 이들이 결합될 때 배수구(41)의 상부와 하부에 걸릴 수 있도록 플랜지부(43a,44a)가 마련되며, 배수구(41)의 상부와 하부에는 플랜지부(43a,44a)의 수용을 위한 단차부(45a,45b)가 형성된다. 이는 제1소켓(43)과 제2소켓(44)이 결합되었을 때 플랜지부(43a,44a)가 응축수받이(24)의 상면과 바닥면에 돌출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1소켓(43)의 외면과 제2소켓(44)의 내면에는 이들이 결합되었을 때 상호 걸려서 지지될 수 있도록 걸림홈(43b)과 걸림턱(44b)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예는 걸림홈(43b)이 제1소켓(43)의 외면 둘레을 따라 형성되고 걸림턱(44b)이 제2소켓(44)의 내면에 형성된 것이나, 이들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걸림홈(43b)이 제2소켓(44)이 형성되고 걸림턱(44b)이 제1소켓(43)에 형성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구성의 제1소켓(43)과 제2소켓(44)을 배수구(41)에 결합할 때는 먼저 배수구(41)의 내면에 접착용 실리콘(46)을 도포한 후 배수구(41)의 하부로부터 제2소켓(44)을 끼워서 고정하고, 다음으로 배수구(41)의 상부로부터 제1소켓(43)을 끼워서 고정한다. 이때 제1소켓(43)과 제2소켓(44)의 플렌지부(43a,44a)는 각각 배수구(41)의 상·하부에 형성된 단차부(45a,45b)에 걸리며, 제2소켓(44)의 걸림턱(44b)이 제1소켓(43)의 걸림홈(43b)에 진입되면서 상호 결속된다.
이러한 결합과정에서 제1소켓(43)의 플랜지부(43a)와 배수구(41)의 상측 단차부(45a)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응축수받이(24) 내면에 부착되는 방수시트(26)가 배수구의 상측 단차부(45a) 내부로 진입되도록 해야하며, 상측 단차부(45a) 내부로 진입된 방수시트(26) 위에 접착용 실리콘(46)을 도포한 후 제1소켓(43)의 플랜지부(43a)가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소켓(43)과 제2소켓(44)은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어 이들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실리콘(46)의 도포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장치가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배수동작을 설명한다.
실내공기의 열교환과정에서 열교환기(23)의 표면에 생성된 응축수는 열교환기(23)의 하부에 설치된 응축수받이(24)에 고인다. 그리고 응축수받이(24)에 고인 응축수는 응축수받이(24) 일측의 집수부(24a)로 흘러서 배수펌프(25)의 구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배수펌프(25)의 고장이 발생했을 때나 공기조화기의 수리 또는 이동 설치를 위해 공기조화기를 분리할 때는 응축수받이(24)에 고인 응축수를 배수시켜야 하는데, 이때는 비상용 배수장치(40)를 통해 배수시킨다. 즉 사용자가 천정패널(30)의 하부에서 제1소켓(43)에 끼워진 마개(42)를 열어 응축수를 배수시킨다. 그리고 배수가 완료된 후에는 다시 마개(42)를 막아둔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배수장치(40)는 제1소켓(43)이 걸림홈(43b)과 걸림턱(44b)을 통해 제2소켓(44) 내면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이고, 제2소켓(44)이 플랜지부(44a)를 통해 배수구(41)의 하측 단차부(45b)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마개(42)를 하부에서 상부로 가압하여 끼우더라도 제1소켓(43)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응축수받이의 배수구에 결합되는 소켓이 배수구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제1소켓과 제2소켓으로 이루어지고, 제1소켓과 제2소켓이 걸림홈과 걸림턱을 통해 상호 걸려서 지지되기 때문에 배수구의 강성이 크게 강화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개의 잦은 개폐에도 소켓의 흔들림과 이탈이 방지되기 때문에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배수구가 형성된 응축수받이,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마개, 상기 마개가 끼워지는 부분의 강성보강을 위해 상기 배수구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끼워지며 상호 걸려서 지지되는 제1소켓과 제2소켓을 포함하는 배수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켓과 제2소켓의 일단에는 상기 배수구의 상부와 하부에 걸리는 플랜지부가 마련된 배수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켓과 제2소켓은 둘 중 어느 하나의 외경이 다른 하나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며 상호 접하는 부분에 걸림턱과 걸림홈이 마련된 배수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켓과 제2소켓이 투명한 재질로 된 배수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20000034942U 2000-12-13 2000-12-13 공기조화기 KR200227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42U KR200227556Y1 (ko) 2000-12-13 2000-12-13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42U KR200227556Y1 (ko) 2000-12-13 2000-12-1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556Y1 true KR200227556Y1 (ko) 2001-06-15

Family

ID=7306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942U KR200227556Y1 (ko) 2000-12-13 2000-12-13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5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86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
JPH10246470A (ja) 分離型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200227556Y1 (ko) 공기조화기
JP5611156B2 (ja) モーターの取り付け・取り外し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00257905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US20160245578A1 (en) Indoor unit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11148947B (zh) 空调装置的室内机以及空调装置
KR20130054624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수 역류방지장치
JP3730503B2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514824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50120267A (ko)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
JP2003028461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H1163571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3124268B1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構造
KR100258658B1 (ko) 공기조화기
JPH0422176Y2 (ko)
JPH11237081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H1134423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の排水構造
JP3807088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9019794A (ja) ドレンパン及びこのドレンパンを備えた空調機用室内機
JPH0512660Y2 (ko)
JPH05240457A (ja) 空気調和機の排水装置
JP2012163330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H11264586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H11264584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