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159Y1 - Cup holder device of automobile - Google Patents

Cup holder device of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159Y1
KR200227159Y1 KR2019970045117U KR19970045117U KR200227159Y1 KR 200227159 Y1 KR200227159 Y1 KR 200227159Y1 KR 2019970045117 U KR2019970045117 U KR 2019970045117U KR 19970045117 U KR19970045117 U KR 19970045117U KR 200227159 Y1 KR200227159 Y1 KR 200227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vehicle
cup
tilt sensor
li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11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32361U (en
Inventor
한완식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70045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159Y1/en
Publication of KR199900323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36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159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에 설치되어 컵이나 음료 용기 등을 일시 보관하는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중앙부 소정 개소에 장착되어 차량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센서(110)와, 상부 컵 홀더(120)의 종단과 결합되어 입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하와 좌/우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회전부(130)와, 상기 기울기 센서(1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부(130)로 해당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200)를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에 의하여 컵 홀더가 항상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which is installed in a car interior and temporarily stores a cup or a beverage container, and includes a tilt sensor 110 and an upper cup holder 120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vehicle to detect the tilt of the vehicle. Rotating part 130 rotates a predetermined angle up / down and left / right in accordance with an input operation control signal coupled to an end of the control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by the rotating unit 130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tilt sensor 110. The cup holder device including a control device 200 for outputting a signal is to ensure that the cup holder is always horizontal to the ground.

Description

자동차의 컵 홀더 장치(Device for holding cup in vehicle)Device for holding cup in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에 설치되어 컵이나 음료 용기 등을 일시 보관하는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경사 각도에 따라 컵 홀더가 수평 수직방향으로 소정 각도 위치 이동함으로써, 컵이 지면에 대하여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컵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which is installed in a car interior and temporarily stores a cup or a beverage container. In particular, the cup holder is always horizontal to the ground by moving the cup holder at a predetermined angle position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vehicle. It relates to a cup holder device of a vehicle to maintain the.

일반적인 컵 홀더 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a general cup holder devic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

상기한 컵 홀더장치는 컵의 도중을 지지하는 상부 컵 홀더(1)와 상기 상부 컵 홀더(1)의 내측 종단에 힌지(12)에 의하여 탄지되어 있어서 컵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컵 홀더(10)로 구성되는 컵 홀더 및, 상기 상부 컵 홀더(1) 및 하부 컵 홀더(2)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삽입 보관되는 컵 홀더 케이스(2)로 구성된다.The cup holder device is supported by a hinge 12 at an inner end of the upper cup holder 1 supporting the middle of the cup and a lower cup holder 10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cup. ) And a cup holder case (2) inserted and stored when the upper cup holder (1) and the lower cup holder (2) are not used.

상기 상부 컵 홀더(1)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외향 종단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손잡이(27)가 하부가 개방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고, 그 도중에는 컵(28)의 도중이 삽입되도록 일반적인 컵(28)의 도중의 직경에 해당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Looking at the upper cup holder 1 in more detail, the handle 27 is bent in the outward end is formed to open the lower portion for the user's convenience, the middle of the cup 28 is inserted in the middle of the cup 28 The inser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middle part of () is formed.

그리고, 상기 하부 컵 홀더(10)는 상기 상부(10) 컵 홀더에 삽입된 컵(28)의 하향 삽입 위치를 제한함과 아울러 컵(28)의 지지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컵(28)의 하부 소정 개소를 지지할 수 있도록 종단이 상부 컵 홀더(1)와 평행하게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주는 힌지(12)에 의하여 상부 컵 홀더(1)에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wer cup holder 10 may restrict the downward insertion position of the cup 28 inserted into the upper 10 cup holder, and also make the cup 28 more rigid. The end is bent in parallel with the upper cup holder 1 so as to support a predetermined low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ce thereof, and the inner circumference thereof is coupled to the upper cup holder 1 by a hinge 12.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컵 홀더(1) 및 하부 컵 홀더(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상부 컵 홀더(1)를 컵 홀더 케이스(2)내부로 삽입하면, 하부 컵 홀더(10)는 컵 홀더 케이스(2) 내부로 삽입될수록 상부 컵 홀더(1)의 배면을 향하여 근접하게 회전됨으로써, 상부 컵 홀더(1)가 컵 홀더 케이스(2)의 내주로 완전하게 삽입됨과 함께 도 1의 점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컵 홀더(10)도 컵 홀더 케이스(2)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inserts the upper cup holder 1 into the cup holder case 2 when the upper cup holder 1 and the lower cup holder 10 are not used, the lower cup holder 10 1 is rotated closer to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cup holder 1 as it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case 2, so that the upper cup holder 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up holder case 2, and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the lower cup holder 10 is also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case 2.

또한, 상기 하부 컵 홀더(10)의 후단이 힌지핀(12)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컵 홀더 케이스(2)로부터 상부 컵 홀더(1)를 사용자가 빼내는 경우, 즉 컵(28)등을 올려놓기 위한 경우에는, 하부 컵 홀더(10)가 힌지핀(12)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그 배면이 컵 홀더 케이스(2)의 입구에 걸려서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는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컵(28)이 놓여지면 컵(28) 바닥부는 상기 하부 컵 홀더(10)상에 놓여져 받쳐지고, 컵(28)의 도중은 상부 컵 홀더(1)에 형성된 삽입공에 지지되어져 컵(28)의 보관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rear end of the lower cup holder 10 is supported by the hinge pin 12, when the user pulls out the upper cup holder 1 from the cup holder case 2, that is, to place the cup 28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lower cup holder 10 is rotated by its own weight about the hinge pin 12, and its rear surface is caught by the inlet of the cup holder case 2 to maintain an open state to prevent further rotation. When the cup 28 is placed in the state, the bottom of the cup 28 is placed and supported on the lower cup holder 10, and the middle of the cup 28 is supported by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upper cup holder 1, thereby supporting the cup ( 28) will be kept.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컵 홀더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부 컵 홀더(1) 및 하부 컵 홀더(10)가 차량의 기울기와는 상관없이 차량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기울기로 장착되어 있는 것이므로, 차량이 경사로를 주행하게 되어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면 컵(28)의 내용물이 쏟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up hold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pper cup holder 1 and the lower cup holder 10 are mounted at the sam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regardless of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inclined at an arbitrary angle by traveling on the slo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tents of the cup 28 are poured ou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경사 각도에 따라 컵 홀더가 수평 수직방향으로 소정 각도 위치 이동함으로써, 컵이 지면에 대하여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컵 홀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move the cup holder in a predetermined vertical positio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vehicle, the cup holder device of the car so that the cup can always be kept horizontal to the ground To provide.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컵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cup holder.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up holder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기울기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3a and 3b is a view showing a til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기울기 센서 120 : 컵 홀더110: tilt sensor 120: cup holder

130 : 회전부 200 : 제어 장치130: rotating part 200: control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자동차 실내에 설치되어 컵이나 음료 용기 등을 일시 보관하는 컵 홀더에 있어서, 차량의 중앙부 소정 개소에 장착되어 차량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센서(110)와, 상부 컵 홀더(120)의 종단과 결합되어 입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하와 좌/우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회전부(130)와, 상기 기울기 센서(1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부(130)로 해당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200)를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에 의하여 컵 홀더가 항상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up holder which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car temporarily to store cups or beverage containers, etc., the inclination sensor 110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and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The rotating unit 130 rotates a predetermined angle in up / down and left /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an input operation control signal coupled to the end of the upper cup holder 120 and the rotating unit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tilt sensor 110. The cup holder device may include a control device 200 for outputt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cup holder 130 so that the cup holder is always horizontal to the groun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자동차의 컵 홀더 장치는 차량의 중앙부 소정 개소에 장착되어 차량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센서(110)와, 컵 홀더(120)의 종단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122)와 결합되어 입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하와 좌/우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회전부(130)와, 상기 기울기 센서(1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부(130)로 해당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200)를 포함한다.2 is a view showing a cup holder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holder device of the vehicle is mount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tilt sensor 110 for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the cup holder 120 Rotating part 13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peration control signal coupled to the protruding portion 122 protruding at the end of the, and the rotating part on the basis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tilt sensor 110 The control device 200 outputs a corresponding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130.

이때, 회전부(130)은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구동축을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스텝모터와 그 모터구동부의 일반적인 모터 메카니즘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이 모터 메카니즘의 모터 구동축은 직접 컵 홀더(120)의 돌출부(122)에 연결되거나, 감속기어 등을 통해 돌부부(122)에 연결됨으로써 컵 홀더(12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rotating unit 130 may be composed of a step motor for rotating the drive shaft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input electrical signal and the general motor mechanism of the motor driving unit, the motor drive shaft of the motor mechanism is directly cup holder 120 It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122 of, or by connecting to the protrusion 122 through the reduction gear,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cup holder 120.

그리고, 상기 기울기 센서(110)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단부는 차량의 패널에 360°회전 가능하도록 힌지(112)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에는 차량의 수직/수평축 방향으로 4개의 링크(114a)(114b)(114c)(114d)가 소정 각도 유동 가능하도록 전개 형성되어 있는 소정 질량을 갖는 추(116)와, 상기 링크(114a)(114b)(114c)(114d)의 종단에 링크(114a)(114b)(114c)(114d)의 축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어 제어 장치(200)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되어 있는 다수개의 접점(118a)(118b)(118c)(118d)과, 상기 링크(114a)(114b)(114c)(114d)의 종단에 형성된 접점(118a)(118b)(118c)(118d)과 접하도록 패널의 상기 링크(114a)(114b)(114c)(114d) 종단의 좌우측부와 대응되는 소정 개소와 결착되어 위치 고정되어 있으며 링크의 축에 대하여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있는 가변 저항(117a)(117b)(117c)(117d)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ilt sensor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hinge 112 so as to be rotated 360 ° to the panel of the vehicle,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in the vertical / horizontal axis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our links 114a, 114b, 114c, 114d have a weight 116 having a predetermined mass formed so as to be able to flow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links 114a, 114b, 114c, 114d. A plurality of contacts 118a and 118b (not shown) bu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200, respectively, mounted at the end of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es of the links 114a, 114b, 114c and 114d. 118c) 118d and the links 114a, 114b of the panel to contact the contacts 118a, 118b, 118c, 118d formed at the ends of the links 114a, 114b, 114c, 114d. (C) is fixed to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nds (114c) and (114d)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link. And the variable resistors 117a, 117b, 117c, and 117d.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컵 홀더의 동작을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차량이 주행을 하다가 차량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기울게 되면 상기 기울기 센서(110)를 구성하는 추(116)는 그 자체의 질량에 의하여 우측으로 위치 이동을 하게 되어, 복수개의 점점(118a)(118b)이 가변 저항(117a)(117b)상에서 상기 추(116)의 위치 이동에 따라 도 3b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이동하게 되어, 기울기 센서(110)의 상기 복수개의 접점(118a)(118b)으로부터 출력되는 저항 값이 가변하게 된다.When the vehicle is driven and tilte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vehicle, the weight 116 constituting the tilt sensor 110 is moved to the right by its own mass, and thus the plurality of 118a ( 118b moves on the variable resistors 117a and 117b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3B as the position of the weight 116 moves, so that the plurality of contacts 118a and 118b of the tilt sensor 110 move. The resistance value output from) becomes variable.

상기한 바와 같이 기울기 센서(1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제어 장치(200)는 차량이 수직축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소정 각도(X) 기울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게되므로, 상기 제어 장치(200)는 회전부(130)가 좌측으로 상기 각도(X)와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하는 동작 제어 신호를 회전부(130)로 출력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device 200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is inclined to the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X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inclination sensor 110. The rotation control unit 130 outpu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rotating the rotation unit 130 to the left by the same angle as the angle X.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회전부(130)가 좌측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게되면, 상기 회전부(130)에 일체로 결합된 돌출부에 의하여 컵 홀더(120)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컵 홀더(120)의 우측은 차량의 바닥면에 대하여 차량의 지면에 대한 기울기(X)만큼 위치 상승하게 되고, 컵 홀더(120)의 좌측은 차량의 바닥에 대하여 상기 기울기(X)만큼 위치 하강하게 되어, 결국 컵 홀더(120)의 상향면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tating part 130 rotates by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device 200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cup holder 120 is rotated by the protrusion integrally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130. The right side of the cup holder 120 rises by a position X with respect to the ground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and the left side of the cup holder 120 is by the slope X with respect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The position is lowered, so that the upward surface of the cup holder 120 is able to remain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컵 홀더가 차량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항상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차량의 주행에 따른 기울어짐에 상관없이 컵의 내용물이 쏟아지게 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holder is able to be always horizontal to the ground regardless of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contents of the cup do not occur regardless of the inclination according to the running of the vehicle. Will be.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컵 홀더가 차량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항상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차량의 주행에 따른 기울어짐에 상관없이 컵의 내용물이 쏟아지게 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up holder is always able to be level with respect to the ground regardless of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the contents of the cup are spilled regardless of the inclination according to the running of the vehicle. There is an effect that it does not occur.

Claims (2)

자동차 실내에 설치되어 컵이나 음료 용기 등을 일시 보관하는 컵 홀더에 있어서,In the cup holder which is installed in the car interior and temporarily stores cups and beverage containers, 차량의 중앙부 소정 개소에 장착되어 차량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센서(110)와, 상부 컵 홀더(120)의 종단과 결합되어 입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하와 좌/우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컵 홀더(12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30)와, 상기 기울기 센서(1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컵 홀더(120)가 차량의 기울기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동일하게 기울어지도록 상기 회전부(130)로 해당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컵 홀더 장치.The tilt sensor 110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and detects the tilt of the vehicle and rotates a predetermined angle up / down and left / right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control signal input in combination with the end of the upper cup holder 120. The rotating part 130 for rotating the cup holder 120 and the rotating part so that the cup holder 120 is equally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tilt sensor 110.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device 200 for outputting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1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110)는, 상단부는 차량의 패널에 360°회전 가능하도록 힌지(112)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에는 차량의 수직/수평축 방향으로 4개의 링크(114a)(114b)(114c)(114d)가 전개 형성되어 있는 소정 질량을 갖는 추(116)와, 상기 링크(114a)(114b)(114c)(114d) 종단의 좌우측부 소정 개소에 위치되며 패널에 장착되어 위치 고정되는 가변 저항(117a)(117b)(117c)(117d)과, 상기 링크(114a)(114b)(114c)(114d)의 종단에 가변 저항(117a)(117b)(117c)(117d)과 접하도록 링크(114a)(114b)(114c)(114d)의 축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어 제어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되어 있는 다수개의 접점(118a)(118b)(118c)(118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컵 홀더 장치.The tilt sensor 110 has an upper end coupled to the vehicle panel by a hinge 112 so as to be rotatable 360 °, and a lower end thereof having four links 114a (vertical / horizontal axis directions). 114b, 114c and 114d are mounted on the panel and are locat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eight 116 having a predetermined mass, and the ends of the links 114a, 114b, 114c and 114d. Variable resistors 117a, 117b, 117c and 117d fixed in position, and variable resistors 117a, 117b, 117c and 117d at the ends of the links 114a, 114b, 114c and 114d. A plurality of contacts 118a, 118b, 118c and 118d moun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es of the links 114a, 114b, 114c and 114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200, respectively. Cup holder device of a vehicle comprising a).
KR2019970045117U 1997-12-31 1997-12-31 Cup holder device of automobile KR20022715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117U KR200227159Y1 (en) 1997-12-31 1997-12-31 Cup holder device of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117U KR200227159Y1 (en) 1997-12-31 1997-12-31 Cup holder device of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361U KR19990032361U (en) 1999-07-26
KR200227159Y1 true KR200227159Y1 (en) 2001-10-25

Family

ID=5389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117U KR200227159Y1 (en) 1997-12-31 1997-12-31 Cup holder device of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159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462B1 (en) * 2007-06-15 2008-07-2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Suppressing apparatus for liquid level vibration
CN110150938A (en) * 2019-07-01 2019-08-23 苏州经贸职业技术学院 A kind of autobalance for bowl and c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361U (en)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5550B2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for automobile
US5762307A (en) Retractable automotive cupholder for compact storage in an interior storage compartment
KR100513677B1 (en) Cup holder for automobile
KR200227159Y1 (en) Cup holder device of automobile
WO2017047298A1 (en) Mixer vehicle
JPH02502448A (en) automatic leveling device
KR20070030358A (en) Balancing apparatus of the cup holder on a console
JP4135650B2 (en) In-vehicle device with display device
JP2000142202A (en) Cup holding for vehicle
US20040200942A1 (en) Compact container holder
JP3030515U (en) In-car cup holder
JP2592555Y2 (en) Cup holder wire mounting structure
KR200201686Y1 (en) Car Cup Holder
CN112660004A (en) Balance cup stand structure and vehicle
JP2572800Y2 (en) Automotive drink holder
KR200203279Y1 (en) Car Cup Holders
JP2000108755A (en) On-vehicle beverage can holder
KR0123283Y1 (en) Assembly of a cup holder
KR950006471Y1 (en) Drink holder for car
KR20050026185A (en) Cup holder device for vehicles
JPH0580872U (en) Cup receiver for passenger compartment
KR0175099B1 (en) Storage cup holder in console box of a motor vehicle
KR19980044231U (en) Combined cup holder
KR19990028509U (en) Car Cup Holder
KR200178868Y1 (en) Rotational mirror device of anti water drop sticking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