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944Y1 -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 장치 - Google Patents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944Y1
KR200226944Y1 KR2020010000155U KR20010000155U KR200226944Y1 KR 200226944 Y1 KR200226944 Y1 KR 200226944Y1 KR 2020010000155 U KR2020010000155 U KR 2020010000155U KR 20010000155 U KR20010000155 U KR 20010000155U KR 200226944 Y1 KR200226944 Y1 KR 200226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overcurrent
current
alar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철
Original Assignee
백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철 filed Critical 백승철
Priority to KR2020010000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9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944Y1/ko

Link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누전이나 전열기구 과부하로 인한 과전류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화재 경보를 발생해줌과 아울러 자동으로 전기를 차단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고,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소화장치를 작동시켜 조기에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축사 또는 복수개의 축사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등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전류 설정부, 각 축사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선의 손상으로 인한 과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검출부, 축사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화재로 인한 급격한 열상승을 감지하는 열 감지기, 전류 설정부에 설정된 전류와 전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류를 비교하여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고, 과전류가 감지되거나 열 감지기 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이를 경보해주기 위한 경보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위급 상황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소화장치 구동 및 전기 차단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경보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여 스피커로 송출하고, 시각적인 경보 발생을 위해 경광등을 점등시키는 경보 발생부,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소화장치 구동 신호에 따라 연계된 소방 시스템을 구동시켜 발생된 화재가 진화되도록 동작하는 소화장치 작동부, 전기 차단 제어신호에 따라 과전류가 감지된 축사 또는 화재가 발생된 축사의 전기를 차단하는 전기 차단부로 구성되어, 축사의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초기에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 장치{Fire perceiving and extinguishing system for cattle shed}
본 고안은 가축을 기르는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선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누전이나 전열기구 과부하로 인한 과전류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화재 경보를 발생해줌과 아울러 자동으로 전기를 차단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고,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소화장치를 작동시켜 조기에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통상 축사의 내부, 특히 많은 전선들이 복잡하게 배선된 상부에는 사료 분진 등 다량의 먼지가 쌓여있게 마련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전선의 노후나 쥐의 갉음 등으로 인해 전선피복이 손상되어 누전 및 스파크의 발생시에는 아주 쉽게 발화되게 된다.
또한 축사에 일단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분진이나 사료 등 각종 인화물질로 인하여 불의 번짐 속도가 매우 빠를 뿐만 아니라, 축사는 악취 때문에 보통 인가나 도로에서 상당히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되므로 소방차 등의 진화 작업이 시작되기도 전에 이미 축사가 전소되어 가축이 모두 타 죽게 되어 그 피해가 막대한 실정이다.
그런데도 종래의 축사에는 간단한 소화기 정도의 비치와 누전시 전기를 차단하는 일반적인 장치(ELB)가 설치되어 있는 정도에 불과하다. 그런데 기존의 누전 차단기(ELB) 만으로는 전선피복의 손상 등에 의한 미세한 과전류 발생에 대해서는 감지가 어렵고 이러한 미세한 과전류로 인한 스파크가 발생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은 축사 환경상 화재로 연결된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축사의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여 이를 신속히 알리고 또한 초기에 조기 진화하는 소화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 축사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누전 및 전선의 손상, 전열기구의 과부하로 발생하는 미세한 과전류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해줌과 아울러 자동으로 전기를 차단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고,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즉시 소화장치를 작동시켜 초기에 진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장치는, 축사에 설치되며 누전 차단기(ELB)를 구비한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축사 또는 복수개의 축사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등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전류 설정부와;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는 등 전선의 손상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한 과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검출부와;
축사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고 화재로 인한 급격한 열 상승을 감지하는 열 감지기와;
상기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와 상기 전류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전류를 비교하여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고, 과전류로 판단되거나 상기 열 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이를 경보해주기 위한 경보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위급 상황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전기 차단 및 소화장치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경보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여 스피커로 송출하고, 시각적인 경보 발생을 위해 경광등을 점등시키는 경보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전기 차단 제어신호에 따라 과전류가 감지된 축사 또는 화재가 발생된 축사의 전기를 차단하는 전기 차단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소화장치 구동 신호에 따라 연계된 소방 시스템을 작동시켜 발생된 화재가 즉시 진화되도록 동작하는 소화기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전류 설정부
102 ..... 전류 검출부
104 ..... 열 감지기
105 ..... 제어부
107 ..... 경보 발생부
110 ..... 통신 인터페이스부
111 ..... 소화장치 작동부
112 ..... 전기 차단부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101은 하나의 축사 또는 각 축사에 원하는 전류를 설정하기 위한 전류 설정부를 나타내고, 102는 전선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과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검출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03은 기존에 설치된 누전 차단기(ELB)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04는 축사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고 화재로 인해 순식간에 상승하는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기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105는 상기 전류 검출부(102)에서 검출된 전류와 상기 전류 설정부(101)에 의해 설정된 전류를 비교하여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고, 과전류로 판단되거나 상기 열 감지기(104)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이를 경보해주기 위한 경보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위급 상황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소화장치 구동 및 전기 차단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06은 상기 제어부(105)에서 시스템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107은 상기 제어부(105)에서 발생되는 경보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여 스피커(109)로 송출하고, 시각적인 경보 발생을 위해 경광등(108)을 점등시키는 경보 발생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10은 상기 제어부(105)에서 출력되는 통신 데이터를 연계된 소방서, 관리자 휴대전화 등으로 인터페이스 해주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111은 상기 제어부(105)에서 발생되는 소화장치 구동 신호에 따라 연계된 소방 시스템을 구동시켜 발생된 화재가 진화되도록 동작하는 소화장치 작동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12는 상기 제어부(105)에서 발생되는 전기 차단 제어신호에 따라 과전류가 감지된 축사 또는 화재가 발생된 축사의 전기를 차단하는 전기 차단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전류 설정부(101)를 통해 각 축사(축사가 다수개 있는 경우)의 공급 전류 또는 하나의 축사에서 개별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공급 전류를 가변적으로 설정한다.
즉, 축사가 다수개 있고 각 축사별로 전류 사용량이 각각 다른 경우가 있으며, 하나의 축사일 경우에도 전류 공급량을 차등적으로 공급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해당 경우마다 사용자는 전류 설정부(101)를 통해 공급 전류량을 설정하게 된다.
이렇게 각 축사의 공급 전류가 설정되면, 제어부(105)에도 해당 전류값이 전달되어 제어부(105)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해당 축사의 공급 전류를 인식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전류 검출부(102)는 전선으로 흐르는 전류를 감시하여 그 검출 값을 상기 제어부(105)에 전달한다.
여기서 전류 검출부(102)는 축사가 다수개 있거나 전선이 많은 경우 각 전선마다 전류 변환기(CT)를 설치할 수도 있고, 아울러 각 축사당 하나의 전선(원전원선)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이것은 설치를 요구하는 자에 의해 가변적이다.
즉, 쥐나 기타 짐승들에 의해 전선의 피복이 벗겨진 경우 과전류가 흐르게 되는 데, 전류 검출부(102)는 이것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05)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누전 차단기(103)는 기존 전원 장치에 설치된 것으로서, 누전이 되면 해당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이를 제어부(105)에 전달해주는 작용을 한다.
다음으로 열 감지기(104)는 축사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분포형 온도 검출기를 이용하여 화재 여부를 검출하게 되고, 그 검출 값을 상기 제어부(105)에 전달해주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열 감지기(104)도 각 축사당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으며, 안전을 위해 축사내 곳곳에 복수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열 감지기(104), 과전류 검출부(102), 누전 차단기(103)는 이미 제어부(105)에 설치된 위치값이 세팅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05)는 어느 위치에서 과전류 또는 누전, 또는 화재가 발생했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전류 검출부(102)에서 전류가 검출되면 그 검출한 전류값과 그에 대응하게 설정된 전류값을 비교하여 과전류 여부를 판단한다. 아울러 열 감지기(104)의 출력값으로 화재 여부를 인식한다.
여기서 과전류로 판단되거나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경보를 위한 경보 제어, 데이터 통신, 소화장치 구동, 전기 차단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전류 검출부(102)에 의해서 검출된 전류와 그에 대응하게 미리 설정된 전류를 비교하여, 검출된 전류가 클 경우에는 과전류로 판단을 하고, 경보 발생부(107)를 컨트롤하여 경보가 발생토록 하며, 이에 따라 경보 발생부(107)는 경보음을 발생하여 스피커(109)를 통해 외부로 송출함으로써, 사용자가 과전류임을 즉시 알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경광등 구동 신호를 발생하여 경광등(108)을 발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위급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과전류시 제어부(105)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에 특정 지역에 과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데이터로서 전달해주게 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연계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관리자 휴대폰 등으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이격된 장소에 있는 경우에도 즉시 과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5)는 전기 차단부(112)를 컨트롤하여 상기 과전류가 흐르고 있는 축사 또는 축사내의 해당 전원을 제어토록 하며, 이러한 제어에 의해 전기 차단부(112)는 해당 축사 또는 축사내 소정 위치의 전기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한편, 상기 열 감지기(104)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주지한 바와 같이 제어부(105)는 경보 발생부(107)를 컨트롤하여 화재에 대한 경보가 발생토록 하며, 이에 따라 경보 발생부(107)는 경보음을 발생하여 스피커(109)를 통해 외부로 송출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재가 발생했음을 즉시 알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경광등 구동 신호를 발생하여 경광등(108)을 발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재 감지시 제어부(105)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에 특정 지역에 화재가 발생했음을 데이터로서 전달해주게 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연계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소방서 또는 사용자 휴대폰으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이격된 장소에 있는 경우에도 즉시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화재에 대한 신고를 미처 하지 못한 경우에도 소방서에서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고 즉시 출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5)는 전기 차단부(112)를 컨트롤하여 상기 화재가 발생한 축사 또는 축사내의 해당 전원을 제어토록 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전기 차단부(112)는 해당 축사 또는 축사내 소정 위치의 전기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전기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5)는 화재 감지시 소화장치 작동부(111)를 구동시켜 자동으로 진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축사 설계시 소정 위치에 살수 노즐을 설치하고, 각 급수 배관은 물탱크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소화장치 작동부(111)가 작동하여 상기 제어부(105)에서 인식한 화재가 발생한 장소의 살수 노즐로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초기에 자동으로 진화를 한다.
여기서도 소방 시스템은 각 축사별로 별도로 구현할 수도 있고, 축사내에 다수개의 소방 시스템을 구현하여 축사 내에서도 선택적으로(장소별로) 소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소방 시스템은 통상적인 소방 시스템, 즉 물탱크, 펌프, 밸브, 소방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소방 시스템은 통상적인 소방 시스템이므로, 여기서는 그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한 축사의 화재경보 및 소화장치에 따르면, 전선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과전류 또는 전열기구의 과부하로 인한 과전류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화재 경보를 발생해줌과 아울러 자동으로 전기를 차단함으로써, 전기의 이상으로 인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소화장치를 작동시켜 초기에 살수함으로써 조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따라서 축사 화재로 발생하는 막대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4)

  1. 축사에 설치되며 누전 차단기(ELB)를 구비한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축사 또는 복수개의 축사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등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전류 설정부와;
    전선의 손상에 따른 미세한 과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과전류 검출부와;
    축사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고 화재로 인한 급격한 열 상승을 감지하는 열 감지기와;
    상기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와 상기 전류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전류를 비교하여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고, 과전류로 판단되거나 상기 열 감지기 및 상기 누전 차단기에 의해 과전류 또는 화재가 감지되면 이를 경보해주기 위한 경보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위급 상황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전기 차단 및 소화장치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경보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여 스피커로 송출하고, 시각적인 경보 발생을 위해 경광등을 점등시키는 경보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전기 차단 제어신호에 따라 과전류가 감지된 축사 또는 화재가 발생된 축사의 전기를 차단하는 전기 차단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구동 신호에 따라 연계된 소방 시스템을 구동시켜 발생된 화재가 진화되도록 동작하는 소화장치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검출부는 전류변환기(CT)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감지기는, 화재로 인해 순식간에 상승하는 열을 감지하는 분포형 온도 검출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과전류 데이터 또는 화재 발생 데이터를 통신라인을 통해 연계된 소방서 또는 사용자의 통신기기로 인터페이스 해주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KR2020010000155U 2001-01-04 2001-01-04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 장치 KR200226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155U KR200226944Y1 (ko) 2001-01-04 2001-01-04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155U KR200226944Y1 (ko) 2001-01-04 2001-01-04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944Y1 true KR200226944Y1 (ko) 2001-06-15

Family

ID=7309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155U KR200226944Y1 (ko) 2001-01-04 2001-01-04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9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019B1 (ko) * 2018-04-30 2019-11-04 태원비엠씨(주) 건물 재난 발생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0894A (ko) * 2018-05-15 2019-11-25 주식회사 아콘텍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019B1 (ko) * 2018-04-30 2019-11-04 태원비엠씨(주) 건물 재난 발생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0894A (ko) * 2018-05-15 2019-11-25 주식회사 아콘텍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
KR102157076B1 (ko) 2018-05-15 2020-10-23 주식회사 아콘텍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113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early detection of fire and for fighting fire indoors and outdoors, especially in living areas, of homes and buildings
KR102169181B1 (ko)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KR20110087537A (ko) 자동확산 소화기가 설치된 배전반
KR20130125691A (ko) 소화기가 구비된 분전반
KR102045411B1 (ko) 전등기구에 적용 가능한 화재 감지 장치
JP4185666B2 (ja) 電源遮断方法及び電源遮断装置
CN211132786U (zh) 一种电力设备自动灭火系统
CN105650690A (zh) 厨房防火系统
KR200226944Y1 (ko)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 장치
KR20060124807A (ko) 자동식 소화기
KR20070085192A (ko) 이산화탄소(또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1363837B1 (ko) 자동식 소화장치의 후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5402812U (zh) 厨房防火系统
JP2016140414A (ja) 自動火災報知消火システム
US7231988B2 (en) Fire protection device for domestic appliances
CN207152914U (zh) 机车智能消防系统
US20040256119A1 (en) Fire protection and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domestic appliances
EP3510325A1 (en) Safety system
JP3113206B2 (ja) 自動消火設備における故障発生表示方式
CN114023032A (zh) 一种具备自动灭火、报警定位功能的表箱
JP2014064702A (ja) 消火設備および消火装置
WO2013085434A2 (ru)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с датчиком пожара
RU2454258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звития пожара электроустановки
CN208710886U (zh) 实验室用自动灭火装置及设有该灭火装置的通风橱
KR102069733B1 (ko) Led 조명기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