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076B1 -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076B1
KR102157076B1 KR1020180055597A KR20180055597A KR102157076B1 KR 102157076 B1 KR102157076 B1 KR 102157076B1 KR 1020180055597 A KR1020180055597 A KR 1020180055597A KR 20180055597 A KR20180055597 A KR 20180055597A KR 102157076 B1 KR102157076 B1 KR 102157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ut
load
ar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894A (ko
Inventor
라웅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콘텍
Priority to KR1020180055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07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8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ing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07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etecting means
    • H02H1/0015Using arc dete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습도를 포함한 각종 축사용 부하 제어를 위한 출력단에서 아크, 누전 및 과부하를 검출하여 출력단의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는 아크 차단 기능, 누전 차단 기능 및 과부하 차단 기능이 결합된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축사용 부하 제어장치는 출력단에서 아크, 누전 및 과부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서 아크나 누전, 과부하 발생이 감지되면 출력단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종합처리부, 상기 종합처리부의 차단 제어신호에 따라 각 부하에 대한 분기별 전원 출력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분기개폐부, 상기 종합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부하 상태 및 전원 차단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상기 종합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전원 차단의 이벤트 발생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통신출력부, 및 동작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부를 하나의 본체에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축사 내 온도, 습도 등을 감지하여 부하 제어하는 부하 제어 컨트롤러 내에 아크 차단 기능, 누전 차단 기능 및 과부하 차단 기능을 결합시켜 하나의 제품화하므로써, 기존의 축사에서 큰 문제가 되어 왔던 고질적인 전기화재 사고 및 누전 및 감전사고를 포함한 전기로 인한 핵심 사고의 문제들을 획기적으로 해결, 예방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효율적인 부하 관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Electric Fire Prevention Smart Controller for Cattle Shed}
본 발명은 가축을 기르는 축사의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축사용 부하 제어 컨트롤러 내에 아크차단, 누전차단 및 과부하차단의 기능들을 결합시켜 다양한 축사 설비의 주요 부하들을 모니터링 제어 관리할 뿐만 아니라 축사 전기 화재의 주 원인인 아크 사고에 의한 전기 화재와 누전 사고로 인한 감전 및 과부하로 인한 화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년 크고 작은 수백 건의 전기화재가 축사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축산 농가의 막대한 경제적 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축사의 경우 전기 화재가 발생하면 순식간에 수천, 수만 마리의 가축이 떼죽음을 당하는 대형 사고로 연결된다. 축사는 고온 다습한 환경으로 전선이 급속히 경화됨으로 인하여 절연체부가 도전성을 띄도록 탄화되거나 파손될 위험이 크고, 전선의 이음부 또는 콘센트 등의 접점부에 녹이 슬고 그 연결 부분이 헐거워져 전기 화재 원인의 70∼80%를 차지하는 아크 사고가 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전기적 환경에 더하여 농촌 환경의 특성으로 인하여 설치류나 기타 동물과 벌레 등이 전선을 갉아 먹는 일이 많아 전선의 절연체 부분이 파손되어 합선에 의한 아크 사고로 전기 화재의 가능성과 위험성이 더욱 높게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축사 전기 화재 발생 원인의 70∼80%는 위와 같은 축사의 특수한 환경적인 특성으로 발생하는 전기적 아크 사고 즉, 합선이 그 원인이다. 이러한 아크 사고로 인한 전기 화재는 누전 또는 과부하 현상과는 다른 매우 복잡 미묘한 물리적인 현상으로 기존의 누전차단기 또는 배선용 차단기로는 예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많은 축사에는 온도나 습도 등을 감지하여 가축을 보호하며 전기 화재 등 전기 사고를 예방하고자 하는 목적의 기존 축사용 부하 제어 컨트롤러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내부에는 아크나 누전을 감지, 차단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전기 화재나 감전 사고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이러한 축사용 부하 제어 컨트롤러에는 부하 온도 제어, 팬(fan) 제어 등 여러 가지 축사 설비의 제어를 위한 기능만 들어 있고 출력단에서 발생하는 아크 사고나 누전 사고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제품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기존의 부하 제어 컨트롤러와 함께 기존의 아크 차단기 규격 제품과 감전 예방을 위한 누전차단기를 함께 병합하여 사용하고져 하는 경우에도 또한 다음과 같은 기술적인 한계점으로 완벽한 효과를 보기가 어렵다.
즉, 축사용 부하 제어 컨트롤러에 누전차단기, 아크차단기, 배선용 차단기 등의 기성품 차단기류를 같이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그 컨트롤러의 전원 출력단이나 입력단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차단기를 컨트롤러 출력단에 설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축사용 부하 제어 컨트롤러의 고유 특성 상, 출력단 하류의 다양한 분기 부하의 부하 제어를 위해 출력단에서는 차단기의 정격 작동에 필요한 전압보다 낮은 전압과 전류로 수시로 변동하게 된다. 그러한 조건 하에서는 출력단 부분에 정격 규격의 누전차단기 또는 아크차단기 등 표준 차단기 제품이 기본적으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되므로 만족스러운 효과를 볼 수가 없어 설치에 제약점이 있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상기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차단기를 부하 제어 컨트롤러의 입력단에 설치하게 되는 경우에도, 역시 다음과 같은 이유로 아크 차단기나 누전 차단기류의 설치 효과를 온전하게 확보할 수 없게 된다는 데 있다.
첫째, 전류, 전압이 수시로 변하는 출력단 하류 부하 분기들에서 들어오는 누설이나 아크 신호가 부하 제어 컨트롤러를 거치면서 왜곡되거나 감쇄되어 차단기로 들어오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정격 규격의 전자 회로 제품인 아크차단기나 누전차단기의 센서나 프로세서에 오작동을 일으켜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며 그로 인해 예기치 않은 정전, 설비 운영상의 손실, 가축의 폐사 등 여러가지의 사고로 심각한 문제들을 야기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이러한 차단기들이 전혀 정상적인 기능의 작동을 못하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심각한 문제들을 일으키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아크차단기 회로는 고도의 IT 기술이 적용된 복잡한 전기전자 기술을 기반으로 설계, 제작되며 매우 예민한 아크 컨트롤 기술이 접목된 첨단 센서 및 프로세서 등의 복잡한 전자적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 오작동에 매우 예민하게 동작하므로 이러한 환경하에서는 계속적인 정상 작동이 어렵게 된다.
둘째로, 부하 제어 컨트롤러의 출력단에서 분기되는 여러 하류 부하 분기중 하나의 분기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그 컨트롤러의 주전원 입력단의 전원 자체가 차단되어 버리게 되므로 그 부하 제어 컨트롤러에 연결된 모든 하류 분기 부하 전체가 차단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실제 문제가 있는 분기 외의 정상적인 모든 다른 분기의 부하까지도 전원이 차단되어 해당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축사 배치(Batch)내의 전체 가축이 폐사할 수 있는 큰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현재 축사 현장에서는 최근에 개발이 되어 겨우 시장 진입 단계에 있는 아크 차단기는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분기별로 누전 사고를 막기 위한 목적으로 단순히 누전차단기를 부하 제어 컨트롤러의 출력단에 분기별로 설치하여 잘못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 일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전차단기를 축사용 부하 제어용 일반 컨트롤러의 부하 출력단에 설치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이유로 누전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심각한 누전사고로 연결되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축사용 부하 제어용 컨트롤러의 부하 출력단에서는 가변형의 전압이 조정된 형태의 출력이 나오게 되어 있다. 즉, 부하를 약하게 가동시켜야 할 경우에는 낮은 전압, 그리고 부하를 강하게 가동시켜야 할 경우에는 높은 전압으로 출력이 조정된다. 이때 사용되는 누전차단기는 대부분이 220V용 제품이며, 220V의 전압은 컨트롤러의 최대 부하 상태에서의 전압이 된다. 그러나 실제로 축사에서는 부하가 항상 최대 상태로 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며 통상 출력단에서는 보통 10V∼150V 정도의 가변형의 전압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전압 상태에서는 220V에서 정상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정격 전압 규격의 표준 누전차단기는 동작하지 않게 되어 있으므로 누전이 발생하더라도 그 컨트롤러의 출력단에 연결된 누전차단기는 누전을 전혀 감지하지 못하게 되거나 오작동을 일으켜 누전사고를 일으키게 된다.
누전차단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부하 분기별로 전기 전자적 회로에 극히 예민한 고가의 정격 규격의 표준 아크차단기를 설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위의 누전차단기 보다 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아크차단기가 아예 동작을 하지 않거나 많은 오작동을 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하 제어 컨트롤러 내에 아크차단, 누전차단 및 과부하차단의 기능들을 결합시켜 다양한 축사 설비의 주요 부하들을 모니터링 제어 관리할 뿐만 아니라 축사 전기 화재의 주 원인인 아크 사고에 의한 전기 화재와 누전 사고로 인한 감전 및 과부하로 인한 화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 장치는, 온도, 습도를 포함한 각종 부하 조절을 위한 축사용 부하 제어장치에 있어서, 출력단에서 아크, 누전 및 과부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서 아크나 누전, 과부하 발생이 감지되면 출력단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종합처리부, 상기 종합처리부의 차단 제어신호에 따라 각 부하에 대한 분기별 전원 출력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분기개폐부, 상기 종합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부하 상태 및 전원 차단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상기 종합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전원 차단의 이벤트 발생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통신출력부, 및 동작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부를 하나의 본체에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 장치는, 문제가 되는 원인들을 분기별로 직접 검출하고 문제가 되는 해당 분기의 전원만을 차단하여 유효 적절하게 전기화재나 누전 사고를 획기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해 줌과 동시에 효율적인 다양한 축사용 부하 제어 기능이 가능하게 됨으로 안전하고도 효과적인 축사 전기화재 사고 및 감전사고 예방과 더불어 다양한 부하 제어가 동시에 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주요 전기 사고 원인인 아크사고와 감전사고 예방을 주 기능으로 하면서 동시에 온도조절, 습도조절, 팬(fan)기능 조절 등에 대한 부하 제어 기능을 하나의 제품으로 결합시켜 축사 전기 안전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며, 축사 설비의 획기적 안전 관리 및 효율적인 운영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축사용 부하 제어 컨트롤러의 부하 출력단에 누전차단기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 부하 제어장치의 아크, 누전 및 전력량 감지부의 설치 상태와 차단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부하 제어장치의 아크, 누전 및 전력량 감지부의 설치 상태와 차단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축사용 부하 제어장치는 하나의 본체(100)로 구성되며, 본체(100)에는 전원부(110), 전원입력단(120), 부하출력단(130), 그리고 통신포트(140)가 마련된다.
본체(110) 내에는 또한, 부하설정부(10), 감지수단(20), 종합처리부(30), 리셋부(40), 표시수단(50), 분기개폐부(60), 그리고 통신출력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하설정부(10)는 축사내 온도, 습도, 환기 등의 부하 제어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자의 버튼 조작 등을 통해 원하는 온도나 습도 값, 팬 구동 등을 설정하게 된다.
감지수단(20)에는 습도 감지부(21), 온도 감지부(22), 아크 감지부(23), 누전 감지부(24), 그리고 전력량 감지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습도 감지부(21)는 축사내 현재 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온도 감지부(22)는 축사내 현재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아크 감지부(23), 누전 감지부, 그리고 전력량 감지부(2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합처리부(30)와 분기개폐부(60) 사이에 설치되어 아크나 누전을 부하 분기별로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소비 전력량을 감지하게 된다.
종합처리부(30)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부하설정부(10)의 설정 및 감지수단(20)의 감지에 따라 축사내 온도나 습도, 팬구동 등의 부하 세기를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나 습도, 환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종합처리부(30)는 또한, 아크나 누전 감지시 분기개폐부(60)에 전원 차단 제어신호(CTLs)를 내보내어 아크나 누전이 발생된 분기의 부하 전원 출력이 차단되도록 한다.
리셋부(40)는 전원 차단이 일어난 후 다시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
표시수단(50)은 소비전력 표시를 위한 전력량표시부(51), 온도 표시를 위한 온도 표시부(52), 습도 표시를 위한 습도 표시부(53), 그리고 전원 차단 표시를 위한 차단 표시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축사용 부하 제어장치의 전기 화재예방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부하 제어장치의 본체(100)는 전원부(110)에 의해 전원입력단(120)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각 구성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종합처리부(30)는 감지수단(20)의 습도 감지부(21), 온도 감지부(22), 전력량 감지부(25)에서 각각 감지된 현재 습도량, 온도, 소비 전력량 등을 표시수단(50)의 전력량 표시부(51), 온도 표시부(52) 및 습도 표시부(53)에 표시하게 된다.
축사 관리자는 표시수단(50)에 표시 상태를 통해 현재 제어 대상의 부하 상태를 모니터링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부하 설정부(10)를 조작하여 부하 세기를 설정하게 된다.
종합처리부(30)는 습도 감지부(21) 및 온도 감지부(22)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 습도를 고려하여 부하 설정부(10)에서 설정한 값에 맞도록 부하로의 전원출력 즉, 부하 세기를 조절하게 된다. 이렇게 조절된 출력은 분기개폐부(60)를 거쳐서 부하출력단(130)으로 출력된다.
온도나 습도, 환기 등의 부하 제어와 관련해서는 일반 축사용 부하 제어 컨트롤러의 제어 내용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분기개폐부(60)의 각 분기별 전단에 설치되는 아크감지부(23) 및 누전감지부(24)는 부하 출력단의 아크 및 누전을 분기별로 감지하게 된다.
아크감지부(23)는 아크가 감지되면 종합처리부(30)로 아크 발생신호를 보내고, 아크 발생신호를 받은 종합처리부(30)에서는 아크신호를 분석하여 유해 아크 여부를 판단하고, 유해한 아크로 판단시 분기개폐부(60)의 해당 분기에 차단 제어신호(CTLs)를 내보내어 해당 분기의 부하로 출력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고 동시에 차단표시부(54)에 전원 차단된 분기의 부하 및 아크에 의한 차단임을 표시하여 전원 차단 부하 및 원인을 알 수 있도록 해준다.
누전감지부(24)는 누전이 감지되면 종합처리부(60)로 누전 발생신호를 보내고, 누전 발생신호를 받은 종합처리부(60)에서는 분기개폐부(60)의 해당 분기에 차단 제어신호(CTLs)를 내보내어 해당 분기의 부하로 출력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고 동시에 차단표시부(54)에 전원 차단된 분기의 부하 및 누전에 의한 차단임을 표시하여 전원 차단 부하 및 원인을 알 수 있도록 해준다.
전력량 감지부(25)는 실시간으로 각 분기별 전력량을 감지하여 종합처리부(30)로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전송해준다. 이때, 종합처리부(30)는 전력량 정보를 가지고 전력량 표시부(51)에 실시간 소비 전력량을 나타냄과 동시에 과부하를 판단하게 된다. 종합처리부(30)는 소비 전력량이 과부하로 판단되면 분기개폐부(60)의 해당 분기에 차단 제어신호(CTLs)를 내보내어 해당 분기의 부하로 출력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고 동시에 차단표시부(54)에 전원 차단된 분기의 부하 및 과부하에 의한 차단임을 표시하여 전원 차단 부하 및 원인을 알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리셋부(40)는 차단이 일어난 후 분기개폐부(60)를 다시 작동시켜 출력단에 다시 전원을 투입시킬 때 사용된다. 리셋부(40)는 종합처리부(30)로 신호를 보내어 분기개폐부(60)에서 다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차단 표시부(54)에 나타나있는 내용을 초기화한다.
종합처리부(30)는 아크나 누전 혹은 과부하에 의한 전원 차단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통신출력부(70)를 통해 원격지에 있는 축사 관리자 등에게 이벤트신호를 송출하여 관리자가 전원 차단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지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이는 도 3의 축사 부하 제어장치의 본체(100)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축사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본체(100) 내부에 구성되는 감지수단(20)을 본체(100)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설치 구성되게 된다.
즉, 도 5에 나타낸 축사용 부하 제어장치는 본체(100)와 외부분리센서(200)로 구성되게 된다. 본체(100)는 부하설정부(10), 종합처리부(30), 리셋부(40), 표시수단(50), 분기개폐부(60), 그리고 통신출력부(70)를 그대로 포함하여 구성되되, 감지수단(도 3의 20) 대신 외부분리센서(2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수단(80)은 습도감지센서연결부(81), 온도감지센서연결부(82), 아크감지센서연결부(83), 누전감지센서연결부(84), 그리고 전력량감지센서연결부(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외부분리센서(200)는 습도감지센서(210), 온도감지센서(220), 아크감지센서(230), 누전감지센서(240), 전력량감지센서(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습도감지센서(210)와 온도감지센서(220)는 축사내 습도나 온도를 감지하기 적정한 곳에 설치되어 현재 습도나 온도를 실시간을 감지하여 본체(200)의 습도감지센서연결부(81) 및 온도감지센서연결부(82)를 통해 종합처리부(30)로 전달하게 된다.
아크감지센서(230), 누전감지센서(240) 및 전력량감지센서(250)는 각 부하들의 전원선 상에 설치되어 아크, 누전 및 소비 전력량을 감지하여 본체(200)의 아크감지센서연결부(83), 누전감지센서연결부(84) 및 전력량감지센서연결부(85)를 통해 종합처리부(30)로 전달하게 된다.
종합처리부(30)는 연결수단(80)을 통해 전달받은 외부분리센서(200)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습도조절, 온도조절, 기타 다양한 부하 조절을 하게 되며, 아크나 누전 혹은 과부하 발생을 판단하여 분기개폐부(60)의 분기별 개폐 동작을 제어하여 아크나 누전 혹은 과부하가 발생된 부하의 해당 분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므로써 전기 화재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서는 축사용 부하 제어장치의 본체(100)와 센서(200)를 분리 구성하였지만, 현장의 필요에 따라 센서(200)의 전부 또는 일부만 선별적으로 분리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사용 부하 제어장치에는 온도, 습도 제어 기능을 포함시키거나 온도와 환기 제어 기능을 포함시킨 제품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100 : 본체 110 : 전원부
120 : 전원입력단 130 : 부하출력단
140 : 통신포트 200 : 외부분리센서
10 : 부하설정부 20 : 감지수단
21 : 습도감지부 22 : 온도감지부
23 : 아크감지부 24 : 누전감지부
25 : 전력량감지부 30 : 종합처리부
40 : 리셋부 50 : 표시수단
51 : 습도표시부 52 : 온도표시부
53 : 차단표시부 54 : 전력량표시부
60 : 분기개폐부 70 : 통신출력부
80 : 연결수단 81 : 습도감지센서연결부
82 : 온도감지센서연결부 83 : 아크감지센서연결부
84 : 누전감지센서연결부 85 : 전력량감지센서연결부
210 : 습도감지센서 220 : 온도감지센서
230 : 아크감지센서 240 : 누전감지센서
250 : 전력량감지센서

Claims (6)

  1. 온도, 습도를 포함한 각종 부하 조절을 위한 축사용 부하 제어장치에 있어서,
    출력단에서 아크, 누전 및 과부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서 아크나 누전, 과부하 발생이 감지되면 출력단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종합처리부;
    상기 종합처리부의 차단 제어신호에 따라 각 부하에 대한 분기별 전원 출력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분기개폐부;
    상기 종합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부하 상태 및 전원 차단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상기 종합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전원 차단의 이벤트 발생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통신출력부; 및
    동작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부를 하나의 본체에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감지수단은
    현재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부;
    현재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부하 분기별 제어를 위한 복수의 전원 출력단에 연결되어 아크를 검출하기 위한 아크감지부;
    상기 분기별 출력단에 연결되어 누전을 검출하기 위한 누전감지부; 및
    상기 분기별 출력단에 연결되어 소비되는 전력량 및 그에 따른 과부하를 검출하기 위한 전력량감지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표시수단은
    실시간 소비 전력량을 표시하는 전력량표시부;
    현재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부;
    현재의 습도를 표시하는 습도표시부; 및
    전원 차단을 표시하고, 차단의 원인이 아크인지 누전인지 과부하인지를 표시하는 차단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아크 감지부, 상기 누전 감지부 그리고 상기 전력량 감지부는 상기 종합처리부와 상기 분기개폐부 사이에 설치되어 아크나 누전을 부하 분기별로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소비 전력량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아크감지부는 아크가 감지되면 상기 종합처리부로 아크 발생신호를 보내고, 아크 발생신호를 받은 상기 종합처리부에서는 아크신호를 분석하여 유해 아크 여부를 판단하고, 유해한 아크로 판단시 상기 분기개폐부의 해당 분기에 차단 제어신호(CTLs)를 내보내어 해당 분기의 부하로 출력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차단표시부에 전원 차단된 분기의 부하 및 아크에 의한 차단임을 표시하여 전원 차단 부하 및 원인을 알 수 있도록 해주며,
    상기 누전감지부는 누전이 감지되면 상기 종합처리부로 누전 발생신호를 보내고, 누전 발생신호를 받은 상기 종합처리부에서는 상기 분기개폐부의 해당 분기에 차단 제어신호(CTLs)를 내보내어 해당 분기의 부하로 출력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차단표시부에 전원 차단된 분기의 부하 및 누전에 의한 차단임을 표시하여 전원 차단 부하 및 원인을 알 수 있도록 해주고,
    상기 전력량 감지부는 실시간으로 각 분기별 전력량을 감지하여 상기 종합처리부로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전송해주며, 상기 종합처리부는 전력량 정보를 가지고 상기 전력량 표시부에 실시간 소비 전력량을 나타냄과 동시에 과부하를 판단하게 되며, 상기 종합처리부는 소비 전력량이 과부하로 판단되면 상기 분기개폐부의 해당 분기에 차단 제어신호(CTLs)를 내보내어 해당 분기의 부하로 출력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차단표시부에 전원 차단된 분기의 부하 및 과부하에 의한 차단임을 표시하여 전원 차단 부하 및 원인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처리부는
    상기 아크감지부에서 검출되는 아크 신호를 분석하여 유해 아크 여부를 판단하고, 유해한 아크로 판단시 상기 분기개폐부를 구동시켜 해당하는 부하 분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누전감지부에 의해 누전이 검출되면 상기 분기개폐부를 구동시켜 해당하는 부하 분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력량감지부에서 검출되는 전력량 정보를 분석하여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고, 과부하로 판단시 상기 분기개폐부를 구동시켜 해당하는 부하 분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본체와 분리 설치하며, 본체와 연결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부 감지 센서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
KR1020180055597A 2018-05-15 2018-05-15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 KR102157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597A KR102157076B1 (ko) 2018-05-15 2018-05-15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597A KR102157076B1 (ko) 2018-05-15 2018-05-15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94A KR20190130894A (ko) 2019-11-25
KR102157076B1 true KR102157076B1 (ko) 2020-10-23

Family

ID=6873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597A KR102157076B1 (ko) 2018-05-15 2018-05-15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949A (ko) * 2021-09-10 2023-03-17 라웅재 누전 및 아크 동시 시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944Y1 (ko) 2001-01-04 2001-06-15 백승철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 장치
KR100802580B1 (ko) * 2006-08-07 2008-02-14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피엘씨 기반 농어촌 설비의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392484B1 (ko) 2013-04-24 2014-05-08 주원통신 주식회사 시설물의 통합감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231B1 (ko) * 2003-02-26 2005-12-14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축사용 환경 인공 제어장치
KR100899788B1 (ko) * 2006-08-23 2009-05-28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원격형 전원복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944Y1 (ko) 2001-01-04 2001-06-15 백승철 축사의 화재감지 및 소화 장치
KR100802580B1 (ko) * 2006-08-07 2008-02-14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피엘씨 기반 농어촌 설비의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392484B1 (ko) 2013-04-24 2014-05-08 주원통신 주식회사 시설물의 통합감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949A (ko) * 2021-09-10 2023-03-17 라웅재 누전 및 아크 동시 시험장치
KR102628289B1 (ko) 2021-09-10 2024-01-23 라웅재 누전 및 아크 동시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94A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0653A1 (en) Communication enabled circuit breakers and circuit breaker panels
US10114057B2 (en) Method to detect arcing faults using switched elements at outlet
US6788508B2 (en) Compact low AMP electronic circuit breaker or residential load center
US9748763B2 (en) Circuit protection devices and methods of monitoring protection devices in a power distribution system
US6473281B1 (en) Automatic protection device with ground fault annunciation
US20050243485A1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interrupter with open neutral detection
US10557883B2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protection device for power cord
US6011680A (en) Connector, in particular a plug-in connector for TT and TN networks
AU2018204368B2 (en) Upstream Parallel Arc Fault Outlet Protection Method
EP3444834B1 (en) Electronic status reporting circuit breaker
US20060198067A1 (en) Extension cord having open neutral during fault detection trip
KR102157076B1 (ko) 축사 전기화재 예방용 부하 제어장치
US8711531B2 (en) Electrical installation arrangement
JP6509029B2 (ja) 分電盤
EP1914856A1 (en) Electronic breaker system
US7327052B2 (en) Modular connecting system for protecting an electrical load in a bus system
US9692223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testing a power distribution system
CN102457040A (zh) 一种配电线路过负荷监控方法及装置
CN210468782U (zh) 电源线漏电保护装置、电连接设备以及用电器
CN104466885B (zh) 一种断路器控制器
CN111064160B (zh) 移动配电箱
CN210041314U (zh) 电源线泄漏电流检测保护装置和用电设备
KR20150089379A (ko) 계전기를 이용한 3중 보호 장치
WO2021062464A1 (en) System for monitoring a multiple earth neutral (men) link
AU2013262422B2 (en) Electrical protection device, system and control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