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856Y1 - a Set of Cutlet - Google Patents

a Set of Cut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856Y1
KR200226856Y1 KR2020000031105U KR20000031105U KR200226856Y1 KR 200226856 Y1 KR200226856 Y1 KR 200226856Y1 KR 2020000031105 U KR2020000031105 U KR 2020000031105U KR 20000031105 U KR20000031105 U KR 20000031105U KR 200226856 Y1 KR200226856 Y1 KR 2002268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cutlery
receiving hole
pair
kn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10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토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토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토일산업
Priority to KR2020000031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85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856Y1/en

Lin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위생적이이고, 세트화될 수 있고, 병따개 기능을 갖을 뿐만아니라 포크를 건조시키기 위해 걸수 있는 기능을 가진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t of table cutl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t of table cutlery having the function of being hygienic, settable, having a bottle opener, as well as a function to hang a fork to dry. .

본 고안은 취식부(11), 자루부(12) 및 손잡이부(13)를 가지는 포크(10)와 그리고 절단부(21) 및 손잡이부(22)를 가지는 나이프(20)로 이루어진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에 있어서, 상기 포크(10)는 상기 포크(10)의 무게중심에 대하여 선단쪽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자루부(12)에 위치되어 하향으로 만곡된 만곡부(14)를 가지고 있고, 손잡이부(13)에 수납구멍(15)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나이프(20)는 손잡이부(22)의 일면에 상기 수납구멍(15)에 억지결합될 수 있는 돌기(23)를 일체로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만곡부(14)는 기단측 자루부(12)와 만나는 상부분에 병마개를 딸 수 있는 따개부(16)가 선단쪽으로 뻗어 있으며, 기단측 자루부(12)와 만나는 하부분에 포크(10)를 걸 수 있는 걸음부(17)가 기단쪽으로 뻗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able for a table consisting of a fork (10) having an eating portion (11), a bag portion (12) and a handle portion 13, and a knife (20) having a cutting portion (21) and a handle portion (22). In the cutlery, the fork 10 has a curved portion 14 which is located in the bag portion 1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front en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ork 10 and is curved downward, and has a handle portion 13. Has a receiving hole 15, and the knife 20 has a projection 23 that can be forcibly coupled to the receiving hole 15 on one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22, wherein the The bent portion 14 extends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opener portion 16, which can open a bottle cap on the upper portion that meets the proximal side sack portion 12, and has a fork 10 at the lower portion that meets the proximal side sack portion 12. It is assumed that the walkable step 17 extends toward the base end.

Description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a Set of Cutlet}A set of cutlet {a Set of Cutlet}

본 고안은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위생적이이고, 세트화될 수 있고, 병따개 기능을 갖을 뿐만아니라 포크를 건조시키기 위해 걸수 있는 기능을 가진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t of table cutl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t of table cutlery having the function of being hygienic, settable, having a bottle opener, as well as a function to hang a fork to dry. .

가정이나 대중식당에서 식탁을 행주로 딱고 나면, 식탁표면에 수분이 남게되고, 이와 같은 수분이 행주가 함유하고 있던 수분이어서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 식탁용 날붙이에 묻어 식탁용 날붙이를 가지고 음식을 먹는 사람의 입으로 전달되는 비위생적인 경우가 발생된다.The person who eats the table with a cutlery after eating it with a dishcloth at home or at a public restaurant leaves moisture on the table surface, and this moisture is contained in the dishcloth. Unsanitary cases are transmitted to the mouth.

상기와 같은 비위생적인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식탁에는 식탁용 날붙이 받이대 또는 식탁용 넵킨이 별도로 놓이게 된다. 하지만, 이 식탁용 날붙이 받이대 또는 식탁용 넵킨은 식탁의 어느 정도의 면적을 차지하게 되어 음식물을 놓을 때 장애물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n unsanitary, a table cutlery or a table nepkin is usually placed separately on the table. However, this table cutlery or table napkins occupy a certain area of the table, which is a problem when placing food.

또한, 양식으로 식사할 경우에는 포크와 나이프가 반듯이 필요하다. 그리고, 통상 가정이나 대중양식식당에서는 포크와 나이프가 서로 상이한 구조로 되어 있어 별도로 분리하여 보관하고 있다. 따라서, 식탁용 날붙이의 관리가 불편하고, 식탁용 날붙이를 식탁에 놓을 때에도 식탁용 날붙이를 한번에 놓지못하고 2번에 걸쳐 놓아 그 행위가 불편할 뿐만아니라, 여행을 위해 여행준비물로 휴대할 경우에 포크나 나이프를 자주 분실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for meals, forks and knives must be used. In general, in homes and pop restaurants, forks and knives have different structures and are stored separately.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to manage the table cutlery, and when placing the table cutlery on the table, the table cutlery is not placed at one time and placed twice, which is inconvenient to carry the table cutlery. There was a problem that often occurs when the knife is lost.

또한, 통상적으로 야외로 여행을 떠날때에는 여러가지 여행장비 및 취사도구를 준비하여야 하는 데, 이때 여행장비의 간소화를 위하여 대부분이 한세트의 식탁용 날붙이와 병따개를 별도로 준비하므로 불편할 뿐만아니라 병따개를 분실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raveling outdoors, various travel equipment and cooking utensils must be prepared. At this time, in order to simplify the travel equipment, most of them prepare a set of cutlery and a bottle opener separately.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often occurs.

또한, 통상적으로 포크는 세척된 후 수저통에 세워져 놓이게 된다. 하지만, 수저통에는 포크가 세척된 후 남아있는 물이 흘러내려와 수저통에 담겨지게 된다. 따라서, 자주 수저통에 당겨져 있는 물을 비우지 않으면, 수저통에는 인체에 해로운 세균이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forks are typically placed in a cutlery after being washed. However, after the fork is washed, the remaining water flows down into the water container so that the water is contained in the water containe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harmful bacteria to the human body in the water container is not emptied often pulled in the water container.

본 고안은 이러한 제반적인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포크의 선단부가 항상 식탁면에서 떨어지게 하고, 포크와 나이프가 서로 결합가능하게 하는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se general problems, and provides a set of table cutlery in which the fork tip always falls off the table surface and the fork and the knife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또한, 본 고안은 병따개 기능을 갖는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pair of table cutlery having a bottle opener function.

또한, 본 고안은 싱크대에 설치된 건조대에 걸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pair of table cutlery having a function to hang on a drying rack installed in the sink.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ir of table cutl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및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ir of table cutlery of Figure 1 combined, and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상세 단면도.3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A of FI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취식부, 자루부 및 손잡이부를 가지는 포크와 그리고 절단부 및 손잡이부를 가지는 나이프로 이루어진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에 있어서, 상기 포크는 상기 포크의 무게중심에 대하여 선단쪽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자루부에 위치되어 하향으로 만곡된 만곡부를 가지고 있고, 손잡이부에 수납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나이프는 손잡이부의 일면에 상기 수납구멍에 억지결합될 수 있는 돌기를 일체로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만곡부는 기단측 자루부와 만나는 상부분에 병마개를 딸 수 있는 따개부가 선단쪽으로 뻗어 있으며, 기단측 자루부와 만나는 하부분에 포크를 걸 수 있는 걸음부가 기단쪽으로 뻗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t of tableware cutlery consisting of a fork having a drinking portion, a bag and a handle and a knife having a cut and a handle, wherein the fork is directed toward the tip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ork. It has a curved portion which is bent downward and bent a certain distance, and has a receiving hole in the handle portion, and the knife has a protrusion that can be forcibly coupled to the receiving hole on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Here, the curved portion extends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opener which can open the bottle cap on the upper part which meets the proximal side sack portion, and the step for allowing a fork to extend toward the proximal end thereof meets the proximal side sack portion.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을 따른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의 분해 사시도로서, 포크(10)와 나이프(20)가 서로 결합해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는 전체적으로 포크(10)와 나이프(20)를 포함하고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ir of table cutl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rk 10 and the knife 20 are uncoupled from each other. A pair of table cutlery generally includes a fork 10 and a knife 2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는 취식부(11), 자루부(12) 및 손잡이부(13)를 가지는 포크(10)와 그리고 취식부(21) 및 손잡이부(22)를 가지는 나이프(20)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 a pair of dining table cutler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ork 10 having a dining table 11, a bag 12, and a handle 13, and a dining table 21 and a handle. It consists of the knife 20 which has 22.

상기 포크(10)는 상기 포크(10)의 무게중심에 대하여 선단쪽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자루부(12)에 위치되어 하향으로 만곡된 만곡부(14)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포크(10)는 손잡이부(13)에 이후에 설명된 나이프의 돌기(21)를 수납하여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를 이루기 위한 수납구멍(15)을 가지고 있다.The fork 10 has a curved portion 14 which is located in the bag 1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front en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ork 10 and is curved downward. In addition, the fork 10 has a receiving hole 15 for accommodating the projection 21 of the knife described later in the handle portion 13 to form a pair of table cutlery.

그리고 상기 나이프(20)는 손잡이부(22)의 일면에 상기 수납구멍(15)에 억지결합될 수 있는 돌기(23)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상기 돌기(23)와 상기 수납구멍(15)의 억지끼워맞춤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And the knife 20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protrusion 23 that can be forcibly coupled to the receiving hole 15 on one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22. The interference fit of the protrusion 23 and the receiving hole 15 is shown in FIGS. 2 and 3.

상기 돌기(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대한 측면들이 반타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수납구멍(15)은 길이방향에 대한 측면들의 일부분이 상기 돌기(23)의 측면에 형상적으로 상응하는 반타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는 상기 수납구멍에 억지끼워맞춤식으로 수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rotrusion 23 has a semi-elliptical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ceiving hole 15 has a portion of the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side of the protrusion 23. It has a geometrically corresponding semi-elliptical cross section. Thus, the protrusion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by fit.

여기에서, 상기 돌기(23)와 상기 수납구멍(15)의 억지끼워맞춤 및 억지끼워맞춤해제가 각각의 반타원형 단면의 곡률이 일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손의 압입 힘으로 될 수 있게, 상기 돌기(23)의 상기 곡률과 상기 수납구멍(15)의 상기 곡률이 제로에 근접하면 바람직하다.Here, the projections 23 and the interference fittings and the interference fitting release of the receiving hole 15, so that the curvature of each semi-elliptical cross section can be the indentation force of the hand that ordinary people have, the projections (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vature of 23 and the curvature of the receiving hole 15 approach zero.

상기 만곡부(14)는 기단측 자루부(12)와 만나는 상부분에 병마개를 딸 수 있는 따개부(16)가 선단쪽으로 뻗어 있으며, 또한 기단측 자루부(12)와 만나는 하부분에 포크(10)를 식기건조대의 철망에 걸 수 있는 걸음부(17)가 기단쪽으로 뻗어 있다.The curved portion 14 has a opener portion 16 capable of opening a bottle cap at an upper portion that meets the proximal side sack portion 12 and extends toward the tip side, and also has a fork 10 at the lower portion that meets the proximal side sack portion 12. Step (17) that can be attached to the wire mesh of the dish dryer extends toward the base end.

여기에서, 상기 따개부(16)와 상기 걸음부(17)는 상기 포크(10)에 일체로 단조작업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Here, the opener 16 and the claw 17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ork 10 by forging.

또한, 상기 포크(10)에는 상기 걸음부(17) 이외에도 상기 포크(10)의 손잡이부(13)의 기단측에 관통구멍(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관통구멍(30)의 용도는 주방의 벽에 상기 포크(10)를 걸 수 있는 걸이부(예를들면, 벽에 박힌 못)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포크(10)를 상기 걸이부에 걸 수 있게 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fork 10 may have a through hole 30 formed at the proximal end of the handle 13 of the fork 10 in addition to the step portion 17. The purpose of the through hole 30 is to hook the fork 10 to the hook part when a hook part (for example, a nail nailed to the wall)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kitchen. It's about making it possible.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포크는 식탁에 놓여질 때, 선단부가 항상 식탁표면에서 떨어지게 되어, 세균에 음식을 먹는 사람이 감염되지 않게 할 뿐만아니라, 식탁보와 식탁 등도 포크와 같이 항상 위생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When the fork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laced on the table, the tip is always dropped from the table surface, so that the person who eats the food is not infected with germs, and the tablecloth and the table can be always kept hygienic like the fork.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포크와 나이프는 서로 결합해제가능하게 세트로서 결합될 수 있어,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의 보관이 용이하고,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를 식탁에 놓을 때에도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를 단 한번에 놓을 수가 있어, 특히 대중양식식당에서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시간과 일을 줄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여행시에에도 나이프를 분실할 염려가 없다.In addition, the fork and the knif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combined as a set so as to be able to disengage from each other, it is easy to store a pair of table cutlery, even when a pair of table cutlery is placed on the table It can be placed at one time, reducing the time and work of the service of providing a set of table cutlery, especially in pop culture restaurants, and without losing the knife when traveling.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포크는 야외로 여행할 시 별도로 병따개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 여행준비물이 간소화된다.In addition, the fork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oes not need to prepare a separate bottle opener when traveling outdoors, the travel preparation is simplified.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포크는 먼저 식기 건조대 또는 벽걸이부에 포크를 걸어 건조한 후, 수저통에 보관할 수 있어, 상기 수저통에 세균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k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stored in a spoon after drying the fork hanging on the dish-drying unit or the wall portion first, it can suppress the occurrence of bacteria in the spoon.

Claims (4)

취식부(11), 자루부(12) 및 손잡이부(13)를 가지는 포크(10)와 그리고 절단부(21) 및 손잡이부(22)를 가지는 나이프(20)로 이루어진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에 있어서,In a pair of table cutlery consisting of a fork 10 having an intake portion 11, a bag portion 12 and a handle portion 13 and a knife 20 having a cut portion 21 and a handle portion 22. , 상기 포크(10)는 상기 포크(10)의 무게중심에 대하여 선단쪽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자루부(12)에 위치되어 하향으로 만곡된 만곡부(14)를 가지고 있고, 손잡이부(13)에 수납구멍(15)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The fork 10 has a curved portion 14 which is located in the bag portion 12 and is downwardly curved away from the front en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ork 10, and has a receiving hole in the handle portion 13. 15) and 상기 나이프(20)는 손잡이부(22)의 일면에 상기 수납구멍(15)에 억지결합될 수 있는 돌기(23)를 일체로 가지고 있으며,The knife 20 has a protrusion 23 that can be forcibly coupled to the receiving hole 15 on one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22, 여기에서 상기 만곡부(14)는 기단측 자루부(12)와 만나는 상부분에 병마개를 딸 수 있는 따개부(16)가 선단쪽으로 뻗어 있으며, 기단측 자루부(12)와 만나는 하부분에 포크(10)를 걸 수 있는 걸음부(17)가 기단쪽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Here, the curved portion 14 has an opener portion 16 capable of opening a bottle cap at an upper portion that meets the proximal side sack portion 12 and extends toward the tip, and has a fork at the lower portion that meets the proximal side sack portion 12. 10) A pair of table cutl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17 that can walk is extended toward the base e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3)는 길이방향에 대한 측면들이 반타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수납구멍(15)은 길이방향에 대한 측면들의 일부분이 상기 돌기(23)의 측면에 형상적으로 상응하는 반타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2. The projection 23 has a semi-elliptical cross section at the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ceiving hole 15 has a portion of the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side of the projection 23. A pair of table cutler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rresponding semi-elliptical cross sec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3)의 상기 반타원형 단면의 곡률과 상기 수납구멍(15)의 상기 반타원형 단면의 곡률이 제로에 근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3. A pair of table cutlery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urvature of the semi-elliptic cross section of the projection (23) and the curvature of the semi-elliptic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hole (15) are close to zero.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10)의 손잡이부(13)에는 걸이용 관통구멍(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벌의 식탁용 날붙이.A pair of table cutlery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30) for hook is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13) of the fork (10).
KR2020000031105U 2000-11-07 2000-11-07 a Set of Cutlet KR20022685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105U KR200226856Y1 (en) 2000-11-07 2000-11-07 a Set of Cut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105U KR200226856Y1 (en) 2000-11-07 2000-11-07 a Set of Cutl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856Y1 true KR200226856Y1 (en) 2001-06-15

Family

ID=7309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105U KR200226856Y1 (en) 2000-11-07 2000-11-07 a Set of Cut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85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373B1 (en) * 2012-09-17 2013-09-25 이승호 A spoon set with compounds
KR102570102B1 (en) * 2022-11-01 2023-08-25 주식회사 대성플라스틱 A set of dining tools that can be combine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373B1 (en) * 2012-09-17 2013-09-25 이승호 A spoon set with compounds
KR102570102B1 (en) * 2022-11-01 2023-08-25 주식회사 대성플라스틱 A set of dining tools that can be combin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31860S1 (en) Spoon
KR101545236B1 (en) Spoon and chopsticks support compatible with container
KR200226856Y1 (en) a Set of Cutlet
CN209376935U (en) A kind of Portable sleeved cutlery box
US20190208940A1 (en) Elevated utensil
KR200241642Y1 (en) a set of Spoon and Chopsticks
KR100475694B1 (en) The disposable container that convenient to eat
JP2000116523A (en) Lid for cooking tool
US20230031341A1 (en) Snack-like food utensil - chooon
KR200470807Y1 (en) Distribute food sanitary scoop
JP5408594B1 (en) Double-sided sanitary western food utensils with eggplant fulcrum on both sides
CN215777055U (en) Tableware is accomodate in supporting of dining table
KR200470810Y1 (en) Distribute food sanitary tongs
KR900000587Y1 (en) Cutting boards
US20240057822A1 (en) Sink Drain Plug With Cleaning Brush Attachment
KR20100118659A (en) Hygiene Meal.
KR200484348Y1 (en) Versatile cooking utensils with sanitary properties and ease of use
KR200405657Y1 (en) sanitary chopsticks
KR20080003443U (en) Sanitation spoon
JP3079880U (en) Chopsticks with seasoning
KR200183440Y1 (en) Keeping tool of kitchenware
KR200317777Y1 (en) A eating tools constituted a supporter
CN113180437A (en) Tableware and dish distributor
KR200261656Y1 (en) Personal hygiene spoon Case
KR200258670Y1 (en)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