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644Y1 - 건축공사용 에이형 지주 - Google Patents

건축공사용 에이형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644Y1
KR200226644Y1 KR2020000036957U KR20000036957U KR200226644Y1 KR 200226644 Y1 KR200226644 Y1 KR 200226644Y1 KR 2020000036957 U KR2020000036957 U KR 2020000036957U KR 20000036957 U KR20000036957 U KR 20000036957U KR 200226644 Y1 KR200226644 Y1 KR 200226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wire
coupled
pai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형진
Original Assignee
배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형진 filed Critical 배형진
Priority to KR2020000036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6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64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공사용 A형 지주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설공사에서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주를 형성함에 있어서, 수직하중은 물론 수평하중에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건설작업에 피해발생 우려를 제거하여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지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1쌍의 파이프 상단은 천정 받침판과 결합시키고, 이 1쌍의 파이프 하단은 바닥 받침판과 결합시킨 길이 조절봉이 삽입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1쌍의 파이프를 와이어로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건설공사용 지주를 형성함에 있어서,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견고히 견딜 수 있도록 'A'형태로 형성한 것으로, 상부 구조물의 수직하중을 견고히 지지하는 것은 물론, 건설작업 도중 외부의 물리력에 의해 거푸집 또는 상기 지주에 압력이 측면에서 가해질 때에도 상기 압력을 극복하고 상부 구조물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어, 인명과 재산산의 손실을 야기하는 건설사고 발생을 제거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건축공사용 에이형 지주{A Style support for construction work}
본 고안은 건축공사용 A형 지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 축조시 상부 구조물의 수직하중은 물론 수평하중도 견딜 수 있는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를 할 때 상측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주를 사용한다.
즉, 건축공사용 지주는 건축공사 과정에서 상층 바닥이나 옥상 등을 건설할 때 이 상기 상층 바닥이나 옥상 등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상층 바닥 또는 옥상 등과 아래 층의 바닥 사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지주는 목재 또는 철재로 되었으며, 철재는 파이프 형태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지주는 상측 구조물, 즉 상층 바닥 또는 옥상 등의 수직하중에는 강하여 상기 하중을 견고히 지지하는데, 수평하중에는 약하여 건설도중 상기와 같이 설치한 지주가 쓰러져 가설물들이 붕괴되는 일이 있고, 이로인해 인명과 재산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어 왔다.
즉, 상층이나 옥상 등을 건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조립하고 지주를 세워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게 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상기 지주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거푸집의 하중을 견고히 지지하여야 하는데, 위에서 아래로 작용하는 수직하중에는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나, 수평하중, 즉 작업과정에서 상기 지주의 측면에 힘이 가해지면, 이 힘을 견디지 못하고 쓰러져 지주가 지지하고 있던 거푸집과 타설되어 미처 굳지않은 콘크리트가 붕괴되는 결과를 초래하며,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면 작업현장에 있던 인부들의 인명에 치명적 상해를 가하게 되고, 잔해물을 제거하고 건설작업을 다시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 재산적 손해가 야기되는 등 그 피해가 크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설공사에서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주를 형성함에 있어서, 수직하중은 물론 수평하중에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건설작업에 피해발생 우려를 제거하여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건설공사용 A형 지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1쌍의 파이프 상단은 천정 받침판과 결합시키고, 이 1쌍의 파이프 하단은 바닥 받침판과 결합시킨 길이 조절봉이 삽입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1쌍의 파이프를 와이어로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지주의 부분 절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장력조정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지주의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A형 지주 11 : 파이프 12 : 천정 받침판
13 ; 바닥 받침판 14 : 길이 조절봉 15 : 와이어
16 : 장력 조정구 17 : 몸체 18 : 장력레버
19 : 랫치 휠 20 : 장력 유지구 21 ; 해제레버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지주의 부분 절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장력조정구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수직, 수평 하중에 강한 A형 지주(10)를 형성하는 것으로, 1쌍의 파이프(11)를 구비하고 그 상단을 천정 받침판(12)과 결합시키되, 천정 받침판(12)에서 회동 자재될 수 있도록 결합시키며, 상기 1쌍의 파이프(11) 하단에는 바닥 받침판(13)에 결합시킨 길이 조절봉(14)을 삽입 결합시킨다.
상기에 있어서, 길이 조절봉(14)은 외주연에 나사를 형성하고 바닥 받침판(13)에서 회동 자재될 수 있도록 결합시키며,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 조절 나사(14')를 체결하여 구비한다.
또한, 상기 1쌍의 파이프(11) 상호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와이어(15)를 체결하는데, 상기 와이어(15)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 조정구(16)를 형성하고, 상기 1쌍의 파이프(11) 각각의 소정 위치에 체결하여 그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장력 조정구(16)는 몸체(17) 내부에 랫치 휠(19)과 이송 휠(19') 및 장력 유지구(20)를 형성하는데, 이 장력 유지구(20)는 와이어(15)가 삽입 관통되는 부분에 톱니 형상의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하단에 해제레버(21)를 결합시켜 형성한다.
상기에 있어서, 해제레버(21)는 상기 장력 유지구(20)에 회동 자재되도록 결합시키되, 일측 선단은 와이어(15)의 일측을 결합하고 타측 선단은 와이어(15)의 위치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장력레버(18)가 몸체(17)에 회동 자재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데, 이 장력레버(18)의 선단에 형성한 발톱(18')이 랫치 휠(19)의 외주연에 형성된 이(齒)에 맞물리도록 하고, 와이어(15)에 접하며 랫치 휠(19)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는 이송 휠(19')은 상기 랫치 휠(19)과 동일 축으로 몸체(17)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장력 조정구(16)는 복동 클릭 랫치 휠의 원리를 이용하여 형성한 것이다.
첨부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A형 지주의 설치 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축물 공사시 아래 층의 공사가 완성되면 상층이나 옥상을 건설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상층이나 옥상을 건설할 때 본 고안에 의한 A형 지주(10)를 설치하여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지주(10)가 상층이나 옥상을 건설하기 위해 설치한 거푸집과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치하는데, 그 설치는 상기 지주(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놓고 1쌍의 파이프(11)를 일정 간격으로 벌린 후 상기 지주(10)를 세운다.
상기와 같이 지주(10)를 세우면 바닥 받침판(13)은 공사가 완료된 아래층 바닥에 닿게 되고, 천정 받침판(12)은 상층 또는 옥상을 건설하기 위해 설치한 거푸집의 저면에 닿게 된다.
만일, 천정 받침판(12)이 상기 거푸집에 닿지 않을 때에는 길이 조절 나사(14')를 회전시켜 길이 조절봉(14)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이 길이 조절 나사(14')에 지지되는 파이프(11)도 그 위치가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고, 상기와 같이 파이프(110가 올라가면 그 선단에 체결한 천정 받침판(12)도 올라가 거푸집에 닿게 된다.
상기와 같이 A형 거푸집(10)을 세워 바닥 받침판(13)은 바닥에 닿고, 천정 받침판(12)은 천정에 닿게 되었다 하더라도 길이 조절 나사(14')를 돌려 상기 길이 조절 나사(14')가 올라갈 수 있는 최대치까지 올린다.
이와 같이 길이 조절 나사(14')를 더욱 더 올리는 것은 바닥 받침판(13)은 아래 층의 바닥을, 천정 받침판(12)은 거푸집의 저면을 강하게 압박시켜 상부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어도 천정 받침판(12)과 바닥 받침판(13)이 각각 거푸집의 저면과 아래층 바닥을 완전 밀착하여 압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주(10)는 그 설치상태에서 다소의 유동이 있게 되는데, 안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유동을 없애야 하며 그러한 역할은 와이어(15)가 한다.
즉, 상기와 같이 설치가 끝나면 와이어(15)를 팽팽하게 하는데, 그 과정은 장력레버(18)를 잡고 펌프질을 하듯이 상.하로 회동시키면 장력레버(18)의 선단에 형성한 발톱(18')이 랫치 휠(19)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첨부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장력레버(18)를 회동시키면 랫치 휠(19)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장력레버(18)를 위로 들어 올릴때는 상기 장력레버(18)의 선단에 형성한 발톱(18') 중 앞(도 2에서는 오른쪽)에 있는 발톱(18')이 랫치 휠(19) 외주연에 형성한 이(齒)를 걸어 회전시키고, 장력레버(18)를 아래로 내릴 때에는 장력레버(18) 선단의 발톱(18') 중 뒤(도 2에서는 왼쪽)에 있는 발톱(18')이 랫치 휠(19)의 이(齒)를 걸어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랫치 휠(19)이 회전하면 상기 랫치 휠(19)을 고정시키는 축이 랫치 휠(19)과 같이 회전하게 되고, 랫치 휠(19)과 동일 축 상에 결합시킨 이송 휠(19')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이송 휠(19')이 회전하게 되면 이 이송 휠(19')은 와이어(15)와 접하기 때문에 와이어(15) 상에서 회전하며 이동(도 2에서는 왼쪽으로)하게 되고, 상기 이송 휠(19')을 체결하는 축의 양측 선단이 몸체(17)에 체결되었으므로, 몸체(17)도 이송 휠(19')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서 이동하는 몸체(17)는 그 내부에 형성한 장력 유지구(20)를 같은 방향으로 밀며 이동하는데, 와이어(15)는 1쌍의 파이프(11) 중 어느 한쪽의 파이프(11)에 일측 선단을 체결하였고, 타측 선단은 다른 쪽의 파이프(11)의 고리에 걸어 양 파이프(11)를 연결한 다음 장력 유지구(20)에 체결한 해제레버(21)의 일측 선단에 체결하였기 때문에 장력 조정구(16)가 이동을 하면 와이어(15)는 일측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타측을 당기는 것과 같이 되므로 팽팽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15)가 팽팽해 짐에 따라 1쌍의 파이프(11) 간격이 점점 좁아지게 되고, 그 간격이 좁아지면 파이프(11)는 비스듬한 상태에서 수직으로 점점 이동되어 그 높이가 연장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1쌍의 파이프(11)의 간격이 일정 거리만큼 좁아지면 더 이상 좁아질 수 없는 위치에까지 이르게 된다.
즉, A형 지주(10)의 설치 높이가 점점 연장되어 천정 받침판(12)과 바닥 받침판(13)이 각각 거푸집과 아래층 바닥을 완전 밀착하여 압박하는 상태가 되면 더 이상 그 높이가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11)의 간격도 더 이상 좁아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장력 조정구(16)가 이동하여 와이어(15)가 팽팽해져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는 위치에 이르게 되면 장력 유지구(20)와 해제레버(21)가 와이어(15)를 강하게 압박하기 때문에 장력 조정구(26)는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상기에 있어서, 이송 휠(19')의 외주연과 장력 유지구(20)의 와이어(15)가 삽입 관통되는 부분에는 톱니 형상의 이(齒)를 형성하였는데, 상기 이(齒)의 방향을 어느 한 쪽(도 2에서는 오른쪽)으로 향하게 하였으므로, 와이어(15)가 한 쪽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나, 다른 쪽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어 이송 휠(19')의 회전에 의해 장력 조정구(16)가 이동할 수 있고, 이동된 위치에서 장력 유지구(20)와 해제레버(21)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A형 지주(10)의 설치가 완료되는데, 건설을 위해서는 첨부한 도면 도 3에서와 같이 A형 지주(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에 일정 위치마다 다수개 설치하면, 수직하중은 물론 수평하중도 견고히 견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설치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타설된 콘크리트가 굳으면 상기 지주(10)와 거푸집을 제거하는데, 상기 지주(10)를 제거할 때에는 해제레버(21)를 아래로 당기면 해제레버(21)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와이어(15)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는 일측 선단이 와이어(15)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와이어(15)를 압박 고정하는 상태가 해제되며, 이에 따라 장력 조정구(16)를 최초 설치할 당시 이동시켰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장력 조정구(10)를 처음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와이어(15)가 느슨해지면 길이 조절 나사(14')를 돌려 길이 조절봉(14)의 아래로 내려가게 하고, 이와 같이 길이 조절봉(14)이 아래로 내려가면 이 길이 조절봉(14)에 지지되는 파이프(11)도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강하게 압박되던 천정 받침판(12)과 거푸집 사이에 공간이 생기므로, A형 지주(10)의 설치 상태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건설공사용 지주를 형성함에 있어서,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견고히 견딜 수 있도록 'A'형태로 형성한 것으로, 상부 구조물의 수직하중을 견고히 지지하는 것은 물론, 건설작업 도중 외부의 물리력에 의해 거푸집 또는 상기 지주에 압력이 측면에서 가해질 때에도 상기 압력을 극복하고 상부 구조물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어, 인명과 재산산의 손실을 야기하는 건설사고 발생을 제거하는 고안이다.

Claims (2)

1쌍의 파이프(11) 상단은 천정 받침판(12)과 결합시키고, 이 1쌍의 파이프(11) 하단은 바닥 받침판(13)과 결합된 길이 조절봉(14)이 삽입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1쌍의 파이프(11)를 와이어(15)로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A형 지주.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5)에는 장력 조정구(16)를 설치하되, 이 장력 조정구(16)는 몸체(17)의 내부에 와이어(15)의 일측 선단이 체결되는 해제레버(21)가 결합된 장력 유지구(20)와 몸체(17)에 결합되는 장력레버(18)의 선단에 형성한 발톱(18')이 맞물리는 랫치 휠(19)과 이 랫치 휠(19)과 동일 축으로 결합되며 외주연이 와이어(15)에 접하는 이송휠(19')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A형 지주.
KR2020000036957U 2000-12-29 2000-12-29 건축공사용 에이형 지주 KR200226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957U KR200226644Y1 (ko) 2000-12-29 2000-12-29 건축공사용 에이형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957U KR200226644Y1 (ko) 2000-12-29 2000-12-29 건축공사용 에이형 지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623A Division KR100406517B1 (ko) 2000-11-25 2000-11-25 건축공사용 a형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644Y1 true KR200226644Y1 (ko) 2001-06-15

Family

ID=73061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957U KR200226644Y1 (ko) 2000-12-29 2000-12-29 건축공사용 에이형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6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KR101812230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KR200291531Y1 (ko) 파이프 서포트용 고정핀
KR200226644Y1 (ko) 건축공사용 에이형 지주
KR20160142928A (ko) 시스템 비계
KR100406517B1 (ko) 건축공사용 a형 지주
US2916245A (en) Adjustable scaffold bracket
KR20050075266A (ko)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US3490189A (en) Scaffold element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scaffolding structures
KR200392054Y1 (ko)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KR102102440B1 (ko) 서포트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인양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
KR20100020155A (ko) 거푸집 추락 방지 장치
JP2911419B2 (ja) 仮設構造物における連結構造
KR200459397Y1 (ko) 갱 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지지브라켓 구조
JPH0738555Y2 (ja) 梁型枠支持フレーム
CN216239024U (zh) 一种连墙件
KR200285373Y1 (ko)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KR102659597B1 (ko)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비계의 지지장치
JP3798856B2 (ja) PCa壁面型枠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CN214996001U (zh) 一种可调节悬挑混凝土结构模板支架
JPH07310438A (ja) 養生フレームユニット
CN210151948U (zh) 一种免切割支撑预埋件
JP3211868U (ja) 水平型枠上に組み付ける垂直型枠の支持具
JPH0732111U (ja) 建築用手摺り支柱の取付金具
KR200347316Y1 (ko)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