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575Y1 - 세트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세트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575Y1
KR200226575Y1 KR2020000032989U KR20000032989U KR200226575Y1 KR 200226575 Y1 KR200226575 Y1 KR 200226575Y1 KR 2020000032989 U KR2020000032989 U KR 2020000032989U KR 20000032989 U KR20000032989 U KR 20000032989U KR 200226575 Y1 KR200226575 Y1 KR 200226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 plate
steel sheet
seat belt
long ho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희
Original Assignee
강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희 filed Critical 강진희
Priority to KR2020000032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5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575Y1/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판(S)으로 형성되어 차체(B)에 고정되는 세트플레이트(1)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강판(S)의 일단에는 시트벨트(40)가 통과하는 장공(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2)의 내주면에는 상기 강판(S)의 일측면으로부터 모서리부가 둥글게 돌출된 제1 돌출부(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지 않으면서도 장공의 모서리부를 매끄럽게 함과 동시에 안전벨트와 맞닿는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에 안전벨트가 절단되지 않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세트플레이트{Set plate}
본 고안은 세트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나 항공기 등의 안전벨트와 함께 사용되는 세트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벨트는 사용자가 착용하지 않을 때는 감겨져 있다가 사용자가 착용하기 위해 당기면 감긴 상태에서 풀리게 된다. 예를 들어, 차량용 안전벨트장치를 예시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D)의 일측의 하부 차체(B)에는 제1 미니 앵커(70)에 의해 연결벨트(2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연결벨트(20)의 타단에는 버클(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 차체(B)에는 리트랙터(30)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리트랙터(30)의 상부의 측면 차체(B)에는 필러 앵커(60, pillar anchor)가 고정되어 있다. 시트 벨트(40)는 그 일단이 리트랙터(30)에 고정되며, 그 중간에 결합구(50)가 마련되어 있으며, 결합구(50)가 버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차체(B)의 상측에는 필러 앵커(60, pillar anchor)가 고정되어 있으며, 시트벨트(40)는 필러 앵커(60)를 통해 리트랙터(30)에 연결되어 있다. 시트벨트(40)의 타단은 시트(D)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 하부 차체(B)에 고정된 제2 미니 앵커(80)에 고정되어 있다.
리트랙터(30)와 필러 앵커(60) 사이에는 세트플레이트(1)가 위치되며, 세트플레이트(1)는 시트벨트(40)가 리트랙터(30)와 필러 앵커(60) 사이에서 원할히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세트플레이트(1)는 일단에 장공(2)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 고정공(5)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공(5)이 차체(B)에 고정된다. 장공(2)은 그 내주면이 제1 및 제2 장연부(2a, 2b)와 제1 및 제2 단연부(2c, 2d)로 이루어져 있다. 시트벨트(40)는 세트플레이트(1)의 장공(2)을 통과한다. 따라서, 시트벨트(40)는 장공(2)의 제1 장연부(2a)에 대하여 마찰력을 작용시키도록 되어 있다. 시트벨트(40)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짜넣은 띠모양의 가는 폭의 직포가 사용된다.
장공(2)은 프레스에 의해 성형되는데, 프레스에 의해 타발된 측에는 모서리부에 날카로운 흠집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모서리부의 날카로운 흠집은, 차량의 충돌시 시트벨트(40) 및 연결벨트(20)에 순간적으로 높은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칼날과 같은 작용을 하여 장공(2)에 맞닿는 시트벨트(40)를 절단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안전벨트의 절단은 차량에 탑승한 인명에 치명적인 피해를 준다.
이러한 모서리부에 발생된 날카로운 흠집을 제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 공정과는 별도의 공정에서 모서리부를 둥글게 마무리 가공하였다. 이러한 마무리 가공은 프레스 공정과는 별도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세트플레이트(1)는 강판(S)으로 형성한 것이므로, 시트벨트(40)에 맞닿는 장공(2)의 내주면의 면적이 좁고, 이 때문에 시트벨트(40)에 작용하는 면압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도 2a의 세트플레이트(1)도 차량의 충돌시 시트벨트(40)에 순간적으로 높은 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장공(2)의 내주면과의 높은 면압에 의해 시트벨트(40)가 절단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종래 기술에서는, 모서리부에 발생된 날카로운 흠집을 없앰과 동시에 시트벨트(40)와 맞닿는 면적을 넓게 하여 시트벨트(40)에 작용하는 면압을 낮게하기 위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벨트(40)와 맞닿는 면적이 넓은 플라스틱 사출물(11)을 장공(2)의 제1 및 제2 장연부(2a, 2b)에 각각 부착하였다. 그러나, 플라스틱 사출물(11)을 부착하는 작업은 수작업으로 하나씩 플라스틱 사출물(11)에 접착제를 바른 다음 장공(2)의 제1 및 제2 장연부(2a, 2b)에 각각 부착시켜야 하므로 작업 공수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승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세트플레이트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원가를 상승시키지 않으면서도 장공의 모서리부를 매끄럽게 함과 동시에 안전벨트와 맞닿는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에 안전벨트가 절단되지 않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세트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하나의 종래 기술의 세트플레이트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다른 하나의 종래 기술의 세트플레이트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세트플레이트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g는 도 4a의 세트플레이트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세트플레이트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a 및 도 7c는 도 6a의 세트플레이트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세트플레이트(1)는 강판(S)으로 형성되어 차체(B)에 고정되며, 상기 강판(S)의 일단에는 시트벨트(40)가 통과하는 장공(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2)의 내주면에는 상기 강판(S)의 일측면으로부터 모서리부가 둥글게 돌출된 제1 돌출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세트플레이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세트플레이트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세트플레이트(1)는 강판(S)으로 형성되며, 강판(S)의 일단에는 시트벨트(40)가 통과하는 장공(2)이 형성되어 있다. 장공(2)의 내주면은 제1 장연부(2a)와 이 제1 장연부(2a)에 대향하는 제2 장연부(2b) 및 제1 장연부(2a)와 제2 장연부(2b)가 연결되는 부분이 매끄럽게 연속되는 원호상의 단연부(2c, 2d)로 이루어져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2)의 내주면에는 전체에 걸쳐 강판(S)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장공(2)은 제1 돌출부(3)에 의해 그 내주면의 폭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트벨트(40)가 맞닿는 장공(2)의 내주면의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3)는 강판(S)의 타측면측으로부터 일측면측으로 버링가공(burring)함으로써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강판(S)을 버링하는 양(돌출량)에 따라 제1 돌출부(3)의 돌출량이 결정되게 된다.
또한, 제1 돌출부(3)는 선단부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장연부(2a)에 대하여 시트벨트(40)가 맞닿는 모서리부가 둥글게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트플레이트(1)는 강판(S)의 돌출량에 따라 제1 돌출부(3)의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세트플레이트(1)는 장공(2)에서 시트벨트(40)가 맞닿는 내주면의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돌출부(3)에서 시트벨트(4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세트플레이트(1)에 의하면 제1 돌출부(3)의 모서리부가 둥그스름하여 장공(2)의 내주면을 별도의 마무리 공정에서 마무리 가공하거나 내주면에 플라스틱 사출물을 별도로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세트플레이트(1)를 제조하는 공정에 대해서는 도 5a 내지 도 5g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 5a에서, 강판(S)에 금형(K1) 및 펀치(K2)를 이용하여 장공(2)을 형성하기 위한 제1 기초공(S1)을 천공한다. 다음, 도 5b에서, 금형(K3) 및 금형(K4)을 이용하여 제1 기초공(S1)의 상부로부터 강판(S)의 상면 모서리에 걸쳐 원호상의 둥그스름한 모양(S1a)을 형성한다. 다음, 도 5c에서, 금형(K5) 및 금형(K6)을 이용하여 제1 기초공(S1)의 하부로부터 강판(S)의 하면 모서리에 걸쳐 원호상의 둥그스름한 모양(S1b)을 형성한다. 다음, 도 5d에서, 금형(K7) 및 금형(K8)을 이용하여 제1 기초공(S1) 부분을 강판(S)의 상방으로 버링가공하여 제1 기초공(S2)을 형성한다. 다음, 제 5e에서, 금형(K9) 및 금형(K10)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제2 기초공(S2)의 부분을 하측으로 면압하여 강판(S)의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돌출된 제1 돌출부(3)를 형성한다. 다음, 도 5f에서, 금형(K11) 및 금형(K12)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3)의 반대측 모서리(S3)를 매끄러운 곡면을 이루도록 마무리한다. 이때, 제2 기초공(S2)의 표면도 매끄럽게 마무리된다. 다음, 도 5g에서, 금형(K13) 및 금형(K14)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3)를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곡면을 이루도록 마무리한다. 이때에도, 제2 기초공(S2)의 표면이 매끄럽게 마무리된다. 이렇게 마무리된 제2 기초공(S2)에 의해 제1 실시예의 장공(2)이 형성된다.
변경적으로, 본 고안의 세트플레이트는 돌출부를 강판(S)의 양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세트플레이트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의 세트플레이트(1)는 강판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도 돌출부를 형성한 구성이다.
강판(S)의 양측면에 제1 및 제2 돌출부(3, 4)를 형성하는 방법은 도 5d의 공정에 이어서 도 7a 및 도 7c의 공정을 행하면 된다.
즉, 도 5d의 공정에 의해 제1 기초공(S1)의 부분을 강판(S)의 상방으로 버링가공하여 제1 기초공(S2)을 형성한 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K15), 금형(K16) 및 금형(K17)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제2 기초공(S2)의 부분을 하측으로 면압하여 강판(S)의 상하면으로부터 거의 동일한 높이로 돌출된 제1 및 제2 돌출부(3, 4)를 형성한다. 다음, 도 7b에서, 금형(K18) 및 금형(K19)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3)를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곡면을 이루도록 마무리한다. 이때, 제2 기초공(S2)의 표면도 매끄럽게 마무리된다. 다음, 도 7c에서, 금형(K20) 및 금형(K21)을 이용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S4)를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곡면을 이루도록 마무리한다. 이때에도, 제2 기초공(S2)의 표면이 매끄럽게 마무리된다. 이렇게 마무리된 제2 기초공(S2)에 의해 제2 실시예의 장공(2)이 형성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세트플레이트에 의하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지 않으면서도 장공의 모서리부를 매끄럽게 함과 동시에 안전벨트와 맞닿는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에 안전벨트가 절단되지 않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은 그 주요 특징을 이루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예와 실시예는 어느 경우에나 제한적인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고안은 이상의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

  1. 강판(S)으로 형성되어 차체(B)에 고정되는 세트플레이트(1)에 있어서,
    상기 강판(S)의 일단에는 시트벨트(40)가 통과하는 장공(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2)의 내주면에는 상기 강판(S)의 일측면으로부터 모서리부가 둥글게 돌출된 제1 돌출부(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2)의 내주면에는 상기 강판(S)의 타측면으로부터 모서리부가 둥글게 돌출된 제2 돌출부(4)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플레이트.
KR2020000032989U 2000-11-24 2000-11-24 세트플레이트 KR200226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989U KR200226575Y1 (ko) 2000-11-24 2000-11-24 세트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989U KR200226575Y1 (ko) 2000-11-24 2000-11-24 세트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575Y1 true KR200226575Y1 (ko) 2001-06-15

Family

ID=7309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989U KR200226575Y1 (ko) 2000-11-24 2000-11-24 세트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5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0061A (en) Seat belt anchorage plate for seat bel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6036186A (ja) シートベルト用ガイドアン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3281226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用ベルト取付金具
KR200226575Y1 (ko) 세트플레이트
KR200229697Y1 (ko)
KR200221321Y1 (ko) 릴베이스 스테이
KR200222675Y1 (ko) 버클베이스
KR100599881B1 (ko) 개선된 필러 앵커 및 그 제조 방법
KR100397383B1 (ko) 미니 앵커 제조 방법
KR100397485B1 (ko) 미니 앵커 및 그 제조 방법
KR200247532Y1 (ko) 미니 앵커
JP3138624B2 (ja) ベルト連結用金具の製造方法
JP2644456B2 (ja) ベルト連結用金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31439Y1 (ko) 개선된 필러 앵커
KR100415295B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버클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3758145B2 (ja) スクラップ分断刃付きトリミング型
JP3281308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用ベルト取付金具の製造方法
KR100551679B1 (ko) 개선된 필러 앵커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52216A (ko) 리트렉터용 브래킷
KR200259886Y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버클베이스
JP2779328B2 (ja) シートベルト吊持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47581Y1 (ko) 상부 구조가 개선된 미니 앵커
JP2001138862A (ja) ベルト連結用金具
KR200247582Y1 (ko) 상부 구조가 개선된 필라 앵커
KR100390869B1 (ko) 필러 앵커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