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886Y1 - 개선된 구조를 갖는 버클베이스 - Google Patents

개선된 구조를 갖는 버클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886Y1
KR200259886Y1 KR2020010029086U KR20010029086U KR200259886Y1 KR 200259886 Y1 KR200259886 Y1 KR 200259886Y1 KR 2020010029086 U KR2020010029086 U KR 2020010029086U KR 20010029086 U KR20010029086 U KR 20010029086U KR 200259886 Y1 KR200259886 Y1 KR 200259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base
bottom plate
protrusion
long hole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희
Original Assignee
강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희 filed Critical 강진희
Priority to KR2020010029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8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886Y1/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클베이스에 관한 것으로, 측벽(216)이 바닥판(210a)의 양쪽에서 그 종방향 길이 전체에 걸쳐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측벽(216)의 중간에 결합구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면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돌기(216c)가 형성되어 있고, 측벽(216)의 전방 양쪽의 상단에 해제 버튼(150)을 원할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가이더(217)가 형성되어 있고, 장공(213)의 내주면에 강판(S)의 일측면으로부터 모서리부가 둥글게 돌출된 제1 돌출부(2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구조를 갖는 버클베이스{Buckle base with an improved structure}
본 고안은 버클 조립체의 버클베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벽이 바닥판의 양쪽에서 그 종방향 길이 전체에 걸쳐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버클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벨트는 사용자가 착용하지 않을 때는 감겨져 있다가 사용자가 착용하기 위해 당기면 감긴 상태에서 풀리게 된다. 예를 들어, 차량용 안전벨트장치를 예시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D)의 일측의 하부 차체(B)에는 제1 미니 앵커(70)에 의해 연결벨트(2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연결벨트(20)의 타단에는 버클 조립체(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 차체(B)에는 리트랙터(30)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리트랙터(30)의 상부의 측면 차체(B)에는 필러 앵커(60, pillar anchor)가 고정되어 있다. 시트 벨트(40)는 그 일단이 리트랙터(30)에 고정되며, 그 중간에 결합구(50)가 마련되어 있으며, 결합구(50)가 버클 조립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차체(B)의 상측에는 필러 앵커(60, pillar anchor)가 고정되어 있으며, 시트벨트(40)는 필러 앵커(60)를 통해 리트랙터(30)에 연결되어 있다. 시트벨트(40)의 타단은 시트(D)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 하부 차체(B)에 고정된 제2 미니 앵커(80)에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 조립체는 'ㄷ'자 형강 형상의 버클베이스(110)와, 결합구(미도시)를 잠그기 위한 잠금부(120)와, 이 잠금부(120)를 버클베이스(110)의 지지보(111)에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잠금 블럭(130)과, 버클 베이스(110) 상에서 슬라이딩 작동하게 결합되어 잠금부(120)에서 결합구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버튼(150)과; 버클베이스(110) 상에서 슬라이딩 작동하게 결합되어 결합구의 해제시 결합구를 버클베이스(110)의 길이방향인 종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이젝터(14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버클 조립체에는 외장 케이스가 덮여지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외장 케이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버클베이스(110)는 강판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절개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바닥판(110a)의 양 측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양 측벽(116)에 의해 전체적으로 'ㄷ'자 형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110a)의 전방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일체형 지지보(111)가 형성되어 있다. 일체형 지지보(111)의 상단 양측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해제버튼(15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안정된 해제 작동을 유도하는 한쌍의 안내돌기(1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체형 지지보(111)의 상단 중앙에는 해제 버튼(150)에 체결되는 제1 스프링(161)을 지지하기 위해 정면을 향하게 절곡된 돌출단(11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체형 지지보(111)의 양측 하단에는 삽입되는 결합구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면서 안내하기 위한 한쌍의 안내홈(111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110a)의 중간에는 이젝터(140)를 슬라이딩 작동시키기 위한 슬롯(112)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110a)의 후방에는 벨트를 고정하기 위한 장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112)의 후방에는 이젝터(140)에 체결되는 제2 스프링(162)을 지지하기 위한 돌출단(112a)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110a)의 선단 중간부는 결합구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아래로 약간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다.
또한, 버클베이스(110)의 후방 양쪽에는 바닥판(110a)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한쌍의 측벽(116)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측벽(116)의 상단에는 힌지홈(116a)과 정지홈(116b)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측벽(116)의 선단에는 결합구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면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돌기(116c)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돌기(116c)는 측벽(116)의 선단 일부를 하방에서 절개하여 바닥판(110a) 쪽으로 구부린 것이다. 바닥판(110a)의 전방 양쪽에는 해제 버튼(150)을 원할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한쌍의 가이더(117)가 바닥판(110a)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가이더(117)의 선단에는 해제 버튼(150)의 이탈을 막기 위한 이탈방지턱(117a)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120)의 후방 양측에는 힌지축(121)과 정지축(122)이 각각 한쌍씩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에는 결합구의 고정홈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경사진 반튜브 형상의 래치(1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121)은 힌지홈(116a)에 체결되고, 정지축(122)은 정지홈(116b)에 체결된다. 또한, 잠금부(120)는 그 양 측단에 잠금 블럭(130)을 슬라이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더(124)를 형성하고 있다. 정지축(122)의 중심에는 잠금 블럭(130)에 체결되는 제3 스프링(163)을 지지하기 위한 돌출단(122a)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120)의 후방 단부에는 잠금작동을 위해서 직각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한쌍의 다리(12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120)의 다리(125)는 이젝터(140)가 종방향으로 밀려 들어올 경우, 이젝터(140)의 후단면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잠금부(120)의 앞부분을 하방으로 회동시켜 잠금작동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잠금 블럭(130)은 그 정면 양측에 한쌍의 경사돌출부(131)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잠금부(120)의 가이더(124)에 끼워지도록 양쪽 측면에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딩 홀더(132)를 구비하고 있다. 잠금 블럭(130)은 제3 스프링(163)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잠금부(120)를 잠금작동시킬 경우, 잠금부(120)의 래치(123)로 하여금 결합구의 고정홈을 고정시키게 한다.
이젝터(140)의 하부에는 버클베이스(110)의 슬롯(112) 내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는 한쌍의 슬라이딩 홀더(1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젝터(140)의 정면에는 결합구과 원할하게 접촉하기 위해 안쪽으로 휘어진 함몰부(142)가 형성되어 있다.또한, 함몰부(142)의 상부에는 결합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쌍의 이탈방지턱(143)이 형성되어 있다.
해제 버튼(150)의 정면에는 결합구를 삽입하기 위한 입구(15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버튼(150)의 내면 상단에는 일체형 지지보(111)의 안내돌기(111a)에 대하여 슬라이딩 결합하기 위한 한쌍의 슬라이딩 턱(152)이 형성되어 있다. 해제 버튼(150)의 양측 하단에는 버클베이스(110)의 가이더(117)에 대하여 슬라이딩 결합하기 위한 한쌍의 슬라이딩 홀더(1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홀더(153)의 내측면에는 일자형 홈(15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홀더(153)의 후방에는 버클베이스(110)의 이탈방지턱(117a)이 걸려 체결되는 걸림홈(153b)이 형성되어 있다.
해제 버튼(150)의 후방면에는 잠금 블럭(130)을 밀어냄과 동시에 잠금 블럭(130)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돕기 위해 경사면을 구비한 한쌍의 해제 돌출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해제 돌출부(154)의 사이에는 버클베이스(110)의 돌출단(111b)에 지지된 제1 스프링(161)을 삽입하여 지지하는 스프링 안착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버클 조립체의 버클베이스(110)의 바닥판(110a)에서 지지보(111)와 측벽(116) 사이의 부분은 폭이 좁아 가장 취약하다. 특히, 전술한 버클 조립체는, 버클 조립체와 결합구의 결합시, 잠금부(120)가 버클베이스(110)에 대하여 회동하면서 잠금부(120)의 래치(123)가 결합구의 고정홈에 맞물려 잠금작동되는 방식이므로, 버클베이스(110)의 바닥판(110a)의 슬롯(112)의 전방 부분과 잠금부(120)의 래치(123) 사이에는 약간의 유격 공간이 생기는 데, 차량 충돌시 결합구가 버클 조립체에 대하여 강하게 당겨지면 결합구의 고정홈에 맞닿아 있는 잠금부(120)의 래치(123)가 버클베이스(110)의 바닥판(110a)의 슬롯(112)의 전방 부분으로 밀리면서 바닥판(110a)에서 지지보(111)와 측벽(116) 사이의 부분이 휘어져 그 결과 결합구가 버클 조립체에서 빠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버클베이스(110)의 장공(113)은, 도 5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주면이 제1 및 제2 장연부(113a, 113b)와 제1 및 제2 단연부(113c, 113d)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벨트는 장공(113)의 제1 장연부(113a)에 감겨 고정되는데, 그 길이 방향의 일단부를 장공(113)의 제1 장연부(113a)에서 되접은 다음 꿰매어 부착함으로써 버클베이스(1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연결벨트는 장공(113)의 제1 장연부(113a)에 대하여 장력을 작용시키도록 되어 있다. 연결벨트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짜넣은 띠 모양의 가는 폭의 직포가 사용된다.
장공(113)은 프레스에 의해 형성되는데, 프레스에 의해 타발된 측에는 모서리부에 날카로운 흠집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모서리부의 날카로운 흠집은, 차량의 충돌시 시트벨트 및 연결벨트에 순간적으로 높은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칼날과 같은 작용을 하여 장공(113)에 맞닿는 연결벨트를 절단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안전벨트의 절단은 차량에 탑승한 인명에 치명적인 피해를 준다.
이러한 모서리부에 발생된 날카로운 흠집을 제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 공정과는 별도의 공정에서 모서리부를 둥글게 마무리 가공하였다. 이러한 마무리 가공은 프레스 공정과는 별도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버클베이스(110)는 강판으로 형성한 것이므로, 연결벨트에 맞닿는 장공(113)의 제1 장연부(113a)의 면적이 좁고, 이 때문에 연결벨트에 작용하는 면압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도 5의 버클베이스(110)도 차량의 충돌시 연결벨트에 순간적으로 높은 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제1 장연부(113a)와의 높은 면압에 의해 연결벨트가 절단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모서리부에 발생된 날카로운 흠집을 없앰과 동시에 연결벨트와 맞닿는 면적을 넓게 하여 연결벨트에 작용하는 면압을 낮게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서, 연결벨트와 맞닿는 면적이 넓은 플라스틱 사출물을 장공(113)의 제1 장연부(113a)에 부착하였다. 그러나, 플라스틱 사출물을 부착하는 작업은 수작업으로 하나씩 플라스틱 사출물에 접착제를 바른 다음 장공(113)의 제1 장연부(113a)에 부착시켜야 하므로 작업 공수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승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버클베이스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시 지지보와 측벽 사이의 바닥판 부분이 휘지 않고, 또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지 않으면서도 장공의 모서리부를 매끄럽게 함과 동시에 안전벨트와 맞닿는 면적을 크게 제조한 버클베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의 버클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버클 조립체의 해제 버튼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의 버클베이스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7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베이스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7의 버클베이스를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띠 형상의 강판으로부터 버클베이스를 형성할 때의 공정을 순서를 따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버클베이스 제조공정에서 장공을 제조하는 공정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의 장공을 제조하기 위한 버링가공 공정을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11는 도 9의 버클베이스 제조공정에서 장공을 제조하는 공정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의 장공을 제조하기 위한 드로잉가공 공정을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클베이스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도 14는 도 9의 버클베이스 제조공정에서 장공을 제조하는 공정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2의 장공을 제조하기 위한 버링가공 공정을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클베이스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D-D선을 따른 단면도, 및
도 17은 도 9의 버클베이스 제조공정에서 장공을 제조하는 공정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5의 장공을 제조하기 위한 컬링가공 공정을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버클베이스는,강판(S)으로 형성되고, 바닥판(210a)의 전방에는 직각으로 절곡되고 돌출단(211a)를 구비한 일체형 지지보(211)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210a)의 중간에는 슬롯(212)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210a)의 후방에는 벨트를 고정하기 위한 장공(213)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210a)의 양 측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양 측벽(216)에 의해 'ㄷ'자 형강 형상으로 형성된 버클베이스(210)와; 상기 버클베이스(210)의 측벽(216) 상에서 힌지축(121)에 의해 유한한 각도로 회동하여 결합구를 잠그기 위한 잠금부(120)와; 상기 잠금부(120)를 상기 버클베이스(210)의 지지보(211)에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잠금 블럭(130)과; 상기 버클 베이스(210) 상에서 슬라이딩 작동하게 결합되어 상기 잠금부(120)에서 결합구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버튼(150)과; 상기 버클베이스(210)의 슬롯(212) 내에 슬라이딩 작동하게 끼워져 결합구의 해제시 결합구를 상기 버클베이스(210)의 길이방향인 종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이젝터(140)로 구성된 버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버클베이스(210)는, 상기 측벽(216)이 상기 바닥판(210a)의 양쪽에서 그 종방향 길이 전체에 걸쳐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216)의 중간에 결합구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면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돌기(216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216)의 전방 양쪽의 상단에 상기 해제 버튼(150)을 원할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가이더(21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213)의 내주면에 강판(S)의 일측면으로부터 모서리부가 둥글게 돌출된 제1 돌출부(2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버클베이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버클베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버클베이스는 강판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절개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바닥판(210a)의 양 측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양 측벽(216)에 의해 전체적으로 'ㄷ'자 형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210a)의 전방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일체형 지지보(211)가 형성되어 있다. 일체형 지지보(211)의 상단 양측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해제 버튼(15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안정된 해제 작동을 유도하는 한쌍의 안내돌기(2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체형 지지보(211)의 상단 중앙에는 해제 버튼(150)에 체결되는 제1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해 정면을 향하게 절곡된 돌출단(21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체형 지지보(211)의 양측 하단에는 삽입되는 결합구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면서 안내하기 위한 한쌍의 안내홈(211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210a)의 중간에는 이젝터(140)를 슬라이딩 작동시키기 위한 슬롯(212)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210a)의 후방에는 벨트를 고정하기 위한 장공(213)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212)의 후방에는 이젝터(140)에 체결되는 제2 스프링(162)을 지지하기 위한 돌출단(212a)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210a)의 선단 중간부는 결합구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아래로 약간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210a)의 양쪽에는 종방향 길이 전체에 걸쳐 직각으로 절곡된 측벽(216)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216)의 상단에는 힌지홈(216a)과 정지홈(216b)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216)의 중간에는 결합구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면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돌기(216c)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돌기(216c)는 측벽(116)의 중간 일부의 후방을 절개하여 바닥판(110a) 쪽으로 직각으로 구부린 것이다. 측벽(216)의 전방 양쪽의 상단에는 해제 버튼(150)을 원할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가이더(217)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더(217)의 선단에는 해제 버튼(150)의 이탈을 막기 위한 이탈방지턱(217a)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버클베이스에 의하면, 측벽이 바닥판의 종방향 길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 기술의 버클베이스에서 지지보와 측벽 사이의 폭이 좁은 취약한 바닥판 부분이 보강되어 인장강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차량 충돌시 결합구가 버클 조립체에 대하여 강하게 당겨지더라도 본 고안의 버클베이스는 바닥판이 휘어지지 않으므로, 결합구가 버클 조립체에서 빠지는 일이 없다.
또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버클베이스는 강판으로 형성되며, 강판의 일단에는 차체에 연결된 연결벨트가 감겨 고정되는 장공(213)이 형성되어 있다. 장공(2)의 내주면은 제1 장연부(213a)와 이 제1 장연부(213a)에 대향하는 제2 장연부(213b) 및 제1 장연부(213a)와 제2 장연부(213b)가 연결되는 부분이 매끄럽게 연속되는 원호상의 단연부(213c, 213d)로 이루어져 있다.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213)의 내주면에는 전체에 걸쳐 강판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장공(213)은 제1돌출부(214)에 의해 그 내주면의 폭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벨트가 맞닿는 제1 장연부(213a)의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214)는 강판의 타측면측으로부터 일측면측으로 버링가공(burring) 또는 드로잉가공(drawing)함으로써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강판을 버링 또는 드로잉하는 양에 따라 제1 돌출부(214)의 돌출량이 결정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제1 돌출부(214)가 강판의 상측으로 돌출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돌출부(214)가 강판의 하측으로 돌출되어도 무방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돌출부(214)는 선단부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장연부(213a)에 대하여 연결벨트가 되접히는 방향을 따라 모서리부가 둥글게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버클베이스는 강판(S)의 돌출량에 따라 제1 돌출부(214)의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1 장연부(213a)에 연결벨트가 맞닿는 부분의 면적을 필요에 따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장연부(213a)에서 연결벨트에 작용하는 면압을 충분히 저감시킬 수 있으며, 연결벨트의 내구성 및 버클베이스의 강도 성능의 향상에 따른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버클베이스는 제1 장연부(213a)에서 연결벨트가 되접히는 방향을 따라 제1 돌출부의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돌출부(214)에서 연결벨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버클베이스에 의하면 제1 돌출부(214)의 모서리부가 둥그스름하여 장공(213)의 내주면을 별도의 마무리 공정에서 마무리 가공하거나 내주면에 플라스틱 사출물을 별도로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버클베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9 및 도 10에는 버링가공에 의해 장공에 돌출부를 형성하면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버클베이스를 제조하는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제조방법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소정 두께의 띠 형상의 강판(S)으로부터 버클베이스(210)를 프레스에 의해 순차 연속적으로 가공하게 된다. 도 10은 도 9의 제조 공정 중에서 장공을 제조하는 공정에 해당하는 공정만을 상세하게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9의 (a) 공정에서는, 버클베이스에서 바닥판(210a)과 지지보(211) 사이의 공간부(S211) 및 장공(213)을 형성하기 위한 기초공(S213)을 강판(S)에 천공한다. 도 9의 (a) 공정은 도 10에서 (a) 공정에 해당하며, 기초공(S213)은 금형(K1)과 펀치(K2)에 의해 형성된다. 펀치(K2)에 의해 천공될 때, 펀치(K2)의 선단부와 처음 맞닿는 부분은 약간 밀리면서 라운딩되며, 펀치(K2)의 선단부와 마지막으로 맞닿는 부분에는 전단에지가 형성된다.
다음, 도 9의 (b) 공정에서는, 바닥판(210a)의 선단 및 후단 일부를 제외한 버클베이스의 외부 윤곽부(S210)를 강판(S)에 형성함과 동시에, 기초공(S213)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전단에지를 면압하여 제거한다. 도 9의 (b) 공정은 도 10에서 (b) 공정에 해당하며, 기초공(S213)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전단에지는 금형(K3)과 금형(K4)에 의해 면압된다.
다음, 도 9의 (c) 공정에서는, 양 가이더(217)를 양 측벽(216)에 대하여 하측으로 절곡하고, 바닥판(210a)의 선단 중간부를 아래로 약간 경사지게 절곡함과 동시에, 기초공(S213)을 따라 강판(S)의 일부분을 강판(S)의 일측면으로 버링가공하여 제1 돌출부(214)를 형성한다. 이러한 버링가공시, 장공(213)도 형성된다. 도 9의 (c) 공정은 도 10에서 (c) 공정에 해당하며, 제1 돌출부(214)는 금형(K5)과 금형(K6)에 의해 형성된다.
다음, 도 9의 (d) 공정에서는, 바닥판(210a)의 선단 일부와 강판(S)을 연결하는 부분을 절단하여 바닥판(210a)의 선단 일부를 강판(S)에서 분리한다.
다음, 도 9의 (e) 공정에서는, 돌출단(211b)을 지지보(211)에 대하여 하측으로 절곡하고, 또한 측벽(216)의 중간 일부의 후방을 절개하면서 바닥판(110a) 쪽으로 직각으로 구부려 결합구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면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돌기(216c)를 형성함과 동시에, 강판(S)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214)를 강판(S)의 타측면으로 면압하여 그 모서리부를 둥글게 형성한다. 도 9의 (e) 공정은 도 10에서 (d) 공정에 해당하며, 제1 돌출부(214)는 금형(K7)과 금형(K8)에 의해 모서리부가 면압된다.
다음, 도 9의 (f) 공정에서는, 양 측벽(216)을 바닥판(210)에 대하여 상측으로 절곡함과 동시에, 제1 돌출부(214)의 반대측 모서리부를 면압하여 둥글게 형성한다. 도 9의 (f) 공정은 도 10에서 (e) 공정에 해당하며, 제1 돌출부(S3)의 반대측 모서리부는 금형(K9)과 금형(K10)에 의해 면압된다.
다음, 도 9의 (g) 공정에서는, 지지보(211)를 바닥판(210a)에 대하여 상측으로 절곡함과 동시에, 바닥판(210a)의 중간부를 천공하여 슬롯(212)을 형성한다.
다음, 도 9의 (h) 공정에서는, 바닥판(210a)의 후단 일부와 강판(S)을 연결하는 부분을 절단하여 버클베이스를 띠 형상의 강판에서 완전히 분리함과 동시에, 슬롯(212)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모서리부의 전단에지를 면압하여 제거한다.
또한, 도 11에는 드로잉가공에 의해 장공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1의 (a) 공정에서는, 강판(S)에서 장공(213)이 형성될 부분을 금형(K21)과 펀치(K22)에 의해 드로잉가공하여 제1 볼록부(T1)를 형성한다.
다음, 도 11의 (b) 공정에서는, 제1 볼록부(T1)를 금형(K23)과 펀치(K24)에 의해 더 드로잉가공하여 제2 볼록부(T2)를 형성한다.
다음, 도 11의 (c) 공정에서는, 제2 볼록부(T2)의 장공 해당부에 금형(K25)과 펀치(K26)에 의해 장공(213)을 천공함으로써 제1 돌출부(214)를 형성한다. 펀치(K26)에 의해 천공될 때, 펀치(K2)의 선단부와 처음 맞닿는 부분은 약간 밀리면서 라운딩되며, 펀치(K2)의 선단부와 마지막으로 맞닿는 부분에는 전단에지가 형성된다. 즉, 제1 돌출부(214)의 모서리부에는 전단에지가 형성되고, 제1 돌출부(214)의 반대측 모서리부는 약간 밀리면서 라운딩된다.
도 11의 (a) 내지 (c) 공정은 도 9의 (a) 내지 (c) 공정에서 도 10의 (a) 내지 (c) 공정 대신 행해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1의 (d) 및 (e) 공정은 도 10의 (d) 및 (e) 공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변경적으로, 돌출부는 강판(S)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버클베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의 버클베이스는 강판의 일측면에 제1 돌출부(214)를 형성하고 타측면에 제2 돌출부(215)를 형성한 구성이다.
강판(S)의 양측면에 제1 및 제2 돌출부(213, 214)를 형성하는 방법은, 도 10 및 도 11의 (c) 공정에 이어서 도 14의 (a) 내지 (c) 공정을 행하면 된다.
즉, 도 10 및 도 11의 (c) 공정에 의해 제1 돌출부(214)를 형성한 후, 도 14의 (a) 공정에서, 강판(S)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214)를 금형(K11), 금형(K12) 및 금형(K13)에 의해 강판(S)의 타측면으로 버링가공하여 강판(S)의 양측면으로부터 거의 동일한 높이로 돌출된 제1 및 제2 돌출부(214, 215)를 형성한다.
다음, 도 14의 (b) 공정에서, 강판(S)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214)를 금형(K15) 및 금형(K16)에 의해 강판(S)의 타측면으로 면압하여 그 모서리부를 둥글게 형성한다.
다음, 도 14의 (c) 공정에서는, 강판(S)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215)를 금형(K15) 및 금형(K16)에 의해 강판(S)의 타측면으로 면압하여 그 모서리부를 둥글게 형성한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돌출부를 버링가공 또는 드로잉가공에 의해 형성하였지만, 돌출부를 컬링가공(curling)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버클베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제3 실시예의 제1 돌출부는 제1 실시예의 제1 돌출부를 장공(213)의외측으로 말아 형성한 원통형 롤의 형태이다.
도 17에는 컬링가공에 의해 장공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7의 (a) 내지 (c) 공정은 도 10의 (a) 내지 (c) 공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의 (d) 공정에서는, 강판(S)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214)를 금형(K31)와 금형(K32)에 의해 장공(213)의 외측으로 컬링가공한다.
다음, 도 17의 (e) 공정에서는, 장공(213)의 외측으로 구부려진 제1 돌출부(214)를 금형(K33)와 금형(K34)에 의해 돌출부(214)의 선단이 강판(S)의 일측면에 맞닿을 때까지 컬링가공한다.
도 17의 (d) 및 (e) 공정은 도 9의 (e) 및 (f) 공정에서 도 10의 (d) 및 (e) 공정 대신 행해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장공은 제1 및 제2 장연부가 모두 일직선으로 형성한 직선 타원형이거나 또는 벨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 장연부 만을 곡선으로 형성한 반달형이지만, 제1 및 제2 장연부를 모두 곡선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도 7, 도 12 및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공(210)의 내주면 중 연결벨트가 감기는 제1 장연부(213a)가 그 길이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융기되게 형성되어 있고, 제1 장연부(213a)에 대향하는 제2 장연부(213b)도 제1 장연부(213a)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연부(213a)의 중앙부가 연결벨트의 장력과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만곡되어 있으므로, 제1 장연부(213a)가 장력방향으로 오목하게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벨트가 제1 장연부(213a) 상에서 모이는 일 없이 연결벨트의 폭이 항상 정상적인 폭으로 유지된다. 이로써 연결벨트의 장력이 제1 장연부(213a) 상에 항상 균일하게 분산되므로 연결벨트의 내구성 및 버클베이스(210)의 강도 성능의 향상에 따른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장연부(213b)도 제1 장연부(213a)와 마찬가지로 만곡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벨트의 편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연결벨트를 그 길이방향의 중앙선을 따라 절곡되도록 만곡시키면서 장공(213)에 삽입하는 경우, 연결벨트의 만곡된 형상에 제1 장연부(213a) 및 제2 장연부(213b)의 형상이 거의 일치되므로 연결벨트가 장공(213)에 상당히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돌출부를 장공의 내주면의 전체에 걸쳐 형성하였지만, 돌출부를 장공의 내주면의 일부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장공(213)의 제1 장연부(213a)에만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고, 장공(213)의 제1 장연부(213a) 및 제1 및 제2 단연부(213c, 213d)에만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장연부가 모두 곡선인 장공에 돌출부를 형성하였지만, 제1 및 제2 장연부가 모두 일직선인 장공에 돌출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제2 장연부만 곡선인 장공에 돌출부를 형성한 것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버클베이스(210)에 끼워지는 해제 버튼(150)은 슬라이딩 홀더가 형성된 위치를 다르게 형성하여야 한다. 즉, 종래의 버클베이스는바닥판(110a)의 전방 양쪽에 가이더(117)를 바닥판(110a)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였으므로, 버클베이스(110)의 가이더(117)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슬라이딩 홀더(153)를 해제 버튼(150)의 양측 하단에 형성하였으나, 본 고안의 버클베이스는 측벽(216)의 전방 양쪽의 상단에 가이더(217)를 형성하였으므로, 버클베이스(210)의 가이더(217)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슬라이딩 홀더(153)를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그 주요 특징을 이루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예와 실시예는 어느 경우에나 제한적인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고안은 이상의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버클베이스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시 지지보와 측벽 사이의 바닥판 부분이 휘지 않고, 또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지 않으면서도 장공의 모서리부를 매끄럽게 함과 동시에 안전벨트와 맞닿는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에 결합구가 버클 조립체에서 빠지지 않고 또한 벨트가 절단되지 않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Claims (4)

  1. 강판(S)으로 형성되고, 바닥판(210a)의 전방에는 직각으로 절곡되고 돌출단(211a)를 구비한 일체형 지지보(211)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210a)의 중간에는 슬롯(212)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210a)의 후방에는 벨트를 고정하기 위한 장공(213)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210a)의 양 측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양 측벽(216)에 의해 'ㄷ'자 형강 형상으로 형성된 버클베이스(210)와; 상기 버클베이스(210)의 측벽(216) 상에서 힌지축(121)에 의해 유한한 각도로 회동하여 결합구를 잠그기 위한 잠금부(120)와; 상기 잠금부(120)를 상기 버클베이스(210)의 지지보(211)에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잠금 블럭(130)과; 상기 버클 베이스(210) 상에서 슬라이딩 작동하게 결합되어 상기 잠금부(120)에서 결합구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버튼(150)과; 상기 버클베이스(210)의 슬롯(212) 내에 슬라이딩 작동하게 끼워져 결합구의 해제시 결합구를 상기 버클베이스(210)의 길이방향인 종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이젝터(140)로 구성된 버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버클베이스(210)는, 상기 측벽(216)이 상기 바닥판(210a)의 양쪽에서 그 종방향 길이 전체에 걸쳐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216)의 중간에 결합구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면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돌기(216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216)의 전방 양쪽의 상단에 상기 해제 버튼(150)을 원할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가이더(21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213)의 내주면에 강판(S)의 일측면으로부터 모서리부가 둥글게 돌출된 제1 돌출부(2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베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213)의 내주면에는 강판(S)의 타측면으로부터 모서리부가 둥글게돌출된 제2 돌출부(215)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베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214)는 상기 장공(213)의 외측으로 말아 형성한 원통형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베이스.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213)의 내주면 중 연결벨트가 감기는 제1 장연부(213a)는 그 길이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융기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장연부(213a)에 대향하는 제2 장연부(213b)는 상기 제1 장연부(213a)를 따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베이스.
KR2020010029086U 2001-09-20 2001-09-20 개선된 구조를 갖는 버클베이스 KR200259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086U KR200259886Y1 (ko) 2001-09-20 2001-09-20 개선된 구조를 갖는 버클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086U KR200259886Y1 (ko) 2001-09-20 2001-09-20 개선된 구조를 갖는 버클베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259A Division KR100415295B1 (ko) 2001-09-20 2001-09-20 개선된 구조를 갖는 버클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886Y1 true KR200259886Y1 (ko) 2002-01-09

Family

ID=73109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086U KR200259886Y1 (ko) 2001-09-20 2001-09-20 개선된 구조를 갖는 버클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8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704B1 (ko) * 2010-11-12 2013-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밸트 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704B1 (ko) * 2010-11-12 2013-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밸트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0061A (en) Seat belt anchorage plate for seat bel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6457210B1 (en) Buckle and band with this buckle
KR101230729B1 (ko) 사이드 릴리스 버클
US4557132A (en) Sheet bending brake
US6148486A (en) Belt mounting structure of synthetic resin buckle
US20050248167A1 (en)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for vehicle interior parts
KR20010050051A (ko) 시트 고정장치
KR200259886Y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버클베이스
KR100415295B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버클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3281226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用ベルト取付金具
CN113349542A (zh) 指甲刀
US20050017498A1 (en) Pillar anch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628585B2 (ja) バックル
KR20030037795A (ko)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버클 조립체 및 그 프레임의 제조방법
US5505069A (en) Sheet bending brake
KR100397485B1 (ko) 미니 앵커 및 그 제조 방법
KR200222675Y1 (ko) 버클베이스
KR200247532Y1 (ko) 미니 앵커
JPH0716089Y2 (ja) アンカーリベット
JP3857554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用スリップアン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97383B1 (ko) 미니 앵커 제조 방법
KR200229697Y1 (ko)
KR200221321Y1 (ko) 릴베이스 스테이
KR20050104862A (ko) 개선된 필러 앵커 및 그 제조 방법
KR200331439Y1 (ko) 개선된 필러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