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549Y1 - 형광등 교환구조_ - Google Patents

형광등 교환구조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549Y1
KR200226549Y1 KR2019980019221U KR19980019221U KR200226549Y1 KR 200226549 Y1 KR200226549 Y1 KR 200226549Y1 KR 2019980019221 U KR2019980019221 U KR 2019980019221U KR 19980019221 U KR19980019221 U KR 19980019221U KR 200226549 Y1 KR200226549 Y1 KR 200226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fluorescent lamp
bracket
mounting groove
socke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739U (ko
Inventor
정성균
Original Assignee
정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균 filed Critical 정성균
Priority to KR2019980019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549Y1/ko
Publication of KR200000077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7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549Y1/ko

Links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형광등장치의 라이팅바디에 설치된 소켓에서 형광등을 손쉽게 교체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소켓은 장착홈의 하측면상에 두 개의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는 소켓하우징과,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형광등의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면에 형성되며 소켓하우징의 장착홈에 상단이 고정되는 판형의 소켓브라켓과, 상기 소켓브라켓이 텐션을 받도록 상기 소켓하우징의 장착면과 상기 소켓브라켓 사이에 개제되는 압축코일 스프링 및 상기 소켓하우징에 최종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장착홈에 형성된 가이드구멍과 상응한 위치에 상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커버로 구성되어, 상기 소켓브라켓의 전후 텐션작용에 의해 상기 형광등을 상하방향으로 약간의 힘만으로 유동시키면 교환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형광등 교환구조
본 고안은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형광등(Fluorescent Lamp)의 교환 메카니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형광등을 교환할 수 있는 형광등 교환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일반 가정에서는 조명기구로 형광등을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형광등은 사용자의 원하는 조도에 따라 한 개, 또는 두 개이상이 장착되며, 교환시기가 되면 사용자는 전문적인 지식 없이도 편리하게 상기 형광등을 갈아끼워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교환 메카니즘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형광등이 조립되는 소켓의 동작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광등 장치는 안정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 라이팅바디(110)와, 상기 라이팅바디의 하측면상 좌우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소켓(1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라이팅바디(110)의 양측면상에는 상기 소켓에 설치된 형광등(130)의 빛을 하방향으로 반사시켜 주변의 조도를 높일수 있는 반사체인 라이팅커버(111)가 설치된다.
상기 형광등(130)의 양단에는 상기 소켓(120)에 접속시킬 수 있는 금속성의 단자부(131)가 설치되며, 상기 단자부(131)에는 상기 소켓(120)의 단자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두 개의 접속단자(131a)가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소켓(120)은 소켓하우징(121)과, 상기 소켓하우징에 삽입되어 일단을 중심으로 후측으로 후퇴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소켓브라켓(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켓브라켓(122)의 전면에는 장착되는 형광등(130)의 접속단자(131a)가 삽입되기 위한 단자구멍(122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켓(120)을 라이팅바디(110)에 설치한 후, 새로운 형광등(130)을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형광등(130)의 일측을 먼저 일측 소켓(120)에 장착한다. 그후, 상기 형광등(130)을 상기 일측 소켓방향(도 2의 A방향)으로 밀면서 타측 소켓에 상기 형광등의 타측을 끼우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형광등 교환장치는 일측 형광등을 일측 소켓에 접속후, 형광등의 타측을 타측 소켓에 억지로 밀어 끼우기 때문에 사용자는 형광등을 교환하기 힘든 문제점이 발생되며, 조립공차로 인하여 라이팅바디의 양단에 설치된 소켓간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으면(너무 좁게되면) 상기 형광등의 타측에 형성된 접속단자가 상기 소켓의 소켓하우징의 테두리에 걸려 조립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형광등의 양단을 동시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이 도모되는 형광등 교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조립공차가 발생하더라도 간편하게 형광등을 교환할 수 있는 형광등 교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라이팅바디의 양단에 설치되는 소켓상에 형광등의 양 단자부에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된 접속단자가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 형광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장착홈의 하측면상에 두 개의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는 소켓하우징과, 상기 형광등의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면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소켓하우징의 장착홈에 상단이 고정되는 판형의 소켓브라켓과, 상기 소켓브라켓이 텐션을 받도록 상기 소켓하우징의 장착면과 상기 소켓브라켓 사이에 개제되는 압축코일 스프링 및 상기 소켓하우징에 최종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장착홈에 형성된 가이드구멍과 상응한 위치에 상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교환 메카니즘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광등이 조립되는 소켓의 동작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형광등이 조립되는 소켓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형광등의 단자부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형광등이 소켓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형광등이 소켓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형광등이 소켓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형광등이 소켓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라이팅바디 20: 소켓
40: 클램프 210: 소켓하우징
220: 소켓브라켓 230: 커버
240: 압축코일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형광등이 조립되는 소켓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형광등의 단자부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형광등이 소켓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광등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안정기(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구비한 라이팅바디(10)와, 상기 라이팅바디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형광등(130)이 장착되는 소켓(20)과, 상기 소켓에 장착된 형광등(130)을 보조로 지지해주는 클램프(40)로 구성된다.
상기 형광등(130)의 양단에는 금속성의 단자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단자부에는 두 개의 접속단자(131a)가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소켓(20)은 일정 깊이의 장착홈(211)이 형성된 소켓하우징(210)과, 상기 소켓하우징(210)에 장착되어 상기 형광등(130)의 접속단자(131a)의 간섭을 받도록 설치되는 소켓브라켓(220)과, 상기 소켓브라켓(220)에 텐션을 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탄성체(240)와, 상기 소켓하우징(210)에 최종적으로 조립되는 커버(230)로 구성된다.
상기 소켓하우징(210)의 장착홈(211) 하측면상에는 장착되는 형광등(130)의 접속단자(131a)가 관통될 수 있는 두 개의 가이드구멍(2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홈(211)의 내측면에는 상기 탄성체(240)의 일단을 고정할 수 있는 보스(213)가 형성된다.
상기 소켓브라켓(220)은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되는 형광등(130)의 접속단자(131a)가 접하는 면은 제1경사면(S1)과, 제2경사면(S2)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경사면(S1)은 상기 소켓브라켓(220)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면(S2)은 상기 제1경사면(S1)과 연이어 형성되며 그 단부는 상기 소켓브라켓면과 만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형광등(130)의 접속단자(131a)는 장착될 때, 상기 제1경사면(S1)을 따라 제2경사면(S2)과 상기 소켓브라켓면의 경계부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경사면(S2)이 끝나는 부분에는 상기 형광등(130)의 접속단자(131a)가 접속될 수 있는 단자접속부(2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켓브라켓(220)은 상기 소켓하우징(210)의 장착홈(211)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상기 장착홈의 상측면에 고정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소켓브라켓(220)의 단자접속부(221)에는 상기 소켓하우징(210)을 통해 상기 라이팅바디의 안정기까지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그후, 상기 커버(230)의 하측면상에는 상기 형광등(130)의 돌출된 접속단자(131a)가 상기 소켓하우징(210)의 가이드구멍(212)에 관통되어 상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의 가이드 슬릿(231)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240)는 상기 소켓브라켓(220)이 텐션을 받도록 상기 소켓하우징(210)의 장착면과 상기 소켓브라켓(220) 사이에 개제되는 압축코일 스프링(240)을 사용한다.
그후, 상기 라이팅바디(10)의 양단에는 장착되는 형광등(130)을 보조로 지지해주기 위하여 클램프(40)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40)는 상기 라이팅바디(10)의 양단부에 스크류에 의해 설치되는 바디(41)와,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 하측이 개방된 원형의 홀더부(42)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형광등(130)을 상기 클램프(40)에 억지끼움 형식으로 끼우면 상기 소켓(20)에 고정된 형광등(130)을 보조로 고정해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형광등(13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부(42)의 양단은 상호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42a)로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40)은 형광등(130)에 인가되는 전원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도 6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형광등이 소켓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6b는 형광등이 소켓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6c는 형광등이 소켓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하여 라이팅바디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소켓에 형광등의 양단부를 장착하게 되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형광등(130)의 돌출된 접속단자(131a)는 상기 소켓하우징(210)의 가이드구멍(212)을 통해 상기 커버(230)의 가이드슬릿(231)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접속단자(131a)의 단부는 상기 소켓브라켓(220)의 제1경사면(S1)에 걸리게 된다. 그후, 사용자가 상기 접속단자(131a)를 좀더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소켓브라켓(220)을 후측(형광등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켓브라켓(220)은 소켓하우징(210)에 고정된 상단부를 중심으로 후측으로 밀리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소켓브라켓(220)을 지지하고 있던 압축코일 스프링(240)은 상기 소켓브라켓(220)을 형광등쪽으로 밀려고 하는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그후, 상기 형광등(130)을 완전히 장착하게 되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형광등(130)의 접속단자(131a)는 상기 소켓브라켓(220)의 제2경사면(S2)을 타고 상기 소켓브라켓면과 만나는 부분에서 정지하게 된다. 즉, 상기 형광등(130)의 접속단자(131a)는 상기 소켓브라켓(220)의 제2경사면(S2)과 소켓브라켓면이 만나는 단자접속부(221)에 접속되는 구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형광등(130)의 단자부(131)는 상기 라이팅바디(10)의 양단에 설치된 클램프(40)의 지지를 받음으로써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동작은 사용자가 형광등(130)의 양단부를 동시에 상기 소켓(20)에 장착시키므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교환을 목적으로 상기 형광등을 소켓에서 이탈시키거나 장착시킬 때, 약간의 힘만으로 상하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게 되면 교환작업이 수월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교환장치는 사용자가 형광등을 소켓에서 이탈시키거나 장착할 때, 상하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손쉽게 상기 형광등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라이팅바디의 양단에 설치되는 소켓상에 형광등의 양 단자부에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된 접속단자가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 형광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장착홈의 하측면상에 두 개의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는 소켓하우징과;
    상기 형광등의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면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소켓하우징의 장착홈에 상단이 고정되는 판형의 소켓브라켓과;
    상기 소켓브라켓이 텐션을 받도록 상기 소켓하우징의 장착면과 상기 소켓브라켓 사이에 개제되는 압축코일 스프링 및;
    상기 소켓하우징에 최종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장착홈에 형성된 가이드구멍과 상응한 위치에 상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교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브라켓의 제2경사면이 끝나는 부분에는 상기 형광등의 접속단자가 접속되는 단자접속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교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등의 라이팅바디의 양단부에는 상기 소켓에 장착된 형광등의 양 단자부를 보조로 고정하여 주기 위하여 하측이 개방된 원형의 클램프가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교환구조.
KR2019980019221U 1998-10-08 1998-10-08 형광등 교환구조_ KR200226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221U KR200226549Y1 (ko) 1998-10-08 1998-10-08 형광등 교환구조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221U KR200226549Y1 (ko) 1998-10-08 1998-10-08 형광등 교환구조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739U KR20000007739U (ko) 2000-05-06
KR200226549Y1 true KR200226549Y1 (ko) 2001-08-07

Family

ID=6971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221U KR200226549Y1 (ko) 1998-10-08 1998-10-08 형광등 교환구조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5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506B1 (ko) * 2006-11-06 2008-01-21 박천돈 방진형 형광등 소켓
KR101449847B1 (ko) * 2013-04-26 2014-10-13 김광수 간편한 형광등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739U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965B1 (ko) 원터치 탈착형 엘이디 조명장치
JP4017588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RU2009103253A (ru) Ламповый сокет и осветительный прибор для него
JPH07245160A (ja) 接続具の取付構成体
KR0152569B1 (ko) 커넥터 설치구성체
CN109506217B (zh) 一种光源转接模组及光源组件及照明灯具
KR200226549Y1 (ko) 형광등 교환구조_
US4298918A (en) Fluorescent fixture socket
KR20100008100U (ko) 개량 형광등 소켓
JPH0677468B2 (ja) 片側に口金を有する低圧放電灯のためのアダプタ
US5288249A (en) Base for cartridge lamp
KR100988409B1 (ko)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및 램프 홀더
KR102061657B1 (ko) 모듈 탈착식 led 조명등
JP2009004187A (ja) 照明器具
KR20040104047A (ko) 조명등용 전원 공급장치
JPS6119504Y2 (ko)
KR20030036482A (ko) 일체화된 소켓을 갖는 전자식 안정기
JP3332986B2 (ja) 蛍光ランプソケット装置
JPS5844026Y2 (ja) 自動車用灯具
RU2224945C1 (ru) Опорный узел для источников света освет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200323079Y1 (ko) 방전램프 장치
JPS6245375Y2 (ko)
KR960010307Y1 (ko) 형광등
JP4071174B2 (ja) ランプソケット
JPH02545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