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350Y1 - 자동개폐 방범창 - Google Patents

자동개폐 방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350Y1
KR200226350Y1 KR2020000037288U KR20000037288U KR200226350Y1 KR 200226350 Y1 KR200226350 Y1 KR 200226350Y1 KR 2020000037288 U KR2020000037288 U KR 2020000037288U KR 20000037288 U KR20000037288 U KR 20000037288U KR 200226350 Y1 KR200226350 Y1 KR 200226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ecurity window
security
guide rail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현
Original Assignee
윤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현 filed Critical 윤경현
Priority to KR2020000037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3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350Y1/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개폐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창틀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방범창에 전동 모터를 연결함으로써, 방범창을 상부로 상승시킬 때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하부로 하강시킬 때에도 급격한 하락을 방지하고 스무스(smooth)하게 내릴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감을 증진시킴과 아울러 소음의 발생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개폐 방범창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방범창은, 기존 창틀의 돌출부(15)나 가이드레일(16)이 창짝 양측의 샤시(22)에 형성된 안내홈(23)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방범창에 있어서, 가이드레일 또는 돌출부의 내부를 중공(中空)으로 구성함과 아울러 일측에 홈을 내서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상부 롤러, 하부 롤러, 브래킷, 와이어, 장력조절스프링을 배치하여 설치하고, 브래킷은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을 통과하는 연결편과 결합하고, 연결편은 다시 방범창의 샤시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개폐 방범창{The security sash equipped with a electric motor}
본 고안은 자동개폐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창틀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방범창에 전동 모터를 연결함으로써, 방범창을 상부로 상승시킬 때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하부로 하강시킬 때에도 급격한 하락을 방지하고 스무스(smooth)하게 내릴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감을 증진시킴과 아울러 소음의 발생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개폐 방범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범창은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크게 고정식과 절첩식 방범창으로 나눌 수 있다.
고정식 방범창은 다양한 형태의 철망을 창문의 외곽틀에 나사, 리벳 및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시킨 구조이며, 절첩식 방범창은 일측을 힌지결합시키고 타측은 록킹장치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한 여닫이식이거나 절첩되는 구조로 되어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여 비상시에 개방시켜 탈출이 용이하도록 된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식 방범창은 화재의 발생 등과 같은 비상시에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탈출로가 차단되어 인명 피해를 가중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방범 창살이 항상 창문을 가리고 있어 빛을 차단하고 외부 전망을 볼 수 있는 시야를 가려 외부로부터 격리된 것과 같은 답답함을 주는 폐단이 있다. 또한 창문을 청소하기가 매우 어렵고 외관이 불량한 단점이 있다.
또한 여닫이식 방범창은 방범이 필요할 경우에는 이를 닫음으로써 방범 효과를 얻는 한편 평상시에는 개방시켜 사용함으로써 비상탈출로를 제공받을 수는 있지만, 평상시에는 닫고 있다가 비상시에만 개방되도록 한 것이므로 실내에서는 철창에 갇힌 것처럼 답답함을 느끼기는 여전할 뿐만 아니라 창문의 청소시에도 고정식과 마찬가지의 애로점이 있다.
또 미닫이 형태의 절첩식 방범창은 평상시에는 접어 두어 창문을 통하여 외부 전망을 볼 수 있는 시야를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으며 창문의 청소가 용이한 점 등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창문을 절첩시켜 개방시키면 그 절첩된 방범창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창문의 측부 일부의 공간을 가리게 되므로 여전히 외부 전망을 바라보는 시야를 가려 답답함을 느끼게 되며, 설치시 방범창을 위한 창틀을 별도로 설치하여 하는 등 작업이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폐단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전의 방범창들의 문제점을 제거한 새로운 개념의 방범창을 창안, 이를 특허출원 제98-31914호로 출원하여 최근에 특허사정을 받은 바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98-31914호 발명에 따른 방범창은 평상시에는 난간의 하부로 개방시켜 비상시 비상 탈출로를 확보함과 동시에 외부 전망을 바라보는 시야에 전혀 답답함을 갖지 않도록 하고, 침입자의 침입이 우려될 때에는 방범창의 일부 기능을 갖는 난간의 상부로 방범창을 상승시켜 고정시킴으로써 효과적인 방범창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범창에 관한 발명으로서, 종래 방범창의 상기 단점을 모두 해소하고 있을 뿐 아니라, 시공할 때에도 기존의 창틀을 대부분 이용함에 따라 저렴한 비용과 간편한 시공에 의하여 설치가 가능하다는 우수성을 가지고 있다.
위 출원인의 선발명에 따른 방범창의 구성을 보면, 일정한 높이의 난간을 갖는 창의 내부에 고정창과 개방창을 갖도록 창호를 설치하고 이에 방범창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창을 지지하는 창틀과 이와 마주보는 선틀면 사이에 상기 난간의 높이와 비슷한 높이를 갖는 크기이고 창짝 양측 샤시에 안내홈을 갖는 방범창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창의 창틀과 마주보는 선틀에 상하로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상기 방범창 창짝의 양측 안내홈에 상기 고정창 창틀과 가이드레일을 삽입시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방범창을 조립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부가하여 상기 방범창의 가이드레일쪽 창짝 샤시에 록킹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출원인의 선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출원인의 선발명에 따른 방범창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출원인의 선발명에 따른 방범창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다.
출원인의 선발명에 따른 방범창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난간(10)을 갖는 발코니 등과 같은 곳에 설치된 창호에 설치된다.
이러한 창호에는 주로 통유리로 이루어진 고정창(13)이 설치되고, 이 고정창(13)의 일측에 소정의 폭을 갖는 개방창(14)이 미닫이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내부에서 창호를 바라보면 난간(10)이 창호의 높이에 1/2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난간(10)의 상부로는 외부의 전경을 넓게 바라볼 수 있도록 시야가 확보된다.
개방창(14)이 닫혀져 밀착되는 선틀(11)면에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는데, 고정창(13)의 창틀(12)과 마주보는 위치에도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범창(20)은 이 돌출부(15)를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 돌출부(15)와 대응되는 고정창 창틀(12)면에는 'I'형 가이드레일(16)이 세로로 나사결합된다.
이때 창호의 샤시를 제조하는 회사마다 규격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창틀(12)과 선틀(11) 양쪽이 모두 평면일 수가 있고, 일측은 평면 다른 쪽은 홈이 형성된 구조 등 여러 가지 규격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만약 방범창(20)의 창짝에 형성된 안내홈(23)이 삽입될 돌출부(15)가 없을 경우에는 가이드레일(16)을 양측 모두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히 변경시킬 수 있다.
창짝은 내부가 중공인 사각관 형상의 가볍고 견고한 알루미늄재(다른 재질로도 가능함) 샤시(22)로 되어 있고,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며 크기는 선틀(11)과 고정창의 창틀(12) 간격과 비슷한 폭을 가지고 있고, 높이는 난간(10) 정도의 높이를 갖는다. 이 때문에 방범창(20)을 하강시키면 난간(10)과 겹쳐져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볼 때 방범창(20)이 시야를 가리는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방범창(20)의 창짝을 이루는 양측 샤시(22)면에는 선틀(11)의 돌출부(15)가 삽입되는 안내홈(23) 및 그 반대측면에는 가이드레일(16)이 삽입되는 안내홈(2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6)이 삽입되는 쪽의 안내홈(23)은 입구부가 좁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시 먼저 창짝을 가이드레일(16)에 조립시킨 후에 가이드레일(16)을 고정창의 창틀(12)에 조립시킨다.
이와 같이 방범창(20)이 조립되면 가이드레일(16) 및 돌출부(15)에 안내되어 상하로 슬라이딩에 의한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방범창(20)은 승강작동했을 때 그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하고 있어야 방범창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방범창(20)의 창짝에는 록킹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는데, 그와 같은 록킹장치 또한 출원인이 창안하여 위 선발명의 명세서에서 자세히 기술한 바 있다.
이상 구체적 실시예를 중심으로 출원인의 선발명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동 발명이 종래의 방범창들과 비교할 때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은 분명하나, 출원인의 추가적 연구 결과 개량 내지 개선되어져야 할 점 또한 존재함이 밝혀졌다.
즉, 위 선발명에 따른 방범창에서는, 가이드레일(16) 및 돌출부(15)가 안내홈(23)에 의해 안내되면서 슬라이딩됨으로써 방범창(20)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방범창은 그 목적하는 기능상 금속재를 재료로 하고 있어 자체의 무게로 인한 하중이 있으므로 난간에 위치한 방범창을 상부로 상승시키고자 할 때 들어올리기에 다소 힘이 든 단점이 있다.
특히, 방범창을 조작하는 사용자가 어린 아동이거나 가정주부, 기타 노약자일 경우에는 방범창을 들어올리기가 힘들고, 설령 들어올릴 수가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에게 매번 번거로운 느낌을 주게 되어 잦은 조작이 필요한 방범창의 사용에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위와 반대로, 비상시 비상 탈출로를 확보함과 동시에 외부 전망을 바라보는 시야를 트고자 방범창을 난간의 하부로 개방시키는 경우에도 일정한 힘으로 방범창의 아래 부분을 지지하면서 내려주어야 하므로 상승시킬 때와 마찬가지의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방범창을 거의 내린 다음에 방범창으로부터 그것을 지지하는 손을 빼내거나 놓는 경우에는 방범창이 급격하게 하강하여 난간에 부딪치게 되므로 시끄러운 소음을 발생시켜 원만한 사용이 방해될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조작의 미숙이나 로킹장치의 풀림으로 인하여 방범창이 급격히 하강함으로써 신체의 일부가 손상되는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출원인의 선발명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성능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이드레일과 돌출부(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가 안내홈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방범창에 있어서, 방범창을 상부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때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방범창을 사용하는 사람이 어린 아동이거나 가정주부, 기타 노약자이더라도 극히 용이하고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는 방범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범창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함으로써 방음창과 난간 바닥의 충돌에 의한 소음의 발생원인을 제거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나아가 방범창의 급격한 하강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전혀 없는 방범창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출원인의 선발명에 따른 방범창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출원인의 선발명에 따른 방범창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개폐 방범창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개폐 방범창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와 방범창 샤시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와 방범창 샤시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부 롤러 2 - 하부 롤러 3 - 브래킷
4 - 와이어 5 - 장력조절 스프링 6 - 연결편
7 - 체결나사 8 - 구동부 9 - 가이드홈
10 - 난간 11 - 선틀 12 - 창틀
13 - 고정창 14 - 개방창 15 - 돌출부
16 - 가이드레일 20 - 방범창 22 - 샤시
23 - 안내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방범창은, 기존 창틀의 돌출부(15)나 가이드레일(16)이 창짝 양측의 샤시(22)에 형성된 안내홈(23)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방범창에 있어서, 가이드레일 또는 돌출부의 내부를 중공(中空)으로 구성함과 아울러 일측에 홈을 내서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상부 롤러, 하부 롤러, 브래킷, 와이어, 장력조절스프링을 배치하여 설치하고, 브래킷은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을 통과하는 연결편과 결합하고, 연결편은 다시 방범창의 샤시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개폐 방범창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와 방범창 샤시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평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개폐 방범창은, 전술한 출원인의 선발명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6) 또는 돌출부(15)(다만, 이하는 가이드레일을 중심으로 기술함)의 내부를 중공(中空)으로 구성함과 아울러 일측에 홈을 내서 가이드홈(9)을 형성하도록 하고, 그 내부에 상부 롤러(1), 하부 롤러(2), 브래킷(3), 와이어(4), 장력조절스프링(5)을 배치하여 설치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한 가이드레일(16) 내부의 구성을 자세히 보면, 우선 상부와 하부에 상부 롤러(1)와 하부 롤러(2)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고, 상부 롤러(1)와 하부 롤러(2)는 상·하 롤러간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와이어(4)로 감겨지면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와이어(4)가 상부 롤러(1)와 하부 롤러(2)를 통과함에 있어서는, 와이어가(4)가 롤러를 1회전하여 휘감은 다음 돌아나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하 롤러간의 동력 전달시 와이어가 미끄러짐으로써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부 롤러(1)나 하부 롤러(2)(도면에서는 상부 롤러인 경우를 도시함)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정·역 회전 모터가 구동부(8)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모터는 방범창의 급격한 승하강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감속 모터를 사용하도록 한다.
상부 롤러(1)와 하부 롤러(2)를 왕복하는 와이어(4)의 중간 부분에는 브래킷(3)과 장력조절스프링(5)이 게재되도록 한다. 전자는 후술하는 연결편(6)을 통해 방범창(2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함이며, 후자는 상·하 롤러를 통과하는 와이어가 항상 일정한 텐션을 갖도록 하여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가이드레일(16) 내부의 브래킷(3)은 연결편(6)을 통해 방범창의 샤시(22)에 결합되어 설치되는데, 도 5와 도 6에 그 구체적 결합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홈(9)을 이루는 가이드레일(16)의 양편은 방범창 샤시(22)의 안내홈(23)에 상하 슬라이드 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브래킷(3)은 체결나사(7)에 의해 가이드레일(16)의 가이드홈(9)을 통과하는 연결편(6)과 결합되고, 연결편(6)은 다시 체결나사(7)에 의해 방범창의 샤시(22)와 결합된다.
한편,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모터의 동력을 상부 롤러(1)에 전달하는 구동부(8) 내부를 웜(worm)과 웜 휠(worm wheel)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방범창 승하강의 더욱 정교한 조작이 가능해질 수 있고, 모터의 휴지(休止)시 롤러의 역회전에 의한 방범창의 하강 가능성이 완전히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기능 및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우선 비상시 비상 탈출로를 확보하거나 외부 전망을 바라보는 시야를 트기 위해 방범창을 난간의 하부로 개방시키고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모터의 스위치를 하강위치로 놓으면, 모터의 동력은 구동부(8)를 거쳐 상부 롤러(1)의 축에 전달되고 이는 와이어(4)와 브래킷(3), 연결편(6)을 통해 최종적으로 방범창 샤시(22)로 전달되어 방범창을 하강시키게 된다.
반대로 야간이나 가옥을 비울 경우 방범목적을 위하여 방범창을 난간의 상부로 상승시키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힘의 전달 경로를 통해 방범창을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출원인의 선발명의 장점인 ① 종전의 방범창의 기능을 그대로 수행함과 아울러 평상시에는 난간의 하부로 개방시켜 넓은 시야의 확보와 함께 비상시 비상탈출로를 확보할 수 있고, ② 기존에 설치된 샤시의 선틀과 창틀을 그대로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잇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다음과 같은 효과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먼저, 가이드레일과 돌출부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이 안내홈에 의해 안내되면서 슬라이딩되면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방범창에 있어서, 방범창을 전동 모터에 의해서 작동시킴으로써 방범창을 상부로 상승시킬 때 사용자를 불문하고 극히 용이하고 안정된 느낌으로 조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하부로 하강시킬 때에도 급격한 하락을 방지하고 스무스(smooth)하게 내릴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종래 선발명에서 있을 수 있는 방범창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함으로써 방음창과 난간 바닥의 충돌에 의한 소음의 발생원인과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차단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기존 창틀의 돌출부(15)나 가이드레일(16)이 창짝 양측의 샤시(22)에 형성된 안내홈(23)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방범창에 있어서,
    가이드레일(16) 또는 돌출부(15)의 내부를 중공(中空)으로 구성함과 아울러 일측에 홈을 내서 가이드홈(9)을 형성하고,
    가이드레일(16) 내부의 상·하부에 상부 롤러(1)와 하부 롤러(2)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하며, 상부 롤러(1) 또는 하부 롤러(2)에는 구동부를 통해 감속 모터를 연결하고,
    상부 롤러(1)와 하부 롤러(2)는 와이어(4)로 감겨지면서 연결되며, 상부 롤러(1)와 하부 롤러(2)를 왕복하는 와이어(4)의 중간 부분에는 브래킷(3)과 장력조절스프링(5)이 게재되도록 하고,
    가이드홈(9)을 이루는 가이드레일(16)의 양편은 방범창 샤시(22)의 안내홈(23)에 상하 슬라이드 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브래킷(3)은 가이드레일(16)의 가이드홈(9)을 통과하는 연결편(6)과 결합되고, 연결편(6)은 방범창의 샤시(22)와 결합되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 방범창.
  2. 제1항에 있어서,
    모터의 동력을 상부 롤러(1)에 전달하는 구동부(8) 내부를 웜(worm)과 웜 휠(worm wheel)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 방범창.
KR2020000037288U 2000-12-30 2000-12-30 자동개폐 방범창 KR200226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288U KR200226350Y1 (ko) 2000-12-30 2000-12-30 자동개폐 방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288U KR200226350Y1 (ko) 2000-12-30 2000-12-30 자동개폐 방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350Y1 true KR200226350Y1 (ko) 2001-06-15

Family

ID=7306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288U KR200226350Y1 (ko) 2000-12-30 2000-12-30 자동개폐 방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3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784A (ko) * 2001-04-17 2002-10-26 해천에너지 주식회사 방범 발코니휀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784A (ko) * 2001-04-17 2002-10-26 해천에너지 주식회사 방범 발코니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0012185A1 (en) Low profile sliding door opener
US5301734A (en) Window mechanism
KR200226350Y1 (ko) 자동개폐 방범창
KR200226347Y1 (ko) 스프링 밸런스가 부착된 방범창
KR200226349Y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방범창
JP2006125149A (ja) 引き違いサッシ
US20020040550A1 (en) Improvements to sash and case windows
KR100632994B1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KR102215732B1 (ko) 복수개의 창호가 연동되는 미닫이 창호의 자동개폐작동시 비상멈춤장치
KR100277199B1 (ko) 방범창
JP2007138579A (ja) 窓(扉、戸等の開閉手段を含む)のロック部の自動施錠及び/又は開錠と、センサーによる窓の開閉を司る窓の自動開閉システム
KR20080004762A (ko) 풀오픈 도어시스템
KR200226348Y1 (ko) 완충부재 유니트가 부착된 방범창
US5850672A (en) Apparatus or kit for closing sliding closure
JPH08177350A (ja) ロール式網戸
KR100523248B1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EP3241975B1 (en) Motorized roller shutter
WO2006090161A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sash windows
JP2601691Y2 (ja) スラットカーテンの出入口構造
JP3255760B2 (ja) 建物の開口枠への補助装置
KR200377474Y1 (ko) 버티칼 블라인드 보호용 창틀프레임의 구조
KR200357498Y1 (ko) 이동식 방범창
KR100712316B1 (ko) 장애인용 화장실 도어
KR101146909B1 (ko) 창 잠금장치
JPH0720318Y2 (ja) スクリーン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