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348Y1 - 완충부재 유니트가 부착된 방범창 - Google Patents

완충부재 유니트가 부착된 방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348Y1
KR200226348Y1 KR2020000037286U KR20000037286U KR200226348Y1 KR 200226348 Y1 KR200226348 Y1 KR 200226348Y1 KR 2020000037286 U KR2020000037286 U KR 2020000037286U KR 20000037286 U KR20000037286 U KR 20000037286U KR 200226348 Y1 KR200226348 Y1 KR 200226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ecurity
security window
member unit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현
Original Assignee
윤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현 filed Critical 윤경현
Priority to KR2020000037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3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348Y1/ko

Lin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충부재 유니트가 구비된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창틀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방범창에 있어서, 방범창을 하부로 하강시킬 때 조작미숙에 따라 방범창이 급격하게 하강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방음창과 난간 바닥의 충돌에 의한 소음의 발생원인과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차단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완충부재 유니트가 구비된 방범창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방범창은, 기존 창틀의 돌출부(15)나 가이드레일(16)이 창짝 양측의 샤시(22)에 형성된 안내홈(23)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방범창에 있어서, 방범창의 샤시 내에 완충부재 유니트를 설치하되, 완충부재 유니트 내부에는 상부 고정구와 하부 고정구를 각각 설치하고, 상부 고정구의 아랫면과 하부 고정구의 윗면에는 상호 조응하여 경사지게 깎여진 경사접촉면을 형성하며, 상부 고정구의 몸체는 완충부재 유니트의 외부 케이스(1)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고, 하부 고정구는 완충부재 유니트의 외부 케이스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된 스프링을 통하여서만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완충부재 유니트가 부착된 방범창{The security sash equipped with a buffer unit}
본 고안은 완충부재 유니트가 구비된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창틀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방범창에 있어서, 방범창을 하부로 하강시킬 때 조작미숙에 따라 방범창이 급격하게 하강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방음창과 난간 바닥의 충돌에 의한 소음의 발생원인과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차단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완충부재 유니트가 구비된 방범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범창은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크게 고정식과 절첩식 방범창으로 나눌 수 있다.
고정식 방범창은 다양한 형태의 철망을 창문의 외곽틀에 나사, 리벳 및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시킨 구조이며, 절첩식 방범창은 일측을 힌지결합시키고 타측은 록킹장치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한 여닫이식이거나 절첩되는 구조로 되어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여 비상시에 개방시켜 탈출이 용이하도록 된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식 방범창은 화재의 발생 등과 같은 비상시에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탈출로가 차단되어 인명 피해를 가중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방범 창살이 항상 창문을 가리고 있어 빛을 차단하고 외부 전망을 볼 수 있는 시야를 가려 외부로부터 격리된 것과 같은 답답함을 주는 폐단이 있다. 또한 창문을 청소하기가 매우 어렵고 외관이 불량한 단점이 있다.
또한 여닫이식 방범창은 방범이 필요할 경우에는 이를 닫음으로써 방범 효과를 얻는 한편 평상시에는 개방시켜 사용함으로써 비상탈출로를 제공받을 수는 있지만, 평상시에는 닫고 있다가 비상시에만 개방되도록 한 것이므로 실내에서는 철창에 갇힌 것처럼 답답함을 느끼기는 여전할 뿐만 아니라 창문의 청소시에도 고정식과 마찬가지의 애로점이 있다.
또 미닫이 형태의 절첩식 방범창은 평상시에는 접어 두어 창문을 통하여 외부 전망을 볼 수 있는 시야를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으며 창문의 청소가 용이한 점 등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창문을 절첩시켜 개방시키면 그 절첩된 방범창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창문의 측부 일부의 공간을 가리게 되므로 여전히 외부 전망을 바라보는 시야를 가려 답답함을 느끼게 되며, 설치시 방범창을 위한 창틀을 별도로 설치하여 하는 등 작업이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폐단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전의 방범창들의 문제점을 제거한 새로운 개념의 방범창을 창안, 이를 특허출원 제98-31914호로 출원하여 최근에 특허사정을 받은 바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98-31914호 발명에 따른 방범창은 평상시에는 난간의 하부로 개방시켜 비상시 비상 탈출로를 확보함과 동시에 외부 전망을 바라보는 시야에 전혀 답답함을 갖지 않도록 하고, 침입자의 침입이 우려될 때에는 방범창의 일부 기능을 갖는 난간의 상부로 방범창을 상승시켜 고정시킴으로써 효과적인 방범창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범창에 관한 발명으로서, 종래 방범창의 상기 단점을 모두 해소하고 있을 뿐 아니라, 시공할 때에도 기존의 창틀을 대부분 이용함에 따라 저렴한 비용과 간편한 시공에 의하여 설치가 가능하다는 우수성을 가지고 있다.
위 출원인의 선발명에 따른 방범창의 구성을 보면, 일정한 높이의 난간을 갖는 창의 내부에 고정창과 개방창을 갖도록 창호를 설치하고 이에 방범창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창을 지지하는 창틀과 이와 마주보는 선틀면 사이에 상기 난간의 높이와 비슷한 높이를 갖는 크기이고 창짝 양측 샤시에 안내홈을 갖는 방범창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창의 창틀과 마주보는 선틀에 상하로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상기 방범창 창짝의 양측 안내홈에 상기 고정창 창틀과 가이드레일을 삽입시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방범창을 조립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부가하여 상기 방범창의 가이드레일쪽 창짝 샤시에 록킹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출원인의 선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출원인의 선발명에 따른 방범창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출원인의 선발명에 따른 방범창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다.
출원인의 선발명에 따른 방범창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난간(10)을 갖는 발코니 등과 같은 곳에 설치된 창호에 설치된다.
이러한 창호에는 주로 통유리로 이루어진 고정창(13)이 설치되고, 이 고정창(13)의 일측에 소정의 폭을 갖는 개방창(14)이 미닫이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내부에서 창호를 바라보면 난간(10)이 창호의 높이에 1/2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난간(10)의 상부로는 외부의 전경을 넓게 바라볼 수 있도록 시야가 확보된다.
개방창(14)이 닫혀져 밀착되는 선틀(11)면에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는데, 고정창(13)의 창틀(12)과 마주보는 위치에도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범창(20)은 이 돌출부(15)를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 돌출부(15)와 대응되는 고정창 창틀(12)면에는 'I'형 가이드레일(16)이 세로로 나사결합된다.
이때 창호의 샤시를 제조하는 회사마다 규격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창틀(12)과 선틀(11) 양쪽이 모두 평면일 수가 있고, 일측은 평면 다른 쪽은 홈이 형성된 구조 등 여러 가지 규격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만약 방범창(20)의 창짝에 형성된 안내홈(23)이 삽입될 돌출부(15)가 없을 경우에는 가이드레일(16)을 양측 모두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히 변경시킬 수 있다.
창짝은 내부가 중공인 사각관 형상의 가볍고 견고한 알루미늄재(다른 재질로도 가능함) 샤시(22)로 되어 있고,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며 크기는 선틀(11)과 고정창의 창틀(12) 간격과 비슷한 폭을 가지고 있고, 높이는 난간(10) 정도의 높이를 갖는다. 이 때문에 방범창(20)을 하강시키면 난간(10)과 겹쳐져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볼 때 방범창(20)이 시야를 가리는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방범창(20)의 창짝을 이루는 양측 샤시(22)면에는 선틀(11)의 돌출부(15)가 삽입되는 안내홈(23) 및 그 반대측면에는 가이드레일(16)이 삽입되는 안내홈(2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6)이 삽입되는 쪽의 안내홈(23)은 입구부가 좁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시 먼저 창짝을 가이드레일(16)에 조립시킨 후에 가이드레일(16)을 고정창의 창틀(12)에 조립시킨다.
이와 같이 방범창(20)이 조립되면 가이드레일(16) 및 돌출부(15)에 안내되어 상하로 슬라이딩에 의한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방범창(20)은 승강작동했을 때 그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하고 있어야 방범창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방범창(20)의 창짝에는 록킹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는데, 그와 같은 록킹장치 또한 출원인이 창안하여 위 선발명의 명세서에서 자세히 기술한 바 있다.
이상 구체적 실시예를 중심으로 출원인의 선발명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동 발명이 종래의 방범창들과 비교할 때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은 분명하나, 출원인의 추가적 연구 결과 개량 내지 개선되어져야 할 점 또한 존재함이 밝혀졌다.
즉, 위 선발명에 따른 방범창에서는 가이드레일(16) 및 돌출부(15)가 안내홈(23)에 의해 안내되면서 슬라이딩됨으로써 방범창(20)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비상시 비상 탈출로를 확보하고자 하거나 외부 전망을 바라보는 시야를 트고자 방범창을 난간의 하부로 개방시키는 경우에, 방범창을 거의 내린 다음에 방범창으로부터 그것을 지지하는 손을 빼내거나 놓는 경우에는 방범창이 급격하게 하강하여 난간에 부딪치게 되므로 시끄러운 소음을 발생시켜 원만한 사용이 방해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조작의 미숙이나 로킹장치의 풀림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방범창이 급격히 하강함으로써 어린이 등의 신체의 일부가 손상되는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출원인의 선발명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성능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이드레일과 돌출부(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가 안내홈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방범창에 있어서, 방범창을 상부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때 별다른 힘을 요하지 않고 스무스(smooth)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범창을 사용하는 사람이 어린 아동이거나 가정주부, 기타 노약자이더라도 극히 용이하고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는 방범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범창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함으로써 방음창과 난간 바닥의 충돌에 의한 소음의 발생원인을 제거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나아가 방범창의 급격한 하강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전혀 없는 방범창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출원인의 선발명에 따른 방범창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출원인의 선발명에 따른 방범창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 유니트가 방범창 샤시에 부착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 유니트가 방범창 샤시에 부착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 유니트가 방범창 샤시에 부착된 상태의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 - 완충부재 유니트 1 - 완충부재 유니트의 외부 케이스
2 - 상부 고정구 2a, 3a - 경사접촉면
3 - 하부 고정구 3b - 직면
4 - 스프링 5 - 고정 나사
10 - 난간 11 - 선틀 12 - 창틀
13 - 고정창 14 - 개방창 15 - 돌출부
16 - 가이드레일 16′- 가이드레일의 돌출측부
20 - 방범창 22 - 샤시 23 - 안내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방범창은, 기존 창틀의 돌출부(15)나 가이드레일(16)이 창짝 양측의 샤시(22)에 형성된 안내홈(23)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방범창에 있어서, 방범창의 샤시 내에 완충부재 유니트를 설치하되, 완충부재 유니트 내부에는 상부 고정구와 하부 고정구를 각각 설치하고, 상부 고정구의 아랫면과 하부 고정구의 윗면에는 상호 조응하여 경사지게 깎여진 경사접촉면을 형성하며, 상부 고정구의 몸체는 완충부재 유니트의 외부 케이스(1)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고, 하부 고정구는 완충부재 유니트의 외부 케이스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된 스프링을 통하여서만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 유니트가 방범창 샤시에 부착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 유니트가 방범창 샤시에 부착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 유니트가 방범창 샤시에 부착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 유니트가 부착된 방범창의 주요 기술요지인 완충부재 유니트(B)는, 완충부재 유니트의 외부 케이스(1)가 있고 그 내부의 상·하부에 상부 고정구(2) 하부 고정구(3)가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부 고정구(2)의 아랫면과 하부 고정구(2)의 윗면에는 상호 조응하여 경사지게 깎여진 경사접촉면(2a)(3a)을 구성하되, 경사의 방향은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 유니트(B)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향지게 깍여지도록 한다.
아울러 상부 고정구(2) 하부 고정구(3)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스프링(4)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를 기준으로 했을 때 양 고정구의 경사접촉면(2a)(3a)이 상호간에 약간의 유격을 가질 정도가 되도록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한다.
상부 고정구(2)의 몸체는 완충부재 유니트의 외부 케이스(1)와 일체로 고정된다. 다만, 상부 고정구(2)는,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 유니트의 외부 케이스(1)와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양자를 한 개의 몸체로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상부 고정구(2)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기존 창틀의 돌출부(15)나 가이드레일(16)이(도면에서는 가이드레일인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함) 방범창의 창짝 양측의 샤시(22)에 형성된 안내홈(23)에 삽입되어 방범창이 상하 슬라이딩 운동을 할 때, 상부 고정구(2)와 가이드레일의 돌출측부(16′)가 상호 마찰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이격시키도록 한다.
하부 고정구(3)는 완충부재 유니트의 외부 케이스(1)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된 스프링(4)을 통하여서만 고정된다. 하부 고정구(3)의 몸체는 완충부재 유니트(B)의 외부 케이스(1)의 내측면과 약간의 유격을 두도록 함과 아울러, 기존 창틀의 돌출부(15)나 가이드레일(16)이(도면에서는 가이드레일인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함) 방범창의 창짝 양측의 샤시(22)에 형성된 안내홈(23)에 삽입되어 방범창이 상하 슬라이딩 운동을 할 때, 하부 고정구(2)와 가이드레일의 돌출측부(16′)가 약간의 마찰을 일으킬 정도로 이격시켜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된 완충부재 유니트(B)를 고정 나사(5)와 같은 적절한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방범창의 샤시 내에 부착한다.
이때 완충부재 유니트(B)의 결합 부위는 방범창의 샤시내라면 상부, 중부, 하부 어느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며, 방범창의 좌우 어느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양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여러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기능 및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우선 비상시 비상 탈출로를 확보하거나 외부 전망을 바라보는 시야를 트고자 방범창을 난간의 하부로 개방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기존 창틀의 돌출부(15)나 가이드레일(16)이(도면에서는 가이드레일인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함) 방범창의 창짝 양측의 샤시(22)에 형성된 안내홈(23)에 삽입되어 상부 고정구(2)의 직면(3b)에 의해 안내되면서 방범창이 아래로 슬라이딩 운동을 할 때, 하부 고정구(2)는 가이드레일의 돌출측부(16′)와 마찰을 일으키게 되나 상부 고정구(1)는 방범창의 샤시(22)와 일체로 함께 하강하므로 마찰 여부에 관계없이 방범창과 동일한 속도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하부 고정구(2)와 가이드레일의 돌출측부(16′)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은 방범창의 하강속도에 비례하여 커지며 방범창의 진행방향인 하향과는 반대방향인 상향으로 작용하므로, 방범창의 하강속도가 일정수준을 넘게 되면 그로부터 발생한 마찰력에 의해 하부 고정구(3)는 진행속도가 더뎌져 상부 고정구(2)의 진행속도와 차이를 발생시키고, 이 차이에 의해 상부 고정구의 경사접촉면(2a)과 하부 고정구의 경사접촉면(3a)은 상호 맞닿게 되고 여기에서 좀더 진행되면 전술한 속도차에 따라 상부고정구의 경사접촉면(2a)이 하부고정구의 경사접촉면(3a)을 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하부고정구의 경사접촉면(3a)은 상부고정구의 경사접촉면(2a)에 의해 하방향으로 힘을 받으나, 경사접촉면(2a)(3a)의 경사진 구조에 따라 하부고정구(3)는 안쪽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하부고정구(3)는 결국 가이드레일의 돌출측부(16′)를 양측에서 압박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이로써 방범창의 하강이 저지되는 것이다.
전술한 작용에 의하여 하강이 멈춘 방범창을 조작자가 다시 계속 내리고자 할 경우에는 방범창을 약간 들어올려 하부고정구(3)의 압박상태를 해제한 다음 하강조작을 계속하면 된다.
이상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에 따라 방범창 사용시 조작 미숙이나 로킹장치의 풀림 등으로 인한 방범창의 급격한 하강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야간이나 가옥을 비울 경우 방범목적을 위하여 방범창을 난간의 상부로 상승시키는 경우를 보면, 방범창의 상승시에는 하부 고정구(3)와 가이드레일의 돌출측부(16′)간의 마찰현상에 기인한 하부 고정구(3)와 상부 고정구(2)의 진행속도 차이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하부고정구(3)가 안쪽으로 밀리게 되어 가이드레일의 돌출측부(16′)를 양측에서 압박하는 일이 없이 방범창이 원활하게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 유니트를 실제로 적용할 경우에는 경사접촉면(2a)(3a)의 경사도, 상부 고정구(2) 하부 고정구(3)의 경사접촉면(2a)(3a)간의 간격, 그리고 하부 고정구(3)와 가이드레일의 돌출측부(16′)의 간격을 적절히 변형시켜 설치하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경사접촉면(2a)(3a)의 경사도가 클수록, 상부 고정구(2) 하부 고정구(3)의 경사접촉면(2a)(3a)간의 간격이 좁을수록, 그리고 하부 고정구(3)와 가이드레일의 돌출측부(16′)의 간격이 좁을수록 방범창의 하강저지작용은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여 수행될 것이므로, 고정구를 이루는 재질이나 이에 따른 마찰계수의 크기 등 설치환경이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약간의 조절을 거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부 고정구(2)와 가이드레일의 돌출측부(16′)는 상호 마찰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이격시키도록 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상부 고정구(2)와 가이드레일의 돌출측부(16′)의 간격을 좁혀 방범창의 슬라이딩 운동시 양자간에 적절한 마찰력이 작용하게 할 경우에는 방범창을 하강시키는 조작에 안정감을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 유니트가 구비된 방범창은, 완충부재 유니트 내의 경사접촉면을 가진 상·하부 고정구의 작용에 의하여 조작 미숙이나 로킹장치의 풀림 등으로 인한 방범창의 급격한 하강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반대로 상승시에는 출원인의 선발명에서와 같이 종전처럼 원활하게 올릴 수 있는 작용효과를 부여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출원인의 선발명의 장점인 ① 종전의 방범창의 기능을 그대로 수행함과 아울러 평상시에는 난간의 하부로 개방시켜 넓은 시야의 확보와 함께 비상시 비상탈출로를 확보할 수 있고, ② 기존에 설치된 샤시의 선틀과 창틀을 그대로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잇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다음과 같은 효과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가이드레일과 돌출부가 안내홈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방범창에 있어서, 방범창을 하부로 하강시킬 때 조작미숙에 따라 방범창이 급격하게 하강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방음창과 난간 바닥의 충돌에 의한 소음의 발생원인과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차단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기존 창틀의 돌출부(15)나 가이드레일(16)이 창짝 양측의 샤시(22)에 형성된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방범창에 있어서,
    방범창의 샤시 내에 완충부재 유니트(B)가 부착·설치되고,
    완충부재 유니트(B)는 외부에 완충부재 유니트의 케이스(1)가 있고 그 내부의 상·하부에 상부 고정구(2)와 하부 고정구(3)가 각각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부 고정구(2)의 아랫면과 하부 고정구(3)의 윗면에는 상호 조응하여 경사지게 깎여진 경사접촉면(2a)(3a)을 구성하되, 경사의 방향은 완충부재 유니트(B)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향지게 깍여지도록 하고,
    상부 고정구(2)의 몸체는 완충부재 유니트의 외부 케이스(1)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고,
    하부 고정구(3)는 완충부재 유니트의 외부 케이스(1)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된 스프링(4)을 통하여서만 고정하되, 하부 고정구(3)의 몸체는 완충부재 유니트(B)의 외부 케이스(1)의 내측면과 약간의 유격을 두도록 함과 아울러, 기존 창틀의 돌출부(15)나 가이드레일(16)이 방범창의 창짝 양측의 샤시(22)에 형성된 안내홈(23)에 삽입되어 방범창이 상하 슬라이딩 운동을 할 때, 하부 고정구(2)와 가이드레일의 돌출측부(16′)가 약간의 마찰을 일으킬 정도로 이격시켜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유니트가 구비된 방범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고정구와 완충부재 유니트의 외부 케이스가 하나의 몸체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유니트가 구비된 방범창.
KR2020000037286U 2000-12-30 2000-12-30 완충부재 유니트가 부착된 방범창 KR200226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286U KR200226348Y1 (ko) 2000-12-30 2000-12-30 완충부재 유니트가 부착된 방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286U KR200226348Y1 (ko) 2000-12-30 2000-12-30 완충부재 유니트가 부착된 방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348Y1 true KR200226348Y1 (ko) 2001-06-15

Family

ID=73094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286U KR200226348Y1 (ko) 2000-12-30 2000-12-30 완충부재 유니트가 부착된 방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3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0543A (en) Adjustable, removable child window guard
US5996668A (en) Adjustable blind assembly
CA2878553C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actuation of a group for moving a curtain/awning
KR200226348Y1 (ko) 완충부재 유니트가 부착된 방범창
US5492164A (en) Window safety system for a child or the like
JP2008105800A (ja) エレベータのガラス扉
KR200387059Y1 (ko) 방범창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
US6481159B2 (en) Sash and case windows
US4180142A (en) Emergency escape openable skylight
KR200423291Y1 (ko)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
CN108708656B (zh) 一种推拉窗结构
KR102338824B1 (ko) 롤방충망 일체형 유리난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200226347Y1 (ko) 스프링 밸런스가 부착된 방범창
US5628355A (en) Window safety system for a child or the lik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0226350Y1 (ko) 자동개폐 방범창
KR102091982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KR100277199B1 (ko) 방범창
KR101045291B1 (ko)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
KR100632994B1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JP5100007B2 (ja) 二重サッシ装置
KR100523248B1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JP4433414B2 (ja) 片開き窓
KR102642719B1 (ko) 롤타입 나노방진망이 구비된 미서기 방충망
KR200254632Y1 (ko) 스프링 밸런스가 부착된 방범창
CN218988525U (zh) 一种平台家用梯的单开自闭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