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434Y1 - 자전거 정차대 - Google Patents

자전거 정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434Y1
KR200225434Y1 KR2020000034774U KR20000034774U KR200225434Y1 KR 200225434 Y1 KR200225434 Y1 KR 200225434Y1 KR 2020000034774 U KR2020000034774 U KR 2020000034774U KR 20000034774 U KR20000034774 U KR 20000034774U KR 200225434 Y1 KR200225434 Y1 KR 2002254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base
receiving portion
whee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주철
Original Assignee
황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주철 filed Critical 황주철
Priority to KR2020000034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4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4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434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 정차대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전거 정차대를 합성수지나 시멘트 몰탈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만들고, 또 그 만들어진 자전거 정차대를 필요에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할 수 있고, 자전거를 정차한 후에는 그 정차된 자전거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면에 고정되도록 고정부재가 구비된 베이스가 마련되고 그 베이스에는 자전거바퀴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의 일측 베이스 상에는 자전거바퀴를 잠금하는 잠금수단이 마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전거 정차대{A bicycle depository}
본 고안은 자전거 정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나 시멘트 몰탈 등을 이용하여 베이스를 만들고 그 베이스에 자전거의 바퀴를 고정할 수 있는 수용부를 형성시키며 상기 수용부의 일측 베이스의 선택된 곳에는 자전거의 바퀴를 잠금 할 수 있는 잠금수단을 설치하여 된 것으로, 제조와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필요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정차대는 주로 전철역주변이나 학교 및 각종 관공서 등에 많이 설치되어 자전거를 일렬로 정차시키고 보관하는 것이며, 이는 자전거가 넘어지지 않도록 안착시키고 도난방지를 위하여 자물쇠로 잠글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자전거 정차대는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5-33468호 및 동공보 제1998-20718호 등에 게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보에 게재된 기술들은 바닥프레임에서 조향핸들의 폭보다 좁게 배열된 다수개의 지지프레임이 형성되고 이 지지프레임에 전륜을 안정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는 전륜지지부재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의 자전거 정차대는 전륜지지부재의 높이가 2단으로 번갈아 가면서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바닥프레임상의 전륜지지부재에 각각의 자전거 전륜을 연속하여 올려놓더라도 조향핸들이 걸리지 않아 최소한 공간에서 최대의 자전거를 배열하여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전거 보관대에 있어서는 장방형으로 된 비교적 넓은 면적의 바닥프레임에 전륜지지부재가 배열되어 있어 자전거의 보관여부에 관계없이 넓은 면적을 점유하게 됨으로 인하여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실용신안등록 제189425호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189425호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0)에는 자전거(17)의 전륜을 수용하는 간격으로 2개의 지주(11)가 한 쌍을 이루어 배열되고 이 지주(11)가 조향핸들의 폭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의 지주(11)에는 납작한 타원형의 전륜지지부재(12)가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3)은 전륜지지부재(12)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이동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며 그 이유는 최소한 점유면적을 차지하도록 울타리 등에 근접시켜 설치할 수 있어야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전륜지지부재(12) 하부위치의 지주(11)나 프레임(10)하단부분에는 전륜지지부재(12)의 내부로 전륜을 넣었을 때 그 하단을 지지하는 호형지지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륜지지부재(12)는 이를 수직으로 세워 고정시키고 수평으로 뉘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유닛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 고정유닛은 프레임(10)의 지주(11)에서 전륜지지부재(12)에 이르기까지 체인(15)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인(15)이 연결된 지주(11)에는 전륜지지부재(12)의 펼쳐짐을 방지하도록 체인(15)을 걸어놓을 수 있는 걸고리(1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전거 정차대는 안전성과 보관의 편의성은 있으나 프레임(10) 및 지주(11)와 전륜지지부재(12)가 모두 금속재인 파이프나 봉인 관계로 제작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경제성 면에서 많음 문제점이 있고 제작하기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상기 자전거 정차대는 목적지에 한번 설치되면 그를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가 매우 난해하고 무게 또한 무거워 쉽게 이동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금속재의 특성상 한번 변형이 발생하면 원래형상으로 되돌릴 수 없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전거 정차대를 합성수지나 시멘트 몰탈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만들고, 또 그 만들어진 자전거 정차대를 필요에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할 수 있고, 자전거를 정차한 후에는 그 정차된 자전거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정차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전거 정차대에 자전거가 정차된 상태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자전거 정차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은 본 고안의 자전거 정차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인의 자전거 정차대에 자전거가 정차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베이스 21: 수용부
22 : 통공 23 : 잠금수단
23a : 고정패널 23b : ' ∩'형 유닛
24 : 홈 25 : 고정부재
26 : 구멍 27 : 자전거고정프레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자전거 정차대에 대한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면에 고정되도록 고정부재가 구비된 베이스가 마련되고 그 베이스에는 자전거바퀴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의 일측 베이스 상에는 자전거바퀴를 잠금하는 잠금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베이스의 사방 모서리부분에 구비되고 그 사방 모서리부분에 구비된 고정부재는 지면에 삽입되는 고정핀 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전거바퀴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수용부는 베이스의 중앙에 마련되고 그 중앙에 마련된 수용부는 자전거바퀴의 원주와 동일한 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자전거바퀴를 잠금하는 잠금수단은 고정패널을 관통하는 ' ∩'형의 유닛이 마련되고 그 유닛이 관통된 고정패널은 베이스의 수용부 근접부분에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전거바퀴를 잠금하는 잠금수단은 베이스의 수용부 근접부분에 1개 또는 2개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수용부 어느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는 자전거고정프레임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전거바퀴를 수용하는 수용부 제일 깊은 부분에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자전거 정차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자전거 정차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은 본 고안의 자전거 정차대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인의 자전거 정차대에 자전거가 정차된 상태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먼저 베이스성형틀을 이용하여 베이스(20)를 만드는데, 그 베이스(20)의 중앙부에는 도 2a 내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전거바퀴(30)의 일부가 수용되며 그 수용되는 자전거바퀴(30)의 원주형상과 준하는 호형의 자전거바퀴 수용부(21)를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자전거바퀴(30)의 원주형상과 준하는 호형의 자전거바퀴 수용부(21) 내측 제일 깊은 곳에는 통공(22)를 형성시켜 우천시 빗물이 고이지 않고 외부로 빠져나가게 형성시켰다.
또한 상기 베이스(20)의 자전거바퀴 수용부(21) 일측 또는 양측에는 자전거바퀴(30)를 잠금하는 잠금수단(23)이 마련되는데, 그 잠금수단(23)의 구성은 베이스(20)상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패널(23a)을 관통하는 ' ∩'형 유닛(23b)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잠금수단(23)은 베이스(20)에 마련된 홈(24)에 삽입 안착되고 유닛(23b) 단부는 양측으로 구부려서 스톱퍼(23c)를 형성시켜 고정패널(23a)로부터 빠져 나오지 못하게 하였다.
또 상기 베이스(20)의 사방 모서리부분에는 베이스(20)를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25)가 마련되는데, 그 고정부재(25)는 베이스(20)의 저면에 베이스(20)와 일체로 형성시켜 사용해도 되고 상기 베이스(20)의 사방 모서리부분에 구멍(26)을 형성시켜 이에 고정부재(25)인 고정핀을 관통하며 지면에 고정해도 된다.
또 상기 베이스(20)의 수용부(21) 어느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는 자전거고정프레임(27)이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서 자전거가 베이스(20)에 정차되었을 때 그 정차된 자전거의 양측을 지지해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전거 정차대에 자전거를 정차함에 따른 효과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4a는 베이스(20)의 높이가 낯은 것이고 도 4b는 베이스(20)의 높이가 높은 것으로서, 자전거바퀴(30)를 베이스(20)의 수용부(21)에 안착시킨 다음 잠금수단(23)과 자전거바퀴(30)간에 자물쇠를 걸고 잠그게되면 자전거의 잠금은 완료되고, 따라서 분실의 위험은 해소된다.
또 상기 베이스(20)의 수용부(21) 어느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 설치된 자전거고정프레임(27)에 의해 자전거의 양측이 안전하게 지지되고 그에 따른 자전거의 양측 넘어짐은 방지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잠금수단(23) 구성인 고정패널(23a)은 나사못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패널(23a)의 사방 모서리를 관동하며 베이스(20)에 고정된다. 그리고 ' ∩'형 유닛(23b)은 평상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가 있는 상태가 되고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부를 들어올린 다음 자물쇠를 끼우고 잠그면 된다.
또 베이스(20)에 구비된 고정부재(25)는 베이스(20)를 선택된 지면에 고정하고자 할 때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끝단부가 뾰족하게 되어 있어 지면에 삽입하기가 용이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 고정부재(25)를 베이스(20)의 사방모서리에 형성된 구멍(26)을 통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자전거 정차대는 시멘트 몰탈이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베이스를 만들고 그 베이스에 자전거의 바퀴를 고정할 수 있는 수용부를 형성시키며 그 수용부의 일측 베이스의 선택된 곳에는 자전거의 바퀴를 잠금할 수 있는 잠금수단을 설치하여 된 것으로, 제조와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필요에 따라 이동을 가능하고 또 좁은 공간에서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지면에 고정되도록 고정부재(25)가 구비된 베이스(20)가 마련되고 그 베이스에는 자전거바퀴(30)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21)가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의 일측 베이스 상에는 자전거바퀴를 잠금하는 잠금수단(23)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정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베이스의 사방 모서리부분에 구비되고 그 사방 모서리부분에 구비된 고정부재는 지면에 삽입되는 고정핀 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정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바퀴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수용부는 베이스의 중앙에 마련되고 그 중앙에 마련된 수용부는 자전거바퀴의 원주와 동일한 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정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바퀴를 잠금하는 잠금수단은 고정패널(23a)을 관통하는 ' ∩'형 유닛(23b)이 마련되고 그 유닛이 관통된 고정패널은 베이스의 수용부 근접부분에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정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바퀴를 잠금하는 잠금수단은 베이스의 수용부 근접부분에 1개 또는 2개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정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수용부 어느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는 자전거고정프레임(2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정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바퀴를 수용하는 수용부 제일 깊은 부분에는 통공(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정차대.
KR2020000034774U 2000-12-12 2000-12-12 자전거 정차대 KR2002254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774U KR200225434Y1 (ko) 2000-12-12 2000-12-12 자전거 정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774U KR200225434Y1 (ko) 2000-12-12 2000-12-12 자전거 정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434Y1 true KR200225434Y1 (ko) 2001-06-01

Family

ID=7309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774U KR200225434Y1 (ko) 2000-12-12 2000-12-12 자전거 정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4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0411A1 (en) * 2011-12-13 2013-06-20 Parkins Howard Portable bicycle sta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0411A1 (en) * 2011-12-13 2013-06-20 Parkins Howard Portable bicycle st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5500A (en) Bicycle rack
US5944198A (en) Bicycle stand
KR200225434Y1 (ko) 자전거 정차대
US11731719B2 (en) Telescoping ceiling mounted storage or bike rack
JP2002013112A (ja) 収納ベンチ付横断防止柵
KR200452525Y1 (ko) 수직형 자전거 거치대
KR200441306Y1 (ko) 자전거 보관대
KR200435905Y1 (ko) 입식 자전거 보관시설
KR200189425Y1 (ko) 자전거 보관대
US6474617B1 (en) Apparatus to support a light post and such a lamp post
KR20110001674U (ko) 자전거 거치대의 바퀴 고정구
KR101062729B1 (ko) 자전거 거치대
KR20080000929U (ko) 자전거 보관대
KR20090026224A (ko) 자전거 보관함
JPH02127588U (ko)
CN219770104U (zh) 一种游艇遮阳棚
KR101123784B1 (ko) 자전거 거치대
KR19990008192U (ko) 자전거 주차대
JP2500248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H0619459Y2 (ja) 柵付きパレット
JP2532751Y2 (ja) 折り畳み自転車用駐輪装置
JPS5811657Y2 (ja) 自転車整理台
JPS5923773Y2 (ja) 防護柵
KR19990008189U (ko) 자전거 주차대
JPS631856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