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419Y1 - 마이크 - Google Patents

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419Y1
KR200225419Y1 KR2020000034256U KR20000034256U KR200225419Y1 KR 200225419 Y1 KR200225419 Y1 KR 200225419Y1 KR 2020000034256 U KR2020000034256 U KR 2020000034256U KR 20000034256 U KR20000034256 U KR 20000034256U KR 200225419 Y1 KR200225419 Y1 KR 200225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icrophone
wired
amplitud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퓨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퓨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퓨어텍
Priority to KR2020000034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4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419Y1/ko

Links

Landscapes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M)만을 구비한 유선 마이크(1) 또는 마이크(M)와 무선송수신기(T/R)를 일체로 구비하고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각종 음향기기에 유선 및 무선으로 절달하는 마이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유선 또는 무선 마이크(1)(2)의 송화라인 상에 진폭 또는 주파수 변조방식을 갖는 공지의 음성변조기(3)를 부가 설치하되, 상기 음성변조기(3)의 일측부에는 남,여 음성 선택스위치(4)와 진폭 및 주파수 변조량 설정용 볼륨(5) 및 무변조 선택스위치(6)를 설치하여 저가의 마이크로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즉, 필요에 따라 음성 및 음색을 변조한 상태에서 말을 하거나 노래를 부르고자 하는 소비자 욕구)을 만족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상품성과 사용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Improved microphone}
본 고안은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유선 또는 무선 마이크에 음성변조기를 부가 설치하여 노래방 등에서 이용자가 다양한 음성대역 및 음색을 임의로 선택하여 변조시킬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본 고안은, 마이크만을 구비하고 유선을 통해 노래방기기를 포함한 각종 음향기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유선 마이크나, 마이크를 포함하여 무선송수신기를 구비하고 중계기를 통해 또는 노래방기기를 포함한 각종 음향기기 간접 및 직접 무선통신하는 무선 마이크의 송화회로에 음성변조기를 부가 설치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송화기에서 전류로 전환되어 음향기기로 전송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고유한 음성대역 및 음색 주파수가 미리 입력해 놓은 형태 및 수치로 변조되어 출력되도록 하여 다양한 음성 및 음색으로 말을 하거나,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고안한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스컴을 통해 증언할 경우, 증인의 음성을 변조하여 여자 또는 남자의 음성을 중성으로 변형, 출력시켜 원래의 음성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말하는 사람(즉, 증인)이 누군지 모르게 하는 음성변조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나,이 경우 남자도 여자도 아닌 중성의 음성이 출력되어 음이 명확히 들리지 않는다.
또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노래방기기에 있어서는 남자가 노래를 부르면 별도의 변형이 없이 단지 남자의 목소리가 그대로 출력되고 여자가 노래를 부를 때에도 여자의 목소리로 그대로 출력될 뿐이어서 노래부르기가 단조로운 결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변조기능 자체가 고가의 노래방기기를 포함하는 각종 음향기기 자체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해당 기기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일반인은 자신의 음성 및 음색을 다양하게 변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노래방기기를 사용하여 노래를 부르거나 일반적으로 말을 할 때 남자음성은 여자음성으로, 여자음성은 남자음성으로 또는 남여에 무관하게 각 사용자의 음성 및 음색 자체를 설정음성 및 음색으로 변조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노래를 부르는 재미를 더 할 수 있고, 음성변조기능이 없는 각종 일반 음향기기를 통해 노래를 부르거나 말을 할시에 저가의 마이크만을 통해 다양하게 음성 및 음색을 변조시킬 수 있는 마이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음향기기와 유선 및 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전기적인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마이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의 송화라인상에 진폭 또는 주파수 변조방식을 갖는 공지의 음성변조기를 부가 설치하되, 상기 음성변조기의 일측에는 남,여 음성 선택스위치와 진폭 및 주파수 변조량 설정용 볼륨 및 무변조 선택스위치를 설치하여 주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기기에 비해 비교적 저가인 본 고안의 마이크만 구비하면 음성변조기능이 없는 각종 일반 음향기기를 통해서도 다양한 음성 및 음색으로 노래를 부르거나 말할 수 있어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상품성과 사용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유선 마이크)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무선 마이크)를 보인 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유,무선 마이크
3 : 음성변조기
4 : 남,여 음성 선택스위치
5 : 진폭 및 주파수 변조량 설정용 볼륨
6 : 무변조 선택스위치
T/R : 무선송수신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유선 마이크)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무선 마이크)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마이크(M)만을 구비한 유선 마이크(1) 또는 마이크(M)와 무선송수신기(T/R)를 일체로 구비하고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인신호로 변환하여 각종 음향기기에 유선 및 무선으로 절달하는 마이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유선 또는 무선 마이크(1)(2)의 송화라인상에 진폭 또는 주파수 변조방식을 갖는 공지의 음성변조기(3)를 부가 설치하되,
상기 음성변조기(3)의 일측부에는 남,여 음성 선택스위치(4)와 진폭 및 주파수 변조량 설정용 볼륨(5) 및 무변조 선택스위치(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노래방기기를 포함한 각종 음향기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유선 또는 무선 마이크(1)(2)를 이용하여 말을 하거나 노래등을 부르고자할시 그의 송화라인상에 설치되어 있는 음성변조기(3)의 스위치들 및 진폭 및 주파수 변조량 설정용 볼륨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자 자신의 음성 및 음색을 변조 또는 무변조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유,무선 마이크(1)(2)을 이용하여 말을 하거나 노래를 불러 노래방기기를 포함한 각종 음향기기에서 해당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출력되도록하기에 앞서 또는 말 및 노래를 부르던 중 남,여 음성 선택스위치(4)를 온 또는 오프시키고, 진폭 및 주파수 변조량 설정용 볼륨(5)을 적절히 조작하여 그 변조량을 원하는 량으로 설정하게 되면, 마이크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현재 '온' 또는 '오프'된 상태에 있는 남,여 음성 선택스위치(4)의 상태에 부응하여 남성 또는 여성 음성 및 음색으로 변조굄과 동시에 진폭 및 주파수 변조량 설정용 볼륨(5)의 상태에 부응하는 설정량 만큼 자동 변조된 후 각종 음향기기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음성변조기(3)는 공지된 회로로써 입력되는 각 개인의 아날로그 음성대역 주파수를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한 후 진폭 및 주파수 변조량 설정용 볼륨(5)의 저항치에 원하는 량으로 음성변조시켜 주되, 사용자가 남성 음성 및 음색으로 변조시키길 원해 상기 남,여 음성 선택스위치(4)를 '온'시켰거나, 여성 음성 및 음색으로 변조시키길 원해 상기 남,여 음성 선택스위치(4)를 '오프'시킨 경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설정량에 부응하는 진폭 또는 주파수 변조시킨 사용자 음성의 음색을 남성 또는 여성 음색으로 다시 변환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저가의 마이크를 통해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 및 음색을 소정 주파수 또는 진폭변조시킨 다음 일반적인 음향기기에 전송시켜 변조된 음성 및 음색으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상품성과 사용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음성변조기(3)에 설치되어 있는 무변조 선택스위치(6)가 '온'된 경우에는 상기 남,여 음성 선택스위치(4)의 온/오프 여부와, 진폭 및 주파수 변조량 설정용 볼륨(5)의 상태에 무관하게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전혀 변조되지 않게 되어 일반 유선 및 무선 마이크와 동일하게 사용자의 음성 및 음색을 음향기기로 전송시켜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음성변조기(3)에 전술과 같은 진폭 및 주파수 변조기능 이외에 특정인의 음성묘사 기능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와같은 기능의 추가는 실용성을 제고하여 부가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와같은 음성변조기술은 기존의 군사용 비화기 등과의 기술에 접목시켜 단순 음성 증폭 기능만을 수행해온 온 각종 앰프 및 음향기기의 멀티미디어화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고안의 마이크는 방송국등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음성 변조기 대신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노래방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보이스 히모나이저, 영화 및 음반산업, 음성인식 전자제품, 디지털 사운드 압축기술이 적용된 DVD, MD, AOD 기기, 미디 음원개발에 사용되는 디지털 사운드 샘플링기술, 오디오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디지털 보이싱 이퀄라이저등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운드 신호의 디지털화, 사운드 신호의 인식변조, 합성기술 및 이에 관련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유,무선 마이크에 음성변조기를 부가 설치하여 주므로써 음향기기에 비해 비교적 저가인 유,무선 마이크을 통해 말을 하거나 노래를 부를시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 및 음색을 소정 주파수 또는 진폭변조시킨 상태로 음향기기로 송출시킬 수 있어 음성변조기능이 구비된 고가의 음향기기를 구매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음성 및 음색을 자유롭게 변조시킬 수 있으므로, 마이크만을 통해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즉, 필요에 따라 음성 및 음색을 변조한 상태에서 말을 하거나 노래를 부르고자 하는 소비자 욕구)을 만족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상품성과 사용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마이크(M)만을 구비한 유선 마이크(1) 또는 마이크(M)와 무선송수신기(T/R)를 일체로 구비하고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인신호로 변환하여 각종 음향기기에 유선 및 무선으로 절달하는 마이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유선 또는 무선 마이크(1)(2)의 송화라인상에 진폭 또는 주파수 변조방식을 갖는 공지의 음성변조기(3)를 부가 설치하되,
    상기 음성변조기(3)의 일측부에는 남,여 음성 선택스위치(4)와 진폭 및 주파수 변조량 설정용 볼륨(5) 및 무변조 선택스위치(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KR2020000034256U 2000-12-07 2000-12-07 마이크 KR200225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256U KR200225419Y1 (ko) 2000-12-07 2000-12-07 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256U KR200225419Y1 (ko) 2000-12-07 2000-12-07 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419Y1 true KR200225419Y1 (ko) 2001-06-01

Family

ID=73092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256U KR200225419Y1 (ko) 2000-12-07 2000-12-07 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4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0988B1 (ko) 반주곡조 송출용 마이크의 녹음/재생 장치
US20030117531A1 (en) Mobile karaoke system
CA2485100A1 (en) Localized audio networks and associated digital accessories
KR200226168Y1 (ko) 이퀄라이저 기능을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US20050092162A1 (en) Portable voice studio system and method
KR200225419Y1 (ko) 마이크
US5398278A (en) Digital musicians telephone interface
KR200170731Y1 (ko) 주파수 변조 신호 송출기능을 갖는 엠피3 음악재생기
HUT73903A (en) Portable music performance device
USH1503H (en) Cordless electric guitar
JP2713753B2 (ja) 秘話伝送装置
JP3956263B2 (ja) 電話装置
KR102110330B1 (ko) 스마트폰용 유에스비 타입 블루투스 아답터
KR100695368B1 (ko) 고음질의 음성 출력이 가능한 이동단말기의 음향처리장치
KR200225420Y1 (ko) 마이크
KR100843722B1 (ko) 차량용 노래방기능을 위한 다기능 마이크로폰 장치
JP3892243B2 (ja) カラオケ機能搭載携帯電話機
US5999618A (en) Telephone interface for simultaneous audio presentation at separate locations utilizing amplitude modulated carrier signals
KR10078702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장치 및 방법
JPH09152890A (ja) 音響機器
KR20010027064A (ko)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 및 그 방법
JP4348936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出力音量増大方法
KR19990068334A (ko) 음기록/재생기능을갖는이동통신단말기
JP2008242264A (ja) カラオケシステム
KR940002131B1 (ko) 대화기능 및 송신기능을 갖는 리듬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