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276Y1 -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끝단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끝단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276Y1
KR200225276Y1 KR2020000031433U KR20000031433U KR200225276Y1 KR 200225276 Y1 KR200225276 Y1 KR 200225276Y1 KR 2020000031433 U KR2020000031433 U KR 2020000031433U KR 20000031433 U KR20000031433 U KR 20000031433U KR 200225276 Y1 KR200225276 Y1 KR 200225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abric
roll
cylinder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술
Original Assignee
이진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술 filed Critical 이진술
Priority to KR2020000031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2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276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폭과 해포를 동시에 하는 기계에 구성되어 원단롤의 끝단을 이송 하는 장치이다.
특히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스폰치롤러와 상승롤러 사이에 원단의 끝단을 끼워 잡고 선반으로 이송하여 박음질하기 위한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끝단 이송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원단의 연폭이나 해포를 위해서는 인력을 동원하는 경우가 많았고, 기계적인 구성에 의해 연폭과 해포를 이룬다 해도 대다수의 작업은 인력에 의해 행해진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실린더의 작동으로 동작하는 스폰치롤러와 상승롤러를 구성하여 원단의 끝단을 선반으로 자동 이송시켜 주게 하고자 함이 기술적 과제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원단의 끝단을 자동으로 이송시켜 사람의 노동력이 들지 않도록 한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이 '연폭 및 해포기'에 장착되어 원단을 해포하는 동시에 연폭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끝단 이송장치{Device to transfer the end cloth}
본 고안은 연폭과 해포를 동시에 하는 기계에 구성되어 원단의 끝단을 이송 하는 장치이다.
특히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스폰치롤러와 상승롤러 사이에 원단의 끝단을 끼워 잡고 선반으로 이송하여 박음질하기 위한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끝단 이송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원단의 연폭이나 해포를 위해서는 인력을 동원하는 경우가 많았고, 기계적인 구성에 의해 연폭과 해포를 이룬다 해도 대다수의 작업은 인력에 의해 행해진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에 따른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연폭과 해포의 과정에서 많은 노동력이 들었고, 그 생산량은 노동력에 비해 저조 했었다.
본 고안은 실린더의 작동으로 동작하는 스폰치롤러와 상승롤러를 구성하여 원단의 끝단을 선반으로 자동 이송시켜 주게 하고자 함이 기술적 과제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해 원단의 해포와 연폭이 용이하고, 적은 시간에 많은 작업량을 가지고자 함도 그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원단의 끝단을 들어올리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원단의 끝단을 물고 선반으로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끝단을 들어올리는 구성들을 도시한 요부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이송하는 구성들을 도시한 요부도
본 고안은 원단을 해포하고, 그 끝단을 연폭을 위해 선반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들로 이루어 진다.
즉, 해포실에서 해포된 원단의 끝단을 잡아 상승하고 선반쪽으로 이송는 과정에 필요한 구성들이다.
이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단의 연폭과 해포를 위해 원단롤의 끝단(1B)을 선반(96) 위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에 있어서,
해포실(150) 위의 원단의 끝단(1B)을 실린더를 통해 선반(96)의 상측까지 들어 올리는 구성들로 이루어진 상승롤러부(220)와;
이렇게 상승한 원단의 끝단(1B)을 흘러내리지 않도록 실린더를 통해 가압하는 수단인 스폰치롤러부(210)가;
서로 마주보게 실린더의 축을 뻗어 서로의 롤러(216,226)들로 원단(1)을 가압한채;
상승롤러부(210)에 구성된 이송실린더(230)의 작동으로 원단의 끝단(1B)을 물은채 선반(96)으로 전달하는 구성들이다.
이러한 구성들 중에서 특징을 가진 스폰치롤러부(210)를 보다 구체적으로 하면 다음과 같다.
기체(100)의 측면에 수평가이드봉(214)을 타고 이동할 수 있는 수평이동판Ⅰ(215) 에는;
수직가이드봉(212)을 끼고 수직하강할 수 있는 스폰치롤러지지구(213)를 가압실린더(211)의 축에 구성하여;
후에 지지구(213)가 하강시 수직가이드봉(212)과 상승롤러지지구(223)가 결합될수 있도록하며;
상기의 스폰치롤러지지구(213)에는 스폰치롤러(216)를 구성하여 지지구(213)와 함께 수직승하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특징을 가진 구성은 상승롤로부(220)로 보다 구체적으로 하면 다음과 같다.
기체(100)의 측면에 수평가이드봉(224)을 타고 이동할 수 있는 수평이동판Ⅱ(229) 에는;
수직가이드봉(222)을 타고 수직승강할 수 있는 상승롤러지지구(223)를 상승실리더(221)의 축에 구성하고;
상기의 상승롤러지지구(223)에는 상승롤러(226)를 구성하여 지지구(223)와 함께 수직 승.하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수평이동판Ⅱ(229)의 배면에 구성된 이송실린더(230)의 작동이 상술된 수평이동판Ⅰ,Ⅱ(215,229)가 각각의 수평가이드봉(214,224)을 타고 수평이동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상에서는 본고안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고 하기에는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인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끝단 이송장치'는 '연폭 및 해포기'에 구성되어 다음과 같은 작업을 한다.
즉 제 1원단롤이 그 첫단(1A)을 찢고 해포를 한다.
이후 제 2원단롤이 그 첫단(1A)을 찢고 박음질을 위하여 선반위에서 대기한다(이 과정은 동일자 출원인 컷팅장치에 잘나타나 있다.).
상기의 제 1원단롤은 이 과정중에 모든 해포를 마치고 그 끝단(1B)이 보이면 이를 선반(96)으로 가져가 제 2원단롤의 첫단(1A)과 연폭을 위한 박음질 과정에 투입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끝단이송장치는 끝단(1B)을 선반(96)으로 이송하는 과정까지를 담당하는 구성들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원단롤이 해포실(150)에서 해포가 되고 그 끝단(1B)이 보이면 스폰치롤러부(210)의 스폰치롤러(216)는 하강하고, 상승롤러부(220)의 상승롤러(226)는 상승하여 원단의 끝단(1B)을 집어든다.
즉 도 1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제 1원단롤의 끝단(1B)을 스폰치롤러(216)와 상승롤러(226)의 사이로 누르고 상승하되 선반(96)의 위치보다 더 상방향 까지 상승한다.
이후 상기의 롤러들은 제 1원단롤의 끝단(1B)을 사이에 끼운채 선반(96)까지 이송한다.
상기의 롤러가 선반(96)의 위치보다 더 상승하여 올라가는 이유는 그 끝단(1B)을 작업자가 집어들기 유리하기에 더 높은 정착점을 찾은 것이다.
이후는 동일자, 동일인의 출원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 양끝자락 컷팅장치'에 의해 그 끝단이 잘리고 박음질이 된다.
여기서 이 과정을 수행하는 구성중 가장 중요한 스폰치롤러부(210)와 상승롤러부(220)의 구성을 설명한다.
첫째, 스폰치롤러부(210)
도 3,4에 도시된 듯이 기체(100)의 측면에 쌍으로된 수평가이드봉(214)이 구성되고, 이곳에 수평이동판Ⅰ(215)이 구성된다.
이 이동판Ⅰ(215)에는 가압실린더(211)가 아래방향을 향하여 그 축을 뻗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축에는 스폰치롤로지지구(213)가 구성되어 축의 운동과 함께 동일한 운동을 한다.
이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212)은 축의 양측에 2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가이드봉(212)의 끝단이 하강시, 상승롤러부(220)의 상승롤러지지구(223)에 끼워져 서로간에 결합을 이루어 같이 운동할 수 있게 한다.
이 스폰치롤러지지구(213)에는 스폰치롤러(216)가 구성되어 지지구와 함께 승하강운동을 하며, 회전운동도 한다.
둘째, 상승롤러부(220)
상기의 스폰치롤로부(210)의 수평가이드봉(214)과 동일한 기체(100)의 측면의 하부에 각각 쌍으로 구성된 수평가이드봉(224)에는 수평이동판Ⅱ(229)가 연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이동판Ⅱ(229)에는 상승실린더(221)가 상방향을 향해 그 축을 뻗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축에는 상승롤로지지구(223)가 구성되어 축의 운동과 함께 동일한 운동을 한다.
이 상승롤러지지구(223)에는 상승롤러(226)가 구성되어 지지구와 함께 승.하강운동을 하며, 회전운동도 한다.
그밖에 수평이동판(229)의 배면에는 이송실린더(230)가 구성된다.
따라서 언급된 스폰치롤러부(210)의 수직가이드봉(212)이 상승롤러지지구 (223)에 끼워져 서로간을 결합할 경우(도 3에 도시) 이송실린더(230)의 축운동에 의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 이동은 도 4에서 도시된 형태로 원단의 끝단을 물고 선반(96)의 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본 고안은 원단의 끝단을 자동으로 이송시켜 사람의 노동력이 들지 않도록 한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연폭 및 해포기'에 장착되어 원단을 해포하는 동시에 연폭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3)

  1. 원단의 연폭과 해포를 위해 원단롤의 끝단(1B)을 선반(96) 위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에 있어서,
    해포실(150) 위의 원단의 끝단(1B)을 실린더를 통해 선반(96)의 상측까지 들어 올리는 구성들로 이루어진 상승롤러부(220)와;
    이렇게 상승한 원단의 끝단(1B)을 흘러내리지 않도록 실린더를 통해 가압하는 수단인 스폰치롤러부(210)가;
    서로 마주보게 실린더의 축을 뻗어 서로의 롤러(216,226)들로 원단(1)을 가압한채;
    상승롤러부(210)에 구성된 이송실린더(230)의 작동으로 원단의 끝단(1B)을 물은채 선반(96)으로 전달하는 구성들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끝단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스폰치롤러부(210)는,
    기체(100)의 측면에 수평가이드봉(214)을 타고 이동할 수 있는 수평이동판Ⅰ(215) 에는;
    수직가이드봉(212)을 끼고 수직하강할 수 있는 스폰치롤러지지구(213)를 가압실린더(211)의 축에 구성하여;
    후에 지지구(213)가 하강시 수직가이드봉(212)과 상승롤러지지구(223)가 결합될수 있도록하며;
    상기의 스폰치롤러지지구(213)에는 스폰치롤러(216)를 구성하여 지지구(213)와 함께 수직 승.하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특징이 있는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끝단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승롤로부(220)는,
    기체(100)의 측면에 수평가이드봉(224)을 타고 이동할 수 있는 수평이동판Ⅱ(229) 에는;
    수직가이드봉(222)을 타고 수직승강할 수 있는 상승롤러지지구(223)를 상승실리더(221)의 축에 구성하고;
    상기의 상승롤러지지구(223)에는 상승롤러(226)를 구성하여 지지구(223)와 함께 수직승하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수평이동판Ⅱ(229)의 배면에 구성된 이송실린더(230)의 작동이 상술된 수평이동판Ⅰ,Ⅱ(215,229)가 각각의 수평가이드봉(214,224)을 타고 수평이동될 수 있게 구성됨에 특징이 있는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끝단 이송장치
KR2020000031433U 2000-11-10 2000-11-10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끝단 이송장치 KR200225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433U KR200225276Y1 (ko) 2000-11-10 2000-11-10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끝단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433U KR200225276Y1 (ko) 2000-11-10 2000-11-10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끝단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276Y1 true KR200225276Y1 (ko) 2001-05-15

Family

ID=7309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433U KR200225276Y1 (ko) 2000-11-10 2000-11-10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끝단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2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42864B (zh) 一种机械手取放料的pcb板裁切机
CN107055087A (zh) 一种裁断机自动上料装置及其控制方法
CN206580288U (zh) 一种裁断机自动上料装置
CN106985195A (zh) 一种双边自动送料裁断机
CN107618710B (zh) 一种全自动泡沫扎布一体机及使用方法
KR101307875B1 (ko)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탬핑 장치
KR200225276Y1 (ko)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끝단 이송장치
CN111360514A (zh) 用于液晶电机背板的拼接压合工装
CN208163719U (zh) 灯带自动切割上料装置
CN212217683U (zh) 一种液晶电机背板的拼接压合工装
CN209716792U (zh) 一种全自动sd卡切割装置
JPH09290948A (ja) カットシートのセンタリング機能を備えた供給装置
CN109366538B (zh) 一种垫体切割装置及方法
CN106626524A (zh) 多用途分体式切缝印刷收料全自动一体机
CN112779758A (zh) 一种用于针织品生产用裁剪装置
CN207171109U (zh) 型材切断设备
CN216040368U (zh) 一种无纺布前兜围兜加工设备
CN206795975U (zh) 一种双边自动送料裁断机
CN104550537B (zh) 一种全自动冲床同步片材传送机构
CN213201118U (zh) 一种家具生产用数控开料机的送料设备
CN215885405U (zh) 一种圆筒件自动上料装置
CN108453162A (zh) 一种自动取料冲压设备
CN213704579U (zh) 一种热风机自动烫口袋衬机
CN217777141U (zh) 一种用于冲切抛光垫的冲切机
JP6792311B1 (ja) パンチ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