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218Y1 -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218Y1
KR200225218Y1 KR2020000036666U KR20000036666U KR200225218Y1 KR 200225218 Y1 KR200225218 Y1 KR 200225218Y1 KR 2020000036666 U KR2020000036666 U KR 2020000036666U KR 20000036666 U KR20000036666 U KR 20000036666U KR 200225218 Y1 KR200225218 Y1 KR 200225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path
low noise
tower
malfunc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박상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00036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218Y1/ko

Links

Landscapes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 사용되는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수신경로 검사신호와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제 1 피엘엘(PLL;Phase Locked Loop) 합성기(synthesizer);와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와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상기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로 입력하여 주는 제 1 방향성 결합기(directional coupler);와 기지국 장치로 입력되는 수신신호의 일정량을 커플링(coupling)하는 제 3 방향성 결합기;와 상기 제 3 방향성 결합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주파수 대역으로 여파하는 제 1 대역통과 필터;와 상기 제 1 대역통과 필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 하향 변환(down conversion)하여 출력하는 제 1 혼합기(mixer);와 상기 제 1 혼합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소정의 대역폭으로 여파하는 제 1 표면탄성필터;와 상기 제 1 표면탄성필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1 감지기(detecter);와 상기 제 1 표면탄성필터의 통과대역으로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와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기 위해 상기 제 1 혼합기로 국부발진신호(local oscillator signal)를 입력하여 주는 제 2 피엘엘 합성기;와 상기 제 2 피엘엘 합성기로 하여금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를 상기 제 1 표면탄성필터의 통과대역으로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제 1 국부발진신호와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제 2 국부발진신호를 주기적으로 번갈아 발생토록 하고, 상기 제 1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기준전압레벨과 비교하여 경고신호를 발하는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송신경로 검사신호를 발하는 제 3 피엘엘 합성기;와 상기 제 3 피엘엘 합성기로부터 출력되는 송신경로 검사신호를 상기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로 입력하여 주는 제 4 방향성 결합기;와 상기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로부터 안테나로 출력되는 신호의 일부를 커플링하여 출력하는 제 2 방향성 커플러;와 상기 제 2 방향성 커플러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송신주파수대역으로 여파하여 출력하는 제 2 대역통과 필터;와 상기 제 2 대역통과 필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혼합기;와 상기 제 2 혼합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소정의 대역폭으로 여파하는 제 2 표면탄성필터;와 상기 제 2 표면탄성필터의 통과대역으로 상기 송신경로 검사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기 위해 제 3 국부발진신호를 발하는 제 4 피엘엘 합성기;와 상기 제 2 표면탄성필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감지기; 및 상기 제 1 피엘엘 합성기로 하여금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와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주기적으로 번갈아 발생토록 하고, 상기 제 2 감지기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기준전압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발하도록 하는 제 2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는 별도의 오동작 감지를 위한 전송선로가 필요치 않게 되며, 송신경로를 검사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A malfunction detecting device for the tower-top low noise amplifying device}
본 고안은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 사용되는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송수신 경로상의 오동작을 감지하기 위해 별도로 전송선로를 가설할 필요가 없는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지국 장치와 안테나로 구성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 안테나가 기지국 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져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들을 연결하는 긴 전송선로에 기인하는 수신 잡음지수의 상승으로 시스템의 수신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기지국 장치의 전단을 구성하는 송수신 필터와 저잡음 증폭기를 안테나 가까이에 장착하여 수신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안테나(101)로부터 입력되는 수신신호는 전단 수신 필터(102)를 통과하면서 소정 대역으로 여파되고, 저잡음 증폭기(103)에 의해 저잡음 증폭된다. 증폭된 수신신호는 후단 수신 필터(104)에 의해 다시 소정 대역으로 여파되어 기지국 장치(105)로 전송된다. 이에 반하여, 기지국 장치(105)로부터 안테나(101)로 송신되는 송신신호는 송신 필터(106)를 통과하면서 소정 대역으로 여파된후 안테나(101)를 통해 공간으로 복사된다.
그런데, 대개의 경우 안테나는 옥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는 외부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저잡음 증폭기는 외부 온도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외부 환경에 의해 전체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수신성능이 불안정해진다고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용 송수신 필터나 저잡음 증폭기를 초전도체로 제작하거나 추가로 온도보상회로를 장착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지만, 증폭장치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고 초전도체나 온도보상회로가 고가이기 때문에 특허 제 236654호(1999.10.04)와 같이 별도의 오동작 감지를 위한 커플링 장치를 송수신 필터의 양단에 장착하여 오동작으로 판정시 전체 증폭장치를 교체하는 방식을 많이 취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기지국 시스템은 오동작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별도의 전송선로 다수를 각 커플링 장치로부터 기지국 장치까지 가설해야 한다는 문제점과 송신필터를 포함하는 송신경로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신경로를 검사하기 위해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전단에 검사신호를 인가한후 이를 기지국 장치쪽에서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와 함께 받아볼 수 있도록 하고, 기지국 장치쪽에서 송신경로를 검사하기 위해 또 다른 검사신호를 입력시켜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전단에서 이를 송신신호와 함께 받아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오동작 감지를 위한 전송선로의 가설이 필요치 않은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를 제공한다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도 2 실시예에 사용된 송/수신경로 검사신호와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의 주파수를 보여주는 그림.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안테나 102. 전단 수신 필터
103. 저잡음 증폭기 104. 후단 수신 필터
105. 기지국 장치 106. 송신 필터
107.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 201. 제 1 피엘엘 합성기
202. 제 2 마이크로 프로세서 203. 제 1 방향성 결합기
204. 제 3 방향성 결합기 205. 제 1 대역통과 필터
206. 제 1 혼합기 207. 제 2 피엘엘 합성기
208. 제 1 표면탄성필터 209. 제 1 마이크로 프로세서
210. 제 1 감지기 211. 제 3 피엘엘 합성기
212. 제 4 방향성 결합기 213. 제 2 방향성 결합기
214. 제 2 대역통과 필터 215. 제 2 혼합기
216. 제 4 피엘엘 합성기 217. 제 2 표면탄성필터
218. 제 2 감지기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타워 탑 저잡음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는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수신경로상의 이상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수신경로 검사신호와 송신경로상의 이상을 감지한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제 1 피엘엘(PLL;Phase Locked Loop) 합성기(synthesizer);와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와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상기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로 입력하여 주기 위해 상기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 전단에 구비되는 제 1 방향성 결합기(directional coupler);와 기지국 장치로 입력되는 수신신호의 일정량을 커플링(coupling)하여 출력하는 제 3 방향성 결합기;와 상기 제 3 방향성 결합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여파하여 출력하는 제 1 대역통과 필터;와 상기 제 1 대역통과 필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 하향변환(down conversion)하여 출력하는 제 1 혼합기(mixer);와 상기 제 1 혼합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대역폭으로 여파하여 출력하는 제 1 표면탄성필터;와 상기 제 1 표면탄성필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1 감지기(detecter);와 상기 제 1 표면탄성필터의 통과대역으로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와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기 위해 상기 제 1 혼합기로 국부발진신호(local oscillator signal)를 입력하여 주는 제 2 피엘엘 합성기;와 상기 제 2 피엘엘 합성기로 하여금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를 상기 제 1 표면탄성필터의 통과대역으로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제 1 국부발진신호와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제 2 국부발진신호를 주기적으로 번갈아 발생토록 하고, 상기 제 1 국부발진신호가 발생되는 동안 상기 제 1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기준전압레벨 이하인 경우 수신경로상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신호를 발하고, 상기 제 2 국부발진신호를 발하는 동안 상기 제 1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기준 전압레벨 이상인 경우 송신경로상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신호를 발하도록 하는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송신경로 검사신호를 발하는 제 3 피엘엘 합성기;와 상기 제 3 피엘엘 합성기로부터 출력되는 송신경로 검사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로 입력하여 주는 제 4 방향성 결합기;와 상기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로부터 안테나로 출력되는 신호의 일부를 커플링하여 출력하는 제 2 방향성 커플러;와 상기 제 2 방향성 커플러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 받아 송신 주파수 대역으로 여파하여 출력하는 제 2 대역통과 필터;와 상기 제 2 대역통과 필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혼합기;와 상기 제 2 혼합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대역폭으로 여파하는 제 2 표면탄성필터;와 상기 제 2 표면탄성필터의 통과대역으로 상기 송신경로 검사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기 위해 제 3 국부발진신호를 발하는 제 4 피엘엘 합성기;와 상기 제 2 표면탄성필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감지기; 및 상기 제 1 피엘엘 합성기로 하여금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와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주기적으로 번갈아 발생토록 하되, 상기 제 2 감지기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기준전압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 발하도록 하고, 상기 기준전압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발하도록 예정된 시간동안 아무런 신호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상의 기지국 시스템은 3-섹터(sector)로 구분되어 운용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한 섹터만을 도시하고 이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2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송/수신경로 검사신호와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여기에서, f1은 수신경로 검사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나타내고, f2는 송신경로 오동작감지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나타내며, f3은 송신경로 검사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신호들은 수신필터와 송신필터의 통과대역(pass band)과 저지대역(rejection band) 사이에 존재하는 신호들이므로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송신경로와 수신경로를 통과하지만 송/수신주파수 대역의 신호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제 1 피엘엘 합성기(201)는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107)의 수신경로상의 이상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수신경로 검사신호(f1)와 송신경로상에 이상을 감지한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f2)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킨다. 신호발생 주기는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202)에 의해 결정된다.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107)의 전단에 구비되는 제 1 방향성 결합기(203)는 안테나(101)로부터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107)로 입력되는 수신신호에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f1)와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f2)를 커플링하여 인가한다. 상기한 대로 수신경로 검사신호와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는 안테나(101)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와 주파수 대역이 다르므로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제 1 방향성 결합기(203)로부터 입력된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와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와 함께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107)의 수신경로를 통과하여 기지국 장치의 입력단으로 전송된다. 이때, 기지국 장치의 전단에 구비된 제 3 방향성 결합기(204)는 전송된 신호의 일정량을 커플링하여 출력한다.
제 1 대역통과 필터(205)는 상기 제 3 방향성 결합기(2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여파하여 출력한다. 이때의 수신 주파수 대역은 상기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내의 수신필터(102, 104)와 같다. 따라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안테나(101)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 성분과 수신경로를 통과한 수신경로 검사신호 성분과 수신경로를 통과한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 성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 1 혼합기(206)는 상기 제 1 대역통과 필터(20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 하향 변환하여 출력한다. 변환되어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 2 피엘엘 합성기(207)로부터 입력되는 국부발진신호에 따라 결정된다.
제 1 표면탄성필터(208)는 상기 제 1 혼합기(206)로부터 출력되어 입력되는 신호중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 성분과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 성분만을 추출하기 위한 소정의 통과대역폭을 갖는다.
상기 제 2 피엘엘 합성기(207)는 상기 제 1 혼합기(206)로 입력되는 신호중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와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상기한 제 1 표면탄성필터(208)의 통과대역으로 하향 변환할 수 있도록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 1 혼합기(206)로 입력하여 준다. 따라서, 상기 제 2 피엘엘 합성기(207)는 두 종류의 국부발진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켜야 하는데, 하나는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f1)를 상기 제 1 표면탄성필터(206)의 통과대역으로 하향 변환시키는 제 1 국부발진신호이고, 또다른 하나는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f2)를 상기한 통과대역으로 하향 변환시키는 제 2 국부발진신호이다. 또한, 이러한 국부발진신호 발생주기는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209)에 의해 결정되는데,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202)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피엘엘 합성기(201)의 신호(f1, f2) 발생 주기와 같도록 설계시 미리 규정된다.
상기 제 1 표면탄성필터(20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제 1 감지기(210)는 입력받은 고주파 신호의 전력레벨에 상응하는 직류전압을 발생시킨다. 감지기로는 쇼트키 다이오드(schottky diode)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상기 제 1 감지기(210)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는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209)는 미리 작성된 정상동작 상태에서의 기준전압레벨과 입력받은 직류전압레벨을 비교하여 차이를 보이는 경우 경고신호(alarm signal)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동안에 상기 제 1 감지기(203)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레벨 이하인 경우 수신경로상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신호를 발하고, 상기 제 2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동안에 상기 제 1 감지기(203)로 입력받은 직류전압이 일정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송신경로상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신호를 발한다.
제 3 피엘엘 합성기(211)는 송신경로를 점검하기 위한 소정레벨의 송신경로검사신호(f3)를 발생시키며, 제 4 방향성 결합기(212)는 상기 제 3 피엘엘 합성기(211)로부터 상기 송신경로 검사신호(f3)를 입력받아 상기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107)의 송신필터(106)로 신호를 전송하여 주기 위해 전송선로상에 상기 송신경로 검사신호(f3)를 커플링하여 입력한다.
상기 제 4 방향성 결합기(212)로부터 입력된 상기 송신경로 검사신호는 기지국장치(105)로부터 안테나(101)로 송신되는 송신신호와 함께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송신경로를 통과하여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107) 전단으로 전송된다. 이때,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전단에 구비된 제 2 방향성 결합기(213)는 전송된 신호의 일정량을 커플링하여 출력한다.
제 2 대역통과 필터(214)는 상기 제 2 방향성 결합기(21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 주파수 대역으로 여파하여 출력한다. 이때의 송신 주파수 대역은 상기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내의 송신필터(106)와 같다. 따라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송신신호 성분과 송신경로를 통과한 송신경로 검사신호 성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 2 혼합기(215)는 상기 제 2 대역통과 필터(21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하향 변환하여 출력한다. 변환되어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 4 피엘엘 합성기(216)로부터 입력되는 제 3 국부발진신호에 따라 결정된다.
제 2 표면탄성필터(217)는 상기 제 2 혼합기(215)로부터 출력되어 입력되는 신호중 상기 송신경로 검사신호 성분만을 추출하기 위한 소정의 통과대역폭을 갖는다.
제 4 피엘엘 합성기(216)는 상기 제 2 혼합기(215)로 입력되는 신호중 상기 송신경로 검사신호를 상기한 제 2 표면탄성필터(217)의 통과대역으로 하향 변환할 수 있도록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 2 혼합기(215)로 입력하여 준다.
상기 제 2 표면탄성필터(21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제 2 감지기(218)는 입력받은 고주파 신호의 전력레벨에 상응하는 직류전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202)는 상기 제 1 피엘엘 합성기(201)로 하여금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f1)와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f2)를 주기적으로 번갈아 발생토록 하는데, 상기 제 2 감지기(218)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정상동작 상태의 기준전압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f2)를 발하도록 하고, 상기 기준전압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발하도록 예정된 시간동안 아무런 신호도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는 별도의 오동작 감지를 위한 전송선로가 필요치 않게 된다는 효과를 가지며, 송신경로를 검사할 수 있다는 효과 또한 갖는다.

Claims (1)

  1.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수신경로상의 이상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수신경로 검사신호(f1)와 송신경로상의 이상을 감지한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f2)를 발생하는 제 1 피엘엘 합성기;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와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상기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로 입력하여 주기 위해 상기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 전단에 구비되는 제 1 방향성 결합기;
    기지국 장치로 입력되는 수신신호의 일정량을 커플링하여 출력하는 제 3 방향성 결합기;
    상기 제 3 방향성 결합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여파하여 출력하는 제 1 대역통과 필터;
    상기 제 1 대역통과 필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1 혼합기;
    상기 제 1 혼합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대역폭으로 여파하여 출력하는 제 1 표면탄성필터;
    상기 제 1 표면탄성필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1 감지기;
    상기 제 1 표면탄성필터의 통과대역으로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와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기 위해 상기 제 1 혼합기로 국부발진신호를 입력하여 주는 제 2 피엘엘 합성기;
    상기 제 2 피엘엘 합성기로 하여금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를 상기 제 1 표면탄성필터의 통과대역으로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제 1 국부발진신호와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제 2 국부발진신호를 주기적으로 번갈아 발생토록 하고, 상기 제 1 국부발진신호가 발생되는 동안 상기 제 1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기준전압레벨 이하인 경우 수신경로상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신호를 발하고, 상기 제 2 국부발진신호를 발하는 동안 상기 제 1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기준전압레벨 이상인 경우 송신경로상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신호를 발하도록 하는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송신경로 검사신호(f3)를 발하는 제 3 피엘엘 합성기;
    상기 제 3 피엘엘 합성기로부터 출력되는 송신경로 검사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로 입력하여 주는 제 4 방향성 결합기;
    상기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로부터 안테나로 출력되는 신호의 일부를 커플링하여 출력하는 제 2 방향성 결합기;
    상기 제 2 방향성 결합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 주파수 대역으로 여파하여 출력하는 제 2 대역통과 필터;
    상기 제 2 대역통과 필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혼합기;
    상기 제 2 혼합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대역폭으로 여파하는 제 2 표면탄성필터;
    상기 제 2 표면탄성필터의 통과대역으로 상기 송신경로 검사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기 위해 제 3 국부발진신호를 발하는 제 4 피엘엘 합성기;
    상기 제 2 표면탄성필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감지기; 및
    상기 제 1 피엘엘 합성기로 하여금 상기 수신경로 검사신호와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주기적으로 번갈아 발생토록 하되, 상기 제 2 감지기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기준전압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발하도록 하고, 상기 기준전압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송신경로 오동작 감지신호를 발하도록 예정된 시간동안 아무런 신호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 장치.
KR2020000036666U 2000-12-27 2000-12-27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 KR200225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666U KR200225218Y1 (ko) 2000-12-27 2000-12-27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666U KR200225218Y1 (ko) 2000-12-27 2000-12-27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218Y1 true KR200225218Y1 (ko) 2001-05-15

Family

ID=7308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666U KR200225218Y1 (ko) 2000-12-27 2000-12-27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2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417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reception timing of base station antenna for TDD wireless communications and base station antenna using the same
US6253067B1 (en) Transmitter/receiver having an antenna failure detection system
KR100378466B1 (ko) 아날로그 광전송 시스템
JP3052162B2 (ja) 屋外受信装置の異常監視装置
KR200225218Y1 (ko) 타워 탑 저잡음 증폭장치의 오동작 감지장치
US5063357A (en) Stable, reliable oscillator system using automatic oscillator substitution
EP1233554A1 (en) Failure detection system and failure detection method
KR20010000514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 중계기의 이상 발진 검출 장치
JP3607554B2 (ja) 無線送受信装置
KR20000007967A (ko) 기지국 시험장치의 자체 점검 방법
KR20060111311A (ko) Rf 신호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자기 발진 방지 방법 및 그시스템
JPH05315994A (ja) 送受信共用無線装置
JP5189483B2 (ja) 無線装置
KR20000046232A (ko) 송수신 주파수가 다른 통신기의 자체점검을 위한 주파수 변환회로
JP2786122B2 (ja) 故障検出機能付き受信装置
JP2004129219A (ja) 光信号伝送システム
KR101870935B1 (ko) 멀티밴드 반사신호 측정 장치
KR0123394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용 기지국 장비중 섹터 인터페이스 카드의 이중화 장치 및 방식
JP4268543B2 (ja) 受信機及び受信チェック方法
JPS5836038A (ja) 自己診断回路つき受信機
KR20020034532A (ko) 기지국 송수신경로 이상 검출장치 및 방법
JP2016213558A (ja) 無線装置
KR0143727B1 (ko) 위성통신시스템의 주파수 발진 장치
JPS6053932B2 (ja) 受信機監視装置
JP2003234661A (ja) スケルチ動作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