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110Y1 -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110Y1
KR200225110Y1 KR2020000035411U KR20000035411U KR200225110Y1 KR 200225110 Y1 KR200225110 Y1 KR 200225110Y1 KR 2020000035411 U KR2020000035411 U KR 2020000035411U KR 20000035411 U KR20000035411 U KR 20000035411U KR 200225110 Y1 KR200225110 Y1 KR 200225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obile phone
main body
hinge
clam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수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5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1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110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일반통화를 위한 덮개의 개방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엘시디 디스플레이창을 바라 볼 수 있는 상태에서 탁상위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모드의 개방이 가능하여 탁상시계 대용으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에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화상통화용 휴대폰에 적용되기에도 적합한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엘시디 디스플레이창이 내측에 위치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버튼들이 상측에 위치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덮개 상측에 설치되는 1차 힌지 및 본체 상측에 설치되는 2차 힌지와, 상기 1차 힌지 및 2차 힌지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상기 덮개와 본체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COVER OPENING STRUCTURE FOR FOLDER TYPE CELLUAR PHONE}
본 고안은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덮개를 본체에 대해 180도 이내의 각도로 열리는 1단계 및 270도를 넘는 각도로 열리는 2단계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휴대폰을 외형으로 분류하면 크게 플립형과 폴더형으로 나눌 수 있다. 플립형은 엘시디 디스플레이창이 본체에 있으면서 항상 노출된 상태로 있으며, 버튼이 설치된 부분을 가리고 있는 플립을 아래쪽으로 제낀 다음 버튼을 눌러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고, 폴더형은 덮개의 내측에 엘시디 디스플레이창이 설치되어 있고 덮개가 버튼이 설치된 부분을 가리도록 되어 있어서 덮개를 위쪽으로 제껴서 엘시디 디스플레이 및 버튼들을 노출시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폴더형 휴대폰은 덮개를 열면 사용자의 귀와 입을 연결하는 각도에 맞춰 열려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통화가 끝난 다음에는 휴대를 위해 덮개를 닫게 되고, 결국 통화를 위해 덮개를 열어 둔 상태와 휴대를 위해 덮개를 닫아 둔 상태의 두가지 상태가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통화를 위해 펼친 상태에서 버튼이 설치된 본체와 덮개가 이루는 각도는 90도 보다는 많이 크면서 180도 보다는 작은 각도이며, 보통 135도 정도임이 보통이다.
현재, 휴대폰 사용자에게 있어 휴대폰은 단순히 이동형 전화기로서의 기능만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시계의 역할도 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화상통신의 시대가 코앞에 다가와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사무직 종사자가 휴대폰을 탁상시계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종래의 폴더형 휴대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덮개가 본체와 약 150도 정도의 각을 이루고 있는 까닭에 덮개를 연 상태로 본체를 바닥에 놓으면 안정적으로 거치되지 못하고 뒤로 넘어가기가 쉬워서 탁상시계로의 사용에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화상통신을 위한 휴대폰으로 현재의 폴더형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탁상위에 안정적으로 거치되지 못함에 따라 폴더형 휴대폰을 손에 들고 통화할 수 밖에 없을 것이며, 이 경우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가 얼굴을 비추도록 들고 있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폴더형 휴대폰의 단점을 해결하여 엘시디 디스플레이창을 바라 볼 수 있는 상태에서 탁상 위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음과 아울러, 종래와 같이 휴대폰을 손에 들고 사용하는데에도 문제점이 없는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덮개 개폐구조를 구비한 휴대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일반 통화를 위해 덮개가 열린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탁상에 거치할 수 있도록 덮개가 열린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덮개 2:본체
3:안테나 10:1차 힌지
20:2차 힌지 30:연결부재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엘시디 디스플레이창이 내측에 위치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버튼들이 상측에 위치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덮개 상측에 설치되는 1차 힌지 및 본체 상측에 설치되는 2차 힌지와, 상기 1차 힌지 및 2차 힌지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상기 덮개와 본체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휴대폰의 안테나가 상기 덮개의 길이방향 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중심을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덮개 개폐구조를 구비한 휴대폰의 측면도를 보인 것이고, 도 2는 일반 통화를 위해 덮개가 열린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탁상에 거치할 수 있도록 덮개가 열린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에서는 엘시디 디스플레이창(미도시)이 내측에 위치하는 덮개(1)와, 상기 덮개(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버튼(미도시)들이 상측에 위치하는 본체(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폰에 적용되는 것으로, 덮개(1) 상측에 설치되는 1차 힌지(10) 및 본체(2) 상측에 설치되는 2차 힌지(20)와, 상기 1차 힌지(10) 및 2차 힌지(20)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0)로 상기 덮개(1)와 본체(2)간이 결합되게 된다.
이때, 휴대폰의 안테나는 종래의 휴대폰과 같이 본체(2)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 경우에는 덮개(1)의 2차 회동 즉 도 3과 같은 상태로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2)의 위쪽으로 측면에 설치하여야 할 것이다. 또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3)를 덮개(1)의 길이방향 하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폴더형 휴대폰을 휴대하는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덮개(1)가 본체(2)를 덮은 상태로 지니고 다니다가, 일반적인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1차 힌지(20)를 축으로하여 덮개(1)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덮개(1)와 본체(2)간의 각도가 약 135도 정도로서 귀와 잎에 각각 수화용 스피커 및 송화용 마이크가 가까이 있게 되어 일반통화를 하기에 적합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본체(2)의 뒷면을 탁상 등 평평한 곳에 놓는 경우에는 덮개(1)의 무게 중심이 본체(2)를 벗어나 있어 안정적으로 거치되지 못하고 넘어지기 쉽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서는 탁상시계나 화상통화를 위한 경우와 같이 탁상위에 거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먼저 도 2와 같이 1차 힌지(10)를 축으로 덮개(1)를 회동시킨 상태에서 더 나아가 2차 힌지(20)를 축으로 연결부재(30) 및 그에 연결된 덮개(1)를 추가로 회동시켜 도 3과 같이 덮개(1)와 본체(2)간이 180 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는 상태로 만들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덮개(1)의 무게 중심이 본체(2) 위에 놓이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이 자세를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만약 화상통화용의 휴대폰인 경우 화상통화용 카메라는 엘시디 디스플레이창의 위쪽에 위치하게 되며, 휴대폰 사용자의 얼굴을 흔들림 없이 잡아 줄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는 본 고안에 의한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는 일반통화를 위한 덮개의 개방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엘시디 디스플레이창을 바라 볼 수 있는 상태에서 탁상위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개방모드가 가능하여 탁상시계 대용으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에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화상통화용 휴대폰에 적용되기에도 적합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엘시디 디스플레이창이 내측에 위치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버튼들이 상측에 위치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덮개 상측에 설치되는 1차 힌지 및 본체 상측에 설치되는 2차 힌지와, 상기 1차 힌지 및 2차 힌지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상기 덮개와 본체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힌지는 1차 힌지를 회동축으로 하여 덮개가 회동된 다음 연결부재가 본체에 대해 회동하도록 하는 회동축으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덮개가 본체에 대해 180 도 이상의 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휴대폰의 안테나가 상기 덮개의 길이방향 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
KR2020000035411U 2000-12-18 2000-12-18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 KR200225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411U KR200225110Y1 (ko) 2000-12-18 2000-12-18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411U KR200225110Y1 (ko) 2000-12-18 2000-12-18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110Y1 true KR200225110Y1 (ko) 2001-05-15

Family

ID=7309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411U KR200225110Y1 (ko) 2000-12-18 2000-12-18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1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048B1 (ko) * 2005-11-04 2008-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55250B1 (ko) 2005-06-13 201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250B1 (ko) 2005-06-13 201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KR100836048B1 (ko) * 2005-11-04 2008-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530B1 (ko) 휴대용 전자 장치
KR10057599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40079134A (ko) 바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기
KR100663486B1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개폐장치
KR100640452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225110Y1 (ko)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
KR20050066671A (ko)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이중회전 개폐장치
EP1501261A2 (en) Dual-speaker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KR200188046Y1 (ko) 휴대폰의 덮개 자동 개폐장치
US739510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00036958A (ko) 회전식 폴더형 휴대전화기
KR200276837Y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JP3574863B2 (ja) 携帯電話機
KR20000012247A (ko) 휴대폰
KR100841298B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KR100678211B1 (ko) 플립 타입 휴대폰
KR20030123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밧데리
KR200372889Y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KR100594451B1 (ko) 양방향 개폐형 휴대폰
KR20010036309A (ko) 폴더형 휴대폰의 원터치 오픈 장치
KR200279641Y1 (ko) 폴더형 휴대폰
JPH09181805A (ja) 携帯通信装置の折り畳み式カバー
KR200298971Y1 (ko) 휴대폰
KR1012085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3076369U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