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971Y1 - 휴대폰 - Google Patents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971Y1
KR200298971Y1 KR2020020028742U KR20020028742U KR200298971Y1 KR 200298971 Y1 KR200298971 Y1 KR 200298971Y1 KR 2020020028742 U KR2020020028742 U KR 2020020028742U KR 20020028742 U KR20020028742 U KR 20020028742U KR 200298971 Y1 KR200298971 Y1 KR 200298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keypad
main body
cover
f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범
Original Assignee
강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범 filed Critical 강용범
Priority to KR2020020028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9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971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슬라이딩 구동 또는 힌지부를 축으로 한 회전구동에 의해 본체의 전면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 또는 커버부에 안테나 장치, 이어 피스, 키 패드부, 엘.씨.디.부, 마이크 장치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한 상기 키 패드부의 조작시 또는 통화시 상기 커버부를 개방하고 사용하도록 구성된 휴대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상기 키 패드부의 조작시를 기준으로, 그 키 패드부에 비해 상기 엘.씨.디.부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구조를 제시한다.
이에 따라, 키 패드의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떨어뜨림에 의한 파손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엘.씨.디.부의 설치 영역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는 등 기기 전체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배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RADIOTELE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키 패드의 조작을 보다 편의롭게 하기 위해 키 패드부와 엘.씨.디.부의 위치를 역전시킨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소형 단말기는 HHP, CT-2, 셀룰라 폰, 디지털 폰, PCS 폰등의 휴대장치를 칭한다. 이러한 휴대장치는 기지국(base station)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통신기능을 수행한다.
현재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전자부품의 고감도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변화하여 가고 있으며, 제1세대로 바 타입(bar-type)의 휴대폰이 보편화 되었고, 제2세대로 플립형(flip-type)의 휴대폰이 일반화된 바 있으며, 현재에는 플립형과 제3세대의 폴더형(folder-type)의 휴대폰이 공존하여 보편화된 추세에 있고, 최근에는 슬라이드형(slide-type)의 휴대폰이 출시된 바 있다. 향후에는 폴더형 휴대폰, 슬라이드형 휴대폰 기타 더욱 소형화된 휴대용 단말기가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모두 공통적으로 본체 또는 커버부에 안테나 장치, 이어 피스, 키 패드부, 엘.씨.디.부, 마이크 장치 등을 구비한다.
통상적인 바 타입의 휴대폰은 본체(body element)와, 본체 상단에 설치된 안테나 장치(antenna unit)와, 상기 안테나 장치 하측으로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 피스(earpiece)와, 이어 피스 하측으로 설치되는 엘.씨.디.부(LCD unit)와, 엘.씨.디.부 하측으로 위치하는 다수개의 번호키와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key pad)와, 상기 키 패드 하측으로 위치하는 마이크 장치(microphone unit)로 구성되었다.
도 1 내지 도 6은 종래의 휴대폰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플립형 휴대폰의 정면도, 도 2는 플립형 휴대폰의 측면도, 도 3은 폴더형 휴대폰의 커버부 폐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폴더형 휴대폰의 커버부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커버부 폐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커버부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커버부(11)는 휴대폰의 종류에 따라 명칭이 다른데, 플립형의 경우는 이를 플립(11a)이라 칭하고, 폴더형의 경우는 이를 폴더(11b)라 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플립형 휴대폰(예컨데, 미국특허번호 제 5,629,979 호에 개시됨)은 본체(10)와, 플립(11a)과, 본체(10)와 플립(11a)을 연결시키는 힌지부(12)로 구성된다. 본체(10)에는 상단에 안테나 장치(13)가 설치되고, 안테나 장치(13) 하측으로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 피스(14)가 위치하며, 이어 피스(14) 하측으로 엘.씨.디.부(15)가 장착되며, 엘.씨.디.부 (15)하측으로 다수개의 문자키와 숫자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부(16)가 설치되며, 키 패드부(16) 하측으로 마이크 장치(17)가 장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 플립(11a)에 마이크 장치(17)가 장착되기도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폴더형 휴대폰(예컨데, 미국특허번호 제 5,628,089 호에 개시됨)은 본체(10)와, 폴더(11b)와, 본체(10)와 폴더(11b)를 통화각도까지 개폐시키는 힌지부(12)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폴더 타입 휴대폰은 본체(10)의 상단에 안테나 장치(13)가 설치되고, 안테나 장치(13)하측으로 다수개의 숫자키와 문자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부(16)가 설치되고, 키 패드부(16) 하측으로 마이크 장치(17)가 설치된다.
본체(10)에 힌지부(12)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폴더(11b)에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 피스(14)가 설치된다.
엘.씨.디.부(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키 패드부(16) 상측에 형성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 폴더(11b)의 이어 피스(14) 하측 영역에 형성되기도 한다.
본체(10)와 폴더(11b)를 연결시키는 힌지부(12)는 수동적으로, 또는 기계적 및 전기적 방법에 의해 자동적으로 본체(10)에서 통화각도까지 폴더(11b)를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상용화되기 시작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은 크게 본체(10)와 슬라이드 커버(11c)로 구성되고, 슬라이드 커버(11c)의 전면에 엘.씨.디.부(15) 및 보조 키 패드부(16a)가 형성되며, 본체(10)의 상단에 안테나 장치(13)가 설치되고, 안테나 장치(13) 하측으로 다수개의 숫자키와 문자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부(16)가 설치되고, 키 패드부(16) 하측으로 마이크 장치(17)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시 슬라이드 커버(11c)를 상측으로 개방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키 패드부(16)를 조작하고 통화를 실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 중,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종은 플립형과 폴더형이며, 이러한 플립형 휴대폰이나 폴더형 휴대폰이 일반화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플립형 휴대폰의 경우, 본체(10)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플립(11a)은 통화 대기 모드시 다수개의 키들을 보호하여 키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통화 모드시 통화중의 음을 모아주는 반사판 역할을 수행한다. 더욱이, 플립형 휴대폰은 플립(11a)에 마이크 장치(17)를 설치할 수 있어 기기의 소형화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폴더형 휴대폰의 경우, 본체(10)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폴더(11b)는 통화 대기 모드시 키 패드부(16)를 보호하여 키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통화 모드시 통화 중의 음을 모아주는 반사판 역할을 수행한다. 더욱이, 폴더(11b)에 이어 피스(14)나 엘.씨.디.부(16)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기기의 소형화에 대단히 유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최근 등장한 슬라이드형 핸드폰의 경우도 보편적인 사용이 기대되는데, 이는 슬라이드 커버(11c)가 통화 대기 모드시 키 패드부(16)를 보호하여 키의 오동작을 방지한다는 장점을 가짐과 아울러 기기 전체의 소형화를 달성한다는 추세에 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최근 핸드폰에 관한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고유의 다이얼링 및 통화 기능 이외에도,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 게임 기능 등 다양한 종류의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핸드폰에 있어서 키 패드부(16)의 장착 구조는 핸드폰의 보다 편의로운 사용을 보장을 위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할 것이나, 종래의 핸드폰에 있어서는 키 패드부(16)가 엘.씨.디.부(15)의 하측에 위치하는 장착 구조를 취하고있었는 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첫째, 통화를 위한 다이얼링 기타 키 패드부(16)의 간편한 조작을 한 손에 의해 하고자 하는 경우, 엄지 손가락에 의해 키 패드의 조작을 수행하고 나머지 손가락에 의해 핸드폰 본체(10)를 파지하는 자세를 취하게 되는데, 종래의 핸드폰 구조에 있어서는 키 패드부(16)가 엘.씨.디.부(15)의 하측에 위치함에 따라 키 패드부 조작시(다이얼링시), 휴대폰의 무게중심이 손의 내부를 벗어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은 플립형 휴대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동작도로서, 도 7은 한 손에 의해 플립형 휴대폰의 키 패드를 조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한 손에 의해 플립형 휴대폰의 통화를 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패드부의 조작시(다이얼링시)에는 엄지 손가락에 의해 키 패드를 조작하기 위해, 휴대폰의 무게중심이 손의 내부를 벗어나는 자세를 취하게 되므로, 그 조작이 불편하고, 바닥에 떨어뜨림에 의한 파손의 위험이 있으며, 다이얼링을 마친 후에는 안정된 자세에서의 통화를 위해 도 8과 같이 핸드폰을 고쳐 잡아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위에서는 플립형 핸드폰의 경우만을 예시하였으나, 종래의 폴더형 및 슬라이드형 핸드폰의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불편함을 안고 있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둘째, 핸드폰의 키 패드부(16)를 조작하여 송신용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손으로 휴대폰을 쥐는 자세를 취하고, 양 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를 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핸드폰의 무게중심이 손의 내부를 벗어나게 되므로, 키 패드부의 조작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폰을 안정되게 감싸쥘 수 없어 조작이 불편하고, 바닥에 떨어뜨림에 의한 파손이 쉽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도 9는 폴더형 휴대폰을 사용하는 상태에 관하여만 도시하고 있으나, 종래의 플립형 및 슬라이드형 핸드폰의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불편함이 있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셋째,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경우, 커버부(11)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엘.씨.디.부(15)를 통해 수신이 확인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볼 수 있는 기능 등을 부여하기 위하여, 커버부(11)인 슬라이드 커버(11c)의 전면에 보조 키 패드부(16a)가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의 보조 키 패드부(16a) 조작시에도 핸드폰의 무게중심이 손의 내부를 벗어나게 되므로, 상기와 동일한 문제점이 제기된다.
넷째, 폴더형 휴대폰의 경우, 보다 넓은 엘.씨.디. 화면을 확보하기 위해 엘.씨.디.부(15)를 폴더(11b)의 내면에 형성하는 것이 최근 추세인데, 위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구조에 있어서는 스피커 장치(17)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이어 피스(14)가 폴더(11b)에 장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폴더(11b)에 엘.씨.디.부(15)를 설치하기 위한 넓은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공통적으로, 종래의 휴대폰이 사용상태에 있어서 엘.씨.디.부(15)가 키 패드부(16)의 상측에 위치하는 구조를 취함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서, 이는 인간의 눈이 신체의 상측에 위치하므로, 시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화면 등의 인식수단은 기기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일반적인 관념에서 비롯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엘.씨.디.부(15)가 반드시 키 패드부(16)보다 상측에 위치하여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일반화되어 온 결과, 엄지 손가락에 의한 키 패드부의 조작시 핸드폰의 무게중심이 손의 내부에 위치하는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실질적인 인체공학적 설계가 휴대폰의 구조에 반영되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키 패드의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떨어뜨림에 의한 파손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엘.씨.디.부의 설치 영역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기기 전체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배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종래의 휴대폰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플립형 휴대폰의 정면도
도 2는 플립형 휴대폰의 측면도
도 3은 폴더형 휴대폰의 커버부 폐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폴더형 휴대폰의 커버부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커버부 폐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커버부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종래의 휴대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은 한 손에 의해 플립형 휴대폰의 키 패드를 조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한 손에 의해 플립형 휴대폰의 통화를 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폴더형 휴대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6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1은 플립형 휴대폰의 정면도
도 12는 플립형 휴대폰의 측면도
도 13은 폴더형 휴대폰의 커버부 폐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폴더형 휴대폰의 커버부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 내지 도 20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7은 한 손에 의해 플립형 휴대폰의 키 패드를 조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한 손에 의해 플립형 휴대폰의 통화를 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폴더형 휴대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커버부
11a : 플립 11b : 폴더
11c : 슬라이드 커버 12 : 힌지부
13 : 안테나 장치 14 : 이어 피스
15 : 엘.씨.디.부 16 : 키 패드부
17 : 스피커 장치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구동 또는 힌지부를 축으로 한 회전구동에 의해 본체의 전면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 또는 커버부에 안테나 장치, 이어 피스, 키 패드부, 엘.씨.디.부, 마이크 장치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한 상기 키 패드부의 조작시 또는 통화시 상기 커버부를 개방하고 사용하도록 구성된 휴대폰에 있어서,사용자에 의한 상기 키 패드부의 조작시를 기준으로, 그 키 패드부에 비해 상기 엘.씨.디.부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제시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통화시를 기준으로, 상기 이어 피스는 상기 키 패드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엘.씨.디.부의 하측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부 및 안테나 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어 피스는 상기 커버부의 내면에 설치되며, 상기 키 패드부, 엘.씨.디.부 및 스피커 장치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플립형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이어 피스 및 키 패드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엘.씨.디.부 및 스피커 장치는 상기 커버부의 내면에 설치된 폴더형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어 피스 및 키 패드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에 대한 슬라이드 구동에 의해 하측으로 개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엘.씨.디.부 및 스피커 장치는 상기 커버부의 전면에 설치된 슬라이드형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1은 플립형 휴대폰의 정면도, 도 12는 플립형 휴대폰의 측면도, 도 13은 폴더형 휴대폰의 커버부 폐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폴더형 휴대폰의 커버부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은 기본적으로, 본체(10)에 안테나 장치(13), 이어 피스(14), 키 패드부(16), 엘.씨.디.부(15), 마이크 장치(17)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나, 사용자에 의한 키 패드부(16)의 조작시를 기준으로, 그 키 패드부(16)에 비해 엘.씨.디.부(15)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즉, 화면 등의 인식수단은 기기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실질적으로 키 패드의 보다 간편하고 안전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키 패드부(16)가 엘.씨.디.부(15)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핸드폰의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본 고안이 슬라이드 구동 또는 힌지부(12)를 축으로 한 회전구동에 의해 본체(10)의 전면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커버부(11)를 더 포함하고, 본체(10) 또는 커버부(11)에 안테나 장치(13), 이어 피스(14), 키 패드부(16), 엘.씨.디.부(15), 마이크 장치(17)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한 키 패드부(16)의 조작시 또는 통화시 커버부(11)를 개방하고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구조의 핸드폰(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핸드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키 패드부(16)의 조작시, 즉, 회전구동 또는 슬라이드 구동에 의한 커버부(11)의 개방시를 기준으로, 키패드부(16)에 비해 엘.씨.디.부(15)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의 구조는 종래의 핸드폰의 구조에 있어서, 키 패드부(15)의 배치 및 각 숫자키 및 문자키의 방향을 역으로 취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그 내부 구조 및 기능 등은 종래의 그것과 전혀 동일하다.
핸드폰은 기본적으로 편리한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범위 내에서, 기기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사용자에 의한 통화시를 기준으로 했을 때, 이어 피스(14)는 키 패드부(16)의 상측에 설치되며, 스피커 장치(17)는 엘.씨.디.부(15)의 하측에 설치함으로써, 이어 피스(14)와 스피커 장치(17) 사이의 적절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기본적으로 엘.씨.디.부와 키 패드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이 가능할 것이나, 상기한 바와 같이, 최근 플립형, 폴더형 및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사용이 가장 일반적인 추세임에 비추어, 본 고안이 이들에 적용된 경우를 실시예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이 플립형 휴대폰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2), 안테나 장치(13) 및 이어 피스(14)가 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되고, 키 패드부(16), 엘.씨.디.부(15) 및 스피커 장치(17)는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된다.
통화 대기 모드시 플립(11a)이 키 패드부(16)를 덮어 보호하는 것은 종래의 그것과 동일하며, 사용자는 플립(11a)을 상측으로 회전 개방시킨 후 통화 기타 키패드 조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구조가 플립형 휴대폰에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플립(11a)이 개방되고 휴대폰의 무게 중심이 손의 내부에 위치한 안정적인 상태에서 키 패드부(16)의 조작(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도 17), 다이얼링을 마친 후 휴대폰을 쥔 손의 자세의 변화없이 그대로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간편하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비교적 넓은 영역을 갖는 플립(11a)의 내면에 좁은 영역 만을 필요로 하는 스피커 장치(17)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본 고안과 같은 구성을 취할 경우, 자연스럽게 스피커 장치(17)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을 필요로 하는 이어 피스(14)를 상기 플립(11a)의 내면에 설치하는 구성이 되므로, 기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제한된 공간 내에서 구성요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는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고안이 폴더형 휴대폰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장치(13)가 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되고, 힌지부(12)는 본체(10)의 하단에 설치되며, 이어 피스(14) 및 키 패드부(16)는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엘.씨.디.부(15) 및 스피커 장치(17)는 커버부(11)인 폴더(11b)의 내면에 설치된다.
통화 대기 모드시 폴더(11b)가 키 패드부(16)를 덮어 보호하는 것은 종래의 그것과 동일하며, 사용자는 폴더(11b)를 하측으로 회전 개방시킨 후 통화 기타 키패드 조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구조가 플립형 휴대폰에 구현되는 경우, 핸드폰을 양 손으로 쥐고 엄지 손가락에 의해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는 동작에 있어서, 사용자는 핸드폰을 완전히 양 손으로 감싸쥔 상태에서 키 패드를 조작할 수 있게 되는 바, 조작이 보다 용이하고 떨어뜨림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도 19)
또한, 도 19에 도시된 키 패드의 조작시 양 손의 모양을 살펴보면, 키 패드를 조작하는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상호 지지되는 모양을 취하게 되므로, 손바닥 사이가 자연스럽게 벌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엘.씨.디.부(15)를 키 패드부(16)의 하측에 형성하더라도 손에 의해 화면이 가려지지 않게 된다.
종래에는 비교적 넓은 영역을 갖는 폴더(11b)의 내면에 넓은 영역을 필요로 하는 이어 피스(14)가 장착되는 구조를 취하였으므로, 폴더(11b)의 내면에 엘.씨.디.부(15)가 함께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경우, 그 엘.씨.디.부(15)의 면적이 제한을 받게 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과 같은 구성을 취할 경우에는, 폴더(11b)의 내면에 좁은 영역 만을 필요로 하는 스피커 장치(17)가 장착되면 족한 것이므로, 잔여 면적 전부를 엘.씨.디.부(15)를 위한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게 되는 바, 기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제한된 공간 내에서 구성요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는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기타, 본 고안에 의한 폴더형 휴대폰의 경우에 있어서도, 한 손에 의한 다이얼링 및 통화를 보다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은 상기 플립형 휴대폰에 관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5 및 도 16은 본 고안이 슬라이드형 휴대폰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장치(13)가 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되고, 이어 피스(14) 및 키 패드부(16)는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커버부(11)인 슬라이드 커버(11c)는 본체(10)에 대한 슬라이드 구동에 의해 하측으로 개방가능하게 장착되고, 엘.씨.디.부(15) 및 스피커 장치(17)는 슬라이드 커버(11c)의 전면에 설치된다.
종래의 구조와 비교해 볼때, 종래에는 키 패드 조작 및 통화를 위한 슬라이드 커버(11c)의 개방이 상측으로 이루어짐에 비해, 본 고안의 경우는 그 개방이 하측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 안정성 등의 효과는 상기 플립형이나 폴더형의 경우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커버부(11)인 슬라이드 커버(11c)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엘.씨.디.부(15)를 통해 수신이 확인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볼 수 있는 기능 등을 부여하기 위한 보조 키 패드부(16a)가 슬라이드 커버(11c) 전면의 엘.씨.디.부(15) 상측에 보조 키 패드부(16a)가 설치된 경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무게 중심이 손의 내부에 있는 상태에서 보조 키 패드부(16a)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휴대폰의 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키 패드의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떨어뜨림에 의한 파손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엘.씨.디.부의 설치 영역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기기 전체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배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휴대폰을 제공한다.

Claims (7)

  1. 본체에 안테나 장치, 이어 피스, 키 패드부, 엘.씨.디.부, 마이크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상기 키 패드부의 조작시를 기준으로, 그 키 패드부에 비해 상기 엘.씨.디.부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2.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구동 또는 힌지부를 축으로 한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또는 커버부에 상기 안테나 장치, 이어 피스, 키 패드부, 엘.씨.디.부, 마이크 장치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한 상기 키 패드부의 조작시 또는 통화시 상기 커버부를 개방하고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통화시를 기준으로, 상기 이어 피스는 상기 키 패드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엘.씨.디.부의 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 안테나 장치 및 이어 피스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키 패드부, 엘.씨.디.부 및 스피커 장치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플립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이어 피스 및 키 패드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엘.씨.디.부 및 스피커 장치는 상기 커버부의 내면에 설치된 폴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어 피스 및 키 패드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에 대한 슬라이드 구동에 의해 하측으로 개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엘.씨.디.부 및 스피커 장치는 상기 커버부의 전면에 설치된 슬라이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전면의 엘.씨.디.부 상측에 보조 키 패드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KR2020020028742U 2002-09-25 2002-09-25 휴대폰 KR200298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742U KR200298971Y1 (ko) 2002-09-25 2002-09-25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742U KR200298971Y1 (ko) 2002-09-25 2002-09-25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971Y1 true KR200298971Y1 (ko) 2002-12-31

Family

ID=7312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742U KR200298971Y1 (ko) 2002-09-25 2002-09-25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9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0530B1 (en)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EP1720326B1 (en) Portable terminal with two bodies being both foldable and slidable relative to each other
KR100703418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KR100689531B1 (ko) 폴더형 휴대 장치
KR10057599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EP1748628B1 (en) Slim portable terminal
KR20060105307A (ko) 슬라이딩 표시 장치를 구비한 폴딩형 휴대 통신 장치
KR100640452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US20060142074A1 (en)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display area widening mechanism
KR200298971Y1 (ko) 휴대폰
US20050233708A1 (en) Portable terminal with touch key
KR100762657B1 (ko) 초 슬림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790187B1 (ko) 게임 겸용 휴대 통신 단말기의 힌지 장치
JP2007194853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機
US20100151923A1 (en) Clamshell phone with edge access
JP3692584B2 (ja) 携帯通信装置
KR100640457B1 (ko) 와치 타입 텔레폰
KR200221349Y1 (ko) 플립 업 타입 휴대폰의 플립 커버 멈춤 장치
KR200385485Y1 (ko) 가로폴더형 휴대폰 보호커버
KR200276837Y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KR100689519B1 (ko) 게임 겸용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357034B1 (ko) 회전성 스피커 하우징을 구비한 폴더
KR200168344Y1 (ko) 폴더형 휴대폰의 각도조절 장치
KR100678211B1 (ko) 플립 타입 휴대폰
KR20000013498U (ko) 폴더의 통화각도조절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