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048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048B1
KR100836048B1 KR1020050105655A KR20050105655A KR100836048B1 KR 100836048 B1 KR100836048 B1 KR 100836048B1 KR 1020050105655 A KR1020050105655 A KR 1020050105655A KR 20050105655 A KR20050105655 A KR 20050105655A KR 100836048 B1 KR100836048 B1 KR 100836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display
contact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8503A (ko
Inventor
박상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5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048B1/ko
Priority to CNA2006101525638A priority patent/CN1960386A/zh
Publication of KR2007004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시각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면이 지지면에 접하도록 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서 세워지도록 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가 별도의 외부 부재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구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a) 및 그의 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b)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 형태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 형태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a) 및 측면도(b)이고,
도 8은 도 7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를 회전한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500: 제1 바디 200,600: 제2 바디
110,110',730: 디스플레이 210,610: 입력키
300,800: 거치힌지 300': 연결힌지
S: 표면
본 발명은 통신 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하면서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로서 그 휴대성과 통화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에는 위와 같은 기본적인 특성 및 기능에 더하여, 여러 가지 부가적인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융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한 예로는, 카메라 기능, 동영상 촬영 기능, MP3 플레이 기능, 게임 기능, 방송 시청 기능 등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방송을 시청하거나 게임 등을 즐기는데 특히 적합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특화되고 있는데, 이들은 시각 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디스플레이부가 본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되어 와이드한 화면을 제공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a) 및 측면도(b)이 고,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인쇄회로기판 등이 내장되고 배면에는 배터리(11)가 연결되며 전면에는 복수의 입력키(13)가 배치되는 본체(10)와, 그러한 본체(10)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20)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20)는 시각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21),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구비하며, 선회힌지(Swing Hinge, 23)를 통해 본체(10)와 면 접촉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 된다. 나아가, 본체(10)의 전면에 배치된 마이크(15)와 디스플레이부(20)의 전면에 배치된 스피커(25)는 소리의 입력 및 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방송 시청 등의 경우에 와이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부(20)의 배치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10)에 직교하는 형태가 되어야 하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성에 제약을 가져온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단순 휴대하거나 통화만 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20)가 본체(10)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게 중첩하여 배치되어 있다가, 필요시에 디스플레이부(20)를 선회시켜서 본체(10)와 직교하게 하여 방송을 시청하는 등의 상태로 전환하게 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성하고 있다(도 2 참조).
그러나, 방송 시청 등의 경우에 와이드한 화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20)를 본체(10)에 대하여 직교하게 선회시킨 경우라도, 그러한 이동통신 단말 기를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서 방송을 시청하는 등의 행위를 하기에는 번거롭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와이드 화면 상태로 전환한 후에 표면, 예를 들어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표면과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거치하는 수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거치 기능은 반드시 와이드 화면 상태로 전환한 경우가 아니라도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에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여기서, 이러한 거치 수단이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구성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라면 보다 편리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가 별도의 외부 부재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구성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회전 거치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면에 시각 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회전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바디의 전면이 지지면에 접하도록 거치되어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a) 및 그의 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b)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바디(100)와, 제1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면(S)에 거치되는 제2 바디(200)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0)는 전면에 시각 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110),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구비하며, 디스플레이(110)의 일측에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130)를 구비한다. 또한, 제1 바디(100)의 제2 바디(200)와 인접한 배면은 경사지게 절개된 절개부(170)가 형성된다.
제2 바디(200)는 제1 바디(100)에 거치힌지(300)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될 수 있어서 그를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기능하는 인쇄회로기판(PCB, 미도시)을 내장한다. 나아가, 제2 바디(200)는 전면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눌러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입력키(210)와 소리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230)를 구비한다. 또한, 제2 바디(200)의 배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50)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 된다. 제2 바디(200)의 제1 바디(100)와 접하는 배면 측에는 경사지게 절개된 절개부(270)가 형성된다.
거치힌지(300)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간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 하는 클릭힌지이거나, 그 각도를 가변하여 유지할 수 있는 프리스탑 힌지일 수 있다. 이러한 클린힌지나 프리스탑힌지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2 바디(200)가 제1 바디(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거치 가능한 상태로 전환됨을 감지할 수 있는 거치감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감지부(400)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접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센서(410 및 430)로서,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서로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거치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들의 접촉이 해제되어 서로 이격됨을 감지한다. 이러한 센서(410 및 430)는 상호 간의 간격이 발생함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초음파나 적외선 등을 이용하는 통상의 거리 감지 센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 및 그에 따른 단말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전면이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상태{(a) 참조}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이용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를 통하여 시각 정보를 감상하는 경우에 제2 바디(200)를 손으로 쥐고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지지면(S), 예를 들어 책상이나 테이블의 표면에 거치한 채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으로 잡지 않고서 시각 정보 를 감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먼저 제2 바디(200)를 제1 바디(100)에 접근하도록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은 거치힌지(3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2 바디(200)의 제1 바디(100)에 대한 회전은 절개부(170 및 270)에 의해 제한된다. 다시 말해서,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배면에 형성된 절개부(170 및 270)가 서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는 소정의 각도(α)를 이루는 상태가 된다. 그에 따라 절개부(170 및 270)는 제1 및 제2 바디(100 및 200)의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 바디(200)의 입력키(210)가 장착된 전면을 지지면(S)에 접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를 지지면(S)에 거치한다{(b) 참조}.
이러한 거치 상태가 달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에 휴대하지 않은 채로 디스플레이(110)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감상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나아가, 거치힌지(300)가 프리스탑 힌지인 경우에, 사용자는 제1 바디(100)를 회전시켜 특정한 각도(α)에 제1 바디(100)를 고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110)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이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하도록 조절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110)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200)의 전면이 지지면(S)에 접하게 됨에 따라 입력키(210)가 지지면(S)과의 접촉시에 잘못 눌려져서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이동통신 단말기가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치감지부(400)를 이루는 두 센서(410 및 430)가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그러한 센서(410 및 430)가 설치되는 부분들이 서로에 대하여 이격됨을 감지하면, 제어부로서 기능하는 인쇄회로기판은 입력키(210)를 잠금(Locking) 상태로 전환한다. 잠금 상태로의 전환은 입력키(210)가 눌려짐을 감지하는 부분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루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바디(200)의 입력키(210)가 장착된 전면이 지지면(S)과 접촉하게 거치되는 경우라도 입력키(210)를 통한 오입력의 문제는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 형태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 형태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바디들로 구성되는 제1 바디(100')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하여 제1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바디(200)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0')는 복수의 바디들(100'a 및 100'b)의 조립체이고, 이러한 바디들(100'a 및 100'b)은 연결힌지(300')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들(100'a 및 100'b)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110')가 장착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디들(100'a 및 100'b) 각각에 별도의 디스플레이(110'a 및 110'b)가 장착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10'a 및 110'b)들은 각각 동일한 시각 정보를 출력하거나 단일체로서 하나의 시각 정보를 출력하며, 틸팅(Tilting) 기능을 구비하여 시각 정보의 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이다. 여기서, 제1 바디(100')는 반드시 2개의 바디들(100'a 및 100'b)로 한정되지 않고, 인접한 바디들 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바디들이라면 3개 이상이라도 무방하다.
바디(100'a)의 일측에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130')가 구비되며, 바디들(100'a 및 100'b)의 인접한 부분의 배면에는 경사지게 절개된 절개부(170'a 및 170'b)가 형성되어 이들 간의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로서 기능 한다. 나아가, 바디(100'b)의 제2 바디(200)의 접하는 부분의 배면 측에도 절개부(190'b)가 형성된다.
제2 바디(200)는 제어부로서 기능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내장하며, 전면에는 복수의 입력키(210) 및 마이크(230)를 구비한다. 제2 바디(200)는 그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250) 역시 구비한다. 나아가, 제2 바디(200)의 제1 바디(100')의 바디(100'b)와 인접한 부분의 배면에는 바디(100'b)의 절개부(190'b)에 대응하는 절개부(290)가 형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거치감지부(410' 및 430')와 접촉감지부(450' 및 4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거치감지부(410' 및 430')는 제1 바디(100')의 바디(100'b)와 제2 바디(200)의 상대적 회전에 따른 이들의 절개부(190'b 및 290)의 접촉 또는 근접함을 감지하 기 위하여 절개부(190'b 및 290)에 각각 배치되는 센서이다.
접촉감지부(450' 및 470')는 제1 바디(100')이 바디들(100'a 및 100'b)간의 상대적인 회전에 따른 이들의 절개부(170'a 및 170'b)의 접촉 또는 근접됨을 감지하기 위하여 절개부(170'a 및 170'b)에 각각 감지되는 센서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음과 같이 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바디(100') 및 제2 바디(200)의 전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 상태(도 4 참조)에서 일반적인 통화 기능을 사용한다. 디스플레이(110'a 및 110'b)를 통한 시각정보의 감상을 위하여 지지면(S)과 디스플레이(110'a 및 110'b)가 장착된 제1 바디(100')를 일정한 각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손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부분, 예를 들어 제2 바디(200)를 쥐고서 그러한 각도를 유지하면 된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손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들고 있지 않고 지지면(S)에 거치한 상태에서 편안하게 디스플레이(110'a 및 110'b)에 출력되는 시각정보를 감상하고 할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바디(200)를 제1 바디(100')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제2 바디(200)의 입력키(210)가 장착된 전면이 지지면(S)과 접촉하도록 거치하여 디스플레이(110'a 및 110'b)에 출력되는 시각정보를 감상할 수 있다. 이때, 거치감지부(410' 및 430')는 이러한 거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인 인쇄회로기판에 전달하고, 인쇄회로기판은 입력키(210)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여 오입력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에 더하여,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200)를 제1 바디(100')와 평행한 상태에서 소정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1 바디(100') 및 제2 바디(200)의 전면과 인접하며 그에 수직한 측면이 지지면(S)과 접촉하도록 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거치감지부(410' 및 430')는 이러한 거치 상태를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인쇄회로기판은 디스플레이(110'a 및 110'b)을 틸팅하고, 또한 이들 디스플레이(110'a 및 110'b)가 하나의 단일체로서 시각정보를 출력하게 한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110'a 및 110'b)를 상하로 하여 출력되던 시각 정보가 디스플레이(110'a 및 110'b)를 좌우로 하여 출력되게 되어, 보다 와이드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를 이루는 복수의 바디들(100'a 및 100'b) 또한 추가적으로 상대회전하게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체적으로 삼각 기둥과 같은 형태로 지지면(S)에 거치된다.
이러한 거치 상태에서, 제1 바디(100')를 이루는 복수의 바디들(100'a 및 100'b)의 절개(170'a 및 170'b)는 서로 접촉하거나 소정 간격으로 근접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접촉감지부(450' 및 470')는 이러한 거치 상태를 파악하게 되고, 이러한 정보를 전달받은 인쇄회로기판은 그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110'a 및 110'b)에 각각 동일한 시각정보를 독립적으로 출력하게 한다.
나아가, 제2 바디(200)는 제1 바디(100')의 바디(100'b)와 평행하게 둔 상태에서 제1 바디(100')의 바디(100'a)만을 바디(100'b)에 대하여 회전시켜서 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접촉감지부(450' 및 470')가 그러한 접촉 상태를 파악하게 되고, 이러한 정보를 전달받은 인쇄회로기판은 이를 근거로 하여 디스플레이(110'a 및 110'b)에 각각 동일한 시각 정보를 독립적으로 출력하게 함과 동시에 시각 정보를 틸팅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110'a 및 110'b)를 각각 상이한 각도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 동일한 시각 정보를 별도로 출력하게 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동일한 시각 정보를 감상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다시 말해서, 앞선 경우와 달리 다수의 사용자가 한 곳에 모여서 하나로서의 디스플레이(110')를 시청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 이동통신 단말기를 중심으로 일정한 위상 각도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별개의 디스플레이(110'a 또는 110'b)를 통해 편리하게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감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a) 및 측면도(b)이고, 도 8은 도 7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를 회전한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바디(500)와, 제1 바디(5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바디(600)와, 제1 바디(500)에 중첩되어 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3 바디(700)를 포함한다.
제1 바디(500)는 배면에 배터리(510)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제1 바디(500)의 제2 바디(600)와 인접하는 부분의 배면 측에는 경사지게 절개된 절개부(530)가 형성된다.
제2 바디(600)는 제어부로서 기능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내장하고 있으며, 거치힌지(800)를 통하여 제1 바디(5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바디(600)의 제1 바디(500)와 인접하는 부분의 배면 측에는 경사지게 절개되며 제1 바디(500)의 절개부(530)에 대응하는 절개부(630)가 형성된다.
제3 바디(700)는 제1 바디(500)의 전면과 자신의 배면에 장착되는 선회힌지(710)를 통하여 제1 바디(500)와 면 접촉하면서 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제3 바디(7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730)가 제3 바디(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장착되며, 디스플레이(730)의 양측에는 각각 스피커(750)와 마이크(770)가 장착된다.
또한, 제3 바디(700)의 연장하는 길이(L3)는 제2 바디(600)의 전면에 장착된 입력키(610)가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제3 바디(700)의 길이(L3)는 제1 바디(500)와 제2 바디(600)의 길이를 합한 길이(L12)와 거의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길이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바디(500)와 제2 바디 (600)의 상태적인 회전에 따른 거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거치감지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거치감지부(900)는 제1 바디(500)와 제2 바디(600)가 회전하여 그들의 절개부(530 및 630)가 근접하거나 접촉함을 감지하기 위하여 절개부(530 및 630)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거리 감지 센서(910 및 930)이다. 이러한 거치감지부(900)는 절개부(530 및 63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다른 하나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하나의 센서일 수도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3 바디(700)가 제1 바디(500) 및 제2 바디(600)에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3 바디(700)를 선회힌지(710)를 통하여 제1 바디(500)에 면접촉하면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3 바디(700)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된 디스플레이(730)는 제1 바디(500) 및 제2 바디(600)의 연장방향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 바디(600)를 손에 쥐고서 디스플레이(730)를 통하여 와이드한 화면으로 시각 정보를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지지면(S)에 거치하여 손을 자유롭게 한 상태로 디스플레이(730)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제2 바디(600)를 제1 바디(5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그에 따라,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500) 및 제2 바디(600)가 소정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예각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제2 바디(600)의 입력키(610)가 장착된 전면이 지지면(S)과 접촉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한다.
이때, 거치감지부(900)는 제1 바디(500) 및 제2 바디(600)의 절개부(530 및 630)가 소정 간격 내로 근접하거나 접촉함에 따라 이러한 거치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그러면 인쇄회로기판은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2 바디(600)의 전면에 장착되어 지지면(S)과 접촉하는 입력키(610)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여 그를 통한 오입력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거치 방식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에 잡고 있는 불편없이 지지면(S)에 거치하여 손을 자유롭게 한 상태로 디스플레이(730)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치 상태에서 입력키(610)와 지지면(S)의 접촉에 의한 입력키(610)를 통한 오입력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거치 상태가 아닌 경우라도, 제3 바디(700)의 길이(L3)는 제2 바디(600)의 전면에 장착된 입력키(610)가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연장하므로, 입력키(610)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오입력의 문제가 해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거치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별도의 외부 부재 없이도 그 자체적인 구성에 의해 표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방송 시청 등과 같이 장시간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주시해야 하는 경우에 손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들고 있을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한 경우에는 그러한 상태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를 틸팅하거나 입력키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시청이 용이하고 거치에 따른 입력키의 오입력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나아가, 거치 상태가 아닌 경우라도 입력키가 형성된 바디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바디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입력키가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에 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각기 다른 사용자를 향하도록 상이한 평면들에 별개로 배치될 수 있기에 여러 사용자의 동시 시청에 따른 불편이 없게 된다.

Claims (19)

  1. 전면에 시각 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제1 바디;
    전면에 복수의 입력키가 장착되며, 상기 제1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면이 지지면에 접하도록 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세워지도록 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상대적인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시에 이들 간의 각도를 일정하게 하는 클릭힌지 또는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프리스탑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상대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접촉하게 되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부분이 경사지게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인 이동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는 복수의 바디들의 조립체이고,
    상기 복수의 바디들은 인접한 바디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를 이루는 복수의 바디들의 각각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고,
    이들 디스플레이는 각각 동일한 시각 정보를 출력하거나 단일체로서 하나의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시각 정보를 틸팅하여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인 이동 통신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를 이루는 복수의 바디들은 인접한 바디들이 상대 회전하여 접촉한 경우에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접촉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감지부는 상기 인접한 바디들의 회전에 의하여 접촉되는 부분에 장착된 센서인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감지부가 상기 인접한 바디들의 회전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바디들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틸팅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1 바디;
    전면에 복수의 입력키가 장착되며, 상기 제1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면이 지지면에 접하도록 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세워지도록 하는 제2 바디;
    전면에 시각 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며, 상기 제1바디의 일면에 중첩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상대적인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전면에 장착된 입력키가 외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연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전면이 상기 지지면에 접촉하도록 거치된 상태임을 감지하는 거치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감지부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인접하는 부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다른 부분과의 접촉 또는 이격을 감지하는 센서인 이동통신 단말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감지부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인접하는 부분들에 서로 대응하는 쌍을 이루도록 장착되어 이들간의 접촉 또는 이격을 감지하는 한 쌍의 센서인 이동통신 단말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감지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거치 상태임을 감지하면 이를 근거로 하여 입력키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거나 디스플레이를 틸팅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감지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거치 상태임을 감지하면 이를 근거로 하여 입력키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거나 디스플레이를 틸팅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105655A 2005-11-04 2005-11-04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36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655A KR100836048B1 (ko) 2005-11-04 2005-11-04 이동통신 단말기
CNA2006101525638A CN1960386A (zh) 2005-11-04 2006-09-29 旋转固定型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655A KR100836048B1 (ko) 2005-11-04 2005-11-04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503A KR20070048503A (ko) 2007-05-09
KR100836048B1 true KR100836048B1 (ko) 2008-06-09

Family

ID=3807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655A KR100836048B1 (ko) 2005-11-04 2005-11-04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36048B1 (ko)
CN (1) CN19603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734B1 (ko) * 2008-12-12 2011-07-05 (주)엔스퍼트 폴더의 각도 감지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335B1 (ko) * 2011-05-11 2013-08-14 (주) 프렉코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WO2015154273A1 (en) * 2014-04-10 2015-10-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llapsible shell cover for comput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110Y1 (ko) * 2000-12-18 2001-05-15 엘지전자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
KR20020046056A (ko) * 2000-12-12 2002-06-20 윤종용 폴더형 휴대폰
KR20040070973A (ko) * 2003-02-05 200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서비스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50028078A (ko) * 2003-09-17 2005-03-2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복수개의 폴더에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056A (ko) * 2000-12-12 2002-06-20 윤종용 폴더형 휴대폰
KR200225110Y1 (ko) * 2000-12-18 2001-05-15 엘지전자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개폐구조
KR20040070973A (ko) * 2003-02-05 200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서비스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50028078A (ko) * 2003-09-17 2005-03-2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복수개의 폴더에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734B1 (ko) * 2008-12-12 2011-07-05 (주)엔스퍼트 폴더의 각도 감지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503A (ko) 2007-05-09
CN1960386A (zh)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9338C2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инклинометром
JP3675430B2 (ja) 携帯電話機
EP1387572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670333B2 (ja) 構成可能なインターフェースをもつマルチパネルデバイス
JP5155452B2 (ja) 複数のスクリーンにわたってドラッグすることによるアイコンとアプリケーションウィンドウとの間の切り替え
JP5801367B2 (ja) マルチパネル電子デバイス
JP5406912B2 (ja) 携帯型コンピュータおよびユーザインタラクションを管理する方法
US6700774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keyboard module which can be rotated and hidden
KR100810252B1 (ko)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5518868B2 (ja) インクリノメータをもつモバイルデバイス
JP2004310659A (ja) 情報処理装置
KR101070631B1 (ko) 카메라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
KR20090083714A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
JP2012502373A (ja) 構成可能なインターフェースをもつマルチパネルデバイス
JP2012502370A (ja) マルチパネル電子デバイスの画面サイズまたは画面解像度に基づくパラメータのサーバへの送信
EP2745183A1 (en) Apparatus cover with keyboard
WO20040621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JP2012502368A (ja) 変更可能なインターフェースをもつマルチパネルデバイス
JP2012502372A (ja) マルチパネル電子デバイス
JP2020113040A (ja) 電子機器
JP2012508405A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要素の配置および方向を示すための方法
KR10083604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US9304552B2 (en) Protection device capable of rotatably suppor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5198062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装置
JP4123994B2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