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256Y1 - 트럭의 발판부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트럭의 발판부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256Y1
KR200224256Y1 KR2019950020605U KR19950020605U KR200224256Y1 KR 200224256 Y1 KR200224256 Y1 KR 200224256Y1 KR 2019950020605 U KR2019950020605 U KR 2019950020605U KR 19950020605 U KR19950020605 U KR 19950020605U KR 200224256 Y1 KR200224256 Y1 KR 200224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welded
stepped
plate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0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514U (ko
Inventor
최광일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20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256Y1/ko
Publication of KR9700095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5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256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량 캐빈의 도어 하단부에 위치한 발판부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보강구조에 용접부품의 증가없이 중복으로 보강구조를 형성시켜 발판부(1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보다 우수한 강도를 지닌 보강구조를 갖추기 위해 측면판(20')을 플로어(14)에 용접하고 이 측면판(20') 외측을 단턱부(16)와 용접하여 1차적으로 보강구조를 형성시키고, 상기 측면판(20') 외측과 플로어(14) 저면에 단턱부 보강판(18')을 용접하여 2차 보강구조를 형성시킴으로써 용접부품의 증가없이 2중으로 보강구조를 갖추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트럭의 발판부 보강구조
본 고안은 화물차캐빈의 도어 하단부에 위치한 발판부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판부의 용접순서와 판의 형상을 변경하여 부품수를 증가하지 않고서도 2중으로 보강구조를 형성시켜 발판부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보다 견고한 강도를 지닌 트럭의 발판부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량은 구조상 승용차와는 달리 엔진부 상단에 좌석이 설치되도록 설계되어지기 때문에 탑승자의 승하차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발판부가 설치된다.
예시도면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부(10)는 캐빈도어의 하단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높은 좌석에 쉽게 승하차 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며, 부품의 절감과 차량하중의 감소를 위하여 인간의 하중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진다.
예시도면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종래 화물차량 발판부의 확대단면도인 바, 종래 이러한 발판부 구조를 살펴보면, 플로어(4)는 일단을 절곡시켜 단턱부(16)를 형성시키고, 상기 단턱부(16)는 ";ㄷ";자 형상으로, 이 단턱부(16)의 하단과 플로어(14) 저면에 단턱부 보강판(18)이 용접되며, 상기 단턱부(16) 하단과 단턱부 보강판(18)이 용접된 부분에 측면판(20)이 용접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22)에는 ";ㄷ"; 형으로 절곡시킨 발판(22) 상부 저면에 발판패널(24)이 용접되고, 발판보강판(26)은 ";"; 형으로 절곡시켜 발판(22) 하부 상면과 측면판(20)이 용접된 발판패널(24) 저면에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턱부(16)의 ";ㄷ";형 절곡부분은 도어(12)와의 틈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2차 발판의 역할을 하여 승하차시 탑승자의 편의를 돕는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발판부(10)는 재료의 절감과 차량하중의 감소를 고려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상기 측면판(20) 상단과 단턱부 보강판(18)의 용접부분의 강도가 취약하여 차량 승하차시 발판부(10)의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는데, 장기간 차량 사용으로 인한 반복하중과 차량 승하차시 발판부(10)의 흔들림이 발생하며, 차량 진동으로 강도가 경감되어 사용자에게 용접부분의 결함이나 재료의 파손이 있는 듯한 착각을 일으켜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캐빈측부의 경미한 충돌로도 측면판(20)이 쉽게 파손되며, 단턱부(16)와 단턱부 보강판(18)이 효과적으로 충격을 분산시키지 못하므로 단턱부(16) 상단이 변형되어 도어(12)와의 틈이 발생되어 도어(12)의 방음기능과 단열기능과 단열기능 등에 영향을 끼치거나, 도어(12)가 잘 안닫히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턱부를 보강시켜 더욱 우수한 강도를 지니되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은 화물차량의 발판부 보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통상의 트럭 앞차체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종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발판부의 보강구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발판부 12 : 도어
14 : 플로어 16 : 단턱부
18,18' : 단턱부 보강판 20,20' : 측면판
22 : 발판 24 : 발판패널
26 : 발판보강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접수순과 판의 형상을 변경하여 보강구조를 2중으로 형성시킨 것으로 측면판을 플로어 하면과 단턱부 하단과 용접하여 1차적으로 측면판이 단턱부 보강판의 역할을 하게 하며, 상기 단턱부 보강판을 측면판을 보강하여 기존의 발판부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발판에 큰 하중이 적용되어도 단턱부 상단에는 하중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단턱부 상단의 변형을 막아 우수한 강도를 지닌 발판부의 보강구조를 갖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화물차량 발판부 보강구조에 있어서, 플로어(14)의 도어방향의 끝단에는 단턱부(16)가 절곡형성되되 이 단턱부(16) 하단은 측면판(20')과 용접시키며, 이 측면판(20')은 상단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플로어(14)의 저면과 측면판(20')과 용접시키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발판부 보강구조의 단면도로서, 종래의 단턱부(16)와 단턱부 보강판(18)을 용접시키고 측면판(20')을 용접하였던 용접수순을 변경하여 단턱부(16) 하단과 일단을 절곡하여 플로어(14) 저면과 용접시킨 측면판(20')과 용접시키고, 단턱부 보강판(18)을 측면판(20')과 플로어(14)에 용접시킨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기 플로어(14)의 저면과 단턱부(16)의 하단에 용접된 측면판(20')은 1차적으로 단턱부 보강판의 역할을 하며, 여기에 다시 단턱부 부강판(18')이 측면판(20') 내측과 플로어(14) 저면에 용접되어 2차적인 단턱부 보강판 역할을 함과 동시에 측면판(20')을 견고히 고정시킴에 따라 하중을 많이 받는 방향으로 용접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2개의 보강재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접의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보강구조가 2중으로 형성되어 견고한 강도를 지닌 보강구조를 형성시켜 발판부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측면 충돌시 보다 나은 보강 지지력을 갖추도록 되어 있다.

Claims (1)

  1. 단턱부와 단턱부 보강판을 결합하고 그 하부와 측면판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차량 발판부의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20')의 상단부를 연장시켜 내측으로 절곡하여 플로어(14)의 저면과 결합시키고 측면판(20')의 외측은 단턱부(16)의 하단과 결합시키며, 상기 측면판(20')의 내측과 플로어(14) 저면 사이에 단턱부 보강판(18')이 용접 부착되되, 이 단턱부 보강판(18')의 상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플로어(14)의 저면과 결합되고 단턱부 이의 하부는 직하방으로 절곡되어 측면판(20')의 내측과 용접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발판부 보강구조.
KR2019950020605U 1995-08-10 1995-08-10 트럭의 발판부 보강구조 KR200224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605U KR200224256Y1 (ko) 1995-08-10 1995-08-10 트럭의 발판부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605U KR200224256Y1 (ko) 1995-08-10 1995-08-10 트럭의 발판부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514U KR970009514U (ko) 1997-03-27
KR200224256Y1 true KR200224256Y1 (ko) 2001-06-01

Family

ID=6089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0605U KR200224256Y1 (ko) 1995-08-10 1995-08-10 트럭의 발판부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2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757Y1 (ko) 2009-10-26 2010-10-29 왕상은 차량의 보조발판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757Y1 (ko) 2009-10-26 2010-10-29 왕상은 차량의 보조발판용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514U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254729A (ja) 車両車体の側面衝突対策構造
JP2000318653A (ja) 自動車のシルサイド部補強構造
JP2550700Y2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KR200224256Y1 (ko) 트럭의 발판부 보강구조
JP2607534Y2 (ja) 車両のピラー補強構造
JP2003112656A (ja) 車両のルーフ構造
JPS58185317A (ja) 自動車用ドア
EP1238894A2 (en) Vehicle body stiffener structure
JPH11180336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2000203449A (ja) 自動車の車体の下部構造
JP2007062409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S6342065Y2 (ko)
JPH09164975A (ja) キャブオーバ型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2000001184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H03112791A (ja) 車両の車体側部構造
JP2550082Y2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KR100342608B1 (ko) 보강부재를 가지는 자동차 프레임
JPH0417406Y2 (ko)
KR100263966B1 (ko) 화물자동차의센터필라보강판
JP2021062813A (ja) 車体構造
KR100320821B1 (ko) 자동차의 실사이드부 보강구조
KR970001110B1 (ko) 차체의 사이드 패널 보강구조
KR0134657Y1 (ko) 차량의 후방차체하부 보강구조
KR19980040126U (ko) 고강성 구조를 가지는 해치 백 자동차의 백 도어 하측 차체부
KR19980022286U (ko) 자동차 사이드멤버의 보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