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002Y1 - 상판의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책상 - Google Patents

상판의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002Y1
KR200224002Y1 KR2020000034230U KR20000034230U KR200224002Y1 KR 200224002 Y1 KR200224002 Y1 KR 200224002Y1 KR 2020000034230 U KR2020000034230 U KR 2020000034230U KR 20000034230 U KR20000034230 U KR 20000034230U KR 200224002 Y1 KR200224002 Y1 KR 200224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opper
height
desk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안양교도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안양교도소) filed Critical 대한민국 (안양교도소)
Priority to KR2020000034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0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002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낮이 조절이 한결 용이하고 의자에 앉은 키나 앉는 습관에 맞게 상판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학습 및 독서능률을 올릴 수 있게 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단에 접지부(2)가 부착된 고정간(1)상에 상판(4)이 탑재된 승강간(3)을 내리 끼워서 잠금 또는 고정수단으로 잠글 수 있게 한 상판 높낮이장치를 갖춘 책상에 있어서, 좌우에 위치하는 한 쌍의 고정간(1) 내면 상단부를 연결한 횡관(7)과 외부 조작이 가능하도록 횡간(7)에 대칭되게 설치한 스토퍼(8) 그리고 양측 스토퍼(8) 사이의 간격을 벌려주는 탄성체(9) 및 양쪽 승강간(3)의 하반부 내면상에 상하 단차를 두고 천공한 위에 빗면(10a)을 가지는 핀공(10)으로 이루어진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5)와; 승강간(3)의 상단에 부착한 지지판(11)과 여기에 수평으로 설치된 출몰형 스토퍼(12)와 복귀스프링(13) 그리고 상기 스토퍼(12)의 대응위치의 상판틀(4a) 저면에 부착된 회동판(14)과 회동판(14)상에 천공한 복수의 핀공(14a) 및 회동판(14)의 회전중심과 지지판(11)을 축(15)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상판 앞기울기 조절장치(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상판의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책상{High and Low both Inclined Control Possible Desk}
본 고안은 상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낮이 조절이 한결 용이하고 의자에 앉은 키나 앉는 습관에 맞게 상판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학습 및 독서능률을 올릴 수 있게 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책상의 상판을 높게 또는 낮게 조절하도록 된 장치로서는 책상다리의 하반부에 해당하는 고정간 상단에는 너트를 설치하고 상판의 저면에는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나사봉을 부착하여 양측 고정간의 상단부 내면끼리 연결한 상판 재치대상에 설치된 핸들을 조작하면 동력전달간이 나사봉 상단에 일체화된 회전체가 좌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여 나사봉을 승강시키도록 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7-214호(가), 고정간상의 핸들을 돌리면 핸들축에 장착된 피니언이 신축간에 부착된 랙을 승강시켜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7-1615호(나), 고정간의 잠금보울트로 신축간의 잠금상태를 풀어서 상판의 높이를 맞추도록 된 것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7-1616호(다)로 각각 공개된 바 있다.
위의 상판 높이 조절장치 중에서 (가)는 상판을 내릴 적에도 핸들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과 복잡한 구조가 문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나)도 상판을 내릴 때 핸들을 조작하는 불편이 있는가 하면 상판의 무게가 과하거나 상판에 사람이 올라 앉으면 그 무게를 이기지 못한 랙이 하강할 우려가 있어 상판이 안정되지 못했다.
그리고 (다)는 상판을 올리고 신축간의 무게가 더해진 상판을 팔힘으로 버텨야 하므로 상판의 높낮이 조절면에서 상기 (가)(나)에 비해 너무 힘겹다.
한편, 책상을 사용하다보면 때때로 상판을 앞으로 혹은 뒤로 약간 기울여 사용하는 것이 편할 때가 있다.
자기에 맞는 책상을 자기보다 키가 작은 사람이 사용할 때는 앞으로 기울이는 것이 좋고, 상판을 높이지 않은 가운데 자기보다 키 큰 사람이 사용할 시에는 상판을 약간 뒤로 젖히는 것이 편한 경우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어떤 책상도 상판의 앞뒤 기울기를 손쉽게 조절할 수가 없다.
그럴만한 구조를 갖추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높낮이 조절이 한결 용이한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의자에 앉은 키나 앉는 습관에 맞게 상판의 앞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독서 편의를 더할 수 있는 책상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상판의 저면 양쪽 가에 부착된 승강간의 각 내면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스토퍼가 꽂히는 핀공을 천공하여 양측 고정간에 내리 끼우고, 양측 고정간의 상단 내면을 가로지르도록 부착한 횡관에는 손을 떼면 탄성체에 의해 튀어나가 그 외측단이 그 높이에 해당하는 승강간의 핀공에 걸림으로서 상판의 높이를 안정시키는 스토퍼를 내장하며, 상기 핀공의 윗 부분은 거기서 빠져나온 스토퍼의 외측단이 가볍게 미끄럼타고 물러설 수 있도록 빗면으로 형성한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상기 승강간의 상단에 스토퍼를 설치하고 이 스토퍼에 상응하는 상판의 저면 양측가에는 스토퍼의 선단이 끼워져서 잠가지는 핀공이 방사상으로 천공된 회동판을 부착하여 지지판에 축으로 연결하며, 핀공의 위치에 따라 상판의 앞기울기가 결정되도록 구성한 상판 앞기울기 조절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사시도
도 2는 상판용 높낮이 조절장치와 앞기울기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소정의 위치에서 상판 승강간이 고정간에 고정된 상태의 부분 절개 정면도
도 4는 소정의 위치에 있던 상판 승강간이 고정간에서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경우의 부분 절개 정면도
도 5는 상판용 앞기울기 조절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간 3 : 승강간
4 : 상판 4a : 상판대
5 :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6 : 상판 앞기울기 조절장치
7 : 횡간 8,12 : 스토퍼
9 : 탄성체 10,14a : 핀공
11 ; 지지판 13 : 복귀스프링
14 : 회동판 15 : 축
도 1에서, 책상은 하단에 접지부(2)가 부착된 고정간(1)과 이 고정간(1)을 수직레일 삼아 상하로 오르내릴 수 있게 삽입된 승강간(3), 승강간(3) 위에 부착된 상판(4), 고정간(1)의 상단부와 승강간(3)상에 나누어 설치된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5), 승강간(3)의 상단 및 그 위치의 상판(4) 저면 양쪽 가에 설치된 상판 앞기울기 조절장치(6)를 갖춘 것이다.
도 2와 더불어 설명하면,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5)는 좌우에 위치하는 한쌍의 고정간(1) 내면 상단부를 연결한 횡관(7)과 외부조작이 가능하도록 횡간(7)에 대칭되도록 끼운 스토퍼(8), 양측 스토퍼(8) 사이의 간격을 벌려주는 탄성체(9), 그리고 양쪽 승강관(3)의 하반부 내면상에 상하 단차를 두고 천공한 핀공(10)과의 조합체다.
횡관(7)에서 정면쪽 가운데 부위에는 손잡이용 활동공(7a)이 천공되어 있다.
이 손잡이용 활동공(7a)은 상판(4)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승강간(3)의 스토퍼공(10)에서 외측단(8b)이 빠지게 할 때 스토퍼(8)의 내측단에 형성된 손잡이(8a)가 횡관(7)의 길이 중심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여유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양측 스토퍼(8)의 손잡이(8a)가 절반씩 공유한다.
스토퍼(8)의 외측단(8b)의 진출길이는 손잡이용 활동공(7a)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데, 외측단(8b)이 고정간(1)의 스토퍼공(1a) 밖으로 진출하여 핀공(10)에 꽂히고 손잡이(8a)를 적당히 잡아당기면 핀공(10)에서 빠져나와 승강간(3)을 올리거나 내리기 쉬운 정도가 적당하다.
스토퍼(8)가 짧으면 핀걸림이 약하고 반대로 스토퍼(8)가 너무 길면 핀걸림을 해제하기가 쉽지 않다.
탄성체(9)는 양측 스토퍼(8)를 거는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횡관(7)의 가운데 부위에 삽입한다.
이렇게 탄성체(9)를 삽입하면 그 양단은 양측 스토퍼(8)의 손잡이(8a)의 등에 닿고, 또한 대체로 손잡이용 활동공(7a)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핀공(10)의 위부분은 타발하여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여뜨린 빗면(10a)으로 한다.
이 빗면(10a)은 스토퍼(8)의 외측단(8b)이 핀공(10)을 벗어나자 마자 약간만 힘주어 상판(4)을 올리더라도 빗면(10a)에서 스토퍼(8)의 외측단(8b)이 미끄러져 올라가게 함으로써 그 바로 윗단의 핀공에 스토퍼(8)의 외측단(8b)이 쉽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한 것이다.
도 3에서, 하단의 핀공(10)에 스토퍼(8)의 외측단(8b)이 끼워진 상태는 탄성체(9)에 의해 유지되고, 이 경우는 스토퍼(8)를 오므려뜨리지 않는 한 상판(4)의 높이가 그대로 유지된다.
도 4에서, 양쪽 스토퍼(8)의 손잡이(8a)를 횡관(7)의 가운데로 이동시키면 핀공(10)에서 외측단(10b)이 빠지게 되고, 외측단(10b)이 핀공(10)에서 완전히 빠지지 않고 내측 언저리에 살짝 걸린 상태일지라도 상판(4)을 약간 힘주어 내리면 승강간(3)의 빗면(10a)이 외측단(10b)을 밀치며 내려진다.
손잡이(8a)에서 손을 뗀 상태에서의 승강간(3)의 하강은 바로 윗단의 핀공(10)에 외측단(8b)이 걸림으로서 정지되고, 이때 스토퍼(8)의 외측단(8b)에 의한 핀걸림은 탄성체(9)의 팽창성 탄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판(4)을 올릴 때에는 상기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식으로 상판(4)의 높낮이를 독서하기 편한 높이로 조절한다.
여기서, 외측단(8b)의 출몰길이는 외측단부에 형성된 걸림턱(8c)의 위치에 의해 정해진다.
도 5와 도 6에서, 상판 앞기울기 조절장치(6)는 승강간(3)의 상단에 부착한 지지판(11)과 여기에 수평으로 설치된 출몰형 스토퍼(12) 및 복귀스프링(13), 상기 스토퍼(12)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판틀(4a) 저면에 부착된 회동판(14), 그리고 이 회동판(14)상에 천공된 복수의 핀공(14a)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동판(14)은 지지판(11)의 안쪽에 위치하며, 지지판(11)상에서 축(15)을 중심으로 앞쪽으로 기울이거나 바로 놓을 수 있다.
스토퍼(12)는 회동판(14)과 중첩되는 부위면 어디든 상관하지 않는다.
다만, 조작성과 안정성은 고려해서 스토퍼(12)의 위치는 축(15)의 중심 아래에 놓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12)는 수평으로 활동이 가능하면서 외부에서 손잡이(12a)를 조작하기 쉬운 형태로 수납한 케이싱(16)에 손잡이(12a)만 외측단에 위치하도록 삽입한다.
이 스토퍼(12)의 선단부에는 상기 복귀스프링(13)의 선단을 지지하는 칼라(12b)를 갖고 있고, 이 칼라(12b)의 선단(12c)이 회동판(14)의 핀공(14a)에 끼워져서 거는 사실상의 스토퍼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지지판(11)에는 스토퍼(12)의 선단이 출입할 출입공(11a)이 천공되어 있다.
이 출입공(11a)은 복수의 핀공(14a) 중에서 어느 핀공이 그 자리에 오더라도 중심이 일치되어 스토퍼(12)의 선단이 끼워지는 점에다 천공한다.
도 6과 같이, 스토퍼(12)의 선단(12c)이 핀공(14a)에 꽂힌 상태에서는 회동판(14)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상판(4)을 앞쪽으로 기울일 수도 없고 바로 놓을 수도 없다.
그러나 손잡이(12a)를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선단(12c)이 핀공(14a)에서 빠지므로 회동판(14)을 선회시킬 수 있으므로, 상판(4)을 앞쪽으로 기울이거나 기운 상태의 상판(4)을 더기울게 혹은 바로 놓을 때 이같이 조작한다.
본 고안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판을 높일 때만 상판을 밀어올리는 팔힘이 필요하고, 상판의 높낮이를 변경할 때 승강간의 핀공에 꽂히는 스토퍼의 일부 움직임이 빗면의 유도를 받는데다 양측 스토퍼의 손잡이를 한손으로 조작하여 승강간의 잠금 및 잠금을 풀 수 있으므로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또, 손잡이가 달린 스토퍼를 조작하여 회동판의 잠금을 풀고 상판의 기울기를 선택한 다음에 스토퍼에서 손을 떼면 조정된 상판의 기울기에 해당하는 핀공이 스토퍼에 잠가져서 안정되므로 오랜 시간 피로감을 덜 느끼며 학습능률을 올릴 수 있는 등의 효과가 기대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하단에 접지부(2)가 부착된 고정간(1)상에 상판(4)이 탑재된 승강간(3)을 내리 끼워서 잠금 또는 고정수단으로 잠글 수 있게 한 상판 높낮이장치를 갖춘 책상에 있어서,
    좌우에 위치하는 한 쌍의 고정간(1) 내면 상단부를 연결한 횡관(7)과 외부 조작이 가능하도록 횡간(7)에 대칭되게 설치한 스토퍼(8) 그리고 양측 스토퍼(8) 사이의 간격을 벌려주는 탄성체(9) 및 양쪽 승강간(3)의 하반부 내면상에 상하 단차를 두고 천공한 위에 빗면(10a)을 가지는 핀공(10)으로 이루어진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5)와;
    승강간(3)의 상단에 부착한 지지판(11)과 여기에 수평으로 설치된 출몰형 스토퍼(12)와 복귀스프링(13) 그리고 상기 스토퍼(12)의 대응위치의 상판틀(4a) 저면에 부착된 회동판(14)과 회동판(14)상에 천공한 복수의 핀공(14a) 및 회동판(14)의 회전중심과 지지판(11)을 축(15)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상판 앞기울기 조절장치(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의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20000034230U 2000-12-06 2000-12-06 상판의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0224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230U KR200224002Y1 (ko) 2000-12-06 2000-12-06 상판의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230U KR200224002Y1 (ko) 2000-12-06 2000-12-06 상판의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002Y1 true KR200224002Y1 (ko) 2001-05-15

Family

ID=7309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230U KR200224002Y1 (ko) 2000-12-06 2000-12-06 상판의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00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533B1 (ko) 2006-09-25 2008-08-11 주식회사 장원금속 의자를 구비한 책상
KR101141199B1 (ko) 2004-12-21 2012-05-0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가변형 파티션
WO2012061354A2 (en) * 2010-11-01 2012-05-10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tention feature for latch mechanis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199B1 (ko) 2004-12-21 2012-05-0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가변형 파티션
KR100851533B1 (ko) 2006-09-25 2008-08-11 주식회사 장원금속 의자를 구비한 책상
WO2012061354A2 (en) * 2010-11-01 2012-05-10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tention feature for latch mechanism
WO2012061354A3 (en) * 2010-11-01 2012-07-19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tention feature for latch mechanis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55467U (ko)
US5884348A (en) Crib
KR200224002Y1 (ko) 상판의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1300990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0938250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테이블
US4009918A (en) Height adjustable cabinet
WO2001045624A3 (en) Wheelchair arm rest support assembly with slide lock positioning arm
JP2537647Y2 (ja) 幼児用椅子における脚杆の高さ調節構造
JP3669267B2 (ja) 昇降天板付きワゴンデスク
JPH119345A (ja) 家具等の天板昇降装置
JPH0432990Y2 (ko)
CN220404299U (zh) 一种辅助翻身的护理支架
KR20110000209U (ko) 컴퓨터용 책상
JP3015675B2 (ja) 高さ調整可能な机
JPH07298939A (ja) 家具の移動装置
JPH04121893U (ja) 物干装置
JP3458300B2 (ja) 昇降式パネルを備える机
JP2552705Y2 (ja) ベッド
KR200201231Y1 (ko) 환자 침대용 사이드 레일 록킹장치
JP2767227B2 (ja) ベッド等における柵の昇降ストッパ機構
JPH0232762Y2 (ko)
KR200369699Y1 (ko) 책상 상판의 틸팅 장치
KR200219992Y1 (ko)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KR200228533Y1 (ko) 컴퓨터 책상
JPH04455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