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837Y1 - 저압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커버 - Google Patents

저압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837Y1
KR200223837Y1 KR2020000029802U KR20000029802U KR200223837Y1 KR 200223837 Y1 KR200223837 Y1 KR 200223837Y1 KR 2020000029802 U KR2020000029802 U KR 2020000029802U KR 20000029802 U KR20000029802 U KR 20000029802U KR 200223837 Y1 KR200223837 Y1 KR 200223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ransformer
bus bar
low
insulating cover
low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8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000298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8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837Y1/ko

Links

Landscapes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압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의 양측에 1차측 버스 바가 구비되고, 상기 버스 바에는 저압케이블 단자가 연결되는 저압변류기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에는 연질의 절연재로 된 절연커버(18)가 씌워져 있되, 상기 절연커버는 상기 저압케이블측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의 몸통부(20)와, 상기 몸통부의 직경보다 크게 상기 몸체측으로 형성된 볼록한 머리부(22)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저압변류기의 불량으로 인해 교환하거나 점검(볼트로 조이는 등의 작업)을 할 경우에 단자에 작업공구가 접촉할 염려가 없으므로, 아크에 의한 화상,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압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커버{a insulating cover of a first bus bar for a lower-voltage current transformer}
본 고안은 저압 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칭전압 110V, 220V, 380V 등의 저압으로 대용량, 즉 110V에서는 사용용량 14KW 이상, 220V 에서는 사용용량 29KW이상, 380V에서는 사용용량 89KW 이상의 전력을 수요자에게 공급하는 곳에서는 흐르는 전류가 크므로, 전력사용량을 계량하기 위한 적산전력계가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는 계량기에 흐르는 전류가 커지면, 그에 상응하여 사용전선의 크기가 굵어지며, 절연 및 열화 보강비가 증가하며, 코일 성분에 의한 오차율이 증가하며 또한 계량기의 크기가 커지므로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압 대용량의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저압변류기부 계량기와 변류기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 상기 저압변류기의 몸체의 양측에 구비된 1차측 버스 바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저압변류기의 불량으로 인해 교환하거나 점검(볼트로 조이는 등의 작업)을 할 경우에는 버스 바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작업공구가 접촉하여 아크에 의해 화상을 입거나 감전되는 등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저압변류기가 3상에 나란히 연결되어 있을 시에는 전원의 R S T상을 구별할 수가 없으므로 오결선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저압변류기를 교환하거나 점검할 시에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저압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저압변류기의 1차단자의 R S T상을 쉽게 구별하게 하여 오결선을 방지하는 저압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저압변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저압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카버의 사시도,
도3는 본 고안에 의한 절연커버가 구비된 저압변류기가 3상에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 절연커버 20 : 몸통부
22 : 머리부 24 : 색상띠
본 고안에 의한 저압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커버는, 몸체의 양측에 1차측 버스 바가 구비되고, 상기 버스 바에는 저압케이블 단자가 연결되는 저압변류기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에는 연질의 절연재로 된 절연커버가 씌워져 있되, 상기 절연커버는 상기 저압케이블측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직경보다 크게 상기 몸체측으로 형성된 볼록한 머리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통부 또는 머리부에는 전원의 R S T상을 표시하는 색상띠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저압변류기는, 몸체(2)의 외측에는 변류기 철심(4)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2)의 양측에는 1차 전원측의 버스 바(bus bar)(6) 및 1차 부하측의 버스 바(bus bar)(8)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몸체(2)의 측면에는 2차단자(12)가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되어 있는 한편, 변류기의 전원측을 표시하는 영문자 K와, 변류기의 부하측을 표시하는 영문자 L이 옆방향에서 볼수 있도록 표기되어 있다.
상기 몸체(2)의 양측부에는 연장된 돌출부(2a)(2b)가 형성되고, 상기 버스 바(6)(8)는 상기 돌출부(2a)(2b)에 연결되어 있는 데, 상기 버스 바(6)(8)와 연결되는 면은 대체로 원판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변류기 철심(4)은 설치 브라켓(14)에 연결되어, 저압변류기 전체가 설치된다.
상기 버스 바(6)(8)에는 저압케이블(도시 안됨)의 단자가 연결되는 볼트 및 너트(10)(1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버스 바(6)(8)에는 연질의 절연재로 된 절연커버가 씌워지게 된다.
상기 절연커버(18)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압케이블 측으로 길게 연장된 대체로 원통형의 몸통부(20)와, 상기 몸통부(20)의 직경보다 크게 상기 몸체(2)측으로 형성된 볼록한 머리부(2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머리부(22)는 가운데가 볼록하고 양측이 트인 항아리 형상으로 되어있다.
상기 몸통부(20)는 상기 버스 바(6)(8)와 저압 케이블(도시 안됨)을 수용하게 되며, 상기 머리부(22)는 몸체의 돌출부(2a)(2b)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머리부(22)에는 전원의 R S T상을 표시하는 색상띠(2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색상띠(24)는 색상이 인쇄되거나 색상을 가진 별도의 테이프가 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색상띠는 전원의 R S T 상을 표시하는 3가지 색상(예를 들면, 적색, 백색, 녹색)중의 한가지 색으로 되어 있다.
상기 색상띠는 상기 몸통부(20)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3는 상기 절연커버(18)가 끼워진 저압변류기의 설치상태를 입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2)의 입면에는 변류기의 용량을 표시하는 명판(26)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절연커버(18)는 그 몸통부(20)를 저압케이블(28)에 먼저 삽입한 후, 버스 바에 저압케이블의 단자를 연결한 후, 그 몸통부(20)를 몸체(2)의 돌출부(2a)(2b)에 끼워 설치를 완료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저압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커버에 의하면, 저압변류기의 불량으로 인해 교환하거나 점검(볼트로 조이는 등의 작업)을 할 경우에 단자에 작업공구가 접촉할 염려가 없으므로, 아크에 의한 화상,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색상띠에 의해 저압변류기가 3상에 나란히 연결되어 있을 시에 전원의 R S T상을 구별할 수가 있으므로 오결선의 우려가 없다.

Claims (2)

  1. 몸체의 양측에 1차측 버스 바가 구비되고, 상기 버스 바에는 저압케이블 단자가 연결되는 저압변류기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에는 연질의 절연재로 된 절연커버가 씌워져 있되, 상기 절연커버는 상기 저압케이블측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직경보다 크게 상기 몸체측으로 형성된 볼록한 머리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또는 머리부에는 전원의 R S T상을 표시하는 색을 표시하는 색상띠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커버.
KR2020000029802U 2000-10-25 2000-10-25 저압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커버 KR200223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802U KR200223837Y1 (ko) 2000-10-25 2000-10-25 저압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802U KR200223837Y1 (ko) 2000-10-25 2000-10-25 저압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837Y1 true KR200223837Y1 (ko) 2001-05-15

Family

ID=7309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802U KR200223837Y1 (ko) 2000-10-25 2000-10-25 저압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8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685B1 (ko) * 2009-10-20 2012-02-22 주식회사 전오전기 배선용 접속부의 절연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685B1 (ko) * 2009-10-20 2012-02-22 주식회사 전오전기 배선용 접속부의 절연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71344B (zh) 电源连接装置及包括该装置的电池组
KR200223837Y1 (ko) 저압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커버
CN209912708U (zh) 一种新型电流互感器
CN201319319Y (zh) 一种开启式电流互感器
US7741945B2 (en) Dry-type transformer with improved terminal construction and mounting system therefor
KR200356550Y1 (ko) 단자형 영상 변류기
CN208570264U (zh) 一种具有防护性能的适用于各类电力的变压器
KR200301618Y1 (ko)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 절연 장치
KR200439071Y1 (ko) 영상변류기의 고정구조체
CN217543212U (zh) 一种方便现场运维作业的试验接线盒
KR200233907Y1 (ko) 저압변류기
KR200262519Y1 (ko) 제어용 트랜스 스위치
CN217239250U (zh) 带电缆插头形式的三相五柱电压互感器
ATE141024T1 (de) Untersatz für eine mit einem stromwandler versehene nh-sicherungs- oder lastschalteinrichtung
CN216412841U (zh) 一种加强型绝缘互感器
JPH02237425A (ja) 計器用変成器の絶縁破壊検出回路及び該検出回路を備えた計器用変成器
KR20170002884U (ko) 3상 일체형 전력수급계기용 변류기
CN215834396U (zh) 一种穿芯电流互感器组件
CN215868956U (zh) 一种双极电流互感器
JPH0526886Y2 (ko)
CN209843482U (zh) 一种快装型内置式三相四线电压互感器
JPS6120733Y2 (ko)
CN201336216Y (zh) 一种双铁芯双绕组开启式电流互感器
JP2002237250A (ja) 高圧カットアウトヒューズのヒューズ筒内にそう着後の定格表示
KR200218857Y1 (ko) 변압기용 차단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