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618Y1 -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 절연 장치 - Google Patents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 절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618Y1
KR200301618Y1 KR20-2002-0032345U KR20020032345U KR200301618Y1 KR 200301618 Y1 KR200301618 Y1 KR 200301618Y1 KR 20020032345 U KR20020032345 U KR 20020032345U KR 200301618 Y1 KR200301618 Y1 KR 200301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ransformer
low
wire
wire connect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2-0032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6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6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9/00Fixed transformers or mutual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2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urpose of modifying, or compensating for, electric characteristics of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1F27/422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urpose of modifying, or compensating for, electric characteristics of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instrument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압 대용량의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계측하는 저압변류기에 관한 것으로, 둘레면에 브래킷(110)을 통해 지지되는 철심(120)이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면서, 양측부에 일차측의 연결바(130.130')가 측방향을 향해 각각 결합되고, 측면에 이차단자(140)가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된 저압변류기(100)의 전선접속부 절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바(130.130')의 둘레면에 전선접속부를 감싸 보호하는 절연부재(200)가 장착되어, 전선접속부분의 노출로 인한 안전사고 및 열화로 인한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전선접속부분의 절연에 따른 작업공수 및 작업하중이 줄어들어 저압변류기의 유지보수에 따른 제반 부대비용이 절감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 절연 장치 {Device for insulating the lead wire of converter}
본 고안은 저압 대용량의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계측하는 저압변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분을 별도의 부재로 절연하여 노출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열화로 인한 손상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된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 절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사용량은 통상 전산전력계를 이용하여 계측하지만, 공칭전압(110V, 220V, 380V)을 통해 대용량(110V - 14KW 이상, 220V - 29KW 이상, 380V - 89KW 이상)의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전류의 흐름이 매우 크기 때문에 적산전력계를 사용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다.
이는 계량기에 흐르는 전류가 커지면, 그에 상응하여 사용전선의 크기가 굵어짐은 물론 절연 및 열화 보강비가 증대하며, 코일 성분에 의한 오차율이 증가함은 물론 계량기의 크기가 커지므로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저압변류기를 저압변류기의 계량기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변류기(100)는, 그 몸체의 둘레면에 브래킷(110)을 통해 지지되는 철심(120)이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며, 몸체의 양측부에 일차측의 연결바(130.130')가 측방향을 향해 결합되고, 몸체의 측면에 이차단자 (140)가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저압변류기(100)는, 이차단자(140)에 구비된 다수의 단자볼트(141)에 전선을 감아 접속한 상태에서, 설치개소에 브래킷(110)의 통해 지지한 다음, 연결바(130.130')에 전선(미도시)을 연결하면, 대용량의 전력을 사용하는 수요가의 전력사용량이 계측되는 것이다.
그런데, 저압변류기(100)는, 연결바(130.130')와 전선(미도시)의 전선접속부가 비닐테이프를 감아 절연한 상태이므로, 전선접속부분이 열화로 인해 노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비닐테이프를 감는 과정이 일정하지 않아 시공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연결바(130.130')와 전선(미도시)의 전선접속부에 감겨진 비닐테이프를 제거하는 과정이 매우 어려워 예컨대, 토치램프로 열을 가하여 테이프를 제거하므로 기기의 열적손상이 발생됨은 물론 작업하중 및 작업공수가 증대되어 저압변류기의 유지보수에 따른 부대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분을 절연부재를 장착하여 노출에 의한 안전사고 및 열화로 인한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작업공수 및 작업하중을 절감하여 저압변류기의 유지보수에 따른 부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 절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둘레면에 브래킷을 통해 지지되는 철심이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면서, 양측부에 일차측의 연결바가 측방향을 향해 각각 결합되고, 측면에 이차단자가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된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 절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바의 둘레면에 전선접속부를 감싸 보호하는 절연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압변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저압변류기 110 : 브래킷
120 : 철심 130.130' : 연결바
140 : 이차단자 150.150' : 플랜지부
200 : 절연부재 210 : 중공부
220 : 결합부 230 : 삽입부
231 : 인출구멍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몸체 둘레면에 브래킷(110)을 통해 지지되는 철심(120)이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면서, 양측부에 일차측의 연결바(130. 130')가 측방향을 향해 각각 결합되고, 측면에 이차단자(140)가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된 저압변류기(100)의 전선접속부 절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바(130. 130')의 둘레면에 전선접속부를 감싸 보호하는 절연부재(20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저압변류기(100)의 브래킷(110)과 철심(120)과 일차측의 연결바(130.130')와 이차단자(140)는 종래 기술과 기능상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연결바(130.130')의 둘레면에 본원에 따른 절연부재(200)가 장착된 것에 차이점이 포함된다.
그리고, 절연부재(200)는, 저압변류기(100)의 플랜지부(150.150')에 장착되어 연결바(130.130')를 감싸는 고무재질의 부재로서, 그 몸체의 내부공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연부재(200)는, 그 전방측에 저압변류기(100)의 플랜지부(150.150')와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결합부(220)가 형성되면서, 그 후방측에 전선을 삽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삽입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절연부재(200)는, 그 결합부(220)의 내경을 삽입부(230)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부(230)는, 그 몸체에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절결되어 탄성력을 통해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삽입부(230)를 전체적으로 밀폐 또는 폐쇄하는 인출구멍(231)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압변류기(100)에 연결되는 전선을 절연하기 위해서는, 일단 저압변류기(100)의 플랜지부(150.150')에 절연부재(200)를 끼워 고정하면서, 연결바(130, 130')에 전선(미도시)을 연결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저압변류기(100)의 플랜지부(150.150')에 장착되는 절연부재 (200)에 의해 연결바(130.130')와 전선의 접속부분이 감싸지므로, 접속부분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저압변류기(100)의 전선은 삽입부(230)의 인출구멍(231)을 경유하여 연결바(130.130')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인출구멍(231)에 형성된 절결부의 자체탄성력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만일, 연결바(130.130')에서 전선을 분리하려는 경우, 인출구멍(231)의 절결부를 약간 들어 올리면서 전선을 인출하고 다시 놓게 되면, 인출구멍(231)의 절결부가 리턴되므로, 삽입부(230)가 다시 밀폐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 절연 장치에 의하면, 저압변류기와 전선의 연결부분이 절연부재에 의해 완전히 감싸져 밀폐되므로, 전선접속부분의 노출로 인한 안전사고 및 열화로 인한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전선접속부분의 절연에 따른 작업공수 및 작업하중이 줄어들어 저압변류기의 유지보수에 따른 제반 부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둘레면에 브래킷(110)을 통해 지지되는 철심(120)이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면서, 양측부에 일차측의 연결바(130.130')가 측방향을 향해 각각 결합되고, 측면에 이차단자(140)가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된 저압변류기(100)의 전선접속부 절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바(130.130')의 둘레면에 전선접속부를 감싸 보호하는 절연부재(20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 절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절연부재(200)는, 그 몸체의 내부공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210)가 형성되면서, 그 전방측에 저압변류기(100)의 플랜지부(150.150')와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결합부(220)가 형성되며, 그 후방측에 전선을 삽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삽입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 절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삽입부(230)는, 그 몸체에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을 따라 절결되어 자체탄성력을 통해 개폐되는 인출구멍(2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 절연 장치.
KR20-2002-0032345U 2002-10-30 2002-10-30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 절연 장치 KR200301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345U KR200301618Y1 (ko) 2002-10-30 2002-10-30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 절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345U KR200301618Y1 (ko) 2002-10-30 2002-10-30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 절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618Y1 true KR200301618Y1 (ko) 2003-01-24

Family

ID=4932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345U KR200301618Y1 (ko) 2002-10-30 2002-10-30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 절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6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98350U (zh) 一种户外开启式电流互感器
BR102013004740B1 (pt) unidade e bloco de medição funcional e subestação de distribuição de média tensão
JP4746656B2 (ja) 3心一括型接続箱、試験対象ケーブルの耐電圧試験方法、及び3心一括型接続箱の組立方法
KR200301618Y1 (ko) 저압변류기의 전선접속부 절연 장치
BR102013004732A2 (pt) Subestação de distribuição de média voltagem
BR102013004737B1 (pt) conector para conexões por interface plana, conjunto de três conectores e subestação de média voltagem compreendendo o mesmo
CN210956380U (zh) 一种新型智能费控箱式变压器
BR102013004729A2 (pt) Dispositivo de saída de gás para uma unidade funcional de média voltagem e subestação de distribuição compreendendo o mesmo
JP2636417B2 (ja) 計器用変成器の絶縁破壊検出回路及び該検出回路を備えた計器用変成器
KR200223837Y1 (ko) 저압변류기의 1차측 버스 바의 절연커버
KR200439071Y1 (ko) 영상변류기의 고정구조체
CN216412841U (zh) 一种加强型绝缘互感器
CN101521103A (zh) 相对地半绝缘电磁式电压互感器一次线圈n端与铁心的接地方法
KR200233907Y1 (ko) 저압변류기
CN216528363U (zh) 变压器引线结构及变压器
KR100587224B1 (ko) 플랫 타입의 선로전압보상기
KR100925040B1 (ko) 도선용 절연커버
CN220232902U (zh) 一种低压互感器出线定位装置
CN213125557U (zh) 一种中压电缆接头的防火装置
CN201868222U (zh) 带熔断器的电缆插头式电压互感器
KR200226059Y1 (ko) 수전용 배전반의 절연구조
JP3373148B2 (ja) コネクタ
WO2021077431A1 (zh) 一种升压变压器
EP0886287B1 (en) Bushing insulator
JP2000294425A (ja) 静止誘導電気機器及びその耐電圧試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