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096Y1 - 안전대를 걸기위한 로프 거치시설 - Google Patents

안전대를 걸기위한 로프 거치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096Y1
KR200223096Y1 KR2020000033891U KR20000033891U KR200223096Y1 KR 200223096 Y1 KR200223096 Y1 KR 200223096Y1 KR 2020000033891 U KR2020000033891 U KR 2020000033891U KR 20000033891 U KR20000033891 U KR 20000033891U KR 200223096 Y1 KR200223096 Y1 KR 200223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hook
facility
fasten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해식
Original Assignee
인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해식 filed Critical 인해식
Priority to KR2020000033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0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09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로프를 이용한 안전대 걸이시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프를 거치시켜 이 로프에 안전대의 훅 보조장치를 연결하여 추락위험지역에서 완전히 벗어날 때까지 작업자가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하는, 최상의 안전설비로서의 기능을 수행할수 있도록 한 안전대 걸이시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대를 걸기위한 로프 거치시설 {SAFETY ROPE HOLDER SYSTEM}
최근들어 신축되는 건축물은 고층화 및 대형화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고층건물은 H형강으로 제조되는 철골기둥과 상기 철골기둥을 연결시키는 철골보로서 골격을 이루는 철골구조 이거나 철근과 거푸집으로 일정한 형태를 만든뒤 콘크리트를 부어넣어 구조물을 완성시키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철골구조 고층건축물은 철골보들로 구분되는 공간에 바닥구조부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폭이 좁은 철골보의 상부에서 각종 시설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항시 노출되어있고, 또한 고층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예기치 않은 추락으로 말미암아 생명을 잃게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추락에 의한 사망사고는 철근콘크리트 구조 또한 마찬가지여서 철근을 배근하고, 틀에 맞는 거푸집을 시공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넣는 과정에서, 항시 외벽의 거푸집을 시공, 콘크리트 부어넣기 , 거푸집 해체 , 상부층으로의 거푸집 인양 이라는 반복되는 작업공정에서 작업자는 추락위험에서 완전하게 방호받지 못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중 조그만 실수도 생명과 직결되는 위험을 안고 작업하는 것이다
그래서, 종래의 철골구조에서는 철골기둥과 철골기둥간을 임의로 동여매고, 상기 로프에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를 거는 한편, 작업자가 폭이 좁은 철골보의 상부를 이동할때 작업자의 실수로 추락하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철골보의 하부에 추락방지망을 설치하여 작업자의 신체를 잡아주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거나,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는 구조물의 외부에 수직으로 구조용 강관파이프를 일정간격으로 세우고, 가로로 구조용 강관파이프를 기 설치된 수직 강관파이프와 직교시켜 긴결시키며 일정간격마다 구조물의 외벽에 고정한 가시설인 비계에 작업용 발판을 설치하고, 수직 구조용 강관파이프와 인접한 수직 구조용 강관파이프에 상기 철골구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로프시설을 설치하거나, 수평으로 강관파이프를 설치하여 이 추락 방지시설에 안전대를 걸고 작업하여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철골기둥과 철골기둥간, 또는 비계기둥과 비계기둥간을 로프로 작업자의 신체와 잡아주는 구조는, 기둥과 기둥사이에서 작업할 때는 유용한 안전시설이 될 수도 있으나, 작업구간이 기둥을 넘어갈 때, 혹은 구조물의 모서리 부위에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안전대 훅을 해제하여 진행할 방향의 로프에 다시 체결하는 불편함이 있는가 하면, 작업자가 무의식중에 진행할 방향으로 안전대의 훅을 옮기지 않고 이동을 하다보면 로프의 매듭부위인 수직부재에 안전대의 끝단이 걸려 오히려 안전사고를 발생할 위험성이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1994년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 1673호에는 상단부에 생명줄이 걸리는 걸고리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직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지주봉과 상기 지주봉과 일체로 연장되어 절곡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고 암나사 구멍부가 형성되는 끼움대와 상기 끼움대의 암나사 구멍부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로서 구성되는 생명줄 걸이대가 선출원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생명줄걸이대는 2개를 1조로 하는 지주봉을 철골부의 단부에 설치하여, 상기 지주봉의 걸고리에 생명줄을 걸어 작업자가 생명줄을 붙잡고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생명줄에 작업자의 신체가 연결되는 안전대를 걸어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첫째 지주봉의 상단에 걸고리를 형성하여 생명줄을 묶음으로써 작업자는 지주봉을 지날때마다 작업자의 안전대를 지주봉 이전의 로프에서 앞으로 진행할 방향의 로프로 옮기는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의 이동에 방해가 되고, 둘째로는 지주봉 앞에서 안전대를 옮기는 작업을 하는 동안에는 작업자에게 어떠한 안전시설도 제공되지 못하는, 안전의 사각이 발생함으로써 작업자가 생명줄 및 안전대의 사용을 기피하는 원인이 되었.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철골기둥 또는 가설비계의 수직·수평부재, 혹은 지주봉의 상부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로프를 거치하여 작업자가 위험지역을 이동할때에는 안전대를 착용하고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추락시에는 지지점을 구축하여 로프에 작용하는 장력을 줄이고, 로프의 탄성에 의한 작업자의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생명줄걸이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주봉 등의 수직부재에 고정하여 로프를 거치할 수 있는 로프거치시설과, 안전대의 일반적인 훅을 걸수 있으며 아울러 로프 거치시설을 통과하기 용이한 훅 보조장치로 구성되어있다.
제1도는 로프거치시설의 정면도
제2도는 로프거치시설의 측면도
제3도는 로프거치시설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훅 보조장치의 사시도
제5도는 훅 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제6도는 훅 보조장치의 중앙부 단면도제7도는 로프거치시설과 훅 보조장치의 적용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프거치시설의 통공 11 : 로프거치시설 상부판
12 : 로프거치시설 하부판 13 : 고정부
14 : 로프거치시설 15 : 가이드로드
16 : 상부 안내날개 17 : 하부 안내날개
18 : 지지판 19 : 장공
21 : 로프거치시설 체결핀
100 : 훅 보조장치 101 : 주부
102 : 체결부 103 : 고정쇠
104 : 체결장치 105 : 체결장치 고정핀106 : 클램프 110 : 훅 또는 카라비나
111 : 훅 보조장치 체결핀 112 : 훅 체결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1> 로프 거치시설 (14)
로프가 끼워지는 로프거치시설의 통공(10)과 양단에 상부 안내날개(16)를 갖는 상부판 (11), 양단에 하부 안내날개(17)를 갖는 하부판(12) 및 고정된 수직·수평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3)를 가진 로프거치시설(14)에 있어 상부 안내날개(16) 및 하부 안내날개(17)는 훅 보조장치(100)가 로프를 따라 로프거치시설의 통공(10)내부로 들어가기 용이하도록 로프거치시설의 중앙을 향해 곡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훅보조장치의 훅 체결부(112)는 훅 보조장치(100)가 로프거치시설(14)의 안내날개(16)(17)를 따라 통공(10)내부를 통과할 때 안내날개(16)(17)의 모서리부를 따라 가이드로드(15)를 통과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상기 로프거치시설(14)에서 상부판(11) 및 하부판(12)은 체결핀(21)에 의해 결속되며, 상.하부판(11)(12)의 체결부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판(11)이 전 후면으로 약간의 유동을 갖을수 있도록 장공(19)으로 구성되며, 하부판의 체결부는 체결핀의 중앙을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상부판의 체결부를 지지할수 있도록 상부판의 체결부까지 핀의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를 취한다. 상부판(11)의 장공(19)은 로프 체결시 후방으로 밀어올림으로써 가이드로드(15)의 유격을 넓혀 로프의 삽입은 용이하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가이드로드(15)의 유격을 일정간격으로 유지시켜줌으로써 훅 보조장치(100)의 훅 체결부(112)만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2>로프걸이(100)
훅 보조장치(100)는 기존의 안전대의 훅을 체결하는 구조로써 도면을 보며 자세히 설명하겠다.
훅 보조장치(100)는 크게 주부(101)와 체결부(102) 및 안전대의 훅을 걸수 있는 훅 체결부(112)로 나눌수 있다.
주부(101)의 일측과 체결부(102)의 일측에 체결핀(111)을 설치하여 주부(101)와 체결부(102)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체결부(102)가 회전하는 축을 이룬다.
주부(101)와 체결부(102)는 체결부(102)의 일측에 설치되는 체결장치(104)가 주부(101)의 고정쇠(103)에 체결됨으로써 체결되며, 이 체결장치(104)는 체결부의 일측에 체결장치 고정핀(105)으로 고정되어 있다.
훅 보조장치(100)를 로프에 체결할 때는 체결장치(104)를 해지시켜 체결부(102)를 개방한 후, 로프를 훅 보조장치(100)내부에 결착시키고, 체결장치(104)를 주부(101)의 고정쇠(103)에 체결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도 7은 로프거치시설과 훅 보조장치의 사용 일례로, 평상시 추락위험이 예상되는 곳의 수직·수평부재인, 비계에 로프거치시설의 고정부에 기설치된 클램프를 체결하고, 로프거치시설의 상부판(11)을 고정부 쪽으로 밀어 올려 가이드로드의 유격을 늘려 로프를 삽입시켜 둔다.
추락위험부에서의 작업 발생시 훅 보조장치(100)가 부착된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수평작업, 또는 수평이동을 하게 되면, 두 수직부재 사이의 이동 및 작업은 기존의 건축용 안전대의 활용예와 같으나, 수직부재를 건너갈때 과거에는 안전대의 훅을 로프로부터 해지하여 진행할 방향으로 선 체결을 한후 이동하거나, 또는 몸이 먼저 수직부재를 건너간후 이전 구간에 있는 안전대의 훅 해치하여 진행 방향의 로프에 재 체결하는 방법으로 이동하였으나, 본고안의 로프거치시설과 훅 보조장치를 활용하면, 작업자는 훅 보조장치(100)를 로프에 체결하는 1회의 동작만으로 수평이동시 안전대를 로프로부터 해지시키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을 확보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로프가 끼워지는 통공(10)과 양단에 상부 안내날개(16)를 갖는 상부판(11), 양단에 하부 안내날개(17)를갖고 있는 하부판(12) 및 고정된 수직 ·수평부재에 결속할 수 있는 고정부(19)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거치시설과, 이 로프거치시설(14)에 결착된 로프에 체결되어 로프거치시설(14)의 통공(10) 및 가이드로드(15)를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주부(101)와 체결부(102) 및 안전대 훅을 체결할수 있는 훅 체결부(112)로 구성되는 훅 보조장치(100)
  2. 제 1항에 있어
    상부판(11) 및 하부판(12)의 안내날개(16)(17)는 훅 보조장치(100)가 로프거치시설의 통공(10) 내부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로프거치시설의 중앙부에서 외부쪽으로 발산하는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안내날개의 모서리는 훅 체결부(112)가 안내날개(17)의 모서리를 따라 이동하여 가이드로드를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가이드로드를 향해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거치시설
KR2020000033891U 2000-12-04 2000-12-04 안전대를 걸기위한 로프 거치시설 KR200223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891U KR200223096Y1 (ko) 2000-12-04 2000-12-04 안전대를 걸기위한 로프 거치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891U KR200223096Y1 (ko) 2000-12-04 2000-12-04 안전대를 걸기위한 로프 거치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096Y1 true KR200223096Y1 (ko) 2001-05-15

Family

ID=7306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891U KR200223096Y1 (ko) 2000-12-04 2000-12-04 안전대를 걸기위한 로프 거치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0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064Y1 (ko) 2010-05-19 2013-02-07 김진곤 수직보호망 설치용 코너가이드
KR101265725B1 (ko) 2011-07-29 2013-05-20 강명석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064Y1 (ko) 2010-05-19 2013-02-07 김진곤 수직보호망 설치용 코너가이드
KR101265725B1 (ko) 2011-07-29 2013-05-20 강명석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816B2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US6722470B2 (en) Anchorage adapter,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fall protection
JP2010229700A (ja) 妻側先行手摺り
KR101794062B1 (ko) 건축용 안전발판
KR200400993Y1 (ko) 건축현장용 난간 안전지지대
KR200223096Y1 (ko) 안전대를 걸기위한 로프 거치시설
KR200205940Y1 (ko) 거푸집 작업용 발판지지대
JP2021139168A (ja) 吊り足場
JP2011099259A (ja) 幅木取付け用金具
KR101596939B1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JP6661142B1 (ja) 吊り足場
JP6207781B1 (ja) 仮設足場用安全具
JPH0735997Y2 (ja) 枠組足場の手摺り枠
JPH0450352Y2 (ko)
IT201800009924A1 (it) Dispositivo di fissaggio per un parapetto o simile
KR200431034Y1 (ko) 거푸집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JP3485534B2 (ja) 足場用防護装置、足場用パイプ装置及び足場装置
KR20030095163A (ko) 건축공사 비계 발판용 브라켓트
KR200459397Y1 (ko) 갱 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지지브라켓 구조
CN209369383U (zh) 一种无外脚手架临边防护装置
KR200495306Y1 (ko) 비계발판용 체결구
WO2006058949A1 (es) Sistema de seguridad integral aplicable a construcciones
CN208792724U (zh) 一种悬空作业平台
KR20070035273A (ko) 건축공사용 안전망 지지틀
JP2739590B2 (ja) 柱状先組鉄筋の吊り込み方法とその吊り込み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