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907Y1 - 화면의 크기 및 콘트라스트 보상회로 - Google Patents

화면의 크기 및 콘트라스트 보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907Y1
KR200222907Y1 KR2019980017267U KR19980017267U KR200222907Y1 KR 200222907 Y1 KR200222907 Y1 KR 200222907Y1 KR 2019980017267 U KR2019980017267 U KR 2019980017267U KR 19980017267 U KR19980017267 U KR 19980017267U KR 200222907 Y1 KR200222907 Y1 KR 200222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l
contrast
screen
voltage
screen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216U (ko
Inventor
윤여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80017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90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2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2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907Y1/ko

Links

Landscapes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라운관에 흐르는 전자빔 전류를 감지하여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자동 조절하고, 전자빔의 양에 따라 수직, 수평 화면크기를 자동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의 크기 및 콘트라스트 보상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화면크기 보상과 콘트라스트, ABL(ABL;Auto Beam Limited)제어회로를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각 기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회로적으로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ABL제어신호를 입력받은 ABL제어부에서 ABL단자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고, 상기 ABL단자에 인가되는 ABL제어전압을 이용하여 화면의 크기를 보상하는 화면크기 보상부와 콘트라스트를 항상 일정하게 하는 콘트라스트부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ABL단자에 흐르는 ABL제어전압을 1차, 2차 지연시켜 상기 콘트라스트부와 화면크기 보상부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지연부를 포함한 구성으로서, ABL제어부의 ABL제어전압을 이용하여 수직 및 수평 화면크기와 콘트라스트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면의 크기 및 콘트라스트 보상회로
본 고안은 브라운관에 흐르는 전자빔 전류를 감지하여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자동 조절하고, 전자빔의 양에 따라 수직, 수평 화면크기를 자동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의 크기 및 콘트라스트 보상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면의 콘트라스트 제어회로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ABL(ABL;Auto Beam Limited)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연산증폭기(IC11)의 입력단으로 인가하는 ABL제어부(11)와, 상기 ABL제어부(11)로 부터 조절된 신호를 트랜지스터(Q13)의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버퍼회로인 연산증폭기(IC11)와, 비디오 콘트라스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2)과, 상기 마이컴(12)의 제어신호를 스피드 업하여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에 인가하는 저항(R26) 및 콘덴서(C13)와, 상기 베이스에 인가되는 콘트라스트 제어신호를 반전증폭시켜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13)와, 상기 트랜지스터(Q13)에 의해 반전된 신호를 저항(R27) 및 콘덴서(C14)로 구성되어 평활하는 제 1적분부(13)와, 상기 제 1적분부(13)에 의해 평활된 신호를 저항(R28) 및 콘덴서(C15)로 구성되어 재 평활하여 비디오 콘트라스트의 이득을 제어하도록 인가하는 제 2적분부(14)로 구성된다.
미 설명부호 Q11,Q12는 트랜지스터, R21-R24는 저항, C11,C12,C16은 콘덴서, D11은 다이오드, FBT는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콘트라스트 제어회로에 대하여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라운관의 캐소우드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하여 ABL제어부(11)는 ABL제어신호를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로 입력받아 온 동작하여 그 콜렉터를 통해 반전된 신호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에 베이스가 연결된 트랜지스터(Q12)가 온 동작하게 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2)의 온동작에 따라 그 에미터를 통해 ABL제어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ABL제어전압은 버퍼회로인 연산증폭기(IC11)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고,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ABL단자에 연결되어 빔전류를 제어하게 되며, 휘도가 밝을 때와 휘도가 어두울 때 전압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산증폭기(IC11)는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ABL제어전압을 지연시킨 다음 저항(R25)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3)의 DC전원전압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마이컴(12)으로 부터 출력된 콘트라스트 제어신호가 저항(R26) 및 콘덴서(C13)에 의해 스피드 업(SPEED-UP)되어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에 입력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13)는 베이스 입력으로 온 동작하게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3)의 온 동작으로 베이스측 콘트라스트 제어신호에 반전된 신호가 그 콜렉터를 통해 적분부(13)에 인가된다.
상기 적분부(13)는 트랜지스터(Q13)의 출력전압을 저항(R27) 및 콘덴서(C14)에 의해 적분시킨 후, 이 적분전압을 적분부(14)의 저항(R28) 및 콘덴서(C15)에 의해 다시 적분시켜 일정 DC전압으로 비디오 콘트라스트 이득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마이컴(12)으로 부터 출력되는 콘트라스트 제어신호의 주기(duty)가 커지게 되면,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 주기는 작아져 비디오 콘트라스트 제어전압을 작게 하므로서, 휘도는 어두어 지게된다.(비디오 이득감소)
그리고,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에 공급되는 ABL제어전압의 레벨이 낮아지게 되면(휘도가 밝을 때), 비디오 콘트라스트의 DC제어전압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마이컴(12)으로 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콘트라스트의 신호 주기가 작아지게 되면,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측 출력주기가 커져 비디오 콘트라스트 제어전압은 커지게 되므로 휘도는 밝아지게 된다.(비디오 이득증대),
또한, 트랜지스터(Q13)의 전원전압인 ABL제어전압의 레벨이 커지게 되면(휘도가 어두울 때),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 전압은 높아지게 되어 비디오 콘트라스트 제어전압이 높아져 휘도를 밝게 한다.
그러나, 종래는 화면의 콘트라스트 제어회로가 단지 화면의 콘트라스만을 조절하게 되고, 화면의 크기를 보상할 수 있는 회로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회로적으로 복잡한 문제가 있게 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본 발명은 브라운관에 흐르는 ABL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ABL제어전압을 이용하여 화면의 수평 및 수직크기와 콘트라스트를 자동으로 보상하는 한편, 상기 ABL제어전압을 1차, 2차 지연시켜 화면크기와 콘트라스트 보상시 서로간의 간섭을 방지할수 있도록 하므로서, ABL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ABL제어전압을 이용하여 화면의 크기와 콘트라스트를 자동으로 보상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콘트라스트 제어회로를 보인 블록회로도.
도 2는 본 고안 화면의 크기 및 콘트라스트 보상회로를 보인 블럭회로도.
도 3의 (A)-(C)는 본 고안의 각 부 출력파형도로서, 화면이 어두울 때와 밝을 때를 비교한 도면.
도 4의 (가)는 종래 화면이 밝을 때와 어두울 때의 화면크기를 보인 도면이고, (나)는 본 고안에 의한 화면이 밝을때와 어두울 때의 화면크기를 보인 도면.
본 발명 화면 크기 및 콘트라스트 보상장치는 브라운관에 흐르는 ABL전류를 감지하여 제어하기 위한 ABL제어전압을 이용하여 화면의 콘트라스트와 수직 및 수평화면 크기를 자동으로 보상해 줄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브라운관의 캐소드에 흐르는 ABL전류를 제어하도록 ABL제어신호에 의해 ABL제어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ABL제어전압을 이용하여 1차 지연시킨 후 전자빔의 양에 따라 수직, 수평화면 크기가 변화하는 것을 조절해 주고, 또 1차 지연된 ABL전압을 다시 2차 지연시킨 후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브라운관에 흐르는 전자빔 전류를 자동으로 조절하고, 그 전자빔 전류를 1차, 2차 지연시켜 서로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화면의 크기와 콘트라스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 화면의 크기 및 콘트라스트 보상회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되는 ABL제어신호에 의해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ABL단자에 흐르는 브라운관의 캐소드 빔전류를 조절하고 화면의 밝기를 설정 제어하기 위한 ABL제어전압을 출력하는 ABL제어부(10)와,
상기 ABL제어부(10)의 ABL제어전압을 1차, 2차 지연시켜 화면의 크기 및 콘트라스트 보상시 각 회로를 매칭 및 보호하기 위한 전압을 출력하는 지연부(20)와,
상기 지연부(20)에 의해 1차 지연된 ABL제어전압을 입력받아 수평 및 수직 크기회로(51)(52)의 수평 및 수직크기(H-Size)(V-Size)를 보상시켜 주기 위한 화면크기 보상부(30)와,
상기 지연부(20)에 의해 2차 지연된 ABL제어전압을 입력받아 영상증폭부(70)의 콘트라스트 전위를 가변시켜 콘트라스트를 일정하게 보상하기 위한 콘트라스트부(40)로 구성시킨 것이다.
미 설명 부호 60은 콘트라스트 제어회로, R1-R17은 저항, C1,C2는 콘덴서, D1은 다이오드, Q1-Q5는 트랜지스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화면의 크기 및 콘트라스트 보상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도 2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ABL단자에 흐르는 빔전류를 제어하기 위하여 ABL제어부(10)는 입력되는 ABL제어신호에 따라 ABL제어전압을 출력하여 ABL단자의 빔전류를 조절하여 브라운관의 캐소드에 흐르는 빔전류를 제어하게 된다.
즉, ABL제어부(10)의 저항(R2)(R1)을 통해 전원전압(B+)이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ABL단자에 입력되면, ABL제어신호가 저항(R4)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를 온 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ABL제어신호에 의한 트랜지스터(Q1)의 온으로 그 콜렉터측(″A″)의 ABL제어전압이 결정되며, 이 전압은 플라이백트랜스(FBT)의 ABL단자에 인가되어 빔전류를 조절하고 또 화면의 밝기에 따른 전압차가 발생하여 화면의 수평 및 수직크기와 콘트라스트를 좌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ABL제어부(10)에서 결정된 ABL제어전압은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ABL단자에 흐르는 전류(I)를 저항(R2)의 값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즉 I= 가 된다.
이때, 상기 ABL제어부(10)에서 결정된 ABL제어전압을 입력받은 지연부(20)는 1차, 2차 지연시킨 다음 ABL제어부(10)와 콘트라스트부(40) 및 화면크기 보상부(30)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면서 회로간의 간섭을 방지하여 보호하게 된다.
상기 ABL제어전압이 지연부(20)의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Q2) 베이스에 입력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2)를 온 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온에 의해 그 에미터에는 1차 지연된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2)를 통해 1차 지연된 전압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온 시키게 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4)는 그 에미터를 통해 2차 지연된 전압을 콘트라스트부(40)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지연부(20)의 트랜지스터(Q2)에 의해 1차 지연된 전압을 입력받은 화면크기 보상부(30)는 상기 1차 지연된 전압에 따라 비례적으로 수평 및 수직크기회로(51)(52)의 수평 및 수직크기(H-Size)(V-Size)를 보상하여 주게 된다.
즉, 상기 화면크기 보상부(30)는 저항(R6)을 통해 지연부(20)에 의해 1차 지연된 전압을 입력받아 저항(R10)(R11)으로 분압시킨 다음 상기 분압된 전압을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와 에미터가 접속된 저항(R12)을 통해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에 인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에 인가되는 전압이 저항(R13)(R14)을 통해 수평크기 및 수직크기회로(51)(52)에 각각 입력되어 화면의 수평 및 수직크기를 보상하게 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측(″B″) 전압은 ABL제어부(10)에서 결정된 전압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어 화면의 수평크기(H-Size)와 수직크기(V-Size)를 증감시켜 준다.
그러므로, 도 3의 (A)(B)는 화면이 어두울 때와 밝을 때의 각 부 출력파형을 비교한 파형도로서,
지점 ″A″의 전압이 높아지면 지점 ″B″의 전압이 높아져 수평 및 수직크기를 키워지고, 반대로 지점″A″의 전압이 낮아지면 지점 ″B″의 전압이 낮아져 수직, 수평크기를 작게 해주게 되므로서, 수평, 수직 화면크기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콘트라스트부(40)는 지연부(20)의 트랜지스터(Q4)에 의해 2차 지연된 전압을 입력받아 영상증폭부(70)의 입력전위를 가변시켜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일정하게 한다.
즉,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를 통해 2차 지연된 전압을 콘트라스트부(40)의 저항(R9) 및 콘덴서(C2)에서 적분시키고, 이 적분된 전압을 저항(R15) 및 저항(R16)에 의해 분압시킨 다음 영상증폭부(70)에 출력하여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일정하게 해준다.
그러면, 상기 영상증폭부(70)는 콘트라스트부(40)의 입력전압 레벨(도 3의 ″C″)에 따라 콘트라스트의 전위를 가변시켜 화면을 밝게 또는 어둡게 하여 주게 된다. 즉 입력전압이 높으면 화면을 밝게 해주고 입력전압이 낮으면 화면을 어둡게 하여 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콘트라스트부(40)의 분압된 전압은 그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측 전압으로 그 베이스에 접속된 콘트라스트 제어회로(60)에 의해 수동적인 제어를 받게 된다.
그러므로, 도 3의 (A)(C)는 화면이 어두울 때와 밝을 때의 각 부 출력파형을 비교한 파형도로서,
지점 ″A″의 전압이 높아지면 지점 ″C″의 전압이 높아져 영상증폭부(50)의 입력전압을 증가시켜 화면을 밝게 해주고, 반대로 지점″A″의 전압이 낮아지면 지점 ″C″의 전압이 낮아져 영상증폭부(70)의 입력전압을 감소시켜 화면을 어둡게 해주게 되므로서, ABL전압에 따라 화면 콘트라스트를 일정하게 해주게 된다.
그리고, 도 4의 (가)는 종래 화면이 밝을 때 수평 및 수직 화면크기(S1)와 화면이 어두울 때 수평 및 수직 화면크기(S2)를 보인 도면이고, (나)는 본 고안에 의한 화면이 밝을 때와 어두울 때의 수평 및 수직화면 크기가 일정함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브라운관의 전자빔 전류를 제어하는 한편, 빔전류 제어전압에 따라 화면의 수평 및 수직크기를 보상하고 콘트라스트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경제성이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입력되는 ABL제어신호에 의해 플라이백 트랜스의 ABL단자에 흐르는 브라운관의 캐소드 빔전류를 조절하고 화면의 밝기를 설정 제어하기 위한 ABL제어전압을 출력하는 ABL제어부와,
    상기 ABL제어부로 부터 입력되는 ABL제어전압을 1차, 2차지연시켜 화면의 크기 및 콘트라스트 보상시 각 회로를 매칭 및 보호하기 위한 전압을 출력하는 지연부와,
    상기 지연부에 의해 1차 지연된 ABL제어전압을 입력받아 수평 및 수직 크기회로의 수평 및 수직크기를 보상시켜 주기 위한 화면크기 보상부와,
    상기 지연부에 의해 2차 지연된 ABL제어전압을 입력받아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일정하게 보상하도록 영상증폭부의 콘트라스트 입력전위를 가변시켜 주는 콘트라스트부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의 크기 및 콘트라스트 보상회로.
KR2019980017267U 1998-09-11 1998-09-11 화면의 크기 및 콘트라스트 보상회로 KR200222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267U KR200222907Y1 (ko) 1998-09-11 1998-09-11 화면의 크기 및 콘트라스트 보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267U KR200222907Y1 (ko) 1998-09-11 1998-09-11 화면의 크기 및 콘트라스트 보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216U KR20000006216U (ko) 2000-04-15
KR200222907Y1 true KR200222907Y1 (ko) 2001-05-15

Family

ID=6952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267U KR200222907Y1 (ko) 1998-09-11 1998-09-11 화면의 크기 및 콘트라스트 보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9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216U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63088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
JPS61142869A (ja) ラスタ幅調整装置
KR200222907Y1 (ko) 화면의 크기 및 콘트라스트 보상회로
US5596375A (en) Automatic brightness control apparatus for a monitor
JPH0544226B2 (ko)
JPH08710Y2 (ja) 映像出力回路
KR0136691B1 (ko) 모니터의 흑레벨 보상회로
JPH05191673A (ja) 自動階調補正回路と輝度制御方法
KR0122339Y1 (ko) 오버스캔 모니터의 휘도보상 회로
JP2516105B2 (ja) 黒レベル補正回路
KR950000152Y1 (ko) 고압안정화 회로
KR920008996Y1 (ko) 휘도펄스 부가방식에 의한 휘도제어회로
KR960000842Y1 (ko) 칼라이득 자동조절장치
JPH0339980Y2 (ko)
KR100454019B1 (ko) 모니터의화면밝기자동제어회로
KR200290047Y1 (ko) 모니터의 백-라스터 밝기 보상장치
KR830002172B1 (ko)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장치
KR890004418Y1 (ko) 윤곽 보정 조절회로
KR960002454Y1 (ko) 영상클램프회로
KR910003653Y1 (ko) 고압안정화 회로
JP3332640B2 (ja) Tv受像機のabl回路
KR200188159Y1 (ko) 레귤레이션 보정회로
KR100246769B1 (ko) 모니터의 영상 처리 회로
KR0156641B1 (ko) 영상신호 출력회로
JPH06245100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