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854Y1 -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854Y1
KR200222854Y1 KR2019990000682U KR19990000682U KR200222854Y1 KR 200222854 Y1 KR200222854 Y1 KR 200222854Y1 KR 2019990000682 U KR2019990000682 U KR 2019990000682U KR 19990000682 U KR19990000682 U KR 19990000682U KR 200222854 Y1 KR200222854 Y1 KR 200222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shift control
shift
food stir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945U (ko
Inventor
조기호
Original Assignee
조기호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호,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기호
Priority to KR2019990000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854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9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9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854Y1/ko

Link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교반기에 있어서, 특히 교반축의 회전속도를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증감할 수 있도록 한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에 관한 것인 바,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환상봉으로 형성된 변속조절축(11)에 형성된 래크(21)와, 이에 치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회전축(23)을 구비한 회동기어(22)와, 상기 변속조절축(11)에 장착되어 주동기어열(41,42,43)을 종동기어열(51,52,53)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자 형상의 클램프(12)와, 식품교반기의 측벽(1)에 볼트(24a)로서 고정된 고정판(24)과, 상기 회전축(2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변속조절레버(25)를 구비한 원판상의 조절판(26)이 고정나사(27)와, 탄력스프링(28)및 보올(29)과의 계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변속조절수단(13)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조절장치{GEA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FOOD MIXER}
본 고안은 식품교반기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반축을 구동시키는 기어장치를 교반되는 내용물이나 교반정도에 따라 교반축의 회전속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양호한 교반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휠이 축설된 주동축과, 일단으로 교반축을 구동하기 위한 종동축상으로 2단에 걸쳐 변속을 유도할 수 있도록 변속기어를 각각 상호 치합 구동되게 하고, 이를 외측에서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조절레버 작용에 따라 조절축의 타단부로 축착된 하나의 미끄럼 기어가 상기 조절레버 조작에 의해 조절축이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2단에 걸쳐 각 축에 설치된 변속기어들에 선택적으로 치합시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절축상에 설치된 미끄럼 기어를 직접 회전하고 있는 각 변속 기어 열에 신속히 치합시키기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기어 변속이 상기 미끄럼 기어를 조절레버 작용으로 직접 밀거나 당겨야 함에 따른 작업상 조작이 매우 번거롭고 또한 기어변속을 단순히 최고속 또는 최저속과 같이 2단에 걸쳐서만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교반식품의 종류에 따른 적절한 회전속도를 제공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교반기내에 축설되는 기어장치를 회전속도비가 다르게 저속, 중속, 고속의 3단계로 배열 구성하고, 이를 레버작용으로 치합 구동되게 하여 교반축이 내용물에 따라 적절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교반할 수 있도록 하고, 회전속도를 원할하게 변속할 수 있도록 한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기어변속조절장치를 구비한 식품교반기의 개략적 평면도,
도2는 도1의 Ⅱ-Ⅱ선 단면도,
도3은 변속조절레버의 발췌분해사시도,
도4는 변속조절레버의 조립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변속조절축 12 : 클램프
13 : 변속조절수단 14 : 가이드축
21 : 래크 22 : 회동기어
23 : 회전축 24 : 고정판
25 : 변속조절레버 26 : 회동조절판
31,32,33 : 변속단수 조절용 구멍 41,42,43 : 주동기어열
51,52,53 : 종동기어열 100 : 풀리
101 : 주동축 102 : 종동축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는 식품교반기의 교반축을 소정의 속도로 증감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변속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환상봉으로 형성된 변속조절축에 형성된 래크와, 이에 치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회전축을 구비한 회동기어와, 변속조절축에 장착되어 주동기어열을 종동기어열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자 형상의 클램프와, 식품교반기의 측벽에 볼트로서 고정된 고정판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변속조절레버를 구비한 원판상의 조절판이 고정나사와, 탄력스프링및 보올과의 계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변속조절수단으로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는 본 고안에 따른 기어변속조절장치를 구비한 식품교반기의 개략적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기어변속조절장치는 환상봉으로 형성된 변속조절축(11)과, 이에 장착된 ∪-자 형상의 클램프(12)와 변속조절수단(13)을 포함하는바, 이 클램프(12)는 가이드축(14)에 의해 변속조절축(11)의 전, 후 이동시에 안내 이동되어진다.
또한 변속조절수단(13)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조절축(11)의 일단부에 형성된 래크(21)와, 이에 치합되어 회전 가능한 회동기어(22)와, 이 회동기어(22)를 회전시키기 위한 축(23)을 포함하며, 이 축(23)에는 고정판(24)이 관통되어 식품교반기의 측벽(1)에 볼트(24a)로서 고정되며, 고정판(24)에는 변속조절레버(25)를 구비한 원판상의 조절판(26)이 고정나사(27)와, 탄력스프링(28)및 보올(29)과의 계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24)에는 보올(29)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구멍들(31,32,33)과 (34,35)가 형성되어 있는바, 구멍(31,32,33)은 보올(29)이 각각 위치될 경우 변속비를 1단, 2단, 3단으로 하기 위한 것을 나타내고, 구멍(34,35)은 보올(29)이 각각 위치될 경우 변속비가 중립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교반기 본체의 일측에는 모터 구동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동기어열(41,42,43)과, 이 주동기어열(41,42,43)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기어열(51,52,53)이 2단으로 배열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 기어열들은 기어변속비를 감안하여 1단, 2단, 3단기어로 구분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동기어열(41,42,43)은 후술되는 변속조절레버에 의해 일체로 전,후 슬라이드 이동되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특히, 주동기어열(41,42,43)의 각 기어들은 1,2,3단 기어의 어느 하나가 반듯이 하단의 종동기어수단(51,52,53)의 대, 중 소 기어중 어느 하나와 항상 치합되어져 있고 나머지 주동기어열의 기어들은 종동기어열의 각 기어들 사이에 위치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축착된 주동기어열의 기어들중 하나의 기어(43) 외방으로는 교반기본체의 전면에서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설관통된 변속조절축(11)상의 클램프(12)가 도1과 같이 기어(43)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클램프(12)는 선택된 기어(43)의 회전시 양측면이 기어(43)와는 약간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변속조절시는 변속조절수단(13)의 변속조절에 따라 기어(43)와 접촉되어져 가이드축(14)에 슬라이드 되면서 전,후 이동되므로 결국 동축상의 주동기어열(41,42,43) 전체가 전후로 선택 이동되어지고, 이때 주동기어열(41,42,43)중 어느 하나의 기어가 종동기어열(51,52,53)의 해당 종동기어에 치합 구동되어진다.
한편 변속조절레버(25)의 변속조절은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변속조절레버(25)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판(24)의 구멍(31,32,33,34,35)에 보올(29)이 선택적으로 위치됨으로써 기어의 변속을 할 수 있게된다.
예컨대, 보올(29)이 1단 구멍(31)에 위치될 경우에는 도1에서와 같이 주동기어(41)와 종동기어(51)이 치합되어 풀리(100)에 연결된 주동축(101)의 회전력이 1단 주동기어(41)를 통해 1단 종동기어(51)에 전달됨으로써 종동축(102)이 천천히 1단으로 회전함으로써 식품을 교반하게 된다.
이렇게 1단으로 식품을 교반하다가 2단으로 변속하고자 할 경우 도3에서 사용자가 변속조절레버(25)를 반시계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우선 보올(29)은 중립구멍(34)에 삽입되는바, 이 경우 축(23)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래크(11)는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된다. 이때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단 주동기어(41)와 1단 종동기어(51)와의 치합이 해제되어 1단 주동기어(41)는 1단 종동기어(51)와 3단 종동기어(53)사이에 위치되고 2단 및 3단 주동기어(42,43)역시 2단 및 3단 종동기어(52,53)와 전혀 치합되지 않게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변속조절레버(25)를 반시계방향으로 좀더 잡아당기면(도3참조) 보올(29)은 중립구멍(34)으로부터 2단구멍(32)에 위치되는바, 이 경우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래크(11)는 회동기어(22)와의 작용에 의해서 좌측방향으로 좀더 이동함으로써 2단 주동기어(42)는 2단 종동기어(52)와 치합된다.
따라서, 보올(29)이 2단 구멍(32)에 위치될 경우에는 도1에서와 같이 주동기어(42)와 종동기어(52)가 치합되어 풀리(100)에 연결된 주동축(101)의 회전력이 2단 주동기어(42)를 통해 2단 종동기어(52)에 전달됨으로써 종동축(102)이 천천히 2단으로 회전함으로써 식품을 교반하게 된다.
한편, 3단으로의 변속시에는 변속조절레버(25)를 회전시켜 보올(29)이 3단 구멍(33)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1,2단의 변속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결국 변속조절레버(25)의 조작시 회동조절판(26)이 회전되어 보올(29)이 각각의 변속구멍(31,32,33)에 위치될때마다 클램프(12)가 주동기어열(41,42,43)을 이동시켜 하방의 종동기어열(51,52,53)의 하나의 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 구동되게 함으로써 기어의 변속 조절이 이루어져교반용기내의 내용물을 연속적으로 교반축이 교반하게되고, 그 내용물에 따라 기어열들을 변속조절레버로서 상기와 같이 변속시켜 줌으로써 교반축은 적절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확실한 교반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변속조절레버 작용으로 주동기어열을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하나의 기어가 종동기어열의 선택된 하나의 기어와 맞물려 구동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속 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교반되는 내용물에 따라 교반축을 적정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면서 교반되게 하여 양질의 교반물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식품교반기의 교반축을 소정의 속도로 증감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변속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환상봉으로 형성된 변속조절축(11)에 형성된 래크(21)와, 이에 치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회전축(23)을 구비한 회동기어(22)와,
    상기 변속조절축(11)에 장착되어 주동기어열(41,42,43)을 종동기어열(51,52,53)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자 형상의 클램프(12)와,
    식품교반기의 측벽에 볼트(24a)로서 고정된 고정판(24)과, 상기 회전축(2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변속조절레버(25)를 구비한 원판상의 조절판(26)이 고정나사(27)와, 탄력스프링(28)및 보올(29)과의 계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변속조절수단(1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조절장치.
KR2019990000682U 1999-01-20 1999-01-20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조절장치 KR2002228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682U KR200222854Y1 (ko) 1999-01-20 1999-01-20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682U KR200222854Y1 (ko) 1999-01-20 1999-01-20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945U KR20000015945U (ko) 2000-08-16
KR200222854Y1 true KR200222854Y1 (ko) 2001-05-15

Family

ID=5475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682U KR200222854Y1 (ko) 1999-01-20 1999-01-20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85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885Y1 (ko) * 2000-06-10 2000-11-15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945U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5543A (en) Device for turning a monitor
EP2875906B1 (en) Multi-speed cycloidal transmission
US8162530B2 (en) Handheld electric mixer
CA2686810A1 (en) Multispeed power tool transmission
KR200222854Y1 (ko)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조절장치
KR100933768B1 (ko) 리드스크류 축을 이용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용 작동기
KR900700319A (ko) 주차위치 쉬프트 선택기 메카니즘 및 방법
US9107540B2 (en) Handheld electric mixer
US5415602A (en) Transmission device
US3426611A (en) Transmission shift mechanism
KR970000754Y1 (ko) 식품교반기의 기어 변속 조절장치
KR100372295B1 (ko)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KR20180032948A (ko)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레버장치
CN116697031B (zh) 换档驱动设备及综合训练装置
CN117537069A (zh) 换挡器和车辆
KR0152140B1 (ko)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CN218817904U (zh) 一种变速机构
KR102190287B1 (ko) 기어 조작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콘솔장치
JPS63199139A (ja) パワ−シ−ト装置の切換クラツチ装置
JP2555983Y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KR0168746B1 (ko)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KR200375461Y1 (ko) 멀티출력형 동력전달 장치
KR900005848Y1 (ko) 혼합기용 변속기어 장치
JPS55132449A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tractor
JP2004130938A (ja) オートユニット自動、手動切換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