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295B1 -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295B1
KR100372295B1 KR10-2000-0032011A KR20000032011A KR100372295B1 KR 100372295 B1 KR100372295 B1 KR 100372295B1 KR 20000032011 A KR20000032011 A KR 20000032011A KR 100372295 B1 KR100372295 B1 KR 100372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hift
speed
gears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2687A (ko
Inventor
조기호
Original Assignee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2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295B1/ko
Priority to KR2020000016530U priority patent/KR200202885Y1/ko
Publication of KR20010112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2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물의 혼합정도에 따라 혼합축의 회전속도를 적절히 가감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식품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품 혼합기의 상부 케이스(6)내에 설치되는 기어박스(10)와, 상기 기어박스내에 설치되고 모우터(19)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주동축(11)상에 피치원 지름을 각기 달리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속 내지 제4속 주동기어들(111, 112,113,114)과, 상기 주동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종동축(12)상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속 내지 제4속 주동기어들과는 피치원 지름이 반대로 배열되게 맞물려지고 일 측면으로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편들(121a, 122a, 123a, 124a)이 형성된 제1속 내지 제4속 종동기어들(121, 122, 123, 124)과, 상기 종동축의 제1속 및 제2속 종동기어(121, 122)와 제3속 및 제4속 종동기어(123, 124) 사이에 축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키(KEY)설치되고, 양 측면으로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편(131a, 131b) 및 (141a,141b)이 상기 제1속 내지 제4속 종동기어들(121, 122, 123, 124)의 걸림돌편들(121a, 122a, 123a, 124a)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변속시 선택적으로 걸어져 회전되는 제1 및 제2회동 조작구(13)(14) 및 상기 제1 및 제2회동 조작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가이드 축(15)에 설치된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16) (17)를 핸들축(18)으로 이동 조작시켜 상기 종동축(12)과 직교상태로 연동되는 혼합축(7)을 변속 조작하는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동 조작구(13)(14)를 변속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축(15)을 중심으로 이동 조작되는제1 및 제2변속 조작구(16)(17)로는 이동 조작홈(161)(171)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16)(17)의 이동 조작홈(161)(171)으로는 상기 핸들축(18)의 조작핀(181)이 상부케이스(6)의 외부로 노출된 레버(182)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걸어져 이동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16)(17)와 연결 설치된 상기 제1 및 제2회동 조작구(13)(14)가 해당 변속위치로 이동 조작되도록 구성하여 줌으로써, 기어변속에 따른 구조를 보다 간단화 함과 동시에 변속 조작을 보다 간편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Gea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food mixer}
본 발명은 주로 제과 제빵용 반죽물이나 각종 식품을 적당한 속도로 골고루 혼합하기 위한 식품 혼합기의 변속 조절장치에 있어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어 변속 조작에 따른 변속 구조를 보다 간단화 하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혼합기는 혼합 용기내에 담겨진 혼합물의 내용에 따라 최상의 혼합 상태를 도모하기 위하여 소정의 혼합기구들이 착탈 가능한 혼합축을 적정한 속도비로 편심 회전되도록 조절해주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발명자가 선 출원 발명한 혼합축의 속도비를 적정하게 변속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식품 교반기의 기어 변속 조절장치(특허공개 제97-68970호)가 제안되어 있다. 이 선행 발명은 종래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에 있어서 주동축상의 미끄럼기어들을 변속시 종동축상의 해당 기어들과 상호 맞물려 지도록 일일이 이동시켜 줌에 따른 기어들의 물림시 끄르럭하는 소음의 방지는 물론 이로 인한 기어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 가장 큰 목적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어변속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한 선 출원은, 혼합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종동축의 제1속 종동기어 내지 제4속 종동기어들과 각각 치합되게 설치된 주동축상의 제1속 내지 제4속 구동기어들을 무 변속시에는 공회전 되게 하고, 변속시에 만 해당 기어가 동축상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 회동 조작구와의 상호 걸림력에 의해 강제로 회전되게 하여 이와 치합된 종동축상의 해당 기어가 변속되어 소정의 속도로 회전되도록 구성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변속기어들을 일일이 해당 기어위치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변속에 따른 소음이나 기어 마모현상은 방지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 출원의 경우 상기 회동 조작구를 조작하기 위한 기어변속위치선택 수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회동 조작구를 이동하기 위하여 가이드 축에 삽설된 안내관의 일 측 하부로는 상기 회동 조작구의 요구에 삽설되는 반원상의 변속 아암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부로는 래크를 각각 형성하였으며, 상기 안내관의 각 래크로는 조절축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동되는 피니언이 상호 치합되고, 각 피니언으로는 조절축의 변속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회동 제어핀을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하여 변속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혼합축의 기어 변속에 따른 조작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또한 변속조작이 번거로운 결점이 있어 조립공수의 증가는 물론 제품 단가 상승의 요인이 될 뿐 아니라 상기한 종래 기술의 경우 주동축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가 혼합기 본체의 상부 외측에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혼합기가 콤팩트하지 못하고 자연적으로 비대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상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어 변속 조절에 따른 변속구조를 보다 간단화 하고 이의 조작을 간편하게 개선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조립공수의 절감에 따른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식품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조절장치가 설치된 식품 혼합기의 외형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조절장치의 발췌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조절장치가 설치된 혼합기의 측 단면도.
도4의 (가)(나)(다)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조작상태를 보인 평단면도로서
(가)도는 중립상태이고,
(나)도는 제1변속 조작구가 제1단 위치로 조작된 상태이고,
(다)도는 제2변속조작구가 제3단 위치로 조작된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식품혼합기 6: 상부케이스
7: 혼합축 10: 기어박스
11: 주동축 111,112,113,114: 제1 및 제2속 주동기어
12: 종동축 121,122,123,124: 제1속 내지 제4속 종동기어
13, 14: 제1 및 제2회동 조작구 15: 가이드 축
16, 17: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 18: 핸들축
19: 모우터
121a,122a,123a,124a,131a,131b,141a,141b: 걸림돌편
151: 변속용 제어홈 152: 볼
162,172:이동 조작홈 181: 조작핀
182: 레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은, 식품 혼합기의 상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설치되고 모우터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주동축상에 피치원 지름을 각기 달리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속 내지 제4속 주동기어들과, 상기 주동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종동축상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속 내지 제4속 주동기어들과는 피치원 지름이 반대로 배열되게 맞물려지고 일 측면으로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편들이 형성된 제1속 내지 제4속 종동기어들과, 상기 종동축의 제1속 및 제2속 종동기어와 제3속 및 제4속 종동기어 사이에 축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키(KEY)설치되고, 양 측면으로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편들이 상기 제1속 내지 제4속 종동기어들의 걸림돌편들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변속시 선택적으로 걸어져 회전되는 제1 및 제2회동 조작구 및 상기 제1 및 제2회동 조작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가이드 축에 설치된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를 핸들축으로 이동 조작시켜 상기 종동축과 직교상태로 연동되는 혼합축을 변속 조작하는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동 조작구를변속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축을 중심으로 이동 조작되는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로는 이동 조작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의 이동 조작홈으로는 상기 핸들축의 조작핀이 상부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레버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걸어져 이동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와 연결 설치된 상기 제1 및 제2회동 조작구가 해당 변속위치로 이동 조작되도록 구성하여서된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축에 설치되어 이동 조작되는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는 이에 탄력 설치된 볼이 상기 가이드 축의 해당 부위로 형성된 변속용 제어홈에 걸려지는 것에 의해 과도한 변속 조작이 방지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품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변속 조절장치가 설치된 식품 혼합기(1)의 개략적인 외형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식품 혼합상태를 개요적으로 설명한다. 식품 혼합기(1)의 베이스(2)로는 식품 혼합에 따른 제반 장치가 내장 설치되는 몸체(3)가 입설되어 있고, 그 전면으로는 도시되지 않은 혼합용기가 올려져 받침 고정되는 용기받침대(4)가 손잡이(5)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3)의 상부케이스(6)로는 도3과 같이 일 측으로 수직 설치된 혼합축(7)을 변속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어변속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하여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변속조절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기어박스(10)의 하단부로 설치되는 주동축(11)으로는 피치원 지름을 각기 달리하는 제1속 내지 제4속 주동기어들(111, 112, 113, 114)이 회전 가능하게 각기 설치되어 있고, 이의 상부로 설치되는 종동축(12)으로는 상기 제1속 내지 제4속 주동기어들 (111, 112, 113, 114)과는 피치원 지름이 반대로 배열되게 상호 맞물려 공회전 되는 제1속 내지 제4속 종동기어들(121, 122, 123, 124)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축(12)에 설치된 제1속 내지 제4속 종동기어들(121, 122, 123, 124)의 일 측으로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편(121a)(122a)(123a)(124a)이 적정한 간격으로 돌설되어 있다(도3참조).
여기서 종동축(12)에 관통 설치된 제1속 내지 제4속 종동기어들(121)(122) (123)(124)은 단순히 양단부가 스냅링(도면상 도시하지 않음)과 같은 고정부재로 좌우 이동이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종동축(12)에 대하여 키(Key)와 같은 수단으로 결합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종동축(12)으로부터 직접적인 동력을 전달받지 못하고 무 변속시에는 주동축(11)의 제1속 내지 제4속 주동기어들(111, 112, 113, 114)과 맞물려 단순히 공회전만 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제1속 내지 제4속 종동기어들(121, 122, 123, 124)은 이의 일 측으로 돌설된 각 걸림돌편들(121a, 122a, 123a, 124a)이 상기 제1 및 제2속 종동기어(121, 122)와 제3속 및 제4속 종동기어(123, 124)와의 사이로 종동축(12)에 대하여 키 결합된 회동 조작구(13)(14)의 양측으로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각 걸림돌편들(131a, 131b) 및 (141a, 141b)과(도3참조)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것에 의해 강제로 회전되는 바, 이 때 종동축(12)과 키 결합된 회동 조작구(13)(14)로는 상기 제1속 내지 제4속 종동기어들(121, 122, 123, 124)의 각 변속 회전력이 선택적으로 부여됨에 따라 결국 종동축(12)은 소정의 속도로 변속 회전하게 된다.
한편 종동축(12)과 나란하게 기어박스(10)의 상부로 설치된 가이드 축(15)으로는 상기 회동 조작구(13)(14)를 선택적으로 이동 조작하기 위한 제1 및 제2 변속 조작구(16)(17)가 해당 부위로 각기 형성된 변속용 제어홈(151)에 대하여 금속용 볼(152)이 탄지되어 있는 바, 상기 변속 조작구(16)(17)로는 회동 조작구(13)(14)의 환상요구(131)(141)에 대하여 헐거운 상태로 삽설 지지되는 반원상의 변속아암(161)(171)과, 기어변속에 따른 레버(182)조작시 이동되는 핸들축(18)의 조작핀(181)이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이동 조작홈(162)(17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축(18)의 선택 조작에 따라 제1회동 조작구(13)는 제1변속 조작구 (16)에 의해 좌우로 이동 조작되어 제1 및 제2속 종동기어(121)(122)와 선택적으로 걸려 회전되고, 제2회동 조작구(14)는 제2변속 조작구(17)에 의해 좌우로 이동 조작되어 제3속 및 제4속 종동기어(123)(124)와 선택적으로 걸려 변속 회전되어진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변속 조절장치가 설치된 식품 혼합기의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동축(11)은 몸체(2)내에 내장된 모터(19)로부터 동력을 벨트부재(20)에 의해 감속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인 바, 상기 모터(19)를 몸체 내에 내장 설치함으로서, 종래 모터가 외부로 노출되든 것에 비하여 전체적인 부피가 콤팩트화가 가능하고 미려하다. 도3에서 미 설명부호 21은 혼합축(7)에 설치된 베벨기어 이며, 22는 종동축(12)에 설치되어 이의 변속 회전력을 상기베벨기어(21)에 전달하기 위하여 이와 직교상태로 맞물려 있는 또 다른 베벨기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어변속 상태를 설명한다. 도4의 (가)(나)(다)는 기어변속상태를 도시한 식품 혼합기의 평단면도로서, 먼저 도4의 (가)는 기어가 중립상태로 위치되어 있는 바, 이때에는 핸들축(18)축의 레버(182)가 도1과 같이 수직상태로 세워져 있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 변속 조작구(16)(17)가 가이드 축(15)을 중심으로 어느 쪽으로도 이동되지 아니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와 결합되어있는 제1 및 제2회동 조작구(13)(14) 역시 종동축(12)의 어느 기어들과도 걸려있지 못하다. 따라서 모터(19)의 동력으로 주동축(11)의 제1속 내지 제4속 주동기어들 (111, 112, 113, 114)이 회전되더라도 이와 맞물려 회전되는 종동축(12)의 제1속 내지 제4속 종동기어들(121, 122, 123, 124)들은 공회전하게 되고 종동축(12)은 회전력을 받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혼합축(7)을 1단이나 2단 속도로 회전시키고자 변속하는 경우에는 핸들축(18)을 화살표방향(AA)으로 이동시켜 이에 형성된 조작핀 (181)이 제1변속 조작구(16)의 이동 조작홈(162)에 걸려지도록 조작한 다음 도4의 (나)와 같이 레버(182)를 실선상태(BB) 또는 파선상태(CC)로 재쳐주면 이동 조작홈 (162)에 걸려있는 조작핀(181)에 의해 제1변속 조작구(16)가 가이드 축(15)을 중심으로 해당 변속 위치로 강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변속아암(161)이 환상요구(131)에 삽설되어진 제1 회동 조작구(13) 역시 해당 변속 위치로 이동 조작되어 이에 형성된 걸림돌편(131a)(131b)이 종동축(12)의 제1 및 제2속 종동기어(121)(122)의 걸림돌편(121a)(122a)과 선택적으로 걸어져 회동하게 되는 바, 제1 회동 조작구(13)의 걸림편(131a)이 주동축(11)의 제1속 주동기어(111)와 맞물려 있는 제1속 종동기어 (121)의 걸림돌편(121a)과 상호 걸어지는 경우에는 제1 회동 조작구(13)가 제1단의 속력으로 회전되어 키 결합된 종동축(12)은 제1단의 속력으로 변속 회전되어 지는 것이며, 제1 회동 조작구(13)의 걸림편(131b)이 주동축(11)의 제2속 주동기어(112)와 맞물려 있는 제2속 종동기어(122)의 걸림돌편(122a)과 상호 걸어지는 경우에는 제1 회동 조작구(13)가 제2단의 속력으로 회전되어 키 결합된 종동축(12)은 제2단의 속력으로 변속 회전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다시 혼합축(7)을 3단이나 4단 속도로 회전시키고자 변속하는 경우에는 핸들축(18)을 화살표방향(A)으로 이동시켜 이에 형성된 조작핀(181)이 제2변속 조작구(17)의 이동 조작홈(172)에 걸려지도록 조작한 다음 도4의 (다)와 같이 레버(182)를 실선(B) 또는 파선상태(C)로 재쳐주면 이동 조작홈(172)에 걸려있는 조작핀(181)에 의해 제2변속 조작구(17)가 가이드 축(15)을 중심으로 해당 변속 위치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변속아암(171)이 환상요구(141)에 삽설되어진 제1회동 조작구(14) 역시 해당 변속 위치로 강제 이동 조작되어 이에 형성된 걸림돌편(141a)(141b)이 종동축(12)의 제3 및 제4속 종동기어(123)(124)의 걸림돌편 (123a)(124a)과 선택적으로 걸어져 회동하게 되는 바, 제1회동 조작구(14)의 걸림편(141a)이 주동축(11)의 제3속 주동기어(113)와 맞물려 있는 제3속 종동기어(123)의 걸림돌편(123a)과 상호 걸어지는 경우에는 제1회동 조작구(14)가 제3단의 속력으로 회전되어 키 결합된 종동축(12)은 제3단의 속력으로 변속 회전되어지는 것이며, 제2 회동 조작구(14)의 걸림편(141b)이 주동축(11)의 제4속 주동기어(114)와 맞물려 있는 제2속 종동기어(124)의 걸림돌편(124a)과 상호 걸어지는 경우에는 제2 회동 조작구(14)가 제4단의 속력으로 회전되어 키 결합된 종동축(12)은 제4단의 속력으로 변속 회전되어지게 된다.
한편 기어변속 조작 과정에서 가이드 축(15)을 중심으로 핸들축(18)의 조작에 의해 1단 또는 2단, 3단 또는 4단으로 선택 조작되는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16) (17)는 변속 이동시 상기 가이드 축(15)에 형성된 변속용 제어홈(151)에 의해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16)(17)로 탄력 설치된 볼(152)에 의해 과도한 이동이 억제되고, 또한 이러한 변속용 제어홈(151)은 사전에 제1 및 제2회동 조작구(13)(14)의 이동 거리를 감안하여 사전에 설계하는 것이어서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16)(17)의 정확한 변속 위치로의 이동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부 케이스(6)에 표시된 변속위치라벨(도면상 표시되지 않음)을 보고 레버(182)를 해당 위치로 이동 조작하면 이와 연결된 핸들축(18)이 동시에 해당 위치로 이동 조작되어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16)(17)를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16)(17)의 조작에 따라 종동축(12)의 제1 및 제2회동 조작구(13)(14)가 해당 변속 위치로 이동되어 공 회전하고 있는 동 축상의 제1속 내지 제4속 종동기어(121, 122, 123, 124)들과 선택적으로 결합 회전하게 됨에 따라 결국 종동축(12)은 소정의 속도로 변속된 회전력을 부여받게되고 이의 일 단부로 연동 설치된 혼합축(7)을 최 저속인 1단부터 최 고속인 4단의 속도로 변속 회전시켜 혼합용기내의 식품을 혼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동축(12)에 공회전 상태로 설치된 제1속 및 제2속 종동기어(121, 122)와 제3속 및 제4속 종동기어(123, 124)사이로 회동 조작구(13)(14)를 각각 개재하고 이를 가이드 축(15)상에 설치된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16)(17)를 핸들축(18)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변속 조작이 가능한 것으로서, 변속에 따른 변속구조가 매우 간편하고 변속 조작이 편리할 뿐 아니라 제조 공정 및 부품수의 절감으로 인한 단가의 저감은 물론 모터를 몸체 내에 내장 설치함으로서 전체 혼합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되었을 지라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식품 혼합기의 상부 케이스(6)내에 설치되는 기어박스(10)와,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설치되고 모우터(19)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주동축(11)상에 피치원 지름을 각기 달리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속 내지 제4속 주동기어들(111,112, 113,114)과, 상기 주동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종동축(12)상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속 내지 제4속 주동기어들과는 피치원 지름이 반대로 배열되게 맞물려지고 일 측면으로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편들(121a, 122a, 123a, 124a)이 형성된 제1속 내지 제4속 종동기어들(121, 122, 123, 124)과, 상기 종동축의 제1속 및 제2속 종동기어(121, 122)와 제3속 및 제4속 종동기어(123, 124) 사이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키(KEY)설치되고, 양 측면으로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편(131a, 131b) 및 (141a,141b)이 상기 제1속 내지 제4속 종동기어들 (121, 122, 123, 124)의 걸림돌편들(121a, 122a, 123a, 124a)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변속시 선택적으로 걸어져 회전되는 제1 및 제2회동 조작구(13)(14) 및 상기 제1 및 제2회동 조작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가이드 축(15)에 설치된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16)(17)를 핸들축(18)으로 이동 조작시켜 상기 종동축(12)과 직교상태로 연동되는 혼합축(7)을 변속 조작하는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동 조작구(13)(14)를 변속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축(15)을 중심으로 이동 조작되는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16)(17)로는 이동 조작홈(161)(171)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16)(17)의 이동 조작홈(161)(171)으로는 상기 핸들축(18)의 조작핀(181)이 상부케이스(6)의 외부로 노출된 레버(182)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걸어져 이동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16)(17)와 연결 설치된 상기 제1 및 제2회동 조작구(13) (14)가 해당 변속위치로 이동 조작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축(15)에 설치되어 이동 조작되는 제1 및 제2변속 조작구(16)(17)는 이에 탄력 설치된 볼(152)이 상기 가이드 축의 해당 부위로 형성된 변속용 제어홈(151)에 걸려지는 것에 의해 과도한 변속 조작이 방지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KR10-2000-0032011A 2000-06-10 2000-06-10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KR100372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011A KR100372295B1 (ko) 2000-06-10 2000-06-10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KR2020000016530U KR200202885Y1 (ko) 2000-06-10 2000-06-10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011A KR100372295B1 (ko) 2000-06-10 2000-06-10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530U Division KR200202885Y1 (ko) 2000-06-10 2000-06-10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687A KR20010112687A (ko) 2001-12-21
KR100372295B1 true KR100372295B1 (ko) 2003-02-17

Family

ID=196716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530U KR200202885Y1 (ko) 2000-06-10 2000-06-10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KR10-2000-0032011A KR100372295B1 (ko) 2000-06-10 2000-06-10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530U KR200202885Y1 (ko) 2000-06-10 2000-06-10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28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885Y1 (ko) * 2000-06-10 2000-11-15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KR101163644B1 (ko) 2010-04-30 2012-07-06 주식회사 실티 사료 혼합공급기의 구동변속장치
KR101807435B1 (ko) * 2016-12-05 2017-12-20 유한회사 대성이엔지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
KR102375796B1 (ko) * 2021-10-18 2022-03-17 홍혜정 편심 회전식 조리용 툴을 포함하는 자동조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4178A (en) * 1974-12-23 1975-09-09 Sunbeam Corp Household food mixer
KR960000393U (ko) * 1994-06-10 1996-01-17 조기호 식품교반기의 기어 변속 조절장치
KR970014662A (ko) * 1995-09-28 1997-04-28 조기호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KR19980063306U (ko) * 1997-04-15 1998-11-16 조기호 오토바이용 변속기를 이용한 식품교반기의 교반축 변속 조작장치
KR20000015945U (ko) * 1999-01-20 2000-08-16 조기호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조절장치
KR200202885Y1 (ko) * 2000-06-10 2000-11-15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4178A (en) * 1974-12-23 1975-09-09 Sunbeam Corp Household food mixer
KR960000393U (ko) * 1994-06-10 1996-01-17 조기호 식품교반기의 기어 변속 조절장치
KR970014662A (ko) * 1995-09-28 1997-04-28 조기호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KR19980063306U (ko) * 1997-04-15 1998-11-16 조기호 오토바이용 변속기를 이용한 식품교반기의 교반축 변속 조작장치
KR20000015945U (ko) * 1999-01-20 2000-08-16 조기호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조절장치
KR200202885Y1 (ko) * 2000-06-10 2000-11-15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687A (ko) 2001-12-21
KR200202885Y1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416359A (en) Transmission
DE19717466B4 (de) Mehrganggetriebe für Elektrowerkzeugmaschinen
KR20130126731A (ko) 수동 기어박스의 자동 작동 장치
KR100372295B1 (ko) 식품 혼합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EP0786610A2 (en) Shift device for a manual transmission
EP1309810B1 (en) Device for the sequential control of gearboxes for motor vehicles with hand-operated selection and engagement of gears
KR100563335B1 (ko) 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축을 따라서 치환할 수 있는,이동 트랜스미션의 실렉터 샤프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US5704252A (en) Compact shift assembly with interlock
JP4409896B2 (ja) マニュアル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変速操作機構
WO2003087632A3 (de) Betätigungseinheit für ein schaltgetriebe sowie schaltwelle
KR100848039B1 (ko) 무단변속기
JP2002317871A (ja) 変速機用電動駆動装置
KR0168746B1 (ko)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 조절장치
JP4409920B2 (ja) マニュアル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リバースシフト機構
CN116697031B (zh) 换档驱动设备及综合训练装置
GB2368105A (en) Device for operating a selector shaft of a shift transmission
KR200375461Y1 (ko) 멀티출력형 동력전달 장치
KR102498154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0125733Y1 (ko) 수동 변속기의 후진 변속 장치
KR900005848Y1 (ko) 혼합기용 변속기어 장치
JPH0410436Y2 (ko)
KR200222854Y1 (ko) 식품교반기의 기어변속조절장치
RU2155485C2 (ru) Месильно-взбивальная машина
KR100594650B1 (ko) 멀티출력형 동력전달 장치
JPS63291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