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560Y1 -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560Y1
KR200222560Y1 KR2020000034796U KR20000034796U KR200222560Y1 KR 200222560 Y1 KR200222560 Y1 KR 200222560Y1 KR 2020000034796 U KR2020000034796 U KR 2020000034796U KR 20000034796 U KR20000034796 U KR 20000034796U KR 200222560 Y1 KR200222560 Y1 KR 200222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ad
bulk
plate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창
Original Assignee
이광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창 filed Critical 이광창
Priority to KR2020000034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560Y1/ko

Links

Landscapes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컨테이너의 전면, 좌우측면, 상하면의 내벽에 각각 접촉되어 벌크 적재물을 내부에 수납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의 후면벽 측에 개구가 마련되고, 밀폐형의 플렉스블한 재질에 의해 성형되는 수납부재; 컨테이너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수납부재의 개구에 설치되며, 벌크 적재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배출구를 중심으로 대략 수직으로 대칭되도록 구획되며 상단에 각각 벌크 적재물 투입구가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 및 한 쌍의 플레이트를 접철식으로 연결하며 사용 후 플레이트를 분리시킬 수 있는 연결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 {Auxiliary loading apparatus of bulk-cargo for container}
본 고안은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 하게는 드라이 벌크 케미칼, 분상 및 작은 입자로 된 수지, 곡분, 커피콩 및 곡물 등과 같은 벌크 화물을 운반하는 컨테이너의 내부에 설치되어 벌크 적재물의 운반, 취급, 및 하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컨테이너 혹은 박스는 지상 및 해상의 화물 선적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화물 컨테이너는 일회용이 아니라 반복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적재물의 수납으로 인하여 컨테이너 내부면에 손상이 발생되면 그 사용 수명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이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대비책 중의 하나로써, 적재물을 직접 컨테이너의 내부에 수납하기보다는 별개의 포장재 예컨대, 고강도 폴리비닐 또는 폴리에스테 재잴의 고분자 합성물로 이루어진 적재물 팩을 이용하는 방식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상기 적재물 팩은 분립상의 적재물을 수납하는 경우 그 유용성이 특히 증대된다.
이러한 적재물 팩을 이용한 분립상의 적재물 수납 방법은 적재물 팩을 컨테이너 내부에 장착한 후, 바람이나 압력차를 이용하여 적재물 팩의 투입구로 적재물을 짧은 시간 내에 일괄적으로 수납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리고, 화물 컨테이너가 소정의 목적지로 이동된 후에는 적재물 팩 내의 적재물을 하역해야 하는데, 또 다른 물류비용을 발생시키기 않도록 하기 위해, 화물 컨테이너에 적재물 팩이 장착된 상태에서 적재물 팩 내의 적재물을 하역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적재물 하역하는 방법은 화물 컨테이너를 비스듬하게 기울여서 중력에 의하거나 흡입풍 또는 흡입압을 컨테이너 내부의 적재물 팩에 전달하는 등과 같은 별도의 부가적인 작업에 의해 외부의 저장소로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적재물 팩은 화물 컨테이너의 후면에 설치되고 적재물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목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플레이트는 한번 사용하고 나면 버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수거해서 다시 사용하거나 재활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의 사이즈가 매우 크기 때문에 플레이트를 수거해서 처리하는 작업 공정에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플레이트 구조에 의하면, 적재물 팩의 적재물 투입구 또는 배출구의 조잡한 부분에서는 적재물이 용이하게 배출되지 못하여 일부 또는 상당량의 적재물이 배출되지 않고 적재물 팩 내부에 잔존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인 플레이트에 서브 플레이트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는 플레이트의 사이즈 및 부피가 엄청나게 늘어나므로 이에 대한 처리 비용 및 작업량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화물 컨테이너 의 내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들을 조각조각으로 피스(piece)화시킴으로써 벌크 적재물을 하역시킨 후 거의 버려지게 되는 플레이트의 수거효율 및 수거 비용을 증대시키기 위해 그 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 부위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플레이트에 연결된 가이드 플레이트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수납부재 11...개구 13...밀폐단
20...플레이트 21...배출구 23...투입구
25...로프공 27...사이드부 29...경사부
30...연결부재 40...컨테이너 50...가이드 플레이트
52...설치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컨테이너의 전면, 좌우측면, 상하면의 내벽에 각각 접촉되어 벌크 적재물을 내부에 수납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의 후면벽 측에 개구가 마련되고, 밀폐형의 플렉스블한 재질에 의해 성형되는 수납부재; 상기 컨테이너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재의 개구에 설치되며, 상기 벌크 적재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배출구를 중심으로 대략 수직으로 대칭되도록 구획되며 상단에 각각 벌크 적재물 투입구가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를 접철식으로 연결하며 사용 후 상기 플레이트를 분리시킬 수 있는 연결부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는,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에 연결되지 않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부재에 수납된 벌크 적재물을 상기 배출구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일면은 상기 각각 경사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타면은 상기 개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경사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적재보조장치(100)는 적재물(미도시)을 수납하기 위해 개구(11)가 형성되고 밀폐형의 플렉스블한 재질에 의해 성형되는 수납부재(10)와, 배출구(21)와 한 쌍의 투입구(23)를 형성하도록 개구(11)에 설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20), 및 한 쌍의 플레이트(20)를 서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인접된 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연결부재(30)를 구비한다.
상기 수납부재(10)는 컨테이너(40)의 전면(41), 좌우측면(43,45), 상하면(47,49)의 내벽에 각각 접촉되어 벌크 적재물을 내부에 수납하는 공간으로서, 접히거나 이음질에 의해 팩 형태로 성형된다. 수납부재(10)는 확장가능하고 팽창성 있는 재질에 의해 제조되며, 수납부재(10)가 팽창, 화장될 때 컨테이너(40)의 내벽 표면에 의해 형성된 형태와 부분적으로 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취하게 된다. 수납부재(10)는 실질적으로 밀폐형으로 이루어지며, 컨테이너(40)의 후면에 상응하는 수납부재(10)는 플레이트(20)와 연결되는 개구(11)가 형성된다.
상기 컨테이너(40)는 수납부재(10)를 컨테이너(40)의 내부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시스템(미도시)이 제공되고, 이러한 지지 시스템은 로프, 노끈, 타이 등과 같은 묶음수단(미도시)에 의해 수납부재(10)가 컨테이너(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 부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20)는 컨테이너(40)의 후면(42)에 설치되는 지지봉(3)에 로프(5)에 의해 지지되며, 수납부재(10)의 개구(11)에 밀봉 설치된다. 한 쌍의 플레이트(20)의 하단에는 벌크 적재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21)가 형성한다. 따라서, 한 쌍의 플레이트(20)는 배출구(21)를 중심으로 대략 수직으로 대칭되도록 구획된다. 상기 배출구(21)는 하역 작업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도어부재(미도시)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도어부재의 개폐 동작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플레이트(20)의 상단에는 벌크 적재물을 투입시킬 수 있는 투입구(23)가 형성된다. 플레이트(20)의 상단에는 로프(5)를 설치하기 위한 로프공(25)이 마련된다. 상기 플레이트(20)의 사이드부(27)는 개구(11)와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사이드부(27)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구(11)와 연결되지 않는 경사부(29)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30)는 한 쌍의 플레이트(20)를 접철식으로 평탄하게 연결하여 사용하며, 사용 후에는 플레이트(20)를 서로 분리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구조를 가진 컨텍터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0)의 경사부(29)에는 다수의 연결공(2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29)는 수납부재(10)에 수납된 벌크 적재물을 배출구(21) 측으로 가이드시킬 수 있도록 일면은 경사부(29)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타면은 개구(11)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50)가 설치된다. 가이드 플레이트(50)는 경사부(29)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노끈, 금속성 고리 등과 같은 설치부재(5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납부재(10)와 플레이트(20), 및 가이드 플레이트(50)가 일체로 연결된 하역보조장치를 컨테이너(40)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40)의 후면(42)을 통해 수납부재(10)의 밀폐단(13) 집어넣고 그 밀폐단(13)의 상하좌우를 컨테이너(40)의 전면(41)에 위치한 지지시스템(미도시)으로 고정한다. 이어서 수납부재(10)의 상하좌우를 그에 대응되는 지지시스템으로 컨테이너(40)의 좌우측벽(43,45), 상하면(47,49)에 각각 고정시킨 후 플레이트(20)와 가이드 플레이트(50)를 컨테이너(40)의 후면(42)에 고정한다. 그러면, 수납부재(10)는 컨테이너(40)의 내벽과 유사한 형태를 하게 된다.
이어서, 벌크 적재물 예를 들어, 드라이 벌크 케미칼, 분상 및 작은 입자로 된 수지, 곡분, 커피, 곡물 및 유동체 및 반유동체를 포함한 매우 다양한 적재물을 수납부재(10)에 로딩하기 위해서는, 투입구(23)에 연결되고 2중 구조를 가진 투입관(미도시)을 통해 소정 압력으로 외부의 적재물을 적재시킨다. 이 경우, 수납부재(10)의 내부 압력은 외부의 기압보다 큰 레벨까지 상승하면서 최종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재(10)는 컨테이너(40)의 내벽면과 거의 동일한 형태를 취하게 된다. 적재물이 완전히 적재된 후에는 투입구(23)는 소정 수단에 의해 밀폐된다.
다음, 컨테이너(40)를 운반시킨 후 적재물을 하역시키기 위해서는 컨테이너(40)의 전면(42)을 상승시킨 후 배출구(21)를 개방하게 되면 컨테이너(40)가 이루는 경사각과 중력에 의해 수납부재(10)의 내부에 위치된 적재물은 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가이드 플레이트(50)는 플레이트(20)와의 상대 각도에 의해 수납부재(10)의 길이방향에 존재하는 적재물을 배출구(21) 방향으로 가이드 시켜 줌으로써 수납부재(10)에 존재하는 적재물을 잔여분 없이 완전히 배출시키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가진다.
이어서, 수납부재(10)에 수납된 적재물을 완전히 하역시킨 후에는 플레이트(20)와 가이드 플레이트(50)로부터 수납부재(10)를 분리시키고, 연결부재(30)를 이용하여 한 쌍의 플레이트(20)를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이동시키거나, 설치부재(52)를 풀거나 절단시켜서 플레이트(20)로부터 가이드 플레이트(50)를 분리시킨 후 운반할 수 있으므로 이동 및 수거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플레이트를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 사용함으로써 적재물을 하역시킨 후 하역보조장치의 처리에 드는 비용 및 작업을 최소화 할 수 있다.

Claims (2)

  1. 컨테이너의 전면, 좌우측면, 상하면의 내벽에 각각 접촉되어 벌크 적재물을 내부에 수납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의 후면벽 측에 개구가 마련되고, 밀폐형의 플렉스블한 재질에 의해 성형되는 수납부재;
    상기 컨테이너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재의 개구에 설치되며, 상기 벌크 적재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배출구를 중심으로 대략 수직으로 대칭되도록 구획되며 상단에 각각 벌크 적재물 투입구가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를 접철식으로 연결하며 사용 후 상기 플레이트를 분리시킬 수 있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에 연결되지 않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부재에 수납된 벌크 적재물을 상기 배출구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일면은 상기 각각 경사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타면은 상기 개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경사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
KR2020000034796U 2000-12-12 2000-12-12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 KR200222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796U KR200222560Y1 (ko) 2000-12-12 2000-12-12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796U KR200222560Y1 (ko) 2000-12-12 2000-12-12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560Y1 true KR200222560Y1 (ko) 2001-05-02

Family

ID=7309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796U KR200222560Y1 (ko) 2000-12-12 2000-12-12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5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05617A (en) Transportable containers for the handling of light-weight bulk materials
US20070102428A1 (en) Flexible liner for packaging powdered or granular cargo for cargo container transportation
EP1725433B1 (en) Tiltless bulk material cargo container liner and method of discharging bulk cargo material
US20130001224A1 (en) Storage tank
US9376254B2 (en) Methods for granular scavenger material transfer
US8529160B2 (en) Bulk abrasive hopper
CN117142158A (zh) 装卸方法
KR200222560Y1 (ko) 컨테이너용 벌크 화물 적재보조장치
JP5431841B2 (ja) ポリマーペレットの水上輸送方法
KR101416336B1 (ko)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
CN216155029U (zh) 一种用于灰罐车装料系统的除尘装置及灰罐车装料系统
CN210708863U (zh) 集装箱
JP2000355426A (ja) 輸送コンテナの運用システム
JPH10291583A (ja) 輸送コンテナ
CN113493052B (zh) 一种岩屑收集箱
US20160200503A1 (en) Intermodal bulk aggregate container
KR101589251B1 (ko) 컨테이닝 시스템
KR200412437Y1 (ko) 벌크적재함의 화물흡입 토출관시스템.
KR200468113Y1 (ko) 하부배출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JP2007189925A (ja) 活魚収納容器及び活魚収納容器へのエアポンプ装置収納方法
JPH026711B2 (ko)
US11174098B2 (en) Logistics container for frac sand and frac liquid
CN213200558U (zh) 一种物料周转装置
JP2002187592A (ja) 粉体運搬船
GB2314555A (en)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detachable fu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