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384Y1 - 흡연 보조구 - Google Patents

흡연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384Y1
KR200222384Y1 KR2020000032275U KR20000032275U KR200222384Y1 KR 200222384 Y1 KR200222384 Y1 KR 200222384Y1 KR 2020000032275 U KR2020000032275 U KR 2020000032275U KR 20000032275 U KR20000032275 U KR 20000032275U KR 200222384 Y1 KR200222384 Y1 KR 200222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ing
cigarette
lid
cigarette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호
Original Assignee
조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호 filed Critical 조규호
Priority to KR2020000032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3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384Y1/ko

Links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연시 담뱃불에 의한 화상이나 화재의 염려가 없어 보다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흡연 보조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흡연자의 담뱃불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 방치되고 있어 부주의시 담뱃불로 인해 화상이나 화재로 인한 재산상의 손실을 초래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키며, 흡연시 사용되었던 담배꽁초 및 담배 재를 수거할 수 있는 개인용 재떨이가 구비되지 않아 주변을 더럽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흡연자가 담배를 피우던 중 담배를 떨어뜨리는 실수를 범하더라도 담뱃불에 의한 화상이나 화재의 염려 없이 보다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면서도 흡연시 발생되는 담배 재와 담배꽁초는 일시적으로 보관하였다가 추후에 지정된 곳 버리도록 유도함으로써 이들로 인해 거리나 주변이 더렵혀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한 것임.

Description

흡연 보조구 {Cigarettes holder}
본 고안은 흡연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연시 담뱃불에 의한 화상의 염려가 없고, 흡연 중에 발생하는 담배 재 및 담배꽁초는 일시적 수거 보관하였다가 추후에 일정한 장소에서 버릴 수 있게 한 흡연 보조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기호품중의 하나인 담배는 허여된 장소에서만 흡연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길거리를 오고 가는 보행 중에도 담배를 흡연하게 되고 이들은 담배 재 및 꽁초를 버릴 수 있는 적당한 장소를 찾지 못하여 이를 아무 곳에나 버리게 되어 거리는 물론 주변을 더럽히게 되는 주범이 되고 있다.
그리고 담뱃불은 약3,600℃이상의 고열을 내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소홀히 다루거나 실수로 담뱃불을 떨어뜨리게 되는 경우 담뱃불로 인해 화상을 입거나 화재를 유발하게 되어 귀중한 재산상의 손실을 야기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담배는 라이터나 성냥을 이용하여 일단 불을 붙인 후에는 공기가 공급되는 한 계속적으로 연소하게 되므로 흡연후에는 담뱃불의 소화 여부를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은 흡연자의 담뱃불이 아무런 안전장치 없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 방치되고, 흡연시 사용되었던 담배꽁초 및 담배 재를 수거하였다 하더라도 이를 일시적으로 보관후 적당한 장소에 버릴 수 있는 개인용 재떨이가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비롯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흡연자가 담배를 피우던 중 담배를 떨어뜨리는 실수를 범하더라도 담뱃불에 의한 화상이나 화재의 염려 없이 보다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흡연 보조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또한 흡연시 발생되는 담배 재와 담배꽁초는 일시적으로 보관하였다가 추후에 지정된 곳 버리도록 유도함으로써 이들로 인해 거리나 주변이 더렵혀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흡연 보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인 바,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연 보조구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의 흡연 보조구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흡연 보조구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2,22: 거치대
14: 공기구멍 16: 재수거부
18: 가이드 20: 뚜껑
24: 통풍구 25: 가이드돌기
26: 덮개 27: 안내가이드
30: 힌지 40: 잠금장치
42,44: 요철부 50: 스프링
A: 흡연 보조구 B: 담배 재
C: 담배
도 1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흡연 보조구의 예시도로서, 본 고안의 흡연 보조구(A)는 반구형으로 되는 본체(10)와 뚜껑(20)에 의해 하나의 중공 원통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와 뚜껑(20)은 일측면이 힌지(30)로 연결되어 본체(10)의 상면으로 회동되어지는 뚜껑(20)에 의해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되고, 상기 본체(10)와 뚜껑(20)에는 이들의 결합상태를 유지 및 해지하도록 된 잠금장치(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흡연 보조구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일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흡연 보조구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으로 된 흡연 보조구(A)에 있어 본체(10)의 일측단에는 담배(C)의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된 거치대(12)가 부설되고, 그 내측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구멍(14), 재수거부(16)로 담배 재(B)를 안내 및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18)가 구비되어 있다.
뚜껑(20)의 일측단에는 본체(10)의 거치대(12)가 서로 대향되는 거치대(22)가 배치되고, 그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통풍구(24,24,‥)와 상기 통풍구(24) 단속을 위해 그 일측에 안내가이드(27)가 구비된 덮개(26)가 부설되어 통풍구(24)의 상면으로 슬라이딩되는 덮개(26)가 통풍구(24)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재수거부(18)는 보다 많은 량의 담배 재 수거를 위해 본체(10)의 일측단을 하부측으로 볼록하게 구성하였고, 상기 통풍구(24)가 설치되는 부위는 내측면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만큼 내측으로 압압되고 그 안쪽면에는 하향 돌출되는 가이드돌기(25)가 연설되어 상기 가이드돌기(25)로 인해 담배재가 통풍구(24)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잠금장치(40)는 뚜껑(20) 또는 본체(10)에 각각 부설되는 요철부(42,44)로 되어 이들 요철부(凹凸부)(42,44)가 상호 결합되는 것에 의해 뚜껑(20)이 개방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되고, 상기 요부(凹)(40)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착 성형하고 이와 결합되는 철부(凸)는 별도의 브라켓이 뚜껑(20) 또는 본체(10)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이들이 상호 결합되는 것에 의해 잠금기능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와 뚜껑(20)이 결합되는 조립부에 별도의 스프링(50)을 고정되게 설치하여 잠금장치(40)의 고정상태가 해지되었을 때는 상기 스프링(50)의 탄성에 의해 뚜껑(20)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 결합된 본 고안은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흡연자가 흡연 보조구(A)를 이용하여 담배(C)를 흡연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존처럼 담배(C) 끝에 불을 붙인 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연 보조구(A)의 뚜껑(20)을 개방하여 불이 붙은 쪽이 본체(10)의 내측에 위치하게 하고 필터부위는 본체의 바깥쪽에 향하도록 거치대(12)에 담배(C)의 필터부위를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뚜껑(20)에도 동일하게 형성된 거치대(22)가 나머지부위를 마저 감싸도록 뚜껑(20)을 닫으면 본체(10)와 뚜껑(20)에 각각 형성된 잠금장치(40)에 의해 본체(10)와 뚜껑(20)은 고정되게 된다.(도 1 참고)
이러한 상태에서 뚜껑(20)에 부설된 덮개(26)를 일측방향으로 밀어 통풍구(24)를 개방시키면 흡연 보조구(A)에 형성된 각각의 공기구멍(14)과 통풍구(24)를 통해 공기가 순환 유입되게 되어 담뱃불은 꺼지지 않고 연소되게 된다.
따라서 흡연자는 흡연 보조구(A)의 외주면을 움켜쥐듯이 잡은 채 담배(C)를 흡연하면 담배(C)는 흡연 보조구(A)의 내측에서만 연소되고, 담배연기는 뚜껑(20)에 형성된 통풍구(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도고, 이때 담배 재(B)는 가이드(18)를 통해 재수거부(16)에 모이게 된다.
한편, 담뱃불을 끄고자 할 경우에는 덮개(26)를 이전과는 반대방향으로 밀어 통풍구(24)를 닫으면 더 이상 통풍구(24)로 공기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담뱃불은 자동으로 소화되고, 또 다른 방법으로는 불이 붙은 부분이 거치대(12,22)에 위치하도록 담배(C)를 잡아당기면 담배는 더 이상 연소되지 않고 자동 소화될 수 있는 것이 다.
이처럼 담뱃불이 모두 소화시킨 후에는 뚜껑(20)을 열고서 그 내부에 잔존하는 담배 재와 거치대(12,22)에 고정된 담배꽁초를 제거하면 반복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담배(C)를 흡연하더라도 담뱃불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담뱃불에 의한 화상이나 화재의 염려가 없고, 흡연 중에 발생된 담배 재는 재수거부(16)에 모두 수거함으로써 재떨이가 없는 곳에서도 주변을 더럽히지 아니하고 담배를 흡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흡연 보조구(A)에 별도의 재수거부(16)RK 본체의 하부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도시 설명하였으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 수거부를 갖지 아니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담배 흡연 시에는 흡연 보조구(C)에 담배(C)를 끼워 넣은 상태로 흡연하게 되므로 담뱃불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담뱃불에 의한 화상이나 화재의 염려가 없이 안전하게 담배를 흡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흡연 중에 발생된 담배 재는 재수거부(16)에 모두 수거함으로써 재떨이가 없는 곳에서도 흡연이 가능하고, 흡연 후에는 덮개(26)를 닫는 것만으로 담뱃불이 흡연 보조구(A)내에서 자동으로 소화되게 되므로 종래처럼 벽이나 바닥에 담뱃불을 비벼대는 불편이 없게되어 주변을 더럽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흡연 보조구(A)에 별도의 가이드(18)와 가이드돌기(25) 및 통풍구(24)를 단속하는 덮개(26)가 구비되고 있어 흡연 보조구(A)를 주머니나 가방에 휴대하더라도 담배 재(B)가 외부로 누출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흡연 보조구(A)는 크기가 작고 휴대가 용이하여 실내에서는 물론 등산이나 야외 활동시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차량 운행하면서 담배(C)를 흡연할 수밖에 없는 운전자에게는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흡연 보조구(A)는 반구형으로 된 본체(10)와 뚜껑(20)의 일측면이 힌지(30)로 연결되어 본체(10)의 상면으로 회동되는 뚜껑(20)에 의해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되고, 상기 흡연 보조구(A)에는 본체(10)와 뚜껑(20)을 고정 및 해지하는 잠금장치(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보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담배(C)를 지지하는 반구형 거치대(12),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구멍(14), 재수거부(16)로 담배 재를 안내 및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18)가 구비되고,
    뚜껑(20)에는 상기 거치대(12)와 서로 대향되게 거치대(22)가 배치되고, 그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통풍구(24,24,‥)가 설치되어 안내가이드(27)가 구비된 덮개(26)가 상기 통풍구(24)를 단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보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24)의 안쪽면에는 가이드돌기(25)가 연설되어 담배재가 상기 통풍구(24)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보조구.
KR2020000032275U 2000-11-17 2000-11-17 흡연 보조구 KR200222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275U KR200222384Y1 (ko) 2000-11-17 2000-11-17 흡연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275U KR200222384Y1 (ko) 2000-11-17 2000-11-17 흡연 보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384Y1 true KR200222384Y1 (ko) 2001-05-02

Family

ID=7309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275U KR200222384Y1 (ko) 2000-11-17 2000-11-17 흡연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3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481B1 (ko) 2014-01-28 2014-05-14 김윤권 휴대용 흡연보조기구
KR200486678Y1 (ko) 2017-03-15 2018-07-20 김경수 끽연 보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481B1 (ko) 2014-01-28 2014-05-14 김윤권 휴대용 흡연보조기구
KR200486678Y1 (ko) 2017-03-15 2018-07-20 김경수 끽연 보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0073B2 (ja) 自動点火式タバコ煙浄化装置
US20110083674A1 (en) Cigarette safety holder
JP2011508590A (ja) タバコを再生させることが可能な、タバコを点火および消火する装置
EP0876112B1 (en) A device for controlling free-burn rate of and reducing sidestream smoke from a cigarette and the like
US20050236005A1 (en) Caddy for smoking accessories
KR200222384Y1 (ko) 흡연 보조구
KR101938741B1 (ko) 라이터 겸용 휴대용 재떨이
US5499634A (en) Cigarette snuffer
JP3134417U (ja) 灰皿付きパイプ
KR100650159B1 (ko) 휴대용 담배 파이프 겸용 재떨이
KR20100001755U (ko) 휴대용 흡연 보조기구
KR200226469Y1 (ko) 방향제가 부설된 휴대용 재떨이
KR20190002150U (ko) 화재 안전 담배
KR200199735Y1 (ko) 재떨이가 부설된 라이터
KR20120043477A (ko) 휴대용 안전 흡연 케이스
KR200350997Y1 (ko) 담뱃불 소화구
KR870003571Y1 (ko) 담배불 소화구
KR980006261U (ko) 담배개피를 수납시켜 흡연할 수 있도록 된 담배파이프
KR200179679Y1 (ko) 담배꽁초 소화,보관구가 있는 휴대용 라이타
JPH08228749A (ja) 紙巻煙草の灰落ち防止具
KR200276310Y1 (ko) 휴대용 담배 마스터케이스
KR200354518Y1 (ko) 소화실이 구비된 재떨이
JP2002065235A (ja) 紙巻タバコの喫煙具
KR970004830Y1 (ko) 라이터가 부설된 휴대용 재털이
KR960003542Y1 (ko) 휴대용 재떨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