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291Y1 - 도어록(A door lock) - Google Patents

도어록(A door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291Y1
KR200222291Y1 KR2019980011339U KR19980011339U KR200222291Y1 KR 200222291 Y1 KR200222291 Y1 KR 200222291Y1 KR 2019980011339 U KR2019980011339 U KR 2019980011339U KR 19980011339 U KR19980011339 U KR 19980011339U KR 200222291 Y1 KR200222291 Y1 KR 2002222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ok
piece
user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1567U (ko
Inventor
윤병규
Original Assignee
윤병규
두하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규, 두하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병규
Priority to KR2019980011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29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15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5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2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291Y1/ko

Lin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칸막이식으로 설치되는 화장실의 도어에 사용되는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의 사용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되는등 사용자가 도어를 열 수 없게되는 경우 도어를 파괴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간단히 열어 줄 수 있게 하기위해, 도어(30)에 착설하는 걸림부재(10)의 걸림편(13)을 걸어주게 문틀(40)에 차설하는 걸이부재(20)의 상·하부에 외단(231)이 개방된 걸이홈(23)을 설치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록(A door lock)
본 고안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용 도어에 주로사용되며, 필요시에는 외부에서도 잠김상태를 해제시켜 도어를 열어 줄 수 있게한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형건물등에 설치되는 화장실은 칸막이식으로 되며, 또 칸막이와 도어들은 바닥과 천정으로부터 격리되게 설치되었고, 종래의 이러한 화장실도어에 사용되던 도어록들은 사용자가 내부에서만 잠그거나 열어주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록들은 외부에서는 잠김 상태를 해제시켜 줄 수 없었기 때문에, 내부의 사용자가 뇌출혈등으로 인하여 졸도하게 되는등의 위급상황이 발생되는등 사용자가 도어를 열수없게되는 경우에는 도어를 파괴하여야 되었다.
따라서, 도어를 파괴해야되는데 따른 물적손실은 물론, 응급조치가 지연되어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는등 사용상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필요시에는 외부에서 잠김상태를 간단히 해제시켜 도어를 열어줄 수 있게한 도어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동 사용상태 정면도
제3도는 동 요부발췌 확대도
제4도는 동 잡금상태 확대평단면도
제5도는 동 열림상태 확대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걸림부재 13 : 걸림편
20 : 걸이부재 23 : 걸이홈
231 : 외단 30 : 도어
40 : 문틀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필요시 도어를 외부에서 수직으로 들어올려주기만 하면 잠김상태가 해제되므로 도어를 열어줄 수 있게되는 도어록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도어록은 도어에 착설하는 걸림부재와, 문틀에 착설되며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편이 걸어지는 걸이홈을 갖춘 걸이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걸이홈은 걸이부재의 걸이편 상·하부에 외단이 개방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화장실 내에서 도어를 닫은 다음 걸림부재의 걸림편을 수평이동시켜, 그 단부를 걸리홈에끼워 걸어지게하면, 도어는 내부에서 잠기게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되어 외부에서 도어를 열고져 할 때에는, 외부에서 도어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주면 되는데, 이렇게하면 걸이홈은 그 단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걸어져있는 걸림편이 걸이홈으로부터 간단히 이탈되기 때문에 도어는 잠김상태가 해제되고, 이에따라 도어를 파괴하지않고도 간단히 열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중(10)은 도어(30)에 착설하는 걸림부재이다.
이 걸림부재는 고정편(11)과, 이 고정편의 전면에 고정착설되는 지지편(12)과, 이 지지편의 중간을 횡단하게 전면으로 절곡된 안내부(121)내에 좌·우이동되게 결합되는 걸림편(13)과, 상기 고정편과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게 착설되어 걸림편이 좌·우이동될 때 유동되지 않도록 탄발지지하는 판스프링(14)으로 구성된다.
안내부(121)의 중간에는 안내장공(122)이 뚫어 설치되며, 걸림편(13)의 전면 중앙에는 그 단부가 상기 안내장공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 노출되는 체결핀(131)이 고정착설되고, 이 체결핀에는 손잡이(132)가 나사식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손잡이(132)를 잡고 걸림편(13)을 좌·우이동시켜주면 안내장공(122)의 범위내에서 이동되어 그 양단부가 이동방향에 따라 안내부(121)의 양측단 중 어느한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도면부호중(20)은 문틀(40)에 착설되는 걸이부재 이다.
이 걸이부재는 고정편(21)과 이 고정편의 일측단에 직각으로 절곡 연장된 걸이편(22)과, 이 걸이편의 상·하부에 외단(231)이 개방되게 설치되는 걸이홈(23)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걸이홈은 상·하 어느한쪽에 설치하여도 되지만 상·하에 설치한 것은, 그 단부가 개방되게 하여야 됨은 물론, 특히 도어(30)가 여닫히는 방향에 따라 걸이부재(20)의 상·하기 바뀌게 착설되기 때문이다.
즉, 도 2~3에서와 같이 도어(30)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여닫히게 설치된 경우에는 걸이부재(20)가 문틀(40)의 좌측에 착설되지만, 이와 반대로 여닫히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문틀(40)의 우측에 착설되어야 되기때문에, 걸이홈(23)들을 상·하에 설치하면 하나의 걸이부재(20)로 모두 적용할 수 있게 됨에 따른 것이다.
또한, 상기 걸이홈들의 외단(231)을 개방되게한 것은, 도어(30)를 수직으로 들어 올리는 경우 걸이홈(23)에 걸어져 있는 걸림편(3)이 상기 걸이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잠김상태가 해제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이를 위해서는 도어(30)가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들어올려져야 되는데, 이는 도어(30)를 문틀(40)에 회전되게 축착시켜주는 경첩(50)의 도어(30)에 착설되는 가동부재(51)와, 문틀(40)에 착설되는 고정부재(52)를 축핀(53)으로 축착함에 있어, 도어(30)를 들어올리면 가동부재(51)가 축핀(53)으로부터 이탈되게 하여줌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도어록은 도3~4에서 보는바와 같이 도어(30)를 닫은다음, 내부에서 걸림편(13)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주면, 이 걸림편의 좌측단이 걸이부재(20)의 상측위치 걸이홈(23)에 걸어지므로 도어(30)는 잠겨지게되고, 반대로 도5에서 보는바와같이 걸림편(13)을 우측으로 이동시켜주면 그 좌측단이 걸이홈(23)으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도어(30)의 잠김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과정에서 내부에있는 사용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되어 사용자가 도어(30)를 열지 못하게 되는등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도2~3에서의 가상선(A)과 같이 도어(30)를 수직으로 들어올려 걸이홈(23)에 걸어져있는 걸림편(13)을 상기 걸이홈의 개방된 단부(231)를 통해 수직으로 이탈시켜주면 잠김상태가 해제되므로 도어(30)를 외부에서 열어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사용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의한 도어록은, 사용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되는등 내부에서 도어를 열지못하게 되는경우, 외부에서 도어를 열어야 될때, 도어를 파괴하지않고 간단히 열어줄 수 있게 되므로 물적손실의 방지는 물론, 위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되는 장점이 있으며, 또 이에따라 인명의 응급구조에도 크게 기여하게 되는등 매우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도어(30)에 착설되며, 걸림편(13)이 좌·우이동가능하게 결합설치된 걸림부재(10)와, 문틀(40)에 착설되며 상기 걸림편(13)의 단부가 걸어지는 걸이홈(23)이 그 외단(231)이 개방되게 설치된 걸이부재(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2. 제1항에 있어서, 걸이홈(23)이 걸이부재(20)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KR2019980011339U 1998-06-29 1998-06-29 도어록(A door lock) KR2002222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339U KR200222291Y1 (ko) 1998-06-29 1998-06-29 도어록(A door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339U KR200222291Y1 (ko) 1998-06-29 1998-06-29 도어록(A door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567U KR20000001567U (ko) 2000-01-25
KR200222291Y1 true KR200222291Y1 (ko) 2001-05-02

Family

ID=6951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339U KR200222291Y1 (ko) 1998-06-29 1998-06-29 도어록(A door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2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567U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3949A (en) Safety door latch
US2824440A (en) Panic exit lock
US3270536A (en) Combined casement window latch with locking means
TW201728821A (zh) 可逆之可左右安裝閂鎖
US3863968A (en) Security device for a door
JPS587893Y2 (ja) 引き戸の外れ止め装置
KR200222291Y1 (ko) 도어록(A door lock)
US3043617A (en) Two-way closure locks
US4750237A (en) Trolley assembly for a pocket door
KR101331895B1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KR200386690Y1 (ko) 창호 잠금장치의 지지구조물
KR200351050Y1 (ko) 방화문용 안전록
KR100316385B1 (ko) 미닫이 문의 잠금장치
KR960004862Y1 (ko) 도어고정용안전걸이구
JP2009052323A (ja) 内外双方向開閉自在の門扉
JPH052768Y2 (ko)
KR200218009Y1 (ko) 미닫이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910001116Y1 (ko) 도어에 사용되는 힌지겸용 잠금장치
US2830837A (en) Hardware for combination sash and screen
KR890001329Y1 (ko) 도어록 장치
JPH0755784B2 (ja) エレベータかご室照明装置
KR200254633Y1 (ko) 방범창구조체
JP3128724B2 (ja) 家具用把手
KR910008462Y1 (ko) 보조문이 장치된 현관문
JP2729197B2 (ja) 面格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