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329Y1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329Y1
KR890001329Y1 KR2019850013142U KR850013142U KR890001329Y1 KR 890001329 Y1 KR890001329 Y1 KR 890001329Y1 KR 2019850013142 U KR2019850013142 U KR 2019850013142U KR 850013142 U KR850013142 U KR 850013142U KR 890001329 Y1 KR890001329 Y1 KR 890001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ock
door
closing
fusel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3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929U (ko
Inventor
권순훈
Original Assignee
권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훈 filed Critical 권순훈
Priority to KR2019850013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329Y1/ko
Publication of KR8700069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9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3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mprising a flexible member, e.g. chains
    • E05C17/365Security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록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절개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4도의 (a), (b)도는 본 고안의 개폐 손잡이에 설치된 안전 개폐버튼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고안은 현관문 자체의 손잡이 겸용 장치의 추가로 설치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록체인의 걸림봉을 걸어주는 걸이구멍을 동체의 개폐부 반대편측 호형면에 천공, 형성하여 록체인에 의해 문이 조금 열린 상태에서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저지되었을때 외부에서는 절대록체인의 걸림봉을 걸이구멍에서 해제할수 없도록 하였을뿐 아니라 걸이구멍을 개폐부 반대편측 호형면에 수직상으로 천공 하였음으로 좌 또는 우측으로 개폐되는 문에 관계없이 설치 사용할수 있으며, 또한 동체전면에 부착된 개폐손잡이 일측에 도어실린더를 록 상태로 고정시킬수 있는 푸쉬버튼식 안전록장치를 부설한 것이다.
종래에도 록체인이 있는 도어록장치에 있어서 록체인의 걸림봉을 걸어주는 걸이구멍을 동체의 전면 중앙에 또는 상, 하면에 형성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아파트등의 현관문은 대부분 바깥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동체 전면이나 상, 하면에 괘공을 천공한 것은, 그 괘공에 록체인의 걸림봉을 걸어놓고 도어록 장치를 개방 상태로하여 문을 개문상태로 하게 되면 문은 록체인에 의하여 밖으로 조금 열린 상태또는 조금 열릴수 있는 상태가 되는데, 그 열린틈(약5-7cm 정도)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동체와 록체인을 해제시킬 수 있는 폐단이 있었다. 즉, 이러한 종래의 것은 동체 전면이나 상, 하면에 괘공을 천공하였기 때문에 조금 열린틈으로 외부 사람이 손을 편 상태로 집어넣고 전면에 천동된 괘공에 걸려있는 걸림봉을 위로 들어 올리거나 또는 상, 하면중 어느 하나의 걸이구멍에 걸려있는 걸림봉을 뒤로 밀어주는 동작으로 쉽게 걸림봉을 걸이구멍에서 이탈시킬 수 있는 폐단이 있어 방문객으로 가장한 불의의 침입자를 완벽하게 저지시킬수 없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폐단을 제거함과 동시에 내측에서는 도어록장치의 실린더의 폐쇄상태를 확고히 하는 안전록 장치를 부설하여 불의의 침입자의 출입을 절대 형용치않게 함은 물론이고 나아가 예기치 않은 침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에 개폐부(1')가 형성된 동체(1)와 걸림체(2) 및 록체인(3) 일측단에 걸림봉(3')을 연결하고, 이의 타측단에 록체인 연결구(10)을 연결 구성한 것에 있어서, 동체(1)의 개폐부(1')반대편측의 호형면에 삽입공(4)을 형성하고, 이 삽입공(4)과 상, 하로 연통되게 뚫은 걸이구멍(5) 상, 하단 각각에 걸이홈(5')(5″)을 형성한 다음, 동체(1)전면에 부착되는 공지의 개폐손잡이(6)일측에 형성시킨 단층부(7)에 록봉(9')을 갖는 안전 개폐버튼(9)을 설치하여서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8은 동체 (1)에 형성한 록공, 10'는 록체인(3)을 설치하는 연결구에 돌설된 록체인 걸고리, 11과 12는 문과 문설주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의 도시와 같이 문(11)이 폐문된 상태에서 동체(1) 개폐부(1') 반대편측인 호형면에 천공된 삽입공(4)을 통하여 록체인(3)의 걸림봉(3')을 삽입시키면 걸림봉(3')은 걸이구멍(5)하측부로 떨어져 걸이홈(5')(또는(5″)내에 위치하게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문(11)을 열게 되면 걸림봉(3')과 문설주(12)에 체착된 연결구(10)에 연결된 록체인(3)에 의하여 문(11)은 제3도의 도시와 같이 5-7cm정도만 열리게 되는데, 이때에는 걸림봉(3')이 걸이구멍(5)의 일단 걸이홈(5')내에 걸린 상태가 되므로써, 록체인(3)의 걸림상태가 확고해지는 것이며, 또한 문(11)이 조금 열린틈으로 외부자가 손을 집어 넣더라도 동체(1)의 호형면까지는 손이 미치지 않아 호형면에 형성된 걸이구멍(5)에 걸려있는 걸림봉(3')을 위로 올려줄수 없을뿐만 아니라 설령 외부자의 손이 호형면까지 가까스로 닿는다 하더라도 문(11)이 조금 열린 상태에서는 록체인(3)이 팽팽한 상태이고, 또한 걸림봉(3')이 걸이구멍(5)의 일단 걸림홈(5')에 의하여 상승이 저지된 상태임으로 걸림봉(3')을 상승시킬 수 없게되어 절대 외부에서는 걸림봉(3')을 걸이구멍(5)에서 해제시킬수 없으며, 이를 해제하여 문(11)을 열고자할때에는 조금 열었던 문(11)을 다시 닫아서 팽팽하였던 록체인(3)을 느슨하게 한 후에 걸림봉(3')을 걸이구멍(5)에서 해제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동체(1)의 개폐부(1')의 록봉을 걸림체(2)에 걸어놓고 개폐손잡이(6)일측의 단층부(7)에 설치된 안전 개폐버튼(9)을 제4도의 (a)도와 같이 눌러주지 않은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열쇠 또는 모방열쇠등을 이용하여 개폐부(1')의 록봉을 걸림체(2)에서 해제시킬수 있는데, 제4도의 (b)도와 같이 안전개폐 버튼(9)을 눌러주어 록봉(9')이 록공(8)에 삽입되게 하였을때에는 개폐손잡이(6)가 회동할수 없게됨으로서 외부에서는 절대문(11)을 열수 없게 된다. 즉, 개폐손잡이(6)는 열쇠가 삽입되는 실린더의 회전체에 직결된 개폐작동간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안전 개폐버튼 (9)의 록봉(9')이 동체(1)의 록공(9)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실린더의 회전체에 제 열쇠를 삽입하더라도 그 회전체는 회동되지 않게 되므로써 안전 개폐버튼(9)이 작동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문(11)을 열수 없게된다.
따라서, 불의의 침입자의 출입을 막을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동체의 개폐부 반대편측인 호형면에 걸이구멍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외부에서는 록체인을 절대 해제할수 없어 방문객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을 조금 열었을때 외부의 방문객 스스로가 문을 열고 들어올수 없으며, 또한 문을 폐문상태로 하고 개폐손잡이의 안전 개폐버튼을 누름 작동하였을 때에는 외부에서 실린더의 회전체를 회동시킬수 없으므로 문의 폐문상태를 확고히 유지시킬수 있어 외부 침입자의 출입을 절대 허용치 않는 등의 안전효과가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일측에 개폐부(1')가 형성된 동체(1)와 록체인(3)일측단에 걸림봉(3')을 연결하고, 이의 타측단에 록체인 연결구(10)을 연결 구성한 것에 있어서, 동체(1)의 개폐부(1') 반대편측의 호형면에 삽입공(4)을 형성하고, 이 삽입공(4)과 상, 하로 연통되게 뚫은 걸이구멍(5) 상, 하단 각각에 걸이홈(5')(5″)을 형성한 다음, 동체 (1) 전면에 부착되는 공지의 개폐손잡이(6)일측에 형성시킨 단층부(7)에 록봉(9')을 갖는 안전 개폐버튼(9)을 설치하여서된 도어록장치.
KR2019850013142U 1985-10-10 1985-10-10 도어록 장치 KR890001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3142U KR890001329Y1 (ko) 1985-10-10 1985-10-10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3142U KR890001329Y1 (ko) 1985-10-10 1985-10-10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929U KR870006929U (ko) 1987-05-11
KR890001329Y1 true KR890001329Y1 (ko) 1989-03-31

Family

ID=1924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3142U KR890001329Y1 (ko) 1985-10-10 1985-10-10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3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929U (ko) 198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7838A (en) Portable pick-proof deadbolt attachment
US4103949A (en) Safety door latch
US4127967A (en) Burglar-resistant door assembly
US5501494A (en) Portable door lock suitable for use by people of all ages
US4885921A (en) Accessory for doors having supplemental locks
US3660996A (en) Locking device for a doorknob lock
KR890001329Y1 (ko) 도어록 장치
GB2180586A (en) Security device for doors and windows
KR20000006103U (ko) 방범을 위한 미닫이창의 열림방지장치
KR20000006104U (ko) 방범을 위한 미닫이창의 열림방지장치
US2301116A (en) Safety latch shackle
US4921287A (en) Security door window latch
KR20010016844A (ko) 창문의 잠금장치
US4079973A (en) Adjustable chain door guard
KR0136555Y1 (ko) 미닫이문 자동괘정구
US4790577A (en) Door push-bar lock-out retainer
KR920003273Y1 (ko) 철책문의 자물쇠 장치
KR200218009Y1 (ko) 미닫이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US4890868A (en) Door latch
US5154455A (en) Deadbolt lock having a U-shaped squeeze operated sliding bolt
KR200164139Y1 (ko) 텐트용 지퍼 잠금기구
GB2275494A (en) Security device for a door
KR810001932Y1 (ko) 도어정의 고정장치
KR910000720Y1 (ko) 전자렌지의 도어 록킹장치
KR200190963Y1 (ko) 도어용 보조 자물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