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142Y1 -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142Y1
KR200222142Y1 KR2019980002261U KR19980002261U KR200222142Y1 KR 200222142 Y1 KR200222142 Y1 KR 200222142Y1 KR 2019980002261 U KR2019980002261 U KR 2019980002261U KR 19980002261 U KR19980002261 U KR 19980002261U KR 200222142 Y1 KR200222142 Y1 KR 200222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assenger transport
mold member
glass panel
transpor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393U (ko
Inventor
천휴덕
Original Assignee
장병우
엘지오티스엘리베이터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우, 엘지오티스엘리베이터유한회사 filed Critical 장병우
Priority to KR2019980002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142Y1/ko
Publication of KR199900363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3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142Y1/ko

Link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핸드레일을 지지 안내하도록 유리판넬이 프레임으로 지지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프레임을 복개하여 은폐시키는 데크에 상기한 유리판넬의 양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몰드부재가 개재되는 승객수송장치에 있어서, 데크 및 이에 결합되는 몰드부재의 상호 대응면 중에서 어느 한쪽의 대응면에는 걸림단을 갖는 고정돌부가 횡렬로 형성되는 반면, 그에 대면되는 맞은편 대응면에는 상기한 걸림단이 걸리도록 걸림턱을 갖는 고정홈부가 역시 횡렬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와 몰드부재가 후크식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데크의 조립시 후크식으로 조립하므로 그 조립작업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여 쉽게 탈거되지 않고 공장에서 기계가공을 통해 정확한 치수로 생산 조립되므로 조립후에도 단차가 발생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Description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
본 고안은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승객수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판넬과 데크 사이에 개재되는 몰드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있는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지하철, 오피스텔 등과 같은 대형 건물에는 다수의 승객을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등의 승객수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승객수송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계단식으로 승객을 이동시키는 스텝(1)과, 그 스텝(1)의 양측에 고정되는 유리판넬(2)과, 그 유리판넬(2)의 외주면에 감기도록 장착되어 별도의 전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일방향운동을 함과 아울러 스텝(1)에 탑승한 승객이 안전을 위해 파지하는 핸드레일(3)과, 상기 유리판넬(2)의하반부 양측을 지지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내,외측 프레임(4A,4B)과, 그 내,외측 프레임(4A,4B)의 상측을 덮어주는 내,외측데크(5A,5B)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데크(5A)는 그 중간부가 내측 프레임(4A)에 고정되는 반면, 내측단은 유리판넬(2)에 압착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측데크(5B)는 그 저면에 별도의 연결부재(6)가 내삽되어 각 외측데크가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부재(6)는 외측 프레임(4B)의 지지브라켓(9)에 고정볼트(7)로 체결되는 것이었다.
여기서, 상기 내,외측데크(5A,5B)는 각 내측단면이 모두 유리판넬(2)의 양면에 각각 압착 지지되는데, 그 유리판넬(2)과 내,외측데크(5A,5B)의 각 접촉면에는 내,외측몰드(10A,10B)가 각각 개재되어 있다.
상기 내,외측몰드(10A,10B)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판넬(2)에 접촉되는 각 일측면이 편평한 반면에, 각 내,외측데크(5A,5B)가 접촉되는 타측면에는 각 내,외측데크가 끼워지기 위한 ‘ㄷ’자 단면 형상의 데크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에서 외측몰드(10B)의 데크삽입홈(11)에는 경우에 따라서 외측데크(5B)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테이프(미도시)가 부착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C는 콤플레이트, M은 몰딩재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몰드에 있어서, 데크(5A,5B)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그 데크(5A,5B)를 각 몰드(10A,10B)의 데크삽입홈(11)에 그대로 삽입 취부시킨 상태에서 각 구조물에 조립하는 것이었으나, 이는 조립작업이 난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데크(5A,5B)의 내측단에 몰드(10A,10B)를 얹은 상태로 취부되어 그 데크(5A,5B)의 조립시 몰드가 자주 탈거되는 것은 한편, 상기 데크(5A,5B)의 길이가 길은 경우에는 몰드(10A,10B)의 데크삽입홈(11) 안쪽에 별도의 양면테이프(미도시)를 접착시켜 데크를 부착시키는 것이었으나, 이 역시 조립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정확하게 접착되지 않으면 연결부에 단차가 발생되어 외견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데크의 조립시 그 조립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쉽게 탈거되지 않고 조립후에도 단차가 발생되지 않는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를 제공하려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승객수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3 및 도 3b는 종래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에 있어서, 각 몰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에 있어서, 몰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유리판넬 110, 120; 내, 외측데크
111,121; 고정홈부 111a, 121a; 걸림턱
210,220; 내,외측몰드 211,221; 고정돌부
211a, 221a; 걸림단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핸드레일을 지지 안내하도록 유리판넬이 프레임으로 지지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프레임을 복개하여 은폐시키는 데크에 상기한 유리판넬의 양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몰드부재가 개재되는 승객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크 및 이에 결합되는 몰드부재의 상호 대응면 중에서 어느 한쪽의 대응면에는 걸림단을 갖는 고정돌부가 횡렬로 형성되는 반면, 그에 대면되는 맞은편 대응면에는 상기한 걸림단이 걸리도록 걸림턱을 갖는 고정홈부가 역시 횡렬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와 몰드부재가 후크식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에 있어서, 각 몰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는,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핸드레일(미도시)이 감긴 유리판넬(2)의 양측 하반부에 내,외측 프레임(4A,4B)이 설치되고, 그 내,외측 프레임(4A,4B)의 각 상부에는 내,외측데크(110,120)가 프레임(4A)에 삽입되거나 또는 별도의 지지브라켓(9)에 체결 고정되는 데, 상기 내,외측데크(110,120)의 상호 대향되는 각 일단은 내,외측몰드(210,220)가 각각 끼워져 상기 유리판넬(2)의 양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내,외측데크(110,120)의 조립시 각 데크에 끼워지는 내,외측몰드(210,220)가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각 데크(110,120)의 연결부가 편평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내,외측데크(110,120)의 서로 대향되는 각 단면에는 고정홈부(111,121)가 각각 길게 형성되는 반면, 그 고정홈부(111,121)에 대면되는 상기 내,외측몰드(210,220)의 각 면에는 고정돌부(211,22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부(211,221)가 고정홈부(111,121)에서 용이하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 고정홈부(111,121)의 내면에는 걸림턱(111a,121a)이 형성되는 반면, 상기 고정돌부(211,221)의 외면에는 걸림턱(111a,121a)에 걸쳐져 각 데크와 몰드가 후크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단(211a,221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돌부(211,221)와 고정홈부(111,121)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 단수개의 횡렬 줄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횡렬 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상기와 같은 고정구조가 구비된 승객수송장치의 데크는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내,외측 프레임(4A,4B)에 내,외측데크(110,120)가 고정볼트로 체결되거나 또는 클램프에 끼워져 고정되고, 그 내,외측데크(110,120)의 각 내측단은 유리판넬(2)의 양면에 하나씩 밀착되는데, 상기 각 데크(110,120)의 서로 대향되는 단면에는 유리판넬(2)과의 접촉성을 감안하여 몰드(210,220)가 끼워지게 되고, 그 몰드를 기준으로 하여 수개의 내,외측데크(110,120)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데크(110,120)의 각 고정홈부(111,121)에는 몰드(210,220)의 고정돌부(211,221)가 일률적으로 삽입되므로, 연결되는 두 데크(110,미도시)(210,미도시) 사이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고정홈부(111,121)의 내면에는 걸림턱(111a,121a)이 형성되는 반면, 각각의 고정홈부(111,121)에 삽입되는 각 고정돌부(211,221)의 외면에는 걸림단(211a,221a)이 형성되어 상기한 데크(110,120)와 몰드(210,220)가 후크식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데크(110,120)의 조립시 각 몰드(210,220)가 각 데크(110,120)로부터 쉽게 탈거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는, 데크 및 이에 결합되는 몰드부재의 상호 대응면 중에서 어느 한쪽의 대응면에는 걸림단을 갖는 고정돌부가 횡렬로 형성되는 반면, 그에 대면되는 맞은편 대응면에는 상기 한 걸림단이 걸리도록 걸림턱을 갖는 고정홈부가 역시 횡렬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와 몰드부재가 후크식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데크의 조립시 후크식으로 조립하므로 그 조립작업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여 쉽게 탈거되지 않고 공장에서 기계가공을 통해 정확한 치수로 생산 조립되므로 조립후에도 단차가 발생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Claims (1)

  1.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핸드레일을 지지 안내하도록 유리판넬이 프레임으로 지지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프레임을 복개하여 은폐시키는 데크에 상기한 유리판넬의 양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몰드부재가 개재되는 승객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크 및 이에 결합되는 몰드부재의 상호 대응면 중에서 어느 한쪽의 대응면에는 걸림단을 갖는 고정돌부가 횡렬로 형성되는 반면, 그에 대면되는 맞은편 대응면에는 상기한 걸림단이 걸리도록 걸림턱을 갖는 고정홈부가 역시 횡렬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와 몰드부재가 후크식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
KR2019980002261U 1998-02-20 1998-02-20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 KR200222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261U KR200222142Y1 (ko) 1998-02-20 1998-02-20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261U KR200222142Y1 (ko) 1998-02-20 1998-02-20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393U KR19990036393U (ko) 1999-09-27
KR200222142Y1 true KR200222142Y1 (ko) 2001-06-01

Family

ID=6971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261U KR200222142Y1 (ko) 1998-02-20 1998-02-20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1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393U (ko)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9133A (en) Transportation apparatus
JPH0631151B2 (ja) 乗客コンベア
KR200222142Y1 (ko) 승객수송장치의 데크 고정구조
KR102452423B1 (ko) 하중 분산 및 폭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US8800744B2 (en) Handrail for an escalator or a moving walkway
GB2227005A (en) Lifting/mounting panel elements
JP2017052639A (ja)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の製造方法
KR200184500Y1 (ko) 승객수송장치의 외측데크 고정구조
JP2007031113A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装置
KR102331092B1 (ko) 엘리베이터 장식판 고정장치
KR101140266B1 (ko) 천장의 경량틀 조립체
JP2006315853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2021020766A (ja) 乗客コンベア用スカートモール
KR19990069863A (ko) 승객수송장치의 외측데크 고정구조
KR100240955B1 (ko) 에스컬레이터의 난간구조 및 그 체결방법
JPS63288887A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及びその組立方法
SE0102352L (sv) Väggbeklädnad med monteringsbeslag
KR100302697B1 (ko) 에스컬레이터난간의설치구조
KR200375911Y1 (ko) 격자형 중문 조립체
KR100343977B1 (ko) 에스컬레이터의 내측 데크 조립구조
KR20030014463A (ko) 차량용 도어 인사이드 벨트 웨더스트립
KR100689340B1 (ko) 에스컬레이터의 난간고정장치
JP2006104724A (ja) 間仕切りパネルの構造
KR101705099B1 (ko)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고정구조
KR19990027988A (ko)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프레임 고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