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446Y1 -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 Google Patents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446Y1
KR200221446Y1 KR2020000029255U KR20000029255U KR200221446Y1 KR 200221446 Y1 KR200221446 Y1 KR 200221446Y1 KR 2020000029255 U KR2020000029255 U KR 2020000029255U KR 20000029255 U KR20000029255 U KR 20000029255U KR 200221446 Y1 KR200221446 Y1 KR 200221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volatile
pest control
fragrance
insect repel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석
유명옥
Original Assignee
김한석
유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석, 유명옥 filed Critical 김한석
Priority to KR2020000029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4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446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온에서 휘발하여 모기나 파리 등의 해충의 접근을 막는 얇은 판상으로 된 휘발성 해충퇴치향재(10)과,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10)의 상면을 덮는 제1밴드(12)와, 상기 제1밴드의 저면에 접착되어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10)의 저면을 덮는 제2밴드(14)로 이루어 지되, 상기 제1밴드(12)는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10)를 덮는 중간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의 저면에는 사용시 피부에 접착하는 점착제가 도포되고 이 점착제의 점착력을 보호하도록 보호커버(16)(16')가 착탈가능케 부착되며, 상기 중간부에는 다수의 향분출공(18)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중간부의 상면에는 평시에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10)의 발산을 막는 차단커버(20)가 착탈가능케 부착되어 있으므로, 야외에서 인체의 몸에 간단히 부착함에 의해 모기나 파리등의 해충으로부터 인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BAND FOR EXHALING INSECT REPELLENT PERFUME}
본 고안은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장치 및 그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나 날파리등 각종 해충들은 각종 질병을 유발하고 피부 가려움증 등을 일으키며 전염병을 매개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여, 특히 모기는 말라리아나 뇌염 등 자칫 치명적인 질병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와같은 피해를 막기 위해 여러가지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그 일례로 분무식의 해충 퇴치기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분무식 해충 퇴치기는 고압 가연성 가스를 분사하는 형태이므로 환경공해의 영향을 주고 위험하다.
또한, 종래에는 코일형태의 고체 모기향을 태우거나 호흡기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매트에 열을 가하여 향을 발생시키는 전자식 모기향도 개발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류의 해충퇴치향 발산장치는 모두 어느 정도 밀폐된 한정된 실내 공간에서는 효과를 볼 수가 있으나 등산, 낚시, 캠핑등의 레저활동을 위한 야외용으로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야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모기향 발산기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86-60호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고번호 제86-60호는 내외 이중뚜껑으로 형성된 개폐구를 용기의 상단에 나사결합하고 용기의 내부의 휘발성 살충액을 필터 심지가 흡입 발산하도록 하며, 내뚜껑의 벽면으로 통공 및 스위치가 설치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팬이 설치된 소형모우터를 설치하며, 용기의 일측벽에는 건전지의 삽입요홈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공고번호 제86-60호는 사용자가 휴대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밧데리를 사용하여야 하며, 야외에서 수면을 취할 경우나 휴식을 취할 경우 등에는 사용하기가 용이하지만 작업이나 운동 등 활동 중에는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가 용이하고 활동 중에도 해충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4은 도3의 분해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6은 도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휘발성 해충퇴치향재 12 : 제1밴드
14 : 제2밴드 16, 16' ; 보호커버
18 : 향 분출공 20 : 차단커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는, 상온에서 휘발하여 모기나 파리등의 해충의 접근을 막는 얇은 판상으로 된 휘발성 해충퇴치향재과,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의 상면을 덮는 제1밴드와, 상기 제1밴드의 저면에 접착되어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의 저면을 덮는 제2밴드로 이루어 지되, 상기 제1밴드는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를 덮는 중간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의 저면에는 사용시 피부에 접착하는 점착제가 도포되고 이 점착제의 점착력을 보호하도록 보호커버가 착탈가능케 부착되며, 상기 중간부에는 다수의 향분출공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중간부의 상면에는 평시에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의 발산을 막는 차단커버가 착탈가능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밴드의 연장부에는 사용시 피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의 공기유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밴드는 상기 제1밴드의 크기만큼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밴드의 연장부에는 상기 제1밴드의 공기유통공에 연통하는 공기유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는 고체, 반고체, 점성이 큰 액체등 다양한 형태로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휘발성 해충퇴취약재는 심지에 흡입되어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의 사이에 수용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는 시트로넬라 향이 함유하고 있거나, d.d시스/트란스 프랄레트린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심지는 수지심지나 세라믹심지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온에서 휘발하여 모기나 파리등의 해충의 접근을 막는 얇은 판상으로 된 휘발성 해충퇴치향재(10)의 상면에는 제1밴드(12)가 덮여 있고,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10)의 저면에는 제2밴드(14)가 상기 제1밴드(12)의 저면에 접착되어 덮여 있다.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10)는 고체, 반고체, 점성이 큰 액체등 다양한 형태로 휘발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10)는 심지(도시 안됨)에 흡입되어 상기 제1밴드(12)와 제2밴드(14)사에에 수용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10)는 시트로넬라(CITRONELLA OIL) 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로넬라 향은 네델란드의 유전학자 Dr. Dirk Vam Leenen이 이종교배를 통해 재배에 성공한 다년생의 관상식물로서 일명 모기쫓는 풀로 잘 알려진 구문초(PELAR GONIUN CITROSA)의 잎에서 추출된 자연 발산향으로서, 모기를 비롯한 각종 해충들이 기피하는 고유한 방향성질(INSECT REPELLENT PERFUME)을 가지고 있는 반면, 인체에는 전혀 해가 없어 향수나 비누, 화장품, 모기향 등의 제조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10)는 알코올 성분(예를 들면, 에탄올)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알코올 성분은 대장균이나 곰팡이등의 유해 세균 생성을 억제하는 향균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휘발성으로 인해 무더운 여름철 피부에 사용시 시원하고 상쾌한 느낌을 준다.
또한,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10)는 캐톤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캐톤은 방부작용을 하여 향재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그리고,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10)는 d.d시스/트란스 프랄레트린을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심지는 수지심지나 세라믹심지등 다양한 종류의 심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심지는 합성섬유로 된 심지이고, 세라믹 심지는 유리분말 또는 유리섬유 단열원료, 세라믹 분말 또는 세라믹 섬유에 가용성 분말원료(염류)와 무기결합제를 첨가하고 압축성형후 염류 용해하여 다공성을 부여한 심지이다.
상기 제1밴드(12)는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10)를 덮는 중간부(12a)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2b)(12b')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12b)(12b')의 저면에는 사용시 피부에 접착하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12a)의 가장자리 저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제2밴드(14)가 접착된다.
상기 점착제의 점착력을 보호하도록 상기 연장부(12b)(12b')의 저면에는 보호커버(16)(16')가 착탈가능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중간부(12a)에는 다수의 향 분출공(18)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중간부의 상면에는 평시에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10)의 발산을 막는 차단커버(20)가 점착제에 의해 착탈가능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밴드(12)와 제2밴드(14)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호커버(16)(16')와 차단커버(20)는 플라스틱 필름이나 지류(종이)로 되어 있을 수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는 일반적인 상처보호용 밴드와전체적 형상이 유사하게 되어 있으나, 사각형태, 둥근형태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사각형태나 둥근형태로 된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는 제1밴드는 중간부에서 외측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게 되며, 이에 맞추어 제1밴드, 보호커버, 차단커버등도 모두 사각이나 둥근형태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를 일반 상처보호 밴드와 같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야외에서 해충의 피해를 당할 염려가 있는 곳에서는, 제1밴드(12)의 연장부(12b)(12b')에서 보호커버(16)(16')를 떼어 내어 연장부(12b)(12b')를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한다. 다음에 차단커버(20)을 제1밴드(12)의 중간부(12a)에서 떼어내면, 제1밴드(12)와 제2밴드(14)의 사이에 수용된 휘발성 해충퇴치향재(10)에서 향 분출공(16)을 통해 시트로넬라(CITRONELLA OIL) 향이 외부로 발산하여 모기를 비롯한 각종 해충을 쫓아낸다.
사용자는 양팔, 양다리에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장치를 부착하면, 몸전체를 해충으로부터 완벽히 보호할 수 있으나, 한쪽 팔이나 한쪽 다리에만 부착하여도 충분히 해충이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지나, 휘발성 해충퇴치향재의 약효가 소멸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1밴드(12)의 연장부를 피부에서 간단히 떼어 내면 된다.
도3 및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휘발성 해충퇴치향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밴드(12)의 연장부(12b)(12b')에는 사용시 피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의 공기유통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피부에 공기가 용이하게 통하므로 피부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한다.
도5 및 도6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휘발성 해충퇴치향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밴드(114)가 그 중간부(114a)에서 상기 제1밴드(12)의 길이만큼 양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14b)(114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장부(114b)(114b')에는 상기 제1밴드(12)의 공기유통공(22)에 연통하는 공기유통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본실시예의 제2밴드(114)의 연장부(114b)(114b')의 상면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밴드(12)의 연장부(12b)(12b')에 접착된다. 그리고, 연장부(114b)(114b')의 저면에는 점착제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16)(16')가 착탈가능케 점착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에 의하면, 휴대가 간편하고, 야외에서 인체의 몸에 간단히 부착함에 의해 모기나 파리등의 해충으로 부터 인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등산, 낚시, 학생들의 수련회나, 축사, 양계장이나 논과 밭에서 농사일을 할 경우에 해충의 피해로부터 효과적으로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Claims (6)

  1. 상온에서 휘발하여 모기나 파리등의 해충의 접근을 막는 얇은 판상으로 된 휘발성 해충퇴치향재과,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의 상면을 덮는 제1밴드와, 상기 제1밴드의 저면에 접착되어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의 저면을 덮는 제2밴드로 이루어 지되,
    상기 제1밴드는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를 덮는 중간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의 저면에는 사용시 피부에 접착하는 점착제가 도포되고 이 점착제의 점착력을 보호하도록 보호커버가 착탈가능케 부착되며,
    상기 중간부에는 다수의 향분출공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중간부의 상면에는 평시에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의 발산을 막는 차단커버가 착탈가능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의 연장부에는 사용시 피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의 공기유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밴드는 상기 제1밴드의 크기만큼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밴드의 연장부에는 상기 제1밴드의 공기유통공에 연통하는 공기유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는 심지에 흡입되어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의 사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향재는 시트로넬라 향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KR2020000029255U 2000-10-20 2000-10-20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KR200221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255U KR200221446Y1 (ko) 2000-10-20 2000-10-20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255U KR200221446Y1 (ko) 2000-10-20 2000-10-20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446Y1 true KR200221446Y1 (ko) 2001-04-16

Family

ID=7309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255U KR200221446Y1 (ko) 2000-10-20 2000-10-20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44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148B1 (ko) 2010-04-14 2010-08-04 이용석 1회용 방충 손목띠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2518U (ko) 2015-12-30 2017-07-11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모기퇴치용 밴드 케이스
KR20170002631U (ko) 2016-01-13 2017-07-24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모기퇴치기
KR20170002630U (ko) 2016-01-13 2017-07-24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모기퇴치기
KR20210001779U (ko) 2020-01-23 2021-08-02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
KR102535743B1 (ko) 2022-06-03 2023-05-30 황재호 해충 퇴치용 밴드 제조방법 및 그 밴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148B1 (ko) 2010-04-14 2010-08-04 이용석 1회용 방충 손목띠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2518U (ko) 2015-12-30 2017-07-11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모기퇴치용 밴드 케이스
KR20170002631U (ko) 2016-01-13 2017-07-24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모기퇴치기
KR20170002630U (ko) 2016-01-13 2017-07-24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모기퇴치기
KR20210001779U (ko) 2020-01-23 2021-08-02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
KR200495706Y1 (ko) * 2020-01-23 2022-08-31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
KR102535743B1 (ko) 2022-06-03 2023-05-30 황재호 해충 퇴치용 밴드 제조방법 및 그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8630B1 (en) Methods and personal protection devices for repelling insects
US20040139648A1 (en) System for trapping flying insect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WO2003099343A1 (fr) Appareil de volatilisation
KR200221446Y1 (ko)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US8920734B2 (en) Candle dispenser device
US20130298446A1 (en) Atmospheric diffuser apparatus
EP0470088B1 (en) Portable vapor-dispensing device
KR200224481Y1 (ko)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장치 및 그 세트
KR100397754B1 (ko)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장치 및 그 세트
KR101932501B1 (ko)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
KR102163387B1 (ko) 해충 퇴치기
KR200370895Y1 (ko) 착탈이 용이한 모기퇴치제방향기구
KR200253903Y1 (ko) 해충 퇴치용 필름
JP5879033B2 (ja) エアカーテン装置
KR20010000547A (ko) 시트로넬라향이 함유된 텐트소재 및 그 소재로 된 텐트
KR101167928B1 (ko) 곤충 기피향 발산밴드
JP2005126393A (ja) 放香防虫製品
US20020192123A1 (en) Heat-regulating container for atmosphere conditioning systems
JP3056251U (ja) 香料及び殺虫剤等拡散ピン
KR19990064461A (ko) 모기 및 해충 퇴치를 위한 물-티슈
JP4000499B2 (ja) 線香
KR200408270Y1 (ko) 향이 나는 모기장
JP2000247807A (ja) 害虫の飛来及び/又は吸血行動抑制剤
JP4364347B2 (ja) 線香
KR200357873Y1 (ko) 비행 해충 퇴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