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779U -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 - Google Patents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779U
KR20210001779U KR2020200000333U KR20200000333U KR20210001779U KR 20210001779 U KR20210001779 U KR 20210001779U KR 2020200000333 U KR2020200000333 U KR 2020200000333U KR 20200000333 U KR20200000333 U KR 20200000333U KR 20210001779 U KR20210001779 U KR 202100017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pressing
pests
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706Y1 (ko
Inventor
김극준
김정희
정보영
전강룡
Original Assignee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이티파마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이티파마바이오 filed Critical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200000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06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7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7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therm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38Clamping by spr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2Jewellery dispersing perfum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44C25/002Pendants forming a container, e.g. for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3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with a storage compar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이 개구되어 있어 고체로 이루어진 해충 기피제를 수용할 수 있고 다수 개의 발향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회동되어 상기 하우징 전면을 개폐하고 상기 해충 기피제를 고정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을 착용하거나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A removable accessory for pest control}
본 고안은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기피제를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어 주위의 해충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은 물론 야외 활동이나 낚시, 등산 등 레저 활동을 할 때 모기, 파리 등의 해충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해충퇴치 제품들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해충퇴치 제품으로는 화학 살충제를 분사하는 스프레이식 살충제, 피레트로이드계 화합물질인 트란스 알레트린이라는 성분과 톱밥 분말을 점착제로 고결시켜서 성형한 모기향, 및 해충의 청각을 자극하여 접근을 막는 초음파형과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해 고압으로 감전시켜 퇴치하는 해충퇴치기 등이 있다.
최근에는 해충의 접근을 차단할 목적을 지닌 약물을 신체에 직접 분사하는 해충기피제와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하는 밴드형 해충퇴치 제품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21446호는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온에서 휘발하여 모기나 파리등의 해충의 접근을 막는 얇은 판상으로 된 휘발성 해충퇴치향재과, 휘발성 해충퇴치향재의 상면을 덮는 제1밴드와, 제1밴드의 저면에 접착되어 휘발성 해충퇴치향재의 저면을 덮는 제2밴드로 이루어지되, 제1밴드는 휘발성 해충퇴치향재를 덮는 중간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며, 연장부의 저면에는 사용시 피부에 접착하는 점착제가 도포되고 이 점착제의 점착력을 보호하도록 보호커버가 착탈가능케 부착되며, 중간부에는 다수의 향분출공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중간부의 상면에는 평시에 휘발성 해충퇴치향재의 발산을 막는 차단커버가 착탈가능케 부착되어 있어 야외에서 인체의 몸에 간단히 부착함에 의해 모기나 파리등의해충으로부터 인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해충퇴치향재는 대기 중에 노출된 상태가 지속될수록 휘발되는 양이 감소되어 해충이 퇴치할 수 있는 향이 약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주위에 해충이 많을 때 향을 확산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어 해충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2144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신체, 의류, 잡화류 등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휴대성이 높고 장식용품으로 사용이 가능한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위의 해충이 많은 경우 선택적으로 해충 퇴치 향을 증가시켜 주위의 해충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착용 부위에 따라 각종 부재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확장성이 용이한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는 전면이 개구되어 있어 고체로 이루어진 해충 기피제를 수용할 수 있고 다수 개의 발향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회동되어 상기 하우징 전면을 개폐하고 상기 해충 기피제를 고정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을 착용하거나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상기 커버 내부에는 상기 해충 기피제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단과, 상기 가압단의 후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단이 상기 커버 내측면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축과, 상기 가압축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단이 상기 해충 기피제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해충 기피제가 접촉된 부위에 열을 가하여 발향을 촉진하는 발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상기 연결수단은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후면 상단에 외면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하단 방면으로 연장되어 탄성력에 의해 회동될 수 있어 상기 하우징을 의류 또는 잡화류에 고정시키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을 목에 걸고 다닐 수 있도록 목걸이줄이 삽입되는 관통홀과, 상기 하우징의 후면 가장자리에서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부를 고정시키는 연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상기 연결구는 상기 밴드부의 스트랩에 형성된 고정축이 삽입될 때 경사면을 따라 연결구의 하부 방면으로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유도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홈은 상기 연결구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시키면 상기 고정축이 상기 고정홈을 따라 상부 방면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밴드부가 상기 연결구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해충 기피제의 향을 외부로 확산하는 발향팬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발향팬과 연결되어 상기 발향팬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에 의하면, 신체, 의류, 잡화류 등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휴대성이 높고 장식용품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에 의하면, 주위의 해충이 많은 경우 선택적으로 해충 퇴치 향을 증가시켜 주위의 해충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에 의하면, 착용 부위에 따라 각종 부재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확장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가 목걸이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전면이 개폐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후면을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에 밴드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밴드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보호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내부 및 밴드부의 결합 구조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고안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기피제를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어 주위의 해충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가 목걸이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전면이 개폐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후면을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는 전면이 개구되어 있어 고체로 이루어진 해충 기피제(10)를 수용할 수 있고 다수 개의 발향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전면에서 회동되어 하우징(100) 전면을 개폐하고 해충 기피제(10)를 고정하는 커버(200)와, 하우징(100)의 후면에 형성되며 하우징(100)을 착용하거나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100)은 전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해충 기피제(10)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에는 다수 개의 방향홀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가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어 해충 기피제(10)에서 발생하는 향이 외부로 발향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하우징(100)의 전면에는 커버(200)가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100)의 전면에 삽입된 해충 기피제(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함과 동시에 하우징(1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커버(200) 및 하우징(100)의 일측은 힌지 결합되어 있어 커버(200)가 하우징(100)의 전면에서 회동됨으로써 하우징(100) 내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개방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전면에 삽입된 해충 기피제(10)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200) 및 하우징(100)의 타측에는 커버(200)가 하우징(1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수단은 후크 또는 걸쇠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커버(2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200)에는 하우징(100)에 삽입된 해충 기피제(1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가압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단(210)이 형성되어 있어 커버(200)가 하우징(100)의 전면에 밀착되면 가압단(210)이 해충 기피제(10)를 하우징(100) 내부 방면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연결수단은 하우징(100)이 신체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하거나 의류, 잡화류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연결수단은 일단은 하우징(100)의 후면 상단에 외면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하우징(100)의 하단 방면으로 연장되어 탄성력에 의해 회동될 수 있어 하우징(100)을 의류 또는 잡화류에 고정시키는 홀더(110)와, 홀더(110)의 일단에 형성되며 하우징(100)을 목에 걸고 다닐 수 있도록 목걸이줄(140)이 삽입되는 관통홀(120)과, 하우징(100)의 후면 가장자리에서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부(300)(도5 참조)를 고정시키는 연결구(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홀더(110)는 의류나 잡화류에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0)의 후면 중앙 상단에서 하단 방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은 하우징(1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타단은 후면에 밀착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홀더(110)의 타단은 일단을 기준으로 탄성력에 의해 회동되어 하우징(1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이격된 공간으로 벨트, 가방 끈이 삽입시켜 하우징(100)을 의류나 잡화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홀더(110)의 돌출된 일단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관통홀(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120)에는 목걸이줄(140)이 삽입되어 하우징(100)을 목에 걸어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연결구(130)는 하우징(100)의 후면에서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00)을 손목에 시계 또는 팔지 형태로 착용하기 위해 도 5의 밴드부(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연결구(13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에 밴드부(30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밴드부(300)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보호대(330)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하우징(100) 후면에는 연결구(130)에 고정되어 팔찌 또는 손목시계 형태로 손목에 착용될 수 있는 밴드부(300)를 더 포함하며, 밴드부(300)는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트랩(310)과, 스트랩(310)의 끝단에 형성되어 하우징(100)에 형성된 연결구(13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축(3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밴드부(300)에 형성된 고정축(320)은 양 끝단이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에 의해 외력이 제거되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하우징(1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연결구(130)에 고정축(320)이 고정될 수 있게 되며, 고정축(320)이 연결구(130)에 삽입될 때 유도홈(131)의 외면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경사면을 따라 고정축(320)의 양끝단이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또한 유도홈(131)을 따라 연결구(130)의 내부의 고정홀(132)에 진입되면 외력이 제거되면서 고정축(320)의 양끝단이 외부로 돌출되면서 위치가 고정되게 되며, 이를 통해 스트랩(310)이 고정축(320)에 의해 하우징(10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스트랩(310)은 시계줄과 같이 두 개가 한 세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필요에 따라 팔찌 형태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개의 스트랩(310)의 양 끝단에 고정축(320)이 삽입되도록 형성시켜 스트랩(310)의 탄성력에 의해 팔찌처럼 착용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밴드부(300)는 연결구(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후면을 감싸는 보호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호대(330)는 연결구(130)가 하우징(100)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결구(130)와 접촉되는 부위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사용자의 손목이 접촉되는 부분에는 실리콘, 우레탄,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연결구(130)의 상부에는 자성체가 형성되어 있어 금속 재질로 된 보호대(330)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될 수 이게 되며, 보호대(330)는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연결구(130) 주위를 감싸는 돌기가 형성되어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연결구(130) 상부에 볼트 체결홀을 형성하고 보호대(330)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내부 및 밴드부(300)의 결합 구조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의 연결구(130)는 밴드부(300)의 스트랩(310)에 형성된 고정축(320)이 삽입될 때 경사면을 따라 연결구(130)의 하부 방면으로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유도홈(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도홈(131)은 연결구(130)를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시키면 고정축(320)이 고정홈을 따라 상부 방면으로 이동되면서 밴드부(300)가 연결구(130)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도홈(131)은 연결구(130)의 전면에서 호 형상으로 하부 방면으로 파여져 있는데, 밴드부(300)에 형성된 고정축(320)은 연결구(130)에 삽입될 때는 유도홈(131)의 경사진 부분을 통해 양 끝단이 내부로 삽입되면서 진입하고 유도홈(131) 내부에 완전히 인입되면 도 6의 고정홀(132)에 안착되면서 고정축(320)의 양끝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때 도 6의 고정홀(132)에도 고정축(320)이 쉽게 빠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고정축(320)을 연결구(13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연결구(130)를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하면 고정축(320)이 하우징(100)의 후면에 밀착된 후 유도홈(131)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즉, 연결구(130)를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고정축(320)이 호 형상으로 된 유도홈(131)을 따라 연결구(130)의 전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200) 내부에는 해충 기피제(10)의 전면에 밀착되어 하우징(100)의 내부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단(210)과, 가압단(210)의 후면 중앙에 형성되어 가압단(210)이 커버(200) 내측면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축(220)과, 가압축(220)의 외면에 형성되어 가압단(210)이 해충 기피제(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스프링(23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압단(210)은 원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강압단(210)의 중앙에는 가압축(220)이 형성되어 커버(20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커버(200)의 내측면에는 T자 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있어 강압단(210)이 삽입되거나 돌출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가압축(220)의 외면에는 가압스프링(230)이 형성되어 있어 가압단(210)을 하우징(100) 방면으로 가압하여 해충 기피제(10)의 부피가 감소되더라도 하우징(100) 내부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해충 기피제(10)가 접촉된 부위에 열을 가하여 발향을 촉진하는 발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해충 기피제(10)의 향을 외부로 확산하는 발향팬과, 하우징(100)의 외부에 형성되며 발향팬과 연결되어 발향팬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열수단은 하우징(100)의 내측면에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금속판이 형성되어 해충 기피제(10)외 접촉되고, 금속판의 후면에는 금속판과 접촉되어 자유 회전되는 마찰판이 형성되어 있어 마찰판의 회전에 의해 금속판이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즉, 마찰판이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금속판은 가열되게 되고 금속판과 접촉되는 해충 기피제(10)는 온도가 상승되면서 휘발되는 양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열수단의 후면에 형성되며 하우징(100)의 후면 또는 측면을 향해 공기를 배출시키는 발향팬이 형성되어 있으며, 발향팬이 회전함에 따라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되면서 흡입되는 공기의 양도 증가되어 해충 기피제(10)로부터 휘발된 향이 빠르게 외부로 확산될 수 있게 된다.
발향팬을 회전시키기 위해 하우징(100)의 외부에는 와이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를 하우징(100) 외부로 잡아당기게 되면 발향팬이 회전되고, 회전된 후에는 발향팬에 형성된 태엽스프링에 의해 와이어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면서 발향팬이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의 주변에서 공기의 유동에 의한 확산이 빠르게 지속될 수 있으며, 해충이 많은 경우 빠른 시간내에 해충 기피제(10)가 확산되면서 해충을 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발향팬은 마찰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와이어에 의해 발향팬이 동작될 때 마찰판도 함께 회전되어 금속판을 가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공기를 배출하는 날개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를 배출시키는 대신 하우징(100) 외면에 버튼을 형성하고 버튼이 하강되는 거리 만큼 발향팬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에 의하면, 신체, 의류, 잡화류 등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휴대성이 높고 장식용품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주위의 해충이 많은 경우 선택적으로 해충 퇴치 향을 증가시켜 주위의 해충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착용 부위에 따라 각종 부재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확장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해충 기피제
100 : 하우징
110 : 홀더
120 : 관통홀
130 : 연결구
131 : 유도홈
132 : 고정홀
140 : 목걸이줄
200 : 커버
210 : 가압단
220 : 가압축
230 : 가압스프링
300 : 밴드부
310 : 스트랩
320 : 고정축
330 : 보호대

Claims (6)

  1. 전면이 개구되어 있어 고체로 이루어진 해충 기피제를 수용할 수 있고 다수 개의 발향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회동되어 상기 하우징 전면을 개폐하고 상기 해충 기피제를 고정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을 착용하거나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내부에는 상기 해충 기피제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단과;
    상기 가압단의 후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단이 상기 커버 내측면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축과;
    상기 가압축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단이 상기 해충 기피제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해충 기피제가 접촉된 부위에 열을 가하여 발향을 촉진하는 발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후면 상단에 외면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하단 방면으로 연장되어 탄성력에 의해 회동될 수 있어 상기 하우징을 의류 또는 잡화류에 고정시키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을 목에 걸고 다닐 수 있도록 목걸이줄이 삽입되는 관통홀과;
    상기 하우징의 후면 가장자리에서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부를 고정시키는 연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밴드부의 스트랩에 형성된 고정축이 삽입될 때 경사면을 따라 연결구의 하부 방면으로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유도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홈은 상기 연결구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시키면 상기 고정축이 상기 고정홈을 따라 상부 방면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밴드부가 상기 연결구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해충 기피제의 향을 외부로 확산하는 발향팬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발향팬과 연결되어 상기 발향팬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

KR2020200000333U 2020-01-23 2020-01-23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 KR200495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333U KR200495706Y1 (ko) 2020-01-23 2020-01-23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333U KR200495706Y1 (ko) 2020-01-23 2020-01-23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779U true KR20210001779U (ko) 2021-08-02
KR200495706Y1 KR200495706Y1 (ko) 2022-08-31

Family

ID=7731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333U KR200495706Y1 (ko) 2020-01-23 2020-01-23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0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446Y1 (ko) 2000-10-20 2001-04-16 김한석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812B1 (ko) * 2015-05-08 2015-09-11 김시조 장식기능을 갖는 휴대용 모기퇴치캡슐
KR102034739B1 (ko) 2018-02-28 2019-10-21 최택진 시계기능을 갖는 차량용 방향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446Y1 (ko) 2000-10-20 2001-04-16 김한석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706Y1 (ko)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2809B2 (en) Methods and personal protection devices for repelling insects
US20070006614A1 (en) Jewelry with thin, closely adhering fragrance emitting cover layer
US20080196296A1 (en) Fruit-Shaped Fruit Fly Trap
CA1167260A (en) Pest controlling animal tag
US5327667A (en) Device for luring deer
WO1990014763A1 (en) Insect trap
KR101804563B1 (ko) 지퍼백이 구비된 끈끈이 해충 트랩
KR200485576Y1 (ko) 모기퇴치기
KR20070110302A (ko) 착용가능한 곤충퇴치 패치
US20210187147A1 (en) Apparatus for Delivering a Scent
CN102448290A (zh) 昆虫防治带
KR200495706Y1 (ko)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
US20090205095A1 (en) Insect capturing cap
TWI258335B (en) Anti-insect device and method of anti-insect
KR101552812B1 (ko) 장식기능을 갖는 휴대용 모기퇴치캡슐
EP1297760A2 (en) Fragrance diffuser
KR200485575Y1 (ko) 모기퇴치기
KR200458736Y1 (ko) 해충퇴치용 밴드
KR200221446Y1 (ko)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KR200442260Y1 (ko) 휴대용 벌레 퇴치 장치
KR200425474Y1 (ko) 모기잡이 끈끈이
KR200294266Y1 (ko) 향기 액세서리
KR102022663B1 (ko) 초음파 모기 퇴치기
JP2008187990A (ja) 防虫用シール、並びに、防虫用具
KR102535743B1 (ko) 해충 퇴치용 밴드 제조방법 및 그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