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576Y1 - 모기퇴치기 - Google Patents

모기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576Y1
KR200485576Y1 KR2020160000193U KR20160000193U KR200485576Y1 KR 200485576 Y1 KR200485576 Y1 KR 200485576Y1 KR 2020160000193 U KR2020160000193 U KR 2020160000193U KR 20160000193 U KR20160000193 U KR 20160000193U KR 200485576 Y1 KR200485576 Y1 KR 200485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osquito repellent
groove
opening
eng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631U (ko
Inventor
전창준
Original Assignee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0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576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6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6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5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1/00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out driving mechanisms, e.g. egg timers
    • G04F1/005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out driving mechanisms, e.g. egg timers using electronic timing, e.g. counting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모기퇴치기의 특징적인 구성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개방된 상부 둘레를 따라 끼움로드를 형성하고, 저면에 착용밴드가 결합되는 밴드결합부를 구비한 케이스; 테두리가 상기 끼움로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으로 슬라이딩 결합하고, 복수개의 발산공을 형성한 커버; 및 판 형상으로 상기 커버의 하측에서 상기 끼움로드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상기 발산공을 통해 모기퇴치제를 외부로 발산하는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모기퇴치기{EQUIPMENT FOR MOSQUITO EXTERMINATION}
본 고안은 모기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손목에 착용하여 향이 발산되게 함으로써 모기의 접근을 차단하는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의 교체 및 충전이 용이하게 장착함은 물론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모기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는 숙주 동물의 체취, 숙주 동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및 이산화탄소 등에 유인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모기를 퇴치하는 방법으로는, 모기향 등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여 모기 유충을 잡아먹도록 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유문 또는 이산화탄소 등으로 모기를 유인한 다음 고전압 등을 인가하여 모기를 퇴치시키는 물리적 방제법 및 물웅덩이를 없애거나 모기 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이 있다.
가정용 또는 휴대용 모기 퇴치기의 경우에는 모기향 또는 모기 살충성분을 분사하는 스프레이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모기향 또는 스프레이식의 경우에는 진한 향으로 인하여 유아를 비롯한 어린이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근래에는 전자 모기향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 모기향의 경우 전자모기향에 전원을 인가하는 콘센트가 구비되어 있어야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콘센트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야외에서는 그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여름철에 야외활동을 할 경우에는 어린아이들에게 달려드는 모기 등의 해충 접근을 차단하기 어려운 관계에 있으며, 모기 등의 해충으로부터 물릴 경우 피부염이나 그에 따른 통증 또는 가려움증 및 피부의 손상 등의 문제가 있고, 이러한 문제는 야외에서 활동하는 근로자에게도 해당된다.
최근에는 신체 중 팔목이나 발목 등에 묶을 수 있는 띠 형상의 직물 등에 시트로렐라 정유를 수용토록 하고, 포장의 개방을 통해 수용된 시트로렐라 정유가 발산되게 함으로써 모기를 포함한 해충의 접근을 차단토록 하는 휴대용 해충 퇴치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띠 형상의 해충 퇴치기는 앞면과 뒷면이 불분명하고, 팔목이나 발목 등에 묶는 과정에서 신체와 접촉하는 부위에 시트로렐라 정유가 묻거나 더불어 접촉하는 피부로부터 방출된 땀과 혼합되는 등 예민한 어린아이들의 경우 그 착용을 꺼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해충 퇴치기는, 방향성 정유의 자연적인 발산에 의존함에 따라 방향성 정유의 잔존량과 관계하여 초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그 발산의 양이 적어지는 관계에 있어 해충 퇴치의 효과가 일정하지 못할 뿐 아니라 그 교체 시기 또한 확인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1446호(2001.04.16. 공고)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8736호(2012.02.24. 공고)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손목시계 또는 팔찌와 같이 손목에 착용하는 것으로 모기의 접근을 차단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함과 더불어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 그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모기퇴치 향을 발산하는 부위가 신체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하여 민감성 피부 또는 예민한 성향의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모기퇴치 향이 발산되어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의 교체 및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에 모기퇴치제의 충전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모기퇴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모기퇴치기의 특징적인 구성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개방된 상부 둘레를 따라 끼움로드를 형성하고, 저면에 착용밴드가 결합되는 밴드결합부를 구비한 케이스; 테두리가 상기 끼움로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으로 슬라이딩 결합하고, 복수개의 발산공을 형성한 커버; 및 판 형상으로 상기 커버의 하측에서 상기 끼움로드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상기 발산공을 통해 모기퇴치제를 외부로 발산하는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끼움로드의 상단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한 밀폐턱에 복수개의 개방공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의 일단과 접촉하는 부위에 환형의 개폐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는, 상측에 시계를 장착하고, 일측 가장자리 부위에 간격을 두고 개방홈와 폐쇄홈을 형성하여 상기 커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돌기가 상기 개방홈 또는 폐쇄홈에 결합하며, 테두리에 복수개의 상기 발산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슬라이딩 결합시 상기 폐쇄홈에 개폐돌기가 결합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끼움로드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를 회전시키면 상기 개방홈에 개폐돌기가 결합하며, 상기 개방공과 발산공이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모기퇴치제가 상기 개방공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쇄홈에 개폐돌기의 결합시 시계에서 시간이 표시되는 부분이 상기 커버의 일측단과 타측단을 연결하는 직선과 직교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개방홈에 개폐돌기의 결합시 시계에서 시간이 표시되는 부분이 상기 개방홈과 폐쇄홈의 간격만큼 각도가 변경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시계와 연결한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및 컨트롤러와 연결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여 설정된 시간에 상기 커버를 회전시켜 상기 개폐돌기가 상기 개방홈 또는 폐쇄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커버의 하측에서 인출 가능하게 상기 끼움로드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수납부와, 상기 케이스 외측면에 돌출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의 일측 단부와 연결하여 상기 수납부를 인출시키는 인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는 양측에 가이드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끼움로드는 상기 커버가 결합된 부위 하부 양측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레일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타측 단부에 스토퍼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돌기의 슬라이딩 이동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한 인출버튼과, 상기 인출버튼과 수납부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말단에 형성한 후크와, 상기 끼움로드와 연결바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후크를 견인하는 견인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측 단부와 수납부의 일측 중앙부를 압축스프링으로 연결하고, 상기 수납부의 일측 단부에 인출홈을 형성하여 상기 후크가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며, 상기 인출홈의 타측에 걸림홈을 형성하여 상기 후크가 걸리게 하고, 상기 후크와 대응하는 형상의 경사면을 상기 인출홈의 일측에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발산공 또는 개방공을 통해 모기퇴치 향이 발산됨에 따라 손목시계 또는 팔찌와 같이 손목에 착용하는 것으로 모기의 접근이 차단되어 사용이 편리함과 더불어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 그 활용성이 극대화되고,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가 케이스 또는 수납부에 밀폐보관됨으로써 모기퇴치 향을 발산하는 부위가 신체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되어 민감성 피부 또는 예민한 성향의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커버의 회전, 시계 또는 커버와 연결된 컨트롤러 및 액츄에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모기퇴치 향이 발산되어 사용의 효율성을 높임은 물론 수납부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하여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를 교체하거나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에 모기퇴치제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퇴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퇴치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퇴치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기퇴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기퇴치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기퇴치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기퇴치기 개방공의 개방과 폐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기퇴치기의 타이머 작동에 따른 모기퇴치 향의 발산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기퇴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기퇴치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기퇴치기의 절취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기퇴치기의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를 교체하거나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에 모기퇴치제를 충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측(상단)과 하측(하단)은 발산공이 형성된 커버가 상측에 있도록 한 사용상태를 기준으로 하며, 일측(전방)은 케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커버 및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가 슬라이딩 하여 끼움로드에 끼움 결합하는 방향 또는 그 부위를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타측(후방)은 그 반대의 방향 및 해당 부위를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손목에 착용하여 향이 발산되게 함으로써 모기의 접근을 차단하는 모기퇴치기(1)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 커버(20) 및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케이스(1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개방된 상부와 그 둘레를 따라 끼움로드(11)를 형성하여 커버(20) 및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가 일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억지끼움 결합하고, 상부 일측은 폐쇄되며 커버(20) 및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가 슬라이딩 결합을 시작하게 되는 타측은 개방한다.
이러한 케이스(10)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커버(20) 및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의 슬라이딩 결합시, 케이스(10)가 커버(20) 및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태 변형이 발생되면서 커버(20) 및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가 억지끼움 결합되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끼움로드(11)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커버(20) 및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의 슬라이딩 결합부위에 실리콘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커버(20) 및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의 슬라이딩 결합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는 저면에 밴드결합부(12)를 형성하여 착용밴드(B)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착용밴드(B)는 손목시계, 팔찌 또는 발찌 등과 같이 착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 가능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착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 크기에 맞추어 조절하여 착용토록 조절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아울러, 커버(20)는 투명한 재질의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테두리 부위가 끼움로드(11)에 일측 방향으로 끼워지며 슬라이딩 결합하여 케이스(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고,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가 발산하는 모기퇴치 향이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발산공(21)을 형성하거나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위에 복수개의 발산공(21)을 형성한다.
그리고, 커버(20)는 복수개의 발산공(21)이 형성된 부위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 캐릭터 시트를 부착하거나 인쇄 등의 방법으로 캐릭터(C)를 표시하여 어린이들에게 관심을 유발함으로써 착용을 유도할 수 있고, 나아가 광고의 효과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20)가 끼움로드(11)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함으로써, 캐릭터(C)를 회전시켜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어린이들에게 관심을 유발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커버(2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하측에서 끼움로드(11)에 결합하는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를 확인하여 교체시기 등을 가늠할 수 있다.
한편,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는 판 형상으로 커버(20)의 하측에서 끼움로드(11)에 일측으로 슬라이딩 결합하여 발산공(21)을 통해 모기퇴치제를 외부로 발산한다.
여기서,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는 커버(20)의 저면과 밀착되도록 끼움로드(11)에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커버(20)로부터 압착되어 끼움로드(11)에 끼움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며 케이스(10) 내부에 밀폐보관되고, 이를 통해, 모기퇴치기(1)가 뒤집어 지더라도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에 충전된 모기퇴치제가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되며,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가 케이스(10)로부터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는 인쇄 등의 방법으로 캐릭터(C)를 표시하여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20)를 통해 캐릭터(C)를 외부로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 관심을 유발하여 착용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의 효과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기퇴치기(1')는 케이스(10'), 커버(20') 및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를 구비하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만,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는, 끼움로드(11') 상단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한 밀폐턱(11a')에 복수개의 개방공(13)을 형성하고, 커버(20')의 일단과 접촉하는 부위에 환형의 개폐돌기(14)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끼움로드(11') 상단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한 밀폐턱(11a')을 통해 커버(20') 및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여 커버(20') 및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케이스(10') 내부에서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의 밀폐보관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커버(20')는, 상측에 시계(W)를 장착하고, 일측 가장자리 부위에 간격을 두고 개방홈(22)와 폐쇄홈(23)을 형성하여 커버(20')의 회전에 의해 개폐돌기(14)가 개방홈(22) 또는 폐쇄홈(23)에 결합하며, 복수개의 발산공(21')을 테두리에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도 7a와 같이, 커버(20')가 끼움로드(11')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억지끼움 결합이 완료되면, 폐쇄홈(23)에 개폐돌기(14)가 결합하고, 이때, 개방공(13)과 발산공(21')이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은 채 서로 어긋나 있는 상태여서 개방공(13)의 하측에 발상공(21')이 형성되지 않은 커버(20')의 테두리 부위가 밀착됨으로써, 개방공(13)이 폐쇄되어 모기퇴치 향의 발산은 차단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기퇴치 향을 발산시켜 모기의 접근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 도 7b와 같이, 케이스(10')에 커버(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20')를 회전시키면 개방홈(22)과 폐쇄홈(23)의 간격만큼 발산공(21')의 위치 변동이 발생함과 동시에 개방홈(22)에 개폐돌기(14)가 결합하며, 이때, 개방공(13)과 발산공(21')이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에 충전된 모기퇴치제가 발산공(21')을 통과하여 개방공(13)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어 착용자에게 모기가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착용자가 실내활동을 시작하는 등의 상황에서 모기퇴치 향 발산을 중지하고자 할 경우, 커버(20')를 반대로 회전시켜 폐쇄홈(23)에 개폐돌기(14)가 결합하도록 하여 개방공(13)과 발산공(21')이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은 채 서로 어긋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개방공(13)이 폐쇄됨에 따라 모기퇴치 향의 발산은 차단된다.
여기서, 상호 결합되는 개폐돌기(14)와 개방홈(22) 또는 폐쇄홈(23)의 접촉 및 밀착을 통해 '딸깍' 등의 소리가 발생되어 커버(20')의 장착이 완료되었음은 물론, 모기퇴치 향의 발산이 시작되거나 그 발산을 차단함을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20')의 회전을 통해, 케이스(10')의 개폐돌기(14)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개방홈(22)과 폐쇄홈(23)의 간격만큼 발산공(21')의 위치를 변동시키는 간편한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모기퇴치 향이 발산되어 모기의 접근을 차단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 모기퇴치 향의 발산을 중지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사용자가 모기퇴치기(1')를 착용한 상태에서 야외할동 등을 할 때에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가 모기퇴치기(1')의 착용을 해제한 상태에서 사용자와 근접되도록 모기퇴치기(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도 가능하다.
예컨대, 폐쇄홈(23)에 개폐돌기(14)의 결합시, 시계(W)에서 시간이 표시되는 부분이 커버(20')의 일측단과 타측단을 연결하는 직선과 직교하도록 위치하고, 개방홈(22)에 개폐돌기(14)의 결합시, 시계(W)에서 시간이 표시되는 부분이 개방홈(22)과 폐쇄홈(23)의 간격만큼 각도가 변경되어 위치하도록 하는데, 이를 통해, 시간을 확인하게 되는 활동 중에는 모기퇴치 향이 발산되지 않도록 하며, 시간을 확인하지 않는 취침시간에는 모기퇴치 향이 발산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사용을 유도함은 물론 사용자가 모기퇴치 향의 발산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내측에 시계(W)와 연결한 컨트롤러(15)를 구비하고, 커버(20') 및 컨트롤러(15)와 연결한 액츄에이터(16)를 구비하여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발산공(21')의 변위를 발생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을 시계(W)에 설정하고, 컨트롤러(15)는 시계(W)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을 감지하여 액츄에이터(16)에 이를 전달하고, 이때,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모기퇴치 향의 발산을 원하는 시기일 경우, 액츄에이터(16)는 구동하여 연결된 커버(20')를 회전시켜 개폐돌기(14)가 개방홈(22)에 결합되도록 하여 개방공(13)과 발산공(21')이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모기퇴치 향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한다.
더불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모기퇴치 향 발산의 차단을 원하는 시기일 경우, 액츄에이터(16)는 구동하여 연결된 커버(20')를 반대로 회전시켜 개폐돌기(14)가 폐쇄홈(23)에 결합되도록 하여 개방공(13)과 발산공(21')이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해제함에 따라, 개방공(13)을 폐쇄시켜 모기퇴치 향의 발산을 차단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기퇴치기(1")는 케이스(10"), 커버(20") 및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를 구비하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만,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20")의 하측에서 인출 가능하게 끼움로드(11")에 일측으로 슬라이딩 결합하는 수납부(40)와, 케이스(10") 외측면에 돌출 형성하고 수납부(40)의 일측 단부와 연결하여 수납부(40)를 인출시키는 인출부(5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납부(40)는 서랍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끼움로드(11")에 수납되어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하며, 내측에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를 수용하여 케이스(10")로부터 인출하여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를 교체하거나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에 모기퇴치제의 충전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모기퇴치기(1")에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를 장착 및 보관하게 된다.
이때, 수납부(40)는 끼움로드(11")에 끼워지는 방향을 전방으로 한 것을 기준으로 한 좌·우 양측에 가이드돌기(41)를 돌출 형성하고, 끼움로드(11")는 커버(20")가 결합된 부위 하부 양측에 가이드돌기(41)가 결합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레일(11b)을 형성하며, 가이드레일(11b)은 타측 단부에 스토퍼(S)를 형성하여 가이드돌기(41)의 슬라이딩 이동을 단속함으로써 수납부(40)의 과도한 인출을 방지함은 물론 수납부(40)가 끼움로드(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수납부(40)는 일측 중앙부를 케이스(10")의 일측 단부와 압축스프링(42)으로 연결하여 압축스프링(42)의 팽창력을 통해 후술할 인출부(50)의 인출버튼(51)을 누름과 동시에 수납부(40)가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수납부(40)는 일측 단부에 인출홈(43)을 형성하여 인출부(50)와 연결을 이루는 것은 물론, 후술할 인출부(50)의 후크(53)가 인출홈(43)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다.
한편, 인출부(50)는 케이스(10")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수납부(40)의 일측 단부와 연결하여 수납부(40)를 후방으로 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인출부(50)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케이스(1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한 인출버튼(51)과, 인출버튼(51)의 측면에서 수납부(40)의 일측 단부를 향해 복수회 절곡되어 인출홈(43)과 인출버튼(51)을 연결하는 연결바(52)와, 복수회 절곡된 연결바(52)의 말단에 형성되어 인출홈(43)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후크(53)와, 끼움로드(11")의 측부와 연결바(52) 사이에서 연결 결합하여 우측으로 이동한 후크(53)를 좌측으로 견인하는 견인스프링(5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수납부(40)는 인출홈(43)의 타측에 걸림홈(44)을 형성하여 후크(53)가 걸려 수납부(40)가 끼움로드(11")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인출홈(43)의 일측에 후크(53)와 대응하는 형상의 경사면(45)을 형성하여 인출되었던 수납부(4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끼움로드(11")에 재수납될 때, 후크(53)가 경사면(45)을 타면서 수납부(40)에 의해 밀려져 걸림홈(44)에 다시 걸려지도록 한다.
이때, 경사면(45)은 후크(5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좌측으로 갈수록 만곡되게 구성되어 수납부(4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후크(53)가 탄력적으로 경사면(45)을 스치며 걸림홈(44)에 걸려지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수납부(4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인한 후크(53)와 경사면(45)의 긁힘이나 마모를 방지한다.
이와 같은 인출부(50)를 통해 수납부(40)가 끼움로드(11")에 수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모기퇴치 향 발산부제(30")를 교체하거나 모기퇴치 향 발산부제(30")에 모기퇴치제를 충전하고자 할 때, 인출버튼(51)을 눌러 간편하게 수납부(40)를 케이스(10")의 후방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기퇴치기(1")에 장착된 모기퇴치 향 발산부제(30")를 교체하거나 모기퇴치 향 발산부제(30")에 모기퇴치제를 충전하고자 할 경우, 먼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버튼(51)을 누르게 되면 연결바(52)가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후크(53)도 인출홈(43) 내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걸림홈(44)에 걸려져 있던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후크(53)의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수납부(40)는 자유상태가 되고 압축되어 있던 압축스프링(42)의 팽창력을 통해 가이드돌기(41)가 가이드레일(13a)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수납부(40)가 끼움로드(11")의 전방으로 인출되고, 이를 통해, 수납부(40)에 수용된 모기퇴치 향 발산부제(30")가 외부로 노출되어 모기퇴치 향 발산부제(30")를 교체하거나 모기퇴치 향 발산부제(30")에 모기퇴치제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우측으로 이동된 연결바(52)는 견인스프링(54)의 압축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돌아오게 됨과 동시에, 후크(53)도 좌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고, 인출버튼(51)도 다시 케이스(10)의 외측면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작동을 통해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의 교체 또는 충전을 종료한 후,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를 다시 케이스(10") 내부에 밀폐보관하여 모기퇴치기(1")를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 수납부(40)를 전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가이드돌기(41)가 가이드레일(13a)을 따라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수납부(40)의 일측 단부가 후크(53)에 밀착되는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어서, 계속적인 수납부(40)의 전방 가압에 의해 경사면(45)이 후크(53)를 밀게 되면, 후크(53)가 탄력적으로 경사면(45)을 타고 넘어가 걸림홈(44)에 다시 걸려지는 것으로, 끼움로드(11")에 수납부(40)를 수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의 밀폐보관을 이룰 수 있게 되며, 이때, 압축스프링(42)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의 모기퇴치기(1")를 손목시계 또는 팔찌와 같이 착용밴드(B)를 통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함으로써, 모기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모기퇴치기(1)는 발산공 또는 개방공을 통해 모기퇴치 향이 발산됨에 따라 손목시계 또는 팔찌와 같이 손목에 착용하는 것으로 모기의 접근이 차단되어 사용이 편리함과 더불어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 그 활용성이 극대화되고,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가 케이스 또는 수납부에 밀폐보관됨으로써 모기퇴치 향을 발산하는 부위가 신체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되어 민감성 피부 또는 예민한 성향의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커버의 회전, 시계 또는 커버와 연결된 컨트롤러 및 액츄에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모기퇴치 향이 발산되어 사용의 효율성을 높임은 물론 수납부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하여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를 교체하거나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에 모기퇴치제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1 : 모기퇴치기
10 : 케이스 11 : 끼움로드
11a : 밀폐턱 11b : 가이드레일
12 : 밴드결합부 13 : 개방공
14 : 개폐돌기 15 : 컨트롤러
16 : 액츄에이터 20 : 커버
21 : 발산공 22 : 개방홈
23 : 폐쇄홈 30 :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
40 : 수납부 41 : 가이드돌기
42 : 압축스프링 43 : 인출홈
44 : 걸림홈 45 : 경사면
50 : 인출부 51 : 인출버튼
52 : 연결바 53 : 후크
54 : 견인스프링 B : 착용밴드
C : 캐릭터 S : 스토퍼
W : 시계

Claims (9)

  1. 탄성을 갖는 재질로 개방된 상부 둘레를 따라 끼움로드(11)를 형성하고, 저면에 착용밴드(B)가 결합되는 밴드결합부(12)를 구비한 케이스(10);
    테두리가 상기 끼움로드(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으로 슬라이딩 결합하고, 복수개의 발산공(21)을 형성한 커버(20); 및
    판 형상으로 상기 커버(20)의 하측에서 상기 끼움로드(11)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상기 발산공(21)을 통해 모기퇴치제를 외부로 발산하는 모기퇴치 향 발산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20)의 하측에서 인출 가능하게 상기 끼움로드(11)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수납부(40)와, 상기 케이스(10) 외측면에 돌출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40)의 일측 단부와 연결하여 상기 수납부(40)를 인출시키는 인출부(5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부(40)는 양측에 가이드돌기(4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끼움로드(11)는 상기 커버(20)가 결합된 부위 하부 양측에 상기 가이드돌기(41)가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레일(11b)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레일(11b)은 타측 단부에 스토퍼(S)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돌기(41)의 슬라이딩 이동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끼움로드(11)의 상단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한 밀폐턱(11a)에 복수개의 개방공(13)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20)의 일단과 접촉하는 부위에 환형의 개폐돌기(14)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20)는, 상측에 시계(W)를 장착하고, 일측 가장자리 부위에 간격을 두고 개방홈(22)와 폐쇄홈(23)을 형성하여 상기 커버(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돌기(14)가 상기 개방홈(22) 또는 폐쇄홈(23)에 결합하며, 테두리에 복수개의 상기 발산공(21)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의 슬라이딩 결합시 상기 폐쇄홈(23)에 개폐돌기(14)가 결합하고, 상기 커버(20)가 상기 끼움로드(11)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20)를 회전시키면 상기 개방홈(22)에 개폐돌기(14)가 결합하며, 상기 개방공(13)과 발산공(21)이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모기퇴치제가 상기 개방공(13)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홈(23)에 개폐돌기(14)의 결합시 시계(W)에서 시간이 표시되는 부분이 상기 커버(20)의 일측단과 타측단을 연결하는 직선과 직교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개방홈(22)에 개폐돌기(14)의 결합시 시계(W)에서 시간이 표시되는 부분이 상기 개방홈(22)과 폐쇄홈(23)의 간격만큼 각도가 변경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시계(W)와 연결한 컨트롤러(15)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20) 및 컨트롤러(15)와 연결한 액츄에이터(16)를 구비하여 설정된 시간에 상기 커버(20)를 회전시켜 상기 개폐돌기(14)가 상기 개방홈(22) 또는 폐쇄홈(2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기.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50)는, 상기 케이스(10)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한 인출버튼(51)과, 상기 인출버튼(51)과 수납부(40)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52)와, 상기 연결바(52)의 말단에 형성한 후크(53)와, 상기 끼움로드(11)와 연결바(52)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후크(53)를 견인하는 견인스프링(5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일측 단부와 수납부(40)의 일측 중앙부를 압축스프링(42)으로 연결하고, 상기 수납부(40)의 일측 단부에 인출홈(43)을 형성하여 상기 후크(53)가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며, 상기 인출홈(43)의 타측에 걸림홈(44)을 형성하여 상기 후크(53)가 걸리게 하고, 상기 후크(53)와 대응하는 형상의 경사면(45)을 상기 인출홈(43)의 일측에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기.
KR2020160000193U 2016-01-13 2016-01-13 모기퇴치기 KR200485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93U KR200485576Y1 (ko) 2016-01-13 2016-01-13 모기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93U KR200485576Y1 (ko) 2016-01-13 2016-01-13 모기퇴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631U KR20170002631U (ko) 2017-07-24
KR200485576Y1 true KR200485576Y1 (ko) 2018-01-29

Family

ID=59399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193U KR200485576Y1 (ko) 2016-01-13 2016-01-13 모기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57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060A1 (ko) * 2018-11-14 2020-05-22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KR102210917B1 (ko) * 2020-05-29 2021-02-02 김동연 리필 가능한 이산화염소 패치를 포함하는 항균 밴드
WO2023229319A1 (ko) * 2022-05-23 2023-11-30 임성규 향기캡슐의 선택적인 스마트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8093A (zh) * 2017-11-20 2018-04-13 王思洁 一种驱蚊手表
KR102555527B1 (ko) * 2020-12-04 2023-07-17 임성규 향기캡슐의 선택적인 스마트 제어가 가능한 안경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949Y1 (ko) * 2005-08-17 2005-10-31 염영철 향기발생 액세서리
CN202588556U (zh) * 2012-04-16 2012-12-12 黄首征 具有安全驱蚊功能的手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489U (ko) * 1974-07-19 1976-02-04
JPH0226508U (ko) * 1988-08-09 1990-02-21
JPH0370138U (ko) * 1989-11-13 1991-07-12
KR200221446Y1 (ko) 2000-10-20 2001-04-16 김한석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KR200458736Y1 (ko) 2009-04-10 2012-02-24 이랄라 해충퇴치용 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949Y1 (ko) * 2005-08-17 2005-10-31 염영철 향기발생 액세서리
CN202588556U (zh) * 2012-04-16 2012-12-12 黄首征 具有安全驱蚊功能的手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060A1 (ko) * 2018-11-14 2020-05-22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KR102210917B1 (ko) * 2020-05-29 2021-02-02 김동연 리필 가능한 이산화염소 패치를 포함하는 항균 밴드
WO2023229319A1 (ko) * 2022-05-23 2023-11-30 임성규 향기캡슐의 선택적인 스마트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631U (ko) 201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576Y1 (ko) 모기퇴치기
US20200214280A1 (en) Insect Trap Device and Method of Using
US10568314B2 (en) Insect trap device and method of using
JP6592007B2 (ja) 捕虫装置とその使用方法
KR101110754B1 (ko) 모기퇴치용 팔찌
US9356393B2 (en) Low profile connector system
US201800277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ect trapping and detection
KR101650507B1 (ko) 손잡이가 구비된 유해생물 방제트랩
US20130097917A1 (en) Portable fly catcher
US20150101547A1 (en) Insect repellant device
KR200485575Y1 (ko) 모기퇴치기
KR200479260Y1 (ko) 모기 퇴치용 팔찌 겸용 목걸이
KR200452958Y1 (ko) 휴대용 해충퇴치기에 사용되는 안전망
KR20210056506A (ko) 거치 가능한 구조를 갖는 퇴치작동 지속유지형 전기 모기채
KR101552812B1 (ko) 장식기능을 갖는 휴대용 모기퇴치캡슐
KR20090005841U (ko) 손목밴드형 모기 퇴치기
KR101570642B1 (ko) 방향용 밴드
KR100874095B1 (ko) 휴대용 모기향 훈증기
US20150128877A1 (en) Insect repellant device
KR200481158Y1 (ko) 해충 퇴치기
CN102599143A (zh) 一种便携式驱蚊装置
KR200495706Y1 (ko) 해충 퇴치가 가능한 탈부착형 악세사리
JP2000157137A (ja) 害虫駆除用具
JP2002369647A (ja) マルチタイプ殺虫器
KR101181351B1 (ko)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의 해충퇴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