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158Y1 - 해충 퇴치기 - Google Patents

해충 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158Y1
KR200481158Y1 KR2020140005728U KR20140005728U KR200481158Y1 KR 200481158 Y1 KR200481158 Y1 KR 200481158Y1 KR 2020140005728 U KR2020140005728 U KR 2020140005728U KR 20140005728 U KR20140005728 U KR 20140005728U KR 200481158 Y1 KR200481158 Y1 KR 200481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ssential oil
directional
ho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471U (ko
Inventor
전창준
Original Assignee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5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15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4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4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1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9/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ther than insects, by hot water, steam, hot air, or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외활동 중 모기 등의 해충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해충들이 싫어하는 방향성 정유를 수용하며 점차적으로 방향성 정유의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한 밴드 형상의 것으로 사용자의 팔목이나 발목 등의 부위에 장착 또는 장착의 해제가 용이하도록 하는 해충 퇴치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금속 재질로 길이를 갖는 판체로서 길이 방향 양측 단부는 하측 방향으로 말리도록 탄성력을 가지며, 폭 방향 양측 단부는 상측 방향으로 말리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전체면을 덮으며, 신체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에 내외측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를 형성한 커버; 및 방향성 정유의 함유 및 발산이 가능한 다공질 재질로 상기 관통구를 막으며 일부가 상기 커버의 상측으로 이미 설계된 높이로 돌출한 돌기를 갖는 발산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해충 퇴치용 정유가 신체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발산되어 신체 접촉에 따른 불쾌감을 줄이고, 이로부터 민감성 피부 또는 예민한 성향의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토록 하며, 막대 형상에서 보관과 방향성 정유의 충전이 용이하며, 링(고리) 형상으로의 변형시에 그 장착이 이루어지는 용이성 및방향성 정유의 충전을 통해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충 퇴치기{APPARATUSES FOR REPELLING HARMFUL INSECT}
본 발명은 해충 퇴치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야외활동 중 모기 등의 해충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해충들이 싫어하는 방향성 정유를 수용하며 점차적으로 방향성 정유의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한 밴드 형상의 것으로 사용자의 팔목이나 발목 등의 부위에 장착 또는 장착의 해제가 용이하도록 하는 해충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는 숙주 동물의 체취, 숙주 동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및 이산화탄소 등에 유인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모기를 퇴치하는 방법으로는, 모기향 등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여 모기 유충을 잡아먹도록 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유문 등 및 이산화탄소 등으로 모기를 유인한 다음 고전압 등을 인가하여 모기를 퇴치시키는 물리적 방제법, 및 물웅덩이를 없애거나 모기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이 있다.
가정용 또는 휴대용 모기 퇴치기의 경우에는 모기향 또는 모기 살충성분을 분사하는 스프레이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모기향 또는 스프레이식의 경우에는 진한 향으로 인하여 유아를 비롯한 어린이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전자 모기향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 모기향의 경우 전자모기향에 전원을 인가하는 콘센트가 구비되어 있어야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콘센트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야외에서는 그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여름철에 야외활동을 할 경우에는 어린아이들에게 달려드는 모기 등의 해충 접근을 차단하기 어려운 관계에 있으며, 모기 등의 해충으로부터 물릴 경우 피부염이나 그에 따른 통증 또는 가려움증 및 피부의 손상 등의 문제가 있고, 이러한 문제는 야외에서 활동하는 근로자에게도 해당된다.
최근에는 신체 중 팔목이나 발목 등에 묶을 수 있는 띠 형상의 직물 등에 시트로렐라 정유를 수용토록 하고, 포장의 개방을 통해 수용된 시트로렐라 정유가 발산되게 함으로써 모기를 포함한 해충의 접근을 차단토록 하는 휴대용 해충 퇴치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띠 형상의 해충 퇴치기는 앞면과 뒷면이 불분명하며, 팔목이나 발목 등에 묶는 과정에서 신체와 접촉하는 부위를 시트로렐라 정유가 묻거나 더불어 접촉하는 피부로부터 방출된 땀과 혼합되는 등 예민한 어린아이들의 경우 그 착용을 꺼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띠 형상을 갖는 종래의 해충 퇴치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팔목이나 발목 등에 묶거나 그 묶임 상태를 푸는 관계로 장착 및 그 장착 해제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별도의 고정구를 이용한 장착 및 그 장착 해제가 이루어지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해충 퇴치기는, 방향성 정유의 자연적인 발산에 의존함에 따라 방향성 정유의 잔존량과 관계하여 초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그 발산의 양이 적어지는 관계에 있어 해충 퇴치의 효과가 일정하지 못할 뿐 아니라 그 교체 시기 또한 확인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충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해충 퇴치용 정유를 발산시키는 부위가 신체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하여 민감성 피부 또는 예민한 성향의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장착 및 장착의 해제가 용이하도록 하며, 방향성 정유의 충전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발산 양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며, 사용자의 활동에 비례적으로 방향성 정유의 발산 양이 더욱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해충 퇴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퇴치기의 특징적인 구성은, 금속 재질로 길이를 갖는 판체로서 길이 방향 양측 단부는 하측 방향으로 말리도록 탄성력을 가지며, 폭 방향 양측 단부는 상측 방향으로 말리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전체면을 덮으며, 상면커버에 내외측으로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커버와; 방향성 정유의 함유 및 발산이 가능한 다공질 재질로 상기 관통구를 막으며 일부가 상기 커버의 상측으로 이미 설계된 높이의 복수 돌기를 형성한 발산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전체 표면에 상기 방향성 정유에 대하여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의 코팅막을 더 형성한 것으로 하여 상기 커버 내에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커버는 내부에 상기 탄성체와 상기 발산부재 사이를 격리시켜 분리 구획하는 중간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 상기 탄성체에 대한 상기 방향성 정유의 접촉을 방지토록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는, 내경이 상기 돌기의 하부 측벽 둘레를 감싸는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돌기의 하부가 상기 커버 중 상면커버를 관통하여 끼워짐에 의해 형성되거나, 복수의 상기 돌기들이 형성된 영역 둘레에 대응하며 상기 발산부재의 상측 표면에 접하는 부위를 갖도록 이미 설계된 형상으로 천공한 것이거나, 이미 설계됨에 따라 복수의 상기 돌기들로 이루어진 상기 발산부재의 저면이 접합되는 영역 내에 하나 이상 천공 형성한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커버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 주연 부위는, 대응하여 접하는 상기 발산부재의 표면에 대하여 접합되게 하여 상기 돌기 또는 상기 돌기 주연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통한 상기 방향성 정유의 유출 및 발산을 방지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 내에서 상기 발산부재가 노출되는 공간에 대하여 상기 방향성 정유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포트를 더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충 퇴치용 정유의 발산이 신체 부위에 접하는 부위로부터 상대측에 있는 스펀지 또는 직물 등으로 이루어진 다공질의 돌기 또는 돌기 주연의 발산부재를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이들 해충 퇴치용 정유가 신체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며, 이로부터 민감성 피부 또는 예민한 성향의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고, 커버 내부에 방향성 정유를 충분한 양으로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어 방향성 정유의 발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뿐 아니라 계속적인 사용이 이루어지며, 커버 내부에 구비된 탄성체가 손목 또는 발목 등의 신체 부위를 감싸도록 탄성력을 제공함에 따라 신체의 맥박이나 사용자의 활동에 따른 움직임 및 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해 커버 내부의 방향성 정유가 커버 중 상면커버로 돌출한 돌기 또는 상면커버로 노출되는 돌기 주연을 통한 발산을 더욱 활성화함으로써 해충 퇴치의 안정적 효율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퇴치기의 구성과 이들 구성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Ⅱ-Ⅱ선을 기준으로 각 구성의 결합관계 실시 예와 그에 따른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a 내지 도 2c에 구비되는 탄성체의 탄력적 형상 변형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내측과 외측은 커버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부 방향을 내측이라 하고, 그 공간의 바깥쪽을 외측이라 하며, 밴드 형상에 대한 커버의 양면 중 상면커버는 신체의 피부에 접하지 않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신체 피부에 접하는 면을 저면커버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방향성 정유(精油)는, 현재 많이 사용되는 구문초 잎에서 추출한 시트로렐라 정유 또는 레몬 유칼립투스 식물에서 추출한 유칼립투스 정유 등으로 휘발성과 모기 등의 해충이 싫어하는 방향(芳香)성의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퇴치기(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재질로 길이를 갖는 판체(12)로서 길이 방향 양측 단부는 하측 방향으로 말리도록 탄성적 복원력을 가지며, 폭 방향 양측 단부는 상측 방향으로 말리도록 탄성적 복원력을 갖는 탄성체(16)와, 탄성체(16)의 전체면을 덮으며, 신체에 대하여 외측을 덮는 상면커버(18)에 내외측으로 관통하는 관통구(19a, 19b, 19c)를 형성한 커버(24)와, 방향성 정유의 함유 및 발산이 가능한 다공질 재질로 관통구(19a, 19b, 19c)를 막으며 일부가 커버(24)의 상측으로 이미 설계된 높이로 돌출한 복수 돌기(26)를 형성한 발산부재(28a, 28b, 28c)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술한 탄성체(1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적 복원력(Fa, Fb)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미 정해진 폭과 길이를 갖는 판체(12)로 이루어지고, 이 판체(12)의 탄성적 복원력(Fa, Fb)은 상면(12a)과 상면(12a)의 반대면인 저면(12b) 방향에 대하여 각기 다른 방향으로 작용한다.
판체(12)의 상면(12a)에 작용하는 탄성적 복원력(Fa)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체(12)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 부위가 상면(12a) 중심의 상측 위치를 기준으로 상호 근접하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렇게 판체(12) 상면(12a)의 폭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적 복원력(Fa)은, 판체(12)의 폭 방향 중심 부위가 오목한 형상을 이루도록 하며, 판체(12)의 폭 방향 단면 형상을 원호 형상에 가까운 굴곡진 형상을 이루게 하고, 이 형상이 판체(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다.
또한, 판체(12)의 저면(12b)에 작용하는 탄성적 복원력(Fb)은, 판체(12)의 길이 방향 저면(12b) 중심의 하측 위치 부위를 감싸는 형상을 이루도록 판체(12)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상호 근접하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렇게 판체(12) 저면(12b)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적 복원력(Fb)은, 판체(12)의 길이 방향 중심 부위에 손목 또는 발목이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놓임에 대응하여 판체(12)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상호 링(고리) 형상으로 말리며 그 신체 부위를 감싸는 형상을 이루게 한다.
따라서, 판체(12)의 상면(12a)과 저면(12b)에 대하여 각각의 작용하는 탄성적 복원력(Fa, Fb)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방향이 교차하면서 상측과 하측에 대하여 상호 반대 방향으로 굽어지게 작용한다.
이러한 탄성적 복원력(Fa, Fb)의 작용은, 판체(12)가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굽은 상태에서 그 형상이 유지되게 하고, 이미 유지되는 탄성적 복원력(Fa, Fb)에 대하여 저항하는 방향으로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힘이 제공될 경우, 판체(12)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적 복원력(Fa, Fb)과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형상 위치를 넘어서면서 그 형상이 탄력적이고도 신속하게 변화하게 하다.
또한, 탄성체(16)는, 도 2a와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체(12)의 전체 표면에 방향성 정유에 대하여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토록 하는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의 코팅막(14)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코팅막(14)은 탄성체(16)를 이루는 판체(12)가 방향성 정유와 접촉하여 부식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그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나, 방향성 정유에 대하여 판체(12)의 부식 가능성이 없는 경우에는 반듯이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며, 위의 탄성적 복원력(Fa, Fb)를 갖는 판체(12) 만으로도 ㅇ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커버(24)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내면에 합성수지로 코팅된 직물로 이루어져 탄성체(16)의 전체 표면을 덮으며, 전체적인 형상은 내부가 구획된 띠 형상을 이룬다.
또한, 커버(24)의 상면커버(18a, 18b, 18c)(신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반대면에 놓이는 커버)에 형성되는 관통구(19a, 19b, 19c) 중 도 1의 확대도와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관통구(19a)는, 같이, 핀 형상의 발산부재(28a) 복수개가 각각 대응하는 상면커버(19a)를 관통하여 하측 부위가 상면커버(18a)의 내측으로 일부 돌출(노출)하게 함과 동시에 상측 부위가 상면커버(18a)의 상면으로부터 이미 설계된 높이로 돌출하게 관통시켜 심는 것(억지끼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관통구(19a)는 돌기(26a)의 하부 측벽 둘레를 감싸는 형상을 이루면서 돌기(26a)의 이탈을 방지토록 접착 또는 융착(용융접합) 등의 방법을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핀 형상의 발산부재(28a) 주연의 상면커버(18a)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의 홈(21)을 이루게 되고, 이러한 홈(21) 부위와 이에 접하는 핀 형상의 발산부재(28a) 사이는 외부로부터 방향성 정유를 공급하여 묻히도록 할 경우를 포함하여 방향성 정유 일부가 고인 상태에 있도록 한다.
여기서, 핀 형상의 발산부재(28a) 중 상면커버(18a)의 상측으로 돌출한 부위는 돌기(26a)를 이루고, 이 돌기(26a)는 주위로부터의 바람(공기의 흐름) 또는 사용자의 활동에 따른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유연하게 흔들릴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되며, 돌기(26a)의 흔들림 등의 형상 변형은 커버(24) 내부에 수용되는 방향성 정유 또는 상술한 홈(21)에 맺히는 방향성 정유의 발산을 더욱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렇게 사용될 수 있는 돌기(26a)를 포함한 발산부재(28a) 및 후술하는 발산부재(28b, 28c)의 재질로는, 스펀지 등 발포성 합성수지,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를 통상의 바인더용 수지로 결속시켜 유연성을 갖도록 성형한 다공질체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c에 도시한 상면커버(18b)의 관통구(19b)는, 다른 실시 예로서, 복수의 돌기(26b)를 얇은 판 형상의 몸체(29)에 특정 형상으로 배치 형성한 발산부재(28b)에 대응하여 복수의 돌기(26b)들이 이루는 형상의 외곽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관통구(19b)의 내측 주연 부위는,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발산부재(28b)의 몸체(29) 상면에 기밀 유지토록 접합 또는 융착(용융접착) 등 통상의 방법에 따라 마감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돌기(26b)들 상호 간의 간격은, 조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 돌기(26b)들이 이루는 간격이 조밀한 경우에는, 이들 사이를 통해 방향성 정유가 맺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 또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돌기(26b)들이 흔들릴 때 방향성 정유의 휘발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도 2d에 도시한 상면커버(18c)의 관통구(19c)는,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면커버(18c) 중 이미 설계에 따른 설정된 부위에 내부의 방향성 정유의 유출이 가능하게 관통하는 다수의 미세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의 발산부재(28c)는, 하나 이상의 돌기(26c)를 형성한 몸체(29')의 저면이 관통구(19c)의 상면 주연에 대응하여 덮도록 함과 동시에 상호 대응하는 부위를 통해 접합 또는 융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각 실시 예에 따른 상면커버(18a, 18b, 18c)에는, 구획된 내부에 방향성 정유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포트(32)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포트(32)는 상면커버(18a, 18b, 18c) 중 일부에 포트용 홀(30)을 형성하고, 이 포트용 홀(30)에 합성고무, 실리콘 고무 등을 접합 또는 융착(용융접착) 등의 방법으로 기밀 유지토록 마감하여 주사 바늘 등을 이용하여 주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포트용 홀(30)에 상면커버(18a, 18b, 18c) 내측 방향으로 방향성 정유의 유입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상면커버(18a, 18b, 18c) 내부에 수용되는 방향성 정유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포트(32)의 구성은 반듯이 필요한 구성은 아니며, 상술한 발산부재(28a, 28b, 28c)에 주사 바늘 등을 이용하거나 돌기(26a, 26b, 26c)를 포함한 발산부재(28a, 28b, 28c) 상부 표면에 방향성 정유를 공급하여 그 내부로 확산되게(스며들도록) 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한편, 커버(24)의 내부에는 방향성 정유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과 상술한 탄성체(16)의 설치 공간을 분리 구획하는 격벽커버(22)를 더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격벽커버(22)는, 커버(24)의 제작 과정에서,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의 상면커버(18a, 18b, 18c)와 격벽커버(22) 및 저면커버(20)를 배치하고, 격벽커버(22)와 저면커버(20) 사이에 탄성체(16)를 개재한 상태에서 탄성체(16)의 가장자리 외곽에 위치하는 상술한 상면커버(18a, 18b, 18c)와 격벽커버(22) 및 저면커버(20)의 가장자리 부위 각 사이를 상호 기밀 유지토록 접합 또는 융착 및 봉제 등의 방법으로 마감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면커버(18a, 18b, 18c)와 격벽커버(22)가 하나의 튜브 형상으로 제작된 것에 대하여 격벽커버(22)의 밑면에 탄성체(16)를 두고 격벽커버(22)의 밑면에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대응하는 저면커버(20)의 가장자리 부위가 접합되게 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격벽커버(22)와 저면커버(20)가 내부에 탄성체(16)를 개재한 튜브 형상으로 제작된 것에 대하여 격벽커버(22)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대응하는 상면커버(18a, 18b, 18c)의 가장자리를 접합하는 것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퇴치기(10)의 각 구성에 의하면, 탄성체(16)의 특성 중 상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적 복원력(Fa, Fb)에 의한 형상이 유지될 때에는, 해충 퇴치기(10)는 막대 형상을 이루어 보관이나 커버(24) 내부로 방향성 정유를 주입하기 용이한 형상을 이룬다.
이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충 퇴치기(10)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 단부를 아래 방향으로 구부리면, 탄성체(16)의 특성 중 저면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적 복원력에 의해 그 중심 부위를 가로질러 놓이는 사용자의 팔목이나 발목 등의 신체 부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말림으로써 그 장착이 이루어진다.
이때 돌기(26a, 26b, 26c)를 포함한 발산부재(28a, 28b, 28c)는 자연적으로 신체로부터 외측 방향에 놓이고, 이에 따라 방향성 정유의 발산은 신체에 대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제공하지 않게 된다.
또한, 발산부재(28a, 28b, 28c)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26a, 26b, 26c)는 바람 또는 물리적인 힘의 영향으로 유연하게 굽어지거나 흔들릴 수 있어 사용자의 활동과 더불어 머금고 있는 방향성 정유의 발산을 활성화한다.
만약, 본 발명의 해충 퇴치기(10)의 장착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충 퇴치기(10)의 길이 방향 양단을 화살표 "F"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부가하는 것으로 그 해제가 이루어질 뿐 아니라 막대 형상으로 변형된 해충 퇴치기(10)는 그 보관이 용이한 관계에 있다.
한편, 상술한 커버(24) 상측의 돌기(26a, 26b, 26c) 주연에는 방향성 정유를 머금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면커버(18a, 18b, 18c)와 발산부재(28a, 28b, 28c) 사이를 통해 유출 가능한 방향성 정유의 유출 및 그에 따른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부직포(4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부직포(40)는 상술한 커버(24) 중 상면커버(18a, 18b, 18c)의 관통구 주연의 상측 표면과 관통구 내측에 노출되는 발산부재(28a, 28b, 28c) 상면에 대하여 부착하여 상면커버(18a, 18b, 18c)와 발산부재(28a, 28b, 28c) 상호간의 결속 관계를 보완토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부직포(40)는 상술한 발산부재(28a, 28b, 28c)와 더불어 외부로부터 주사기 공급되는 방향성 정유의 수용체로서 기능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술한 돌기(26a, 26b, 26c)와 마찬가지로 공기중에 방향성 정유의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부직포(40)는 부착 위치는 상면커버(18a, 18b, 18c)의 상측 표면 영역 내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10: 해충 퇴치기 12: 판체
14: 코팅막 16: 탄성체
18a, 18b, 18c: 상면커버 20: 저면커버
22: 격벽커버 24: 커버
26a, 26b, 26c: 돌기 28a, 28b, 28c: 발산부재
32: 포트 40: 부직포

Claims (6)

  1. 금속 재질로 길이를 갖는 판체로서 길이 방향 양측 단부는 하측 방향으로 말리도록 탄성력을 가지며, 폭 방향 양측 단부는 상측 방향으로 말리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전체면을 덮으며, 신체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에 내·외측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를 형성한 커버; 및
    방향성 정유의 함유 및 발산이 가능한 다공질 재질로 상기 관통구를 막으며 일부가 상기 커버의 상측으로 돌출한 돌기를 갖는 발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통구는, 내경이 상기 돌기의 하부 측벽 둘레를 감싸는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돌기의 하부가 상기 커버의 상면을 관통하여 끼워짐에 의해 형성되거나, 복수의 상기 돌기들이 형성된 영역 둘레에 대응하며 상기 발산부재의 상면에 접하는 부위를 갖도록 천공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전체 표면에 방향성 정유에 대하여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의 코팅막을 더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내부에 상기 탄성체와 상기 발산부재 사이를 격리시켜 분리 구획하는 격벽커버를 더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기.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 내에서 상기 발산부재가 노출되는 공간에 대하여 상기 방향성 정유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포트를 더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상측의 상기 돌기 주연에는 방향성 정유를 머금을 수 있도록 하는 부직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부직포는 상기 커버의 관통구 주연의 상측 표면과 상기 관통구 내측의 상기 발산부재 상면에 대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기.
KR2020140005728U 2014-07-30 2014-07-30 해충 퇴치기 KR200481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728U KR200481158Y1 (ko) 2014-07-30 2014-07-30 해충 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728U KR200481158Y1 (ko) 2014-07-30 2014-07-30 해충 퇴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71U KR20160000471U (ko) 2016-02-15
KR200481158Y1 true KR200481158Y1 (ko) 2016-08-23

Family

ID=5535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728U KR200481158Y1 (ko) 2014-07-30 2014-07-30 해충 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15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927B1 (ko) 2014-06-30 2014-08-13 이창복 모기 퇴치밴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841U (ko) * 2009-05-26 2009-06-15 손광수 손목밴드형 모기 퇴치기
KR20110000416U (ko) * 2009-07-08 2011-01-14 최재구 어린이용 탄성 밴드
KR101110754B1 (ko) * 2010-03-03 2012-02-16 최인원 모기퇴치용 팔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927B1 (ko) 2014-06-30 2014-08-13 이창복 모기 퇴치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71U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1384B1 (en) Insect bait station
US201800277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ect trapping and detection
KR200485576Y1 (ko) 모기퇴치기
KR101110754B1 (ko) 모기퇴치용 팔찌
AU2010239692A1 (en) Insect controlling bands
US20180064066A1 (en) Structure of pet comb
US20100043274A1 (en) Bed bug trap
US3303599A (en) Insect trap
KR200464924Y1 (ko) 파리 유인 내용물이 구비된 파리끈끈이
KR200481158Y1 (ko) 해충 퇴치기
JP2008022838A (ja) 虫捕獲解放容器及び容器式害虫駆除方法
KR101674926B1 (ko) 모기퇴치기
KR200458736Y1 (ko) 해충퇴치용 밴드
KR200452958Y1 (ko) 휴대용 해충퇴치기에 사용되는 안전망
CN102599143B (zh) 一种便携式驱蚊装置
KR200400021Y1 (ko) 해충 접근 억제용 발향 밴드
KR200485575Y1 (ko) 모기퇴치기
KR101593030B1 (ko) 해충 퇴치기
KR20090005841U (ko) 손목밴드형 모기 퇴치기
US20150128877A1 (en) Insect repellant device
US20110120392A1 (en) Animal collar
JPH08135853A (ja) 配管貫通孔の閉塞具
KR101570642B1 (ko) 방향용 밴드
CN212260221U (zh) 蟑螂诱捕贴
TWI724625B (zh) 飛翔害蟲防除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