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391Y1 - 휴대폰 외장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외장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391Y1
KR200221391Y1 KR2020000031695U KR20000031695U KR200221391Y1 KR 200221391 Y1 KR200221391 Y1 KR 200221391Y1 KR 2020000031695 U KR2020000031695 U KR 2020000031695U KR 20000031695 U KR20000031695 U KR 20000031695U KR 200221391 Y1 KR200221391 Y1 KR 200221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upport
cover
case
exteri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철
Original Assignee
서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성철 filed Critical 서성철
Priority to KR2020000031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3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391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상면에 입체형상이나 그림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 휴대폰 덮개(1)가 삽입될 수 있는 공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2)와, 상기한 몸체(2)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몸체(2)가 휴대폰 덮개(1)에 고정되도록 하며 하단에 록킹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3)와, 상기한 지지대(3)가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4)과, 상기한 지지대(3)가 평상시에는 휴대폰 덮개(1)를 고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부에 외장 케이스를 장착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동일 모델의 휴대폰과 쉽게 구별할 수 있으며, 장기 사용에 따른 휴대폰 몸체의 탈색, 부분 파손, 흠집 등을 가려 새로운 느낌의 휴대폰 외형을 제공하고, 폴더형 휴대폰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폰 외장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폰 외장 케이스{a case for a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외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부에 외장 케이스를 장착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동일 모델의 휴대폰과 쉽게 구별할 수 있으며, 장기 사용에 따른 휴대폰 몸체의 탈색, 부분 파손, 흠집 등을 가려 새로운 느낌의 휴대폰 외형을 제공하고, 폴더형 휴대폰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폰 외장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셀룰러폰이나 PCS 등과 같은 휴대용 무선 전화기(이하 '휴대폰'이라 약칭함)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날로 소형화되고 있으며, 최근에 이르러서는 휴대폰 본체를 반으로 접을 수 있는 폴더형 휴대폰이 양산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폰은 그 외관 디자인이 단순한 형태로 일괄 제작되기 때문에 동일한 모델의 경우에는 다른 사용자의 휴대폰과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서, 간혹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휴대폰을 자기 것으로 혼동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폰은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휴대폰 몸체의 탈색, 부분파손, 흠집 등이 발생하거나 장기간 사용에 의한 디자인의 식상함을 느끼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필요하게 신형으로 교체하도록 유도하여 과도하게 외화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종래의 플립형 휴대폰의 경우,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들이 핸드폰에 자기취향에 따른 스티커 및 핸드폰 줄과 같은 장식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 근본적으로 휴대폰 디자인의 변화를 줄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부에 외장 케이스를 장착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동일 모델의 휴대폰과 쉽게 구별할 수 있으며, 장기 사용에 따른 휴대폰 몸체의 탈색, 부분 파손, 흠집 등을 가려 새로운 느낌의 휴대폰 외형을 제공하고, 폴더형 휴대폰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폰 외장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외장 케이스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D-D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휴대폰 덮개 2 : 몸체
3 : 지지대 4 : 회전축
5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외장 케이스는, 상면에 입체형상이나 그림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 휴대폰 덮개(1)가 삽입될 수 있는 공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2)와, 상기한 몸체(2)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몸체(2)가 휴대폰 덮개(1)에 고정되도록 하며 하단에 록킹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3)와, 상기한 지지대(3)가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4)과, 상기한 지지대(3)가 평상시에는 휴대폰 덮개(1)를 고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지대(3)의 하단부의 휴대폰 덮개(1)와 접촉되는 부분은 휴대폰 덮개(1)가 충격을 받지 않도록 신축부재가 설치되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외장 케이스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몸체(2)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3)를 회전축(4)을 중심으로 공동부의 바깥으로 밀어낸 뒤에, 공동부에 휴대폰 덮개(1)를 끼운 후 지지대(3)를 놓게 되면 지지대(3)가 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면서 휴대편 덮개(1)를 압착고정함으로써 몸체(2)가 휴대폰 덮개(1)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한 스프링(5)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쪽끝은 몸체(2)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한쪽끝은 지지대(3)에 고정설치됨으로써 지지대(3)가 회전축(4)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지지대(3)의 하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몸체(2)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부가 돌출형성되며, 몸체(2)에는 상기한 록킹부와 결합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지지대(3)의 하단부에는 신축부재가 설치되어 휴대폰 덮개(1)와 접촉되는 부분이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몸체(2)의 상면은 각종 디자인, 그림, 문구 등이 형성됨으로써 휴대폰이 서로 다른 개성의 디자인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한 휴대폰 케이스를 교체함에 따라 항상 새로운 디자인으로 휴대폰을 꾸밀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몸체(2)는 휴대폰 덮개(1)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휴대폰의 개폐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폴더형 휴대폰 외장 케이스는 그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식으로 인해 동일한 종류의 휴대폰 간에 구별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폰을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휴대폰 몸체의 탈색, 부분파손, 흠집 ,등이 발생하거나 장기간 사용에 의한 디자인의 식상함을 느끼는 사용자에게 사용중인 휴대폰을 계속 사용하면서 새로운 느낌을 갖을 수 있어 불필요하게 신형으로 교체하여 발생하는 과도한 외화 유출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폰 외장 케이스에 의해 휴대폰 덮개부 보다 넓은 표면적을 갖게 되어 휴대폰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상면에 입체형상이나 그림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 휴대폰 덮개(1)가 삽입될 수 있는 공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2)와, 상기한 몸체(2)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몸체(2)가 휴대폰 덮개(1)에 고정되도록 하며 하단에 록킹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3)와, 상기한 지지대(3)가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4)과, 상기한 지지대(3)가 평상시에는 휴대폰 덮개(1)를 고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외장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2)는 휴대폰 덮개(1)보다 넓은 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외장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대(3)의 하단부의 휴대폰 덮개(1)와 접촉되는 부분은 휴대폰 덮개(1)가 충격을 받지 않도록 신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외장 케이스.
KR2020000031695U 2000-11-13 2000-11-13 휴대폰 외장 케이스 KR200221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695U KR200221391Y1 (ko) 2000-11-13 2000-11-13 휴대폰 외장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695U KR200221391Y1 (ko) 2000-11-13 2000-11-13 휴대폰 외장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391Y1 true KR200221391Y1 (ko) 2001-04-16

Family

ID=7305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695U KR200221391Y1 (ko) 2000-11-13 2000-11-13 휴대폰 외장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3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8765B1 (en) Portable radiotelephone
KR200221391Y1 (ko) 휴대폰 외장 케이스
JPH10304034A (ja) 電話機
KR200403717Y1 (ko) 휴대전화 본체용 커버
KR200198287Y1 (ko) 휴대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커버
CN209930337U (zh) 一种分体式手机壳
USD456791S1 (en) Telephone watch
CN210327658U (zh) 一种方便更换装饰物的金属手机外壳
JP3094180U (ja) 移動通信機器のヒンジ装置
CN218352530U (zh) 一种手机侧壳结构
CN216313168U (zh) 一种多功能手机壳
CN219715960U (zh) 一种带了橙色操作按键的手表壳
CN2547086Y (zh) 一种折叠式内置天线手机
KR200279979Y1 (ko) 핸드폰용 악세사리
CN218482878U (zh) 手机保护壳
CN216313371U (zh) 一种具有指尖陀螺的蓝牙耳机充电盒
CN209250697U (zh) 一种手机模型
KR200194591Y1 (ko) 얼굴이 비치는 핸드폰
CN216959941U (zh) 一种手机外壳用指环
KR100504583B1 (ko) 핸드폰용 힌지장치
KR200336284Y1 (ko) 셀룰러폰용 이어폰잭의 슬라이드커버
KR100418702B1 (ko) 휴대용 정보단말기
KR200184800Y1 (ko) 거울겸용 이동통신기기
KR200235560Y1 (ko)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기
KR200336833Y1 (ko)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용 악세사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