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583B1 - 핸드폰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폰용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583B1
KR100504583B1 KR10-2003-0001558A KR20030001558A KR100504583B1 KR 100504583 B1 KR100504583 B1 KR 100504583B1 KR 20030001558 A KR20030001558 A KR 20030001558A KR 100504583 B1 KR100504583 B1 KR 100504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m
shaft
circumferential surface
inclin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4334A (ko
Inventor
장명택
Original Assignee
장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택 filed Critical 장명택
Priority to KR10-2003-0001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583B1/ko
Publication of KR20040064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을 누르면 폴더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수동으로 폴더를 닫는 핸드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주면에 제 1 캠형상부(17)가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 2 캠형상부(35)가 형성된 리어 커버(30)와,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에 장착되며 제 3 캠형상부(46)가 형성된 프론트 커버(40)와, 상기 프론트 커버(40)를 관통하여 하우징(10)에 장착되며 1쌍의 상부 작동돌기부(52, 52') 및 1쌍의 하부 작동돌기부(53, 53')가 형성된 샤프트(50)와, 상기 샤프트(50)와 리어 커버(3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60)과, 상기 샤프트(50)의 상단에 장착되는 버튼부재(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드폰용 힌지장치{Hinge device for Cellular-phone}
본 발명은 버튼을 누르면 폴더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수동으로 폴더를 닫는 핸드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버튼부재를 누르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샤프트의 작동돌기부가 캠형상부의 사면을 따라 이동하므로서, 핸드폰의 본체에 연결된 샤프트와 핸드폰의 폴더에 장착된 하우징이 서로 상대운동을 하므로서, 폴더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핸드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핸드폰 폴더를 수동으로 개폐해야 하기때문에, 핸드폰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한손으로 핸드폰 본체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폴더를 개방시켜야 했다. 따라서, 한손에 다른 물건을 가지고 있는 경우 등 한손만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 경우 폴더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폴더가 개방되는 핸드폰이 특허 제 326771호(2002. 2. 19 등록)에 "핸드폰용 커버 개폐장치"로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핸드폰용 커버 개폐장치는 모터와 기어에 의해 폴더가 자동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배터리 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2-37281(2002. 5. 18 공개)에 "장착용 스트랜의 힌지 유니트"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장착용 스트랩의 힌지 유니트는 손목시계형 PHS통신 단말기에서 버튼을 누르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핀이 회전 파이프의 측면 슬라이드 구멍을 따라 이동되므로서 스트랩이 자동으로 개방되므로서, 손목시계형 PHS통신 단말기를 손목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장착용 스트랩의 힌지 유니트는 손목에 착용한 스트랩을 풀기 위한 구조이며, 크기가 크고 구조가 복잡하여 핸드폰용 힌지장치로는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58170호(2001. 12. 7. 등록)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힌지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힌지장치는 폴더가 접힌 상태에서 폴더를 30도까지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개방하면 그 후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힌지장치는 처음 위에서 제시한 두손으로 폴더를 개방해야 하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한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14694호(2000. 12. 13. 등록)에 "휴대폰용 자동개폐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휴대폰용 자동개폐장치는 버튼을 누르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캠과 로터리 캠의 상대운동에 의해 폴더가 자동으로 개방된다. 그러나, 상기 휴대폰용 자동개폐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2255호(2000. 8. 28. 등록)에 "휴대폰의 힌지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휴대폰의 힌지장치는 버튼을 누르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폴더가 자동으로 개폐되고, 폴더를 닫았을 때 걸림돌기가 폴더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폴더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휴대폰의 힌지장치는 폴더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록킹수단이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휴대폰 본체 및 폴더를 성형한 후 록킹수단을 위한 홈등을 별도로 가공하여야 하고, 자주 사용할 경우 홈과 걸림돌기의 마모로 폴더가 잘 닫히지 않으며, 휴대폰 본체의 안쪽에 걸림돌기가 배치되기 때문에 전화를 하는 중에 걸림돌기에 의해 사용자 얼굴 등이 상처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버튼부재를 누르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버튼부재의 돌기부가 캠형상부를 따라 이동되므로서 폴더가 자동으로 개방되므로서 배터리 없이 간단한 구조로 핸드폰의 폴더를 열 수 있는 핸드폰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용 힌지장치의 일례는 내주면에 제 1 캠형상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 2 캠형상부가 형성된 리어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며 제 3 캠형상부가 형성된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를 관통하여 하우징에 장착되며 1쌍의 상부 작동돌기부 및 1쌍의 하부 작동돌기부가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리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장착되는 버튼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기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복수개의 장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주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복수개의 포켓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내주면의 중앙에 제 1 캠형상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캠형상부는 우측 경사부와 좌측 경사부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우측 경사부의 상단과 좌측 경사부의 상단이 소정의 간극만큼 이격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좌측 경사부의 하단과 우측 경사부의 하단이 소정의 간극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 정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 커버는 원통부의 하단이 받침부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기부 및 후크돌기가 형성되고, 상단에 사면을 갖는 제 2 캠형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커버는 원통부의 상단에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기부와 후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 제 3 캠형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캠형상부는 경사부의 하단에 정지홈이 형성되고, 경사부와 정지홈의 사면이 같은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는 하단에 스프링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장착부의 상부에 1쌍의 상부 작동돌기부와 1쌍의 하부 작동돌기부가 형성되고, 상단에 버튼부재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작동돌기부는 상단의 꼭지점부가 프론트 커버의 제 3 캠형상부의 정지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좌상측 경사면이 프론트 커버의 제 3 캠형상부의 경사부와 경사각과 같은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작동돌기부는 하부 경사면이 리어 커버의 제 2 캠형상부의 사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의 꼭지점부가 하우징의 제 1 캠형상부의 정지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좌상측 경사면이 하우징의 제 1 캠형상부의 경사각과 같은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부재는 핸드폰 본체의 장착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테두리부와 장착홈의 입구 사이에 제 1 유격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부와 장착구멍의 단차부 사이에 제 2 유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용 힌지장치의 다른예에서는 샤프트에 상부 작동돌기부없이 하부 작동돌기부만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용 힌지장치의 또 다른 예는 내주면에 제 1 캠형상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되는 리어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며 제 3 캠형상부가 형성된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를 관통하여 하우징에 장착되며 1쌍의 상부 작동돌기부 및 1쌍의 하부 작동돌기부가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리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장착되는 버튼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제 1 캠형상부에서 경사부의 하단에 정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서 상기 경사부와 반대방향으로 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부 작동돌기부의 하부 경사부가 하우징의 제 1 캠형사부의 사면에 대응되도록 경사지므로서, 샤프트가 하강할 때 상부 작동돌기부의 하부 경사부가 제 1 캠형상부의 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힌지장치(1)는 내주면에 제 1 캠형상부(17 ; 도 2 참조)가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 2 캠형상부(35)가 형성된 리어 커버(30)와,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에 장착되며 제 3 캠형상부(46)가 형성된 프론트 커버(40)와, 상기 프론트 커버(40)를 관통하여 하우징(10)에 장착되며 1쌍의 상부 작동돌기부(52, 52') 및 1쌍의 하부 작동돌기부(53, 53')가 형성된 샤프트(50)와, 상기 샤프트 (50)와 리어 커버(3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60)과, 상기 샤프트(50)의 상단에 장착되는 버튼부재(70)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은 외주면(11)에 복수개의 돌기부(12)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주면(13)에 복수개의 장홈(14)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주면(12)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복수개의 포켓(15, 1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내주면의 중앙에 제 1 캠형상부(1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캠형상부(17)는 우측 경사부(18 ; 도면을 보았을 때)와 좌측 경사부(18' ; 도면을 보았을 때)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우측 경사부(18)의 상단과 좌측 경사부(18')의 상단이 소정의 간극(S)만큼 이격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좌측 경사부(18')의 하단과 우측 경사부(18)의 하단이 소정의 간극(S)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18, 18')의 하단에 정지홈(19, 19')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8, 18')와 정지홈(19, 19')의 사면(21, 21')은 같은 경사각(a)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용 힌지장치 (1)가 핸드폰 폴더(80)의 장착홈(81)에 장착될 때, 상기 하우징(10)은 외주면(11)에 형성된 돌기부(12)가 핸드폰(80)의 장착홈(81) 안쪽에 형성된 복수개의 오목홈 (82)에 끼워지므로서, 상기 하우징(10)이 핸드폰(80)의 장착홈(81)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리어 커버(30)는 원통부(31)의 하단이 받침부(32)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원통부(31)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기부(33) 및 후크돌기(34)가 형성되고, 상단에 사면(36, 36')을 갖는 제 2 캠형상부(35)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커버(40)는 원통부(41)의 상단에 받침부(4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42)의 중앙에 중공부(43)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41)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기부(44)와 후크돌기(45)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 제 3 캠형상부(46)가 형성된다.
상기 제 3 캠형상부(46)는 경사부(47, 47')의 하단에 정지홈(48, 48')이 형성되고, 경사부(47, 47')와 정지홈(48, 48')의 사면(49, 49')이 같은 경사각(a)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 3 캠형상부(46)의 경사부(47, 47') 및 정지홈(48, 48')은 하우징(10)의 제 1 캠형상부(17, 17')의 경사부(18, 18') 및 정지홈(19, 19')과 같은 경사각(a)을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50)는 하단에 스프링 장착부(51)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장착부(51)의 상부에 1쌍의 상부 작동돌기부(52, 52')와 1쌍의 하부 작동돌기부(53, 53')가 형성되고, 상단에 버튼부재 장착부(54)가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작동돌기부(52)는 상단의 꼭지점부(55)가 프론트 커버(40)의 제 3 캠형상부(46)의 정지홈(48)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좌상측 경사면(56)이 프론트 커버(40)의 제 3 캠형상부(46)의 경사부(47)와 경사각 (a)과 같은 각도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작동돌기부(53)는 하부 경사면(57)이 리어 커버(30)의 제 2 캠형상부(35)의 사면(36)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의 꼭지점부(58)가 하우징(10)의 제 1 캠형상부(17)의 정지홈(19)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좌상측 경사면(59)이 하우징의 제 1 캠형상부(17)의 경사각(a)과 같은 각도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버튼부재(70)는 핸드폰 본체(85)의 장착구멍(86)에 끼워진 상태에서 테두리부(71)와 장착홈(86)의 입구 사이에 제 1 유격(d)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부(71)와 장착구멍(86)의 단차부(87) 사이에 제 2 유격(L)을 갖도록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버튼부재(70)가 핸드폰 본체(85)의 장착구멍(86)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격만큼 눌려지거나 후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용 힌지장치를 다음과 같이 조립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10)의 상단에 프론트 커버(40)를 장착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단을 통해 샤프트(50)를 끼운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샤프트(50)의 상부 작동돌기부(52)가 하우징(10)의 제 1 캠형상부(17)의 우측 경사부(18)와 좌측 경사부(18') 사이의 간극(S)을 통과하도록 화살표(91) 방향으로 상승시킨다.
이후, 스프링(60)이 샤프트(50)의 스프링 장착부(51)에 장착되도록 리어 커버(30)를 하우징(10)의 하단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리어커버(30)의 돌기부(33) 및 후크돌기(34)가 하우징(10)의 장홈(14)과 포켓(16)에 결합되도록 끼운다.
이후, 프론트 커버(40)를 하우징(10)의 상단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프론트 커버(40)도, 리어커버(30)와 마찬가지로, 돌기부(44)와 후크돌기(45)가 하우징(10)의 장홈(14)과 포켓(15)에 결합되도록 끼운다.
이후, 상기 샤프트(50)의 버튼부재 장착부(54)에 버튼부재(70)를 장착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힌지장치(1)의 하우징(10)을 핸드폰 폴더(80)의 장착홈(81)에 끼워 고정한 후, 버튼부재(70)가 핸드본 본체(85)의 장착구멍(86)을 통과하도록 끼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조립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용 힌지장치의 작동을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핸드폰 폴더가 열린 상태이며, 8a의 (가) 및 (나)와 같이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핸드폰용 힌지장치는 스프링(60)에 의해 샤프트(50)의 상부 작동돌기부(52) 및 하부 작동돌기부(53)가 프론트 커버(40)의 제 3 캠형상부(46)의 정지홈(48) 및 하우징(10)의 제 1 캠형상부(17)의 정지홈(19)에 결합되어 있다.
도 8a의 상태에서 도 8b의 (가)와 같이 버튼부재(70)를 누르면, 샤프트(50)의 하강에 의해 스프링(60)이 압축되고, 도 8b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샤프트(50)의 하부 작동돌기부(53 ; 점선으로 도시함)의 하부 경사면(57)이 리어 커버(30)의 제 2 캠형상부(35)의 사면(36) 상단으로 하강한 후, 계속해서 상기 하부 작동돌기부(53 ; 실선으로 표시함)가 상기 제 2 캠형상부(35)의 사면(36)을 따라 내려가므로서, 샤프트(50)가 사면(36)의 길이만큼 약간 회전하게 되고, 상기 하부 작동돌기부(53) 및 상부 작동돌기부(52)가 제 1 캠형상부(17)의 경사부(18)의 하부 및 제 3 캠형상부(46)의 경사부(47)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버튼부재(7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압축된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도 8c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샤프트(50)의 하부 작동돌기부(53 ; 점선) 및 상부 작동돌기부(52)가,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0)의 제 1 캠형상부 (17)의 경사부(18) 하단 및 프론트 커버(40)의 제 3 캠형상부(46)의 경사부(47) 하단으로 상승하여 밀착되고, 계속해서 상기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부 작동돌기부(53) 및 상부 작동돌기부(52)가 제 1 캠형상부(17)의 경사부(18) 및 프론트 커버(40)의 제 3 캠형상부(46)의 경사부(47)를 따라 밀착된 상태로 상기 경사부(18, 47)의 상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도 8c의 (가)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10)과 샤프트(50)가 서로에 대해 상대회전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10)을 포함하는 핸드폰 폴더가 샤프트의 버튼부재(70)를 포함하는 핸드본 본체에 대해 상대회전하게 되므로서 핸드폰 폴더가 개방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개방된 핸드폰 폴더는 수동으로 닫힐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힌지장치(1)는, 제 1 실시예의 핸드폰용 힌지장치의 변형예로서, 샤프트(50)에 하부 작동돌기부 (53)만이 형성되고, 프론트 커버(40)에 제 2 캠형상부가 형성되지 않아, 상기 작동돌기부(53)만이 하우징(10)의 제 1 캠형상부(17a)의 경사부(18a)를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의 핸드폰용 힌지장치와 그 구성 및 작동이 동일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힌지장치(100)는 내주면에 제 1 캠형상부(117)가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단에 배치되는 리어 커버(30)와,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에 장착되며 제 3 캠형상부(146)가 형성된 프론트 커버(140)와, 상기 프론트 커버(140)를 관통하여 하우징(110)에 장착되며 1쌍의 상부 작동돌기부(152) 및 1쌍의 하부 작동돌기부 (153)가 형성된 샤프트(150)와, 상기 샤프트(150)와 리어 커버(13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160)과, 상기 샤프트(150)의 상단에 장착되는 버튼부재(17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핸드폰용 힌지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제 1 캠형상부(117)에서 경사부(118)의 하단에 정지홈(119)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18)의 하단에서 상기 경사부(118)와 반대방향으로 사면(120)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하우징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샤프트(150)는 상부 작동돌기부(152)의 하부 경사부(153)가 하우징 (110)의 제 1 캠형사부(117)의 사면(120)에 대응되도록 경사지므로서, 샤프트(150)가 하강할 때 상부 작동돌기부(152)의 하부 경사부(153)가 제 1 캠형상부(117)의 사면(120)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샤프트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핸드폰용 힌지장치(100)에서는 리어 커버(130)의 상단에 사면을 갖는 제 2 캠형상부가 형성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힌지장치(100)는 버튼부재 (170)를 눌렀을 때, 샤프트(150)가 하강하여 상기 샤프트(150)의 상부 작동돌기부 (152)의 하부 경사부(153)가 제 1 캠형상부(117)의 사면(12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핸드폰용 힌지장치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용 힌지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자동으로 폴더를 열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용 힌지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우징을 도시한 전개도
도 3은 도 1의 핸드폰용 힌지장치가 핸드폰에 장착되는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버튼부재의 장착을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도 1의 리어 커버를 도시한 전개도
도 5는 도 1의 프론트 커버를 도시한 전개도
도 6은 샤프트의 작동돌기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샤프트의 작동돌기부가 하우징의 제 1 캠형상부에 안착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해 하우징을 전개하여 도시한 전개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핸드폰용 힌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취 단면도 및 이에 각각 대응되는 전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용 힌지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는 일부를 절취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
(나)는 전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용 힌지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는 일부를 절취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
(나)는 전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하우징 17 : 제 1 캠형상부
30 : 리어 커버 35 : 제 2 캠형상부
40 : 프론트 커버 46 : 제 3 캠형상부
50 : 샤프트 60 : 스프링
70 : 버튼부재

Claims (12)

  1.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기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복수개의 장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내주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복수개의 포켓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내주면의 중앙에 제 1 캠형상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기부 및 후크돌기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사면을 갖으며, 하단부는 받침부에 의해 밀폐된 원통부를 갖는 제 2 캠형상부가 형성되는 리어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며, 하단에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기부와 후크돌기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받침부가 형성되는 원통부를 갖는 제 3 캠형상부가 형성되는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를 관통하여 하우징에 장착되며, 하단부에는 스프링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장착부의 상단부에 1쌍의 상부 작동돌기부 및 1쌍의 하부 작동돌기부가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버튼부재 장착부가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리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장착되고, 핸드폰 본체의 장착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테두리부와 장착홈의 입구 사이에 제 1 유격(d)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부와 장착구멍의 단차부 사이에 제 2 유격(L)을 갖도록 배치되는는 버튼부재; 로 구성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작동돌기부는 상단의 꼭지점부가 프론트 커버의 제 3 캠형상부의 정지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좌상측 경사면이 프론트 커버의 제 3 캠형상부의 경사부와 경사각(a)과 같은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작동돌기부는 하부 경사면이 리어 커버의 제 2 캠형상부의 사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의 꼭지점부가 하우징의 제 1 캠형상부의 정지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좌상측 경사면이 하우징의 제 1 캠형상부의 경사각(a)과 같은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는 상부 작동돌기부 없이 하부 작동돌기부 만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힌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형상부는 우측 경사부와 좌측 경사부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우측 경사부의 상단과 좌측 경사부의 상단이 소정의 간극(S)만큼 이격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좌측 경사부의 하단과 우측 경사부의 하단이 소정의 간극(S)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 정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힌지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캠형상부는 경사부의 하단에 정지홈이 형성되고, 경사부와 정지홈의 사면이 같은 경사각(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힌지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기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복수개의 장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내주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복수개의 포켓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내주면의 중앙에 제 1 캠형상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기부 및 후크돌기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사면을 갖으며, 하단부는 받침부에 의해 밀폐된 원통부를 갖는 제 2 캠형상부가 형성되는 리어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며, 하단에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기부와 후크돌기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받침부가 형성되는 원통부를 갖는 제 3 캠형상부가 형성되는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를 관통하여 하우징에 장착되며, 하단부에는 스프링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장착부의 상단부에 1쌍의 상부 작동돌기부 및 1쌍의 하부 작동돌기부가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버튼부재 장착부가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리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장착되고, 핸드폰 본체의 장착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테두리부와 장착홈의 입구 사이에 제 1 유격(d)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부와 장착구멍의 단차부 사이에 제 2 유격(L)을 갖도록 배치되는는 버튼부재; 로 구성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 1 캠형상부에서 경사부의 하단부에 정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경사부와 반대방향으로 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는 상부 작동돌기부의 하부 경사부가 하우징의 제 1 캠형사부의 사면에 대응되도록 경사지므로서, 샤프트가 하강할 때 상부 작동돌기부의 하부 경사부가 제 1 캠형상부의 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힌지장치.
KR10-2003-0001558A 2003-01-10 2003-01-10 핸드폰용 힌지장치 KR100504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558A KR100504583B1 (ko) 2003-01-10 2003-01-10 핸드폰용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558A KR100504583B1 (ko) 2003-01-10 2003-01-10 핸드폰용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334A KR20040064334A (ko) 2004-07-19
KR100504583B1 true KR100504583B1 (ko) 2005-08-03

Family

ID=3735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558A KR100504583B1 (ko) 2003-01-10 2003-01-10 핸드폰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711B1 (ko) 2006-08-23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프리 스톱 힌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611B1 (ko) * 2007-11-02 2009-08-17 (주)엘티엠에이피 휴대폰 자동 힌지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711B1 (ko) 2006-08-23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프리 스톱 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334A (ko) 200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18265B2 (ja) 複数の係止位置を有する係止ヒンジ装置
KR930009847B1 (ko) 접는 전화기용 힌지장치
KR200241123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KR200141099Y1 (ko) 휴대용 전화기의 버튼커버 개페장치
EP0661824B1 (en) Foldable portable telephone with improved antenna gain
US20060112517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0504583B1 (ko) 핸드폰용 힌지장치
KR20050122551A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개폐장치
KR10042842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KR100350478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392956Y1 (ko)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200330255Y1 (ko) 폴더형 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KR200170119Y1 (ko) 휴대폰용 커버 개방장치
KR200390740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의 회전장치
KR10058573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60099279A (ko) 스위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0690715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184935Y1 (ko) 휴대폰
KR200240011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힌지 구조
KR1004475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89683Y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3577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 힌지장치
KR200187217Y1 (ko) 휴대폰
KR20020020528A (ko) 핸드폰의 커버 개폐장치
KR200183262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