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386Y1 -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 - Google Patents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386Y1
KR200221386Y1 KR2020000031534U KR20000031534U KR200221386Y1 KR 200221386 Y1 KR200221386 Y1 KR 200221386Y1 KR 2020000031534 U KR2020000031534 U KR 2020000031534U KR 20000031534 U KR20000031534 U KR 20000031534U KR 200221386 Y1 KR200221386 Y1 KR 200221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acket data
control signal
frequency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범
Original Assignee
박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범 filed Critical 박종범
Priority to KR2020000031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3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386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라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음성 정보를 나타내는 다수의 패킷을 패킷 버스를 통해 수신하는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는,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패킷의 수와 상기 패킷의 샘플링 주기의 비를 나타내는 기준 주파수를 공급하는 주파수 가변발진기와; 상기 다수의 패킷을 순차적으로 복호한 일련의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패킷 분석기와; 상기 일련의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며, 액세스 신호에 따라 상기 각 패킷 데이터에서 상기 기준 주파수의 주기에 해당하는 일부 패킷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버퍼 메모리와; 상기 버퍼 메모리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일부 패킷 데이터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샘플링 주기를 가지는 합성 신호를 저장하고, 래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합성 신호를 출력하는 래치 버퍼와;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를 상기 주파수 가변 발진기로 출력하며, 상기 기준 주파수에 따라 상기 액세스 신호 및 래치 제어신호를 상기 버퍼 메모리 및 래치 버퍼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AUDIO SIGNAL MIXING APPARATUS FOR MULTI SUBSCRIBER COMMUNICATION}
본 고안은 음성신호 합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자간 통화를 위해서 전화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합성하도록 한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화 통화는 전화망 내에 구비되어 발신자가 통화하기를 원하는 착신자와 통화로를 연결시키는 교환기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바, 상기 교환기는 발신자와 착신자를 일대일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정보통신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서, 발신자와 착신자 사이에 통화로가 연결된 이후에도 제3 자에게 전화를 걸어서 착신자, 발신자, 제 3 자가 동시에 통화하도록 지원하는 음성신호 합성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성신호 합성장치는 최대 3인까지만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화망을 통해서 4인 이상의 다자간 통화를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4인 이상의 다자간 통화를 지원하는 음성신호 합성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하며, 설치비용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4인 이상의 다자간 통화를 수행하며, 그 설치비가 저렴하면서도 그 구성이 간단한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음성 정보를 나타내는 다수의 패킷을 패킷 버스를 통해 수신하는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는,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패킷의 수와 상기 패킷의 샘플링 주기의 비를 나타내는 기준 주파수를 공급하는 주파수 가변발진기와;
상기 다수의 패킷을 순차적으로 복호한 일련의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패킷 분석기와;
상기 일련의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며, 액세스 신호에 따라 상기 각 패킷 데이터에서 상기 기준 주파수의 주기에 해당하는 일부 패킷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버퍼 메모리와;
상기 버퍼 메모리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일부 패킷 데이터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샘플링 주기를 가지는 합성 신호를 저장하고, 래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합성 신호를 출력하는 래치 버퍼와;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를 상기 주파수 가변 발진기로 출력하며, 상기 기준 주파수에 따라 상기 액세스 신호 및 래치 제어신호를 상기 버퍼 메모리 및 래치 버퍼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12 : 주파수 가변 발진기
18 : 패킷 분석기 22 : 버퍼 메모리
24 : 래치 버퍼 28 : 칩
34 : D/A 변환기 36 : 저대역 통과 필터
38 : 음량 제어기
이하에서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음성신호 합성장치는 주파수 가변 발진기(12)와, 제어부(10)와, 패킷 분석기(packet analyser, 18)와, 버퍼 메모리(buffer memory, 22)와, 래치 버퍼(24)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4)와, 저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36), 음량 제어기(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와, 패킷 분석기(18)와, 버퍼 메모리(22)와, 래치 버퍼(latch buffer, 24)는 하나의 칩(chip, 2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성신호 합성장치는 예를 들어 교환기에 구비되어 상기 교환기 내의 외부 기기와 연결되고,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음성 정보를 나타내는 다수의 패킷을 패킷 버스(packet bus)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다수의 패킷을 합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주파수 가변발진기(12)는 주파수 제어신호(14)에 따라 상기 패킷의 수와 상기 패킷의 샘플링(sampling) 주기의 비를 나타내는 기준 주파수(16)를 상기 제어부(10)에 공급한다.
패킷 분석기(18)는 상기 다수의 패킷을 순차적으로 복호한 일련의 패킷 데이터(packet data, 20)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패킷 분석기(18)는 상기 패킷의 에러보정(error compensation) 신호 및 동기화 신호를 고려하여 상기 패킷을 복호한다.
상기 버퍼 메모리(22)는 상기 일련의 패킷 데이터(20)를 저장하며, 액세스 신호(access signal, 19)에 따라 상기 각 패킷 데이터에서 상기 기준 주파수의 주기에 해당하는 일부 패킷 데이터(21)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상기 래치 버퍼(24)는 상기 버퍼 메모리(22)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일부 패킷 데이터들(21)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킷의 샘플링 주기를 가지는 합성 신호(25)를 저장하고, 래치 제어신호(30)에 따라 상기 합성 신호(25)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14)를 상기 주파수 가변 발진기(12)로 출력하며, 상기 기준 주파수(16)에 따라 상기 액세스 신호(19) 및 래치 제어신호(30)를 상기 버퍼 메모리(22) 및 래치 버퍼(24)에 인가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4)는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입력되는 변환 제어신호(32)에 따라 상기 래치 버퍼(24)로부터 입력된 합성 신호(25)를 아날로그 합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36)는 상기 아날로그 합성신호에서 저주파수 영역만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고주파수 영역이 제거된 아날로그 합성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음량 제어기(38)는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입력되는 음량 제어신호(26)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 합성신호의 음량을 가청 범위에서 조정하여 오디오 출력기와 같은 외부 기기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의 기본적인 음성신호 합성 원리를 샘플링 주기가 동일한 제1 및 제2 패킷을 가지고 설명하자면, 상기 샘플링 주기 내에 상기 제1 및 제2 패킷 데이터를 절반씩 복호시킨다. 이후, 상기 복호된 제1 및 제2 패킷 데이터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거치면서 하나의 합성 신호로 출력된다. 다른 예로, 주파수가 20㎑로 샘플링된 패킷 5개를 복호시킬 때는 샘플링 주기가 50㎲의 패킷 5개를 복호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5개의 패킷은 상기 샘플링 주기 내에 1/5씩 복호된다. 또한, 20㎑로 샘플링된 패킷이 4개이면 샘플링 주기는 50㎲이므로, 상기 4개의 패킷은 상기 샘플링 주기 내에 1/4씩 복호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는 패킷 분석기를 이용하여 4인 이상의 다자간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는 하나의 칩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그 설치비가 저렴하면서도 구성이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음성 정보를 나타내는 다수의 패킷을 패킷 버스를 통해 수신하는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에 있어서,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패킷의 수와 상기 패킷의 샘플링 주기의 비를 나타내는 기준 주파수를 공급하는 주파수 가변발진기와;
    상기 다수의 패킷을 순차적으로 복호한 일련의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패킷 분석기와;
    상기 일련의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며, 액세스 신호에 따라 상기 각 패킷 데이터에서 상기 기준 주파수의 주기에 해당하는 일부 패킷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버퍼 메모리와;
    상기 버퍼 메모리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일부 패킷 데이터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샘플링 주기를 가지는 합성 신호를 저장하고, 래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합성 신호를 출력하는 래치 버퍼와;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를 상기 주파수 가변 발진기로 출력하며, 상기 기준 주파수에 따라 상기 액세스 신호 및 래치 제어신호를 상기 버퍼 메모리 및 래치 버퍼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변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래치 버퍼로부터 입력된 합성 신호를 아날로그 합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와;
    상기 아날로그 합성신호에서 저주파수 영역만을 통과시키는 저대역 통과 필터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음량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 합성신호의 음량을 가청 범위에서 조정하는 음량 제어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
KR2020000031534U 2000-11-11 2000-11-11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 KR200221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534U KR200221386Y1 (ko) 2000-11-11 2000-11-11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534U KR200221386Y1 (ko) 2000-11-11 2000-11-11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386Y1 true KR200221386Y1 (ko) 2001-04-16

Family

ID=73053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534U KR200221386Y1 (ko) 2000-11-11 2000-11-11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3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3414B1 (en) Conference bridge processing of speech in a packet network environment
KR200300063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변조 장치 및 방법
US5627539A (en) Bidirectional signalling mechanism for interfacing computing devices to the analog telephone network
US6842507B2 (en) Simple structured portable phone with video answerphone message function and portable phone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0221386Y1 (ko) 다자간 통화용 음성신호 합성장치
JP4089596B2 (ja) 電話交換装置
KR920004348B1 (ko) Pcm 부호 복호기
GB2343584A (en) LAN telephone system
CN1331340C (zh) 声音码切换方法
KR100283394B1 (ko) 사설 교환기 시스템의 타임 스위치 정합장치
KR20020016650A (ko) 전화 회의 및 인터콤을 위한 유선 전화 및 무선 전화의결합 방법 및 장치
KR19990056072A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음성 인식을 통한 자동 전환 장치 및 방법
RU2105425C1 (ru) Система 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JPH033595A (ja) デジタル通信網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S63198454A (ja) デイジタル電話機
JPS5875361A (ja) 翻訳装置および翻訳装置を備えた通信装置
KR100547861B1 (ko) 컴퓨터 전화 복합 교환시스템에서 컴퓨터정보를 저장시키기위한 장치 및 방법
RU2253188C1 (ru) Система 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JPH09261742A (ja) Phs基地局
KR100535272B1 (ko) 사설 교환기의 톤 및 디지트 제공 장치
KR10048148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디엘아이 녹취 보드의 음성 및 데이터수신 장치 및 방법
JPH07177237A (ja) コンピュータ連動型ボイスメールシステム、電話機、およびコンピュータ端末
JPH05284238A (ja) ディジタル信号の伝送処理装置
US20040076287A1 (en) Background noise
KR2003007283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준어 변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